퐁세케아 콤팩타
Fonsecaea compacta퐁세케아 콤팩타 | |
---|---|
![]() | |
1000배 확대된 Fonsecaea 콤팩타의 현미경 이미지 | |
과학적 분류 | |
킹덤: | |
구분: | |
클래스: | |
순서: | |
패밀리: | |
속: | |
종: | 에프콘카 |
이항식 이름 | |
퐁세케아 콤팩타 (카리온)카리온(1940) | |
동의어 | |
|
퐁세케아 콤팩타는 헤르포트리첼라과에서 발견되는 수혈성 곰팡이 종이다.[1]이것은 희귀한 크로모플라스트균의 유전학적 작용제로서, 보고에서 관찰된 낮은 통신률을 가지고 있다.[2]F. compacta의 주요 활성 성분은 글리콜리피드지만 그것의 구성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3]F. compacta는 그것의 형태학적 전구체인 Fonsecaea pedrosoi의 이형성 다양성으로 널리 여겨진다.[4][5]퐁세케아속은 현재 F. 페드로소이와 F. 콤파트의 두 종을 포함하고 있다.[1]F. 페드로소이 100종류 이상이 격리되었지만 F. 콤팩타 중 2종류만 격리되었다.[6]
역사
F. compacta는 1935년에 Carrion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7]이 제안은 당시 라틴어 진단이 제공되지 않았기 때문에 무효로 간주되었다.[7]F. compacta라는 이름은 이후 Carrion이 필요한 라틴어 진단을 제공하면서 1940년에 검증되었다.[7][8]Carrion & Emons는 F. compacta에 피알리드가 존재한다고 보고했는데, 피알로포라 베루코사에 의해 형성된 피알리드가 대표적이라고 묘사되었다.[7]이러한 관찰로 인해, Redaelli & Ciferri는 1942년에 F. compacta를 Phialophora로 옮겼다.[7]통칭 퐁세케아(Fontsecaea)가 여성적이라는 점에서 성별 합의에는 '컴팩트(compactum)'가 아닌 '컴팩트(compacta)'라는 별칭이 쓰인다.[1]
분류
명칭에 대해서는 퐁세케아 속(Fonsecaea)이 적합한지 등 다소 이견이 있다.[9]이는 주로 어떤 특성을 사용하여 이를 식별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료용 미생물학자들의 불일치에 기인한다.[1]때때로 F. 콤팩타는 피알로포라, 호르모덴드럼, 아크로테카, 피알로코니디오포라, 라이노클라디아, 트리코스포륨을 포함한 다른 종류에 놓여져 있었다.[10]더 흔한 두 가지는 라이노클라디아와 피알로포라다.[1]F. 페드로소이와 F. compacta를 둘러싼 혼란은 그들이 하나의 문화권 내에서 둘 이상의 종류의 코니디아 배치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들의 다형성 성격에서 비롯되었다.[9]서로 다른 고립물의 평가는 폰세케아 속들이 그들의 복잡한 머리 모양의 특징처럼 가장 논리적이라는 것을 확인시켜 준다.[9]2004년에는 내부 필사 스페이서(ITS) 영역의 순서에 기초해 39종의 폰세카에아 spp. 및 관련 종을 F. 페드로소이, F. pedrosoi, F. compacta 등 A그룹과 F. monophora, C그룹 등 3개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rap [11]spp
분류논쟁
F. compacta의 분류학적 상태는 불확실하다.[10]F. compacta가 독특한 폰세카에아 종인지 아닌지에 대한 논쟁은 본질적으로 그것이 발견된 이후 몇 년 동안 지속되어 왔다.[1]일부 저자들은 코니도포레와 코니디아의 형태학에서 작은 차이가 있는 점을 감안할 때 F. 컴팩타와 F. 페드로소이는 별개의 종이라고 주장한다.[4][5]F. 콤팩타와 F. 페드로소이는 쉽게 구별할 수 있다.[1]F. compacta는 난형 코니디아에 콤팩트한 원추형 머리와 뭉툭한 흉터, 서브글로보스가 특징이며, F. pedrossoi는 느슨한 원추형 머리, 두드러진 흉터, 길쭉한 원추형 등이 특징이다.[1]한때 48개 포지션에 기저 대체물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두 종을 하나의 종으로 결합할 수 없다고 생각했었다.[5]또한 두 종은 동일한 D1/D2 시퀀스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RDNA 하위 단위에서 600개의 뉴클레오티드 영역을 가지고 있었다.[12] RAPD와 RFLP 방법은 이들 종 사이의 유전적 변이를 조사하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12]2004년, 일본 지바 대학의 과학자들은 F. 페드로소이와 F. 