어린이 영화
Children's film어린이 영화 또는 가족 영화는 일반적으로 가정과 가족의 맥락에서 어린이와 관련된 영화 장르입니다. 어린이 영화는 반드시 일반 관객을 위한 것이 아닌 어린이를 위해 특별히 제작되는 반면, 가족 영화는 일반 관객을 염두에 두고 더 넓은 매력을 위해 제작됩니다.[1][2] 어린이 영화는 사실주의, 판타지, 모험, 전쟁, 뮤지컬, 코미디 및 문학 각색과 같은 여러 주요 장르로 나옵니다.[3]
심리적 측면
아이들은 오랜 진화 역사의 산물로 어떤 타고난 생물학적 성향을 가지고 태어납니다. 이것은 어린이를 매료시킬 수 있는 것과 어린이에게 제한을 가할 수 있는 근본적인 생물학적 틀을 제공합니다. 이는 어린이 영화에서 공유되는 특정 보편적인 특징에서 볼 수 있습니다.[4] 그로달에 따르면, 니모를 찾아서(2003), 밤비(1942) 또는 미야자키 하야오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2001)과 같은 영화들은 공포와 같은 특정한 강한 감정을 기반으로 하며, 이것은 보이어와 리에나드가 말하는 위험 예방 시스템의 활성화로 이어집니다.[5] 이를 통해 뇌는 위험 시 예방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4] 이와 같은 어린이 영화들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주제들을 탐구합니다: 육아 기관에 대한 애착, 우정의 발전, 개인들 사이의 호혜적인 관계; 또는 어린이와 젊은이들이 탐구하고 놀이에 참여할 필요성이나 필요성을 다루거나.[6]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영화들은 단순한 사회적 구성이 아니라 모든 아이들과 관련된 감정을 다루며 따라서 더 넓은 보편적인 관객들에게 매력을 갖습니다. 문화적 측면은 다양한 영화가 만들어지는 방식을 형성하지만, 이러한 영화는 선천적이고 생물학적인 근본적인 보편적 측면을 나타냅니다.[4] 멜버른 대학의 학자 티모시 로리(Timothy Laurie)는 "교육학적 규범이 아이들의 미디어에 지칠 줄 모르고 쌓여왔다"며, "아동의 질은 유선 생물학에서 파생되기 보다는 사회 정책, 정치적 기회주의에 의해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하며, 어린이의 선천적 심령주의 성향에 중점을 둔 것을 비판합니다. 교육학적 기관, 그리고 청소년 특유의 시장 세분화."[7]
가족 영화 대 어린이 영화
미국과 유럽 모두에서, 어린이 영화에 대한 생각이 1930년대에 상대적으로 두드러지기 시작했습니다. Bazalgette and Staples에 따르면, "가족 영화"라는 용어는 본질적으로 미국식 표현인 반면, "어린이 영화"는 유럽식 표현으로 여겨집니다.[8] 하지만 두 용어의 차이는 미국 영화와 유럽 영화가 각각 채택한 캐스팅 방식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미국 가족 영화에서, 어린이 주인공을 찾는 것은 신체적 외모에 대한 특정 기준이나 기준을 충족하는 어린이를 캐스팅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이와 대조적으로, 유럽의 어린이 영화들은 "보통"으로 등장하는 어린이들을 캐스팅하려고 합니다.[9] 마찬가지로, 미국 가족 영화에서 성인 출연진은 더 많은 관객을 끌어 모으기 위해 잘 알려진 배우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성인 또는 부모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보여줍니다. 이것은 캐스팅, 줄거리의 내용, 편집, 심지어 미장센을 통해 보여집니다.[9] Bazalgette and Staples에 따르면, 가족 영화의 좋은 예는 "자기야, 나는 아이들을 쉬게 했어"(1989)인데, 만약 그것이 비슷한 줄거리의 유럽 어린이 영화라면 제목은 "시, 아빠는 우리를 쉬게 했어"(Sis, Dad Shrened Us)라고 유럽 어린이 영화는 아이들의 관점에서 이야기된다고 설명합니다. 아이의 다양한 감정과 경험을 통해 이야기를 그리는 것.[10] 이러한 차이 때문에 미국의 가족 영화는 국내외 관객들에게 더 쉽게 시장성이 있는 반면, 유럽의 어린이 영화는 해외 관객들에게 제한된 매력으로 국내에서 더 잘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11]
