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5세 랄리치

Ivan V. Lalić

이반 랄리치(Ivan V. Laliich, 1931년 6월 8일 ~ 1996년 7월 28일)는 세르비아와 유고슬라비아의 시인입니다.[1] 그는 또한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의 시를 모국어로 번역했습니다.

전기

의 아버지 블라코는 언론인이었고, 의 할아버지 이시도르 바이치는 작곡가였습니다. 그의 시는 행복한 어린 시절을 이야기하지만, 또한 두 명의 십대 트라우마에 대해서도 이야기합니다. 베오그라드에서 어렸을 때, 그의 학교 친구들 중 많은 사람들이 1944년 공습으로 사망했습니다 - 시 "Zardjala igla (녹은 바늘)"에 묘사되어 있습니다. 랄리치는 "내 어린 시절과 전쟁 중 소년 시절은 내가 쓴 모든 것을 시 또는 시로 표시했다"[2]고 말했습니다. 두 번째 외상은 1946년 어머니 류비카 바이치가 결핵으로 사망한 것입니다.

이반 V. 랄리치는 자그레브에서 고등학교를 마쳤고, 그곳에서 법을 공부했습니다. 여기서 그는 영어와 음악을 공부하던 아내 브란카(성 카슈나르)를 만났습니다. 그들은 1956년에 결혼했습니다. 이반은 그녀를 "내 시 뒤에 숨겨진 정신"[3]이라고 묘사했고, 그녀의 존재감은 그의 시적 작품의 모든 단계에서 그의 운문에 남아 있습니다.

이반 랄리치는 1952년에 그의 첫 번째 시를 출판했고, 1955년에 그의 첫 번째 시집을 출판했습니다; 마지막 시집은 그가 사망한 해인 1996년에 나타났습니다. 처음에는 라디오 자그레브의 문학 편집자로 일하다가 1961년 베오그라드로 이주하여 새로운 직책을 맡았습니다. 유고슬라비아 작가 연합의 비서관. 그 후 1979년부터 1993년 은퇴할 때까지 베오그라드에 있는 Nolit 출판사의 편집자로 일했습니다.[3]

이반과 브란카 랄리치는 가족과 함께 이스트리아의 로빈지 마을에서 여름을 보냈습니다. 그들에게는 두 아들이 있었습니다. 나이가 많은 블라코는 1989년 로빈과 베니스 사이에서 항해 사고로 사망했습니다.[3] 이반 V. 랄리치는 1996년 베오그라드에서 갑자기 사망했습니다. 그의 유족으로는 부인 브란카와 그의 작은 아들 마르코가 있었습니다.

생각과 주제

셀리아 혹스워스는 랄리치의 부고에서 "그의 기억 작품에서 중심적인 위치: 문명의 붕괴에 직면하여 연약하지만, 우리가 가진 모든 것"에 대해 말했습니다. 기억은 시인이 개인적인 기쁨의 짧은 순간을 재현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먼 과거에 대한 감각을 떠올리게 합니다. 그것은 우리 각자가 고독을 비난 받는 개인으로서 공유된 유산과 연결되어 잠시 동안 더 큰 전체의 일부를 느낄 수 있게 해줍니다."[1]

레거시

랄리치는 유고슬라비아와 세르비아에서 가장 뛰어난 시인 중 한 명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알렉산다르 요바노비치의 말에서, "그의 작품은 [20세기] 후반 세르비아 시의 정점에 서 있을 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세르비아 시의 정점에 서 있습니다."[4]

랄리치는 해외에서 존경을 받았고 그의 시의 책들은 6개의 언어(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폴란드어, 헝가리어, 마케도니아어)로 번역되었습니다. 개별 시는 20개 이상의 언어로 등장했습니다. 영국 비평가들은 그의 작품을 "활력 있고 강렬하다"[5]고 묘사했고, "마지테리얼 초월적인 자질"[6]과 "비유적인 서정성과 공적인 힘의 거부할 수 없는 혼합"[7]과 함께 "비유적인 성공으로 불타올랐다"고 묘사했습니다.[8]

랄리치는 유고슬라비아와 세르비아의 가장 권위 있는 상을 포함하여 많은 문학상을 수상했습니다.

  • Nagrad tribine mladih (1960),
  • Zmajeva nagrada (1961),
  • Nagrada jugoslovenske radiodifuzije (1965),
  • Nolitova nagrada (1969),
  • 나그라다 "밀로시 주리치" (1978),
  • 나그라다 "브랑코 밀코비치" (1985),
  • 고스트 디소보그 프롤레차(1987),
  • Oktobarska Nagrada Beograda (1988),
  • 나그라다 "메샤 셀리모비치" (1992),
  • Nagrada "Stanislav Vinaver" (1992),
  • Nagradalista Borba (1992),
  • 벨리카 바자슈케 포벨자 (루마니아, 1994),
  • 나그라다 "브라차 미치치" (1995)
  • Nagrada "Vasko Popa" (1996),
  • Žička hrisovulja (1996),
  • Rachanska povelja (1996),
  • 비탈로바 나그라다 "Zlatni suncokret" (1996).