콤팩트 사이에 하위 단위 리보솜 DNA D1/D2 도메인 순서에 차이가 없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것은 후자가 단지 첫 번째의 형태학적 변동에 불과하다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13]More recently, several molecular investigations such as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of mitochondrial DNA, ribosomal RNA (rRNA), ITS sequence,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large subunit (LSU) rRNA D1/D2 domain sequence, and RFLP of small subunit (SSU) rRNA and ITS regions have revealed that F. pedrosoi and F. compact분자 수준에서 몇 가지 구분이 있다.[14] 따라서 F. 콤팩타는 F. 페드로소이의 형태학적 변형으로 여겨져 왔다.[14]
성장과 형태학
F. compacta의 형태학적 형태는 RinocIadiella 유사, Cladosporium-Iike 및 Phialophora 유사라고 한다.[9]라이노클라디아와 피알로포라 같은 종류의 개발은 폰세케아의 추가 아나모르프라고 하는 것이 가장 좋다.[1]퐁세케아의 일부 고립물은 피알로포라속(Phialophora)의 전형인 콜라렛으로 피알화(Phialide)를 형성할 수 있다.[1]F. 콤팩타와 F. 페드로소이의 경우와 같이 곰팡이가 배양에서 둘 이상의 형태적 형태를 생성할 때, 표준 조건에서 생성되는 가장 안정적이고 뚜렷하며 독특한 형태를 곰팡이 식별에 사용한다.[9]감자 덱스트로스 한아리의 군락은 느리게 자라고, 털실까지는 벨벳, 그리고 올리브에서 올리브색에서 올리브색에서 올리브색까지 검은색으로 자란다.[9]F. compacta의 분리는 최대 4가지 다른 종류의 코니도포체를 생산할 수 있다.[9]진단 형태는 빽빽하게 군집되어 있고, 1세포가 있는 옅은 갈색의 1차 코니디아, 4×8 μm까지 구성되어 있으며, 발기, 어둡고 불규칙하게 부어오른 종기, 곤봉 모양, 코니디오포레 등의 종기에서 불규칙하게 발달한다.[5][9]1차 코니디아는 비슷한 방식으로 1세포 3×3.5μm의 2차 코니디아를 낳는다.[9]2차 코니디아가 3차 코니디아를 낳을 수도 있다.[9]코니디아는 둥글고 콤팩트한 머리를 형성한다.[6]라이노클라디아처럼 1세포 코니디아가 함유된 코니디오포레스, 클래도스포리움처럼 발기한 코니디아의 갈고리, 피알로포라처럼 1세포 코니디아의 플라워 콜라렛과 볼이 있는 플라스크 모양의 코니디드도 존재할 수 있다.[9]평균적으로 크기는 지름 5~20μm이다.[15]
서식지와 생태학
F. compacta는 유럽에서도 볼 수 있었지만, 주로 라틴 아메리카나 아시아와 같은 습한 환경에서 발견된다.[16]아프리카, 브라질, 일본의 마다가스카르에서 많은 사례가 보고되었다.[16]그것의 자연 서식지는 토양과 나무 식물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1]그것은 사포로데, 흔히 숲속의 쓰레기 분해와 관련이 있다.[5][1]
인간의 질병
F. compacta는 크로모블라스틱증이라고 불리는 병을 유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2]크로모세포절제증의 5가지 주요 원인균은 F. 컴팩트, F. 페드로소이, 피알로포라 베루코사, 엑소피알라피티디스, 클래도피알로포라 카리오니이다.[6]F. compacta는 몇 가지 사례에서만 보고되었기 때문에 인간에게 있어서 드물게 크로모세포절제술의 유전학적 작용제다.[16]푸에르토리코에서 발생한 질병은 상퇴부에만 국한되고 병변이 광범위하고 확산되며 손에 일부 유두종이나 결절이 없는 침투부위까지도 F. compacta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17]
역학
크로모플라즘은 열대 및 아열대 국가에서 더 흔하지만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다.[16]아프리카, 브라질, 일본의 마다가스카르에서 많은 사례가 보고되었다.[16]여러 연구에서 태국, 한국, 파키스탄과 같은 몇몇 다른 나라에서도 널리 퍼져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16]Carrion이 크로모플라즘증에서 설명한 병변의 다섯 종류는 결절, 종양, 격자, 사마귀 병변이다.[16]F. compacta는 매우 희귀한 종으로, 몇몇 임상 컬렉션에서만 알려져 있다.[1]이러한 사례들 중 몇몇은 F. 콤팩타가 격리된 인도에서 5건의 경우를 포함한다.[18]인도의 F. compacta에 대한 한 연구는 15%의 [18]격리율을 나타냈다.스리랑카의 또 다른 연구에서는 F. 콤팩타 2건이 격리된 것으로 보고되었다.[2]감염은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흔하게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30-50세 사이에 발생한다.[16]청소년기에는 덜 흔하게 나타나는데, 발병률은 24%에 20세 이전에 발생한다.[18][19]