미국
초기
월트 디즈니 컴퍼니는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1937)로 시작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전 그림스의 동화를 애니메이션으로 각색했습니다. 제2차 세계 대전 직전과 그 기간 동안 미국에서 세 개의 중요한 가족 영화가 개봉되었습니다. 이것들은 디즈니의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플라이셔 스튜디오의 걸리버 여행, 그리고 디즈니의 피노키오 (1940)였습니다.[12] 이 모든 것들은 문학적 출처의 느슨한 각색이었습니다.[12]
전쟁이 끝난 후, 디즈니는 내용의 범위를 고려할 때 가족 영화로 분류될 수 있는 애니메이션 기능을 계속 만들었습니다.[13] 보이치크에 따르면, 제2차 세계대전 직후 아동문학을 가장 중요하게 각색한 영화는 조지 스티븐스(1959)의 '안네 프랑크의 일기', 바이런 해스킨(Byron Haskin)의 '보물섬', 루이지 코멘치니(Luigi Comencini)의 1952년 영화 '하이디(Heidi)'였습니다.[14]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1960년대에는 캐롤 리드가 감독한 앵무새 죽이기(1962)와 올리버!(1968)와 같은 영화들이 아이들을 천진난만하게 묘사했습니다.[15] 어린이들과 관련된 1960년대의 다른 영화로는 로버트 와이즈의 "사운드 오브 뮤직" (1965)과 "미라클 워커" (1962)가 있습니다.[16] 이것들은 가족 영화 장르에서 매우 성공적인 음악 영화였습니다. 10년 동안 가장 많은 수익을 올린 영화 10편 중 4편은 가족 영화였습니다. 음악의 소리, 백 명의 달마시안 (1961), 정글북 (1967), 메리 포핀스 (1964).[17] 할리우드는 어린이들이 출연한 영화들도 공개했지만 상업적으로 성공하지는 못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학적으로 각색된 영화들이었습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그리고 이제 미구엘 (1966), 두리틀 박사 (1967), 그리고 학습 나무 (1969).[18][19] 10년 동안의 다른 가족/어린이 영화로는 Pollyanna (1960), Swiss Family Robinson (1960), In Search of the Castawes (1962), The Saw in the Stone (1963), That Darn Cat! (1965), Up Up Up the Down Stair (1967), The Sir, With Love (1967), Yours, Mine and Ours (1968), The Parent Trap (1961)이 있습니다.[20]
1970년대 미국의 어린이 영화에는 아리스토캣츠 (1970), 샬럿의 거미줄 (1973), 로빈 후드 (1973), 구조대원 (1977), 호빗 (1977)과 같은 애니메이션 영화가 포함되어 있습니다.[21] 10년은 또한 윌리 웡카와 초콜릿 공장 (1971), 사운더 (1972), 벤지 (1974), 터크 에버래스팅 (1976), 배드 뉴스 베어스 (1976), 프레이키 프라이데이 (1976), 그리고 크레이머 대 아이를 포함한 이혼 드라마인 샌드위치 (1978)[21]와 같은 실사 영화들이 있습니다. Kramer (1978)와 The Muppet Movie (1979).[22] 1971년작 침대 손잡이와 빗자루, 그리고 피트의 드래곤(1977)과 같은 애니메이션 영화들이 결합된 라이브 액션/애니메이션 영화들도 있었습니다. 이러한 영화의 경향은 미녀와 야수(1991)와 마틸다(1996)를 포함한 미국의 고전 아동 영화의 1980년대와 1990년대 제작에 영감을 주었습니다.[21]
1980년대 미국의 어린이 영화와 가족 영화로는 뽀빠이 (1980), 여우와 사냥개 (1981),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E.T. 외계인 (1982), 위대한 마우스 탐정 (1986), 인어공주 (1989)가 있습니다.[23] 스필버그는 문제에 대처해야 하는 아이들을 현실적으로 묘사합니다.[24] 이는 E.T. 엑스트라 지상파에서 볼 수 있는데,[22] 아이들은 아버지와의 이별뿐만 아니라 미혼 육아와 이혼 문제에 대처해야 합니다. 또한 영화 태양의 제국(1987)에서 주인공 아이 짐 그레이엄은 엄마가 어떻게 생겼는지조차 기억하지 못할 정도로 수년간 부모와의 이별을 다뤄야 합니다.[25] 그는 총알이 아니라 전쟁과 부모와의 이별의 광기와 잔인함으로 상처를 입습니다.[25] 로빈 우드에 따르면, 영화에서 루카스와 스필버그는 둘 다 "어린 시절의 어른 관객" 또는 "어린 시절이 되고 싶은 어른"을 재구성한다고 합니다.[26][27] 1970년대 후반 미국에서 제작된 다른 중요한 어린이 영화로는 제3종의 조우(1977)가 있습니다.[24] 슈퍼맨 (1978)[28]이나 슈퍼맨 2와[29] 같은 실사 영화들은 또한 중요한 어린이와 가족 영화들입니다. 그들은 지난 세대 동안 최고의 가족 엔터테인먼트로 선정되었습니다. 1970년대와 1980년대는 또한 스타워즈(1977)와 제국의 역습(1980) 그리고 제다이의 귀환(1983)을 포함한 몇몇 영화들과 그 속편들을 가족 영화의 고전으로 포함합니다.[30] 다른 비슷한 영화와 속편으로는 로버트 제메키스의 영화 백 투 더 퓨처 (1985)와 속편 백 투 더 퓨처 2 (1989)와 백 투 더 퓨처 3 (1990)이 있습니다.[30]
로리는 "인어공주와 함께 디즈니 장편 영화 (1989)가 부활한 이후, 고예산 애니메이션이 할리우드 박스 오피스 가구의 일부가 되었으며, 픽사 스튜디오, 드림웍스 애니메이션 및 최근에는 블루 스카이 스튜디오에서 경이로운 성공을 거두었다"고 썼습니다.[7] 1990년대의 중요한 가족 애니메이션 영화로는 미녀와 야수 (1991), 알라딘 (1992), 라이온 킹 (1994), 뮬란 (1998), 노틀담의 꼽추 (1996), 픽사 컴퓨터 애니메이션 영화 토이 스토리 (1995), 속편 토이 스토리 2 (1999), 버그스 라이프 (1998) 등이 있습니다.[31] 이번 10년은 현대 동화 영화 Edward Scissorhands (1990)를 소개했는데,[32] 인간의 감정과 아이 같은 특성을 가진 고립되고 인공적으로 창조된 젊은 남자가 여자 주인공이 그의 기억을 붙잡고 있는 동안 결국 사회에 의해 거부되는 것을 묘사합니다. 1990년대에는 또한 백 투 더 퓨처 프랜차이즈를 10년으로 가져온 백 투 더 퓨처 파트 3 (1990), 십대 돌연변이 닌자 거북이 (1990), 나홀로 집에 (1990) 그리고 속편 나홀로 집에 2: 뉴욕에서 길을 잃다 (1992), 후크 (1991), 앨런 & 나오미 (1992), 쥬라기 공원 (1993), 스티브 자일리언의 바비 피셔(1993),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1993), 미세스 다웃파이어(1993), 플린트스톤(1994), 베이브(1995), 주만지(1995), 101 달마시안(1996), 플라이 어웨이 홈(1996), 베가스 바캉스(1997), 그리고 10월 하늘(1999).[33] 작은 공주 (1995)와 같은 영화들은 극장보다 가정용 비디오 시장에서 더 성공적이었습니다. 직접 영상으로 연결하는 것은 애니메이션 영화와 메리 케이트와 애슐리 올슨이 주연을 맡은 영화인 "The Return of Jafar" (1994)와 같은 실사 영화 모두에 중요하게 되었습니다.[34]
유럽
1930년대와 1940년대에는 모스크바에 어린이 영화 스튜디오가 세워졌습니다. 마법의 물고기, 장난감의 나라, 혹등 말을 포함한 여러 영화들이 이 스튜디오에서 영국으로 수입되었습니다.[3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어린이 영화로는 비토리오 데 시카 (1948)의 이탈리아 신현실주의 영화 자전거 도둑들이 있습니다.[36] Goldstein and Zornow에 따르면, Clement의 프랑스 영화인 Funded Games (1952)는 전쟁의 시나리오에서 아이들을 등장시키며, 아이들과 어른들 사이의 간극을 보여줍니다.