전송
F. compacta에 의한 감염은 균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나무 파편이나 가시 식물에 의한 구멍 자국을 통해서와 같이 다른 보다 흔한 크로모플라즘의 작용제들과 같은 메커니즘을 통해 획득되는 것으로 생각된다.[20]성인남성농가 등 농업 종사자에게서 증가된 사례가 나타나고 있으며, 직업상 토양과 밀접하게 접촉하는 노동자들이 주로 영향을 받고 있다.[19]인도 어린이들의 빈곤과 영양실조가 임상 감염의 초기 발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18]폰세케아 종은 환경적 원천에서 회복할 수 있다고 보고되어 왔으며 따라서 이 질병은 외상성 질환으로 간주된다.[4]그럼에도 불구하고, F. 콤팩타의 정확한 자연적 틈새 부분은 여전히 불확실하며, 따라서 증상 환자들이 어디에서 어떻게 그들의 감염을 얻었는지는 불분명하다.[4]
치료
좋은 위생과 적절한 영양 섭취는 개인이 잠재적 감염을 중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8]경미한 색소성형성증 환자에 대한 치료의 초기 단계는 외과적 절연, 전극화를 포함한다.[16]국소적인 병변에 액체 질소를 사용하는 극저온 수술, 물리치료는 매우 효과적이며 항응고 치료와 결합하여 적용할 수 있다.[20]더 발전된 경우는 장기간에 걸쳐 전신 항우울제 치료가 필요하다.[20]심한 병변은 천천히 반응하거나 심지어 항응고제에도 반응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20]현재 크로모블라스틱절제술에 대한 가장 유용한 항균제로는 이트라코나졸과 테르비나핀이 있는데, 이것은 매우 비싸고 종종 조합에 사용된다.[16][20]항경련 약물로 관찰되는 치료율은 15-80%[20]이다.심각한 형태에서 치료율은 특히 낮고 재발률은 높다.[20]F. 콤팩타와 F. 페드로소이는 항응고 치료의 취약성이 낮기 때문에 다른 질병에 비해 치료율이 낮다.[20]
참조
- ^ a b c d e f g h i j k l m McGinnis, Michael R. (2012). Laboratory Handbook of Medical Mycology. Elsevier. ISBN 978-0323138864.
- ^ a b c Attapattu, Maya Chandrani (1997). "Chromoblastomycosis – A clinical and mycological study of 71 cases from Sri Lanka". Mycopathologia. 137 (3): 145–151. doi:10.1023/A:1006819530825. ISSN 0301-486X. PMID 9368408. S2CID 26091759.
- ^ Santos, André L. S.; Palmeira, Vanila F.; Rozental, Sonia; Kneipp, Lucimar F.; Nimrichter, Leonardo; Alviano, Daniela S.; Rodrigues, Marcio L.; Alviano, Celuta S. (2007-09-01). "Biology and pathogenesis of Fonsecaea pedrosoi, the major etiologic agent of chromoblastomycosis". FEMS Microbiology Reviews. 31 (5): 570–591. doi:10.1111/j.1574-6976.2007.00077.x. ISSN 1574-6976. PMID 17645522.
- ^ a b c d De Hoog, G. S.; Attili-Angelis, D.; Vicente, V. A.; Van Den Ende, A. H. G. Gerrits; Queiroz-Telles, F. (2004). "Molecular ecology and pathogenic potential of Fonsecaea species". Medical Mycology. 42 (5): 405–416. doi:10.1080/13693780410001661464. ISSN 1369-3786. PMID 15552642.
- ^ a b c d e Attili, D. S.; Hoog, G. S. de; Pizzirani-Kleiner, A. A. (1998). "rDNA-RFLP and ITSI sequencing of species of the genus Fonsecaea, agents of chromoblastomycosis". Medical Mycology. 36 (4): 219–225. doi:10.1080/02681219880000331. ISSN 1369-3786. PMID 9776838.