[37] 이 기간에는 카렐 제만 감독의 체코 어린이 영화 시간의 시작으로의 여행(1955)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1960년대 유럽의 중요한 어린이 영화로는 영국-이탈리아 로맨스 영화 로미오와 줄리엣(1968)과 프랑스 영화 랑팡소바게(1969)가 있습니다. 프랑스 영화감독 루이 말과 프랑수아 트뤼포는 어린이 영화에 상당한 기여를 했습니다. Louis Malle은 영화 Zazie dans Le Metro (1960), Murmur of the Heart (1971), 그리고 Pretty Baby (1978)를 만들었습니다. 트루퍼의 작품은 400번의 강타(1959), 와일드 차일드(1970), 스몰 체인지(1976) 등이 있습니다.[38] 말레와 트루파운트의 영화 제작 스타일은 오늘날의 감독들에게 아동 영화 제작에 영감을 주었습니다. 자크 도일런 감독의 포넷(1996)은 아이들이 "부모의 사랑과 보살핌 없이 사는 동안" 경험하는 정서적, 심리적 고통과 상처를 다룬 작품입니다.[39] 1960년대의 다른 중요한 유럽 어린이 영화로는 백혈병으로 인한 임박한 죽음에 대처하는 어린이의 이야기를 다룬 크리스마스 트리(1969)와 14세 소녀의 자살을 다룬 로버트 브레송 감독의 영화 무셰트(1964)가 있습니다. 보이치크에 따르면, 메리 포핀스와 무셰트 같은 영화들의 대조는 1960년대 아이들을 묘사하는 것의 모호하거나 정신분열적인 성격을 보여준다고 합니다.[40]
1970년대와 1980년대의 유럽 어린이 영화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윔 벤더스 감독의 독일 영화, 덴 슈테텐의 앨리스 (1974); 스페인 영화, 잉그마르 베르그만 감독의 패니와 알렉산더, 덴마크 영화 정복자 펠레 (1988); 독일 감독 볼프강 페테르센이 감독한 네버엔딩 스토리(1984),[24] 덴마크 영화 나와 맘마미아(1989),[11] 헝가리 영화 사랑, 어머니(1987).[41] 잉그마르 베르그만의 가을 소나타는 성인이 된 후 아이가 표현하는 부모와 아이 사이의 문제를 다루지만 가족 영화 장르에서도 중요한 영화입니다. 1990년대는 1917년 혁명 이후의 러시아를 배경으로 한 중요한 러시아 영화 (1994)와 도둑 (1997)을 포함합니다.[42] 2000년대에, 중요한 유럽의 어린이 영화들은 핀란드 영화 "마더 오브 마인" (2005), 이탈리아 단편 영화 "일 서플렌테" (2007), 그리고 폴란드 애니메이션 영화 "피터와 늑대" (2006)를 포함합니다. 2010년대에는 벨기에, 프랑스 언어 영화인 자전거를 탄 아이(2011)가 중요한 어린이 영화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43]
브리튼
1960년대에 영국은 지금은 고전으로 여겨지는 어린이들을 다룬 영화를 만들었습니다.[30] 이 영화들은 "먼 거리 달리기 선수의 외로움" (1962), "파리의 제왕" (1963), "본 프리" (1966), "사랑으로 선생님께" (1967) (E. R. Braithwaite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한), 그리고 "만약.." (1968)을 포함합니다.[44] 이 목록에는 영화 케스(1969)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몇몇 어린이 영화들은 아방가르드 영화의 범주에 속하는데, 이는 이 주제에 대한 파격적이고 종종 논란이 되는 대우 때문입니다.[45] 영화 학자들에 따르면, 아방가르드한 어린이 영화의 중요한 예로는 영국 영화 핑크 플로이드 더 월(1982)이 있습니다.[46][47] 핑크 플로이드 더 월(Pink Floyd The Wall)은 소외된 어린 시절, 기숙학교 분리, 모성 박탈, 분리 불안, 전쟁, 소비주의적 탐욕 등이 잊혀지지 않고 강력한 악몽 같은 묘사를 가진 파격적이고 논란의 여지가 있는 영화로, 아이에게 영향을 미치고 성인기에 그의 관계와 경험에 더 영향을 미칩니다. 비전통적인 이미지를 가진 아이와 가족과 함께 일어난 사회 변화를 보여줍니다.[47] 핑크 플로이드 더 월에서 아동과 가족의 표현은 "대립, 혼란, 기능 장애 및 역사를 강조"합니다.[47]
아시아
1960년대 일본의 중요한 어린이 영화는 비행 청소년 학교의 아이들의 삶을 바탕으로 한 배드 보이즈 (1960)와 보이 (1969)가 있습니다.[38] 1960년대에 아시아에서 온 중요한 어린이 영화는 사티아짓 레이의 영화 구피 가인 바하 번 (1969)을 포함합니다.[13] 남인도는 기숙학교에 다니는 아이들과 그들의 이별과 그리움의 경험을 그린 어린이 영화 데이지(1988)를 우리에게 주었습니다. 이 지역의 다른 어린이 영화들은 또한 시반의 대체 제목인 Shelter로도 알려진 Abhayam (1991)을 포함합니다. 제7회 국제 어린이 영화제에서 은 코끼리상과 국제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했습니다.[48] 인도는 또한 미라 네어의 1988년작 살람 봄베이 뭄바이의 거리 아이들에 관한 신현실주의 어린이 영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봄베이라고도 불리는 뭄바이의 길거리 아이들의 힘든 삶을 보여줌으로써 인도의 어른들이 아이들을 대하는 잔인한 방식을 묘사합니다.[49] 인도에서 온 중요한 어린이 영화로는 셰카르 카푸어 감독의 발리우드 영화 마숨(1983)과 미스터 인디아(1987)가 있습니다. 다른 중요한 어린이 영화로는 이스라엘 영화사 Golan Globus와 Cannon Films가 Cannon Movie Tales라고 불리는 시리즈로 그림 형제의 독일 동화를 재현한 것이 있습니다. 에일린 퀸, 헬렌 헌트, 존 파라곤 주연의 개구리 왕자 (1986), 존 세비지 주연의 미녀와 야수 (1987), 크리스토퍼 워컨 주연의 부츠 신은 푸스 (1988). 일본에서는 미야자키 감독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이 14세가 꼭 봐야 하는 영화 1위로 뽑혔습니다. 그 목록에는 마오리 영화 웨일 라이더(2002)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 다른 중요한 어린이 영화는 아제르바이잔을 배경으로 한 하미드 제벨리 감독의 1998년작 마랴암의 아들입니다. 그것은 무슬림 소년과 아르메니아 신부의 관계를 다루고 있습니다.[49]
기타 세계 지역
아프리카에서 온 중요한 어린이 영화로는 Tsoti (2006)가 있습니다.[50] 가족 영화의 또 다른 컬렉션은 모두를 위한 이야기라는 제목의 20개의 캐나다 및 유럽 영화 제작물의 문집입니다. 여기에는 캐나다 어린이 영화 바흐와 브로콜리(Bach et Bottine)(1986)와 안드레 멜란콘 감독의 아르헨티나 영화 콜트의 여름(1990)이 포함됩니다.[51]
참고 항목
메모들
- ^ 바잘게트 1995, 페이지 92.
- ^ Wojcik-Andrews 2000, pp. 4–5.
- ^ Wojcik-Andrews 2000, p. 161.
- ^ a b c Grodal Torben (2009) 구체화된 비전,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27쪽
- ^ Boyer, Pascal; Liénard, Pierre (2006). "Why ritualized behavior? Precaution Systems and action parsing in developmental, pathological and cultural rituals". The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29 (6): 1–56. CiteSeerX 10.1.1.473.3819. doi:10.1017/s0140525x06009332. ISSN 0140-525X. PMID 17918647. S2CID 9395265.
- ^ Panksepp, Jaak (September 3, 1998). Affective Neuroscience: The Foundations of Human and Animal Emotio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884353.
- ^ a b Laurie, Timothy (2015). "Becoming-Animal Is A Trap For Humans". Deleuze and the Non-Human. eds. 한나 스타크와 존 로프.
- ^ 바잘게트 1995, 페이지 94.
- ^ a b 바잘게트 1995, 페이지 95.
- ^ 바잘게트 1995, 96쪽.