- ^ a b c Vollum, Dorothy I. (1977). "Chromomycosis: a review".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96 (4): 454–458. doi:10.1111/j.1365-2133.1977.tb07145.x. ISSN 1365-2133. PMID 861185. S2CID 34940097.
- ^ a b c d e McGinnis, M R (1980). "Recent Taxonomic Developments and Changes in Medical Mycology". Annual Review of Microbiology. 34 (1): 109–135. doi:10.1146/annurev.mi.34.100180.000545. ISSN 0066-4227. PMID 7002021.
- ^ Lupi, Omar; Tyring, Stephen K.; McGinnis, Michael R. (2005). "Tropical dermatology: Fungal tropical disease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53 (6): 931–951. doi:10.1016/j.jaad.2004.10.883. PMID 16310053.
- ^ a b c d e f g h i j k McGinnis, Michael R. (1983). "Chromoblastomycosis and phaeohyphomycosis: New concepts, diagnosis, and mycolog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8 (1): 1–16. doi:10.1016/s0190-9622(83)70001-0. PMID 6826791.
- ^ a b Murphy, Juneann W.; Friedman, Herman; Bendinelli, Mauro (2013). Fungal Infections and Immune Response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ISBN 978-1489924001.
- ^ Yaguchi, Takashi; Tanaka, Reiko; Nishimura, Kazuko; Udagawa, Shun-ichi (2007). "Molecular phylogenetics of strains morphologically identified as Fonsecaea pedrosoi from clinical specimens". Mycoses. 50 (4): 255–260. doi:10.1111/j.1439-0507.2007.01383.x. ISSN 1439-0507. PMID 17576315. S2CID 35086036.
- ^ a b Abliz, Paride; Fukushima, Kazutaka; Takizawa, Kayoko; Nishimura, Kazuko (2004). "Identification of pathogenic dematiaceous fungi and related taxa based on large subunit ribosomal DNA D1/D2 domain sequence analysis". FEMS Immunology & Medical Microbiology. 40 (1): 41–49. doi:10.1016/S0928-8244(03)00275-X. ISSN 0928-8244. PMID 14734185.
- ^ Krzyściak, Paweł M.; Pindycka-Piaszczyńska, Małgorzata; Piaszczyński, Michał (2014). "Chromoblastomycosis". Advances in Dermatology and Allergology. 31 (5): 310–321. doi:10.5114/pdia.2014.40949. ISSN 1642-395X. PMC 4221348. PMID 25395928.
- ^ a b Liu, Dongyou (2011). Molecular Detection of Human Fungal Pathogens. CRC Press. ISBN 978-1439812419.
- ^ Tille, Patricia (2013). Bailey & Scott's Diagnostic Microbiology (13 ed.). Elsevier Health Sciences. ISBN 978-0323277426.
- ^ a b c d e f g h i j K. M., Angadi; R. N., Misra (2012). "CHROMOBLASTOMYCOSIS: A RARE CASE OF INFECTION BY Fonsecaea compacta FROM WESTERN MAHARASHTRA, INDIA". International Journal of Microbiology Research. 4 (9): 330–331. doi:10.9735/0975-5276.4.9.330-331. ISSN 0975-5276.
- ^ Carrión, A. L. (1942). "Chromoblastomycosis". Mycologia. 34 (4): 424–441. doi:10.2307/3754985. JSTOR 3754985.
- ^ a b c d e Sharma, N. L.; Sharma, R. C.; Grover, P. S.; Gupta, M. L.; Sharma, A. K.; Mahajan, V. K. (1999). "Chromoblastomycosis in India". International Journal of Dermatology. 38 (11): 846–851. doi:10.1046/j.1365-4362.1999.00820.x. ISSN 0011-9059. PMID 10583618. S2CID 755756.
- ^ a b Ameen, M. (2009). "Chromoblastomycosis: clinical presentation and management". Clinical and Experimental Dermatology. 34 (8): 849–854. doi:10.1111/j.1365-2230.2009.03415.x. ISSN 1365-2230. PMID 19575735. S2CID 205278413.
- ^ a b c d e f g h Queiroz-Telles, Flavio; Esterre, Phillippe; Perez-Blanco, Maigualida; Vitale, Roxana G.; Salgado, Claudio Guedes; Bonifaz, Alexandro (2009). "Chromoblastomycosis: an overview of clinical manifestations, diagnosis and treatment". Medical Mycology. 47 (1): 3–15. doi:10.1080/13693780802538001. ISSN 1369-3786. PMID 19085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