- ^ a b Bazalgette 1995, pp. 92–108.
- ^ a b Wojcik-Andrews 2000, p. 66.
- ^ a b Wojcik-Andrews 2000, pp. 55–122.
- ^ Wojcik-Andrews 2000, p. 77.
- ^ Wojcik-Andrews 2000, p. 87.
- ^ Wojcik-Andrews 2000, pp. 88–89.
- ^ "All-Time Box Office Hits". AMC Film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21, 2015.
- ^ Wojcik-Andrews 2000, p. 89.
- ^ "The History of Film — The 1960s". AMC Filmsite. Retrieved May 3, 2014.
- ^ Wojcik-Andrews 2000, p. 92.
- ^ a b c Wojcik-Andrews 2000, p. 96.
- ^ a b Wojcik-Andrews 2000, p. 106.
- ^ Wojcik-Andrews 2000, p. 100.
- ^ a b c Wojcik-Andrews 2000, p. 101.
- ^ a b Wojcik-Andrews 2000, p. 163.
- ^ Wood, Robin (January 1986). Hollywood from Vietnam to Reaga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p. 163. ISBN 9780231057776.
- ^ Wojcik-Andrews 2000, p. 104.
- ^ Wojcik-Andrews 2000, p. 173.
- ^ Wojcik-Andrews 2000, p. 105.
- ^ a b c Wojcik-Andrews 2000, pp. 104–105.
- ^ Wojcik-Andrews 2000, p. 119.
- ^ Wojcik-Andrews 2000, p. 102.
- ^ Wojcik-Andrews 2000, p. 110.
- ^ Matzer, Marla (April 16, 1997). "Direct-to-Video Family Films Are Hitting Home". Los Angeles Times. Retrieved June 4, 2011.
- ^ Wojcik-Andrews 2000, p. 72.
- ^ Wojcik-Andrews 2000, 페이지 117–118.
- ^ Goldstein, Ruth M.; Zornow, Edith (September 1, 1980). The screen image of youth: movies about children and adolescents. Metuchen, NJ: Scarecrow Press. p. 211. ISBN 9780810813168.
- ^ a b Wojcik-Andrews 2000, p. 94.
- ^ Wojcik-Andrews 2000, 페이지 94, 116.
- ^ Wojcik-Andrews 2000, p. 95.
- ^ Wojcik-Andrews 2000, pp. 98–99.
- ^ Wojcik-Andrews 2000, p. 115.
- ^ "The Kid with a Bike – review". the Guardian. March 22, 2012. Retrieved November 29, 2022.
- ^ Wojcik-Andrews 2000, pp. 92–93.
- ^ Wojcik-Andrews 2000, pp. 190–191.
- ^ 지아네티 루이스 (1987) 영화의 이해 네 번째. 뉴저지: 프렌티스 홀 332-339쪽
- ^ a b c Wojcik-Andrews 2000, pp. 168–169, 191.
- ^ "Abhayam (Main Phir Aaunga) (Shelter)". Children's Film Society, India.
- ^ a b Wojcik-Andrews 2000, p. 108.
- ^ Bradshaw, Peter (March 16, 2006). "Tsotsi". The Guardian. ISSN 0261-3077.
- ^ Alice Duncan (2014). "Summer of the Colt". Movies & TV Dept.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 2014.
참고문헌
- Bazalgette, Cary (1995). "Unshrinking the kids: Children's Cinema and the Family Film". In front of the children: screen entertainment and young audiences. British Film Institute. ISBN 9780851704524.
- Brown, Noel (2012). The Hollywood Family Film: A History, from Shirley Temple to Harry Potter. Cinema and Society. London: I.B. Tauris. ISBN 978-1780762708.
- 브라운, 노을 (2017). 어린이 영화: 장르, 국가, 서사. 뉴욕: 컬럼비아 대학 출판부. ISBN 0231182694.
- Brown, Noel; Babington, Bruce (2015). Family Films in Global Cinema: The World Beyond Disney. Cinema and Society. London: I.B. Tauris. ISBN 978-1784530082.
- Wojcik-Andrews, Ian (2000). Children's films: history, ideology, pedagogy, theory. Garland reference library of the humanities ; Children's literature and culture. New York: Garland Pub. ISBN 978-0815330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