영어 번역(아래 참조)에서 그의 시는 여섯 개의 상을 받았습니다.

  • Thornton Wilder Prize (1990),
  • 유럽시 번역상(1991),
  • 제2회 영국비교문학협회 번역경진대회(1992),
  • 유럽시 번역상 (공동수상자, 1997),
  • 1등, John Dryden 번역경연대회(2013),
  • 제3회 상, 번역 시 부문 스티븐 스펜더상(2019).

서지학

그의 긴 시적 경력 동안, 이반 V. 랄리치는 그의 모국어로 된 11개의 시집을 출판했습니다.[9]

  • 비브시 데차크("Once a Boy, 1955)
  • 베트로비토 프롤레치('바람이 부는 봄', 1956)
  • 벨리카 브라타 모라('바다의 대문', 1958)
  • 멜리사('Melissa', 1959)
  • 아르곤아우티 약물 페스메('아르곤아우티와 다른 시들', 1961)
  • ('Act', 1963)
  • 크루그('원', 1968)
  • 스메트네나 베자마('Fading Contact', 1975)
  • 스트라스나 메라('The Passion Measure', 1984)
  • Pismo ('대본', 1992)
  • 체티리 카노나 ('네 개의 캐논', 1996)

랄리치는 또한 두 편의 작품을 선정했습니다.

  • 브렘, 바트레, 브르토비('시간, 불, 정원', 1961). 여기에는 멜리사 전집과 아르고나우티 드루게 페스메를 포함한 그의 다른 네 권의 초기 책에서 선택된 시들이 포함됩니다. 이 책에서 랄리치는 그가 본 초기의 시들을 그의 시적 유산의 일부로 정의하고, 그가 본 것을 더 가벼운 후베닐리아로 제쳐 놓았습니다: 그는 그것을 "선택된 시들의 책"이 아니라 그의 첫 번째 실제 책으로 여겼습니다.[10]
  • Izabrane i noveme ('선택되고 새로운 시들', 1969) – 영어 번역으로 "녹슨 바늘"로 출판됨. "선택된" 시들은 주로 브렘, 바트레, 브르토비와 그의 이후 두 권의 책 크루그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새로운" 시들은 O delima lubavi, ili Vizantija ('사랑의 작품 또는 비잔티움의 작품') 사이클을 형성합니다.

이반 랄리치(Ivan V. Laliich)의 모든 출판된 작품인 델라(Dela, 'Works')의 편집본은 1996년 그가 갑작스럽게 사망했을 때 준비 중이었습니다. 알렉산다르 요바노비치가 편집한 이 작품은 1997년에 등장했습니다. 시 3권과 산문 1권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어 번역으로

랄리치의 시는 자신의 번역본으로 1965년 현대시 번역 1호에 실렸습니다. Ted Hughes and Daniel Weissbort)[11] - '새로운 유럽 시'를 영국 시 문화의 원동력으로 확립하는 데 도움을 준 영향력 있는 영국 잡지

이반 V. 랄리치의 시 두 권의 책 길이의 모음집이 미국에서 찰스 시미치의 번역본에 등장했습니다.

  • 불의 정원 (New Rivers, 1970)
  • Roll Call of Mirrors (웨슬리안 대학 출판부, 1988).

이반 5세 랄리치의 시 6판이 프란치스코 R에 등장했습니다. 존스의 번역. Anvil Press(런던)와 함께하는 5가지입니다.

  • 사랑의 작품: 선택된 시 (1981)
  • Last Quarter: The Passion Measure (1985), 런던 터렛과 공동 출판
  • 더블린[12] 데달루스와 공동 출간한 스트라스나메라 번역본, The Passion Measure (1989)
  • 이자브란 소설을 번역한 '녹슨 바늘' (1996)
  • Smetnje na vezama 번역, Fading Contact (1997)

여섯 번째는 베오그라드 대학교의 Univerzitetska biblioteka "Svetozar Markovi"와 함께 등장했습니다.

  • 바다를 향해 걷다 / 코라시 프레마 모루 (2014)

외부 링크

참고문헌

  1. ^ a b 1996년[permanent dead link] 8월 2일자 인디펜던트지 부고
  2. ^ Bookrags.com
  3. ^ a b c Angelina. "Poezija « Srpski pesnici XX i XXI veka — biografsko-bibliografski podaci i prilozi « Ivan V. Lalić (1931—1996)". Riznica srpska - Književnost. Retrieved 16 April 2018.
  4. ^ Petković, Novica; Jovanović, Aleksandar (2007). Postsimbolistička poetika Ivana V Lalića [The Post-Symbolist Poetics of Ivan V Lalić]. Belgrade: Institut za književnost i umetnost - Učiteljski fakultet. p. 12.
  5. ^ Gahagan, Judy (2001). "Review of 'Fading Contact', Ivan Lalić, Anvil". Ambit.
  6. ^ Gahagan. "Review of 'Fading Contact'". {{cite journal}}: 저널 인용 요구사항 journal= (도와주세요)
  7. ^ Bird, Michael (1984). "Histories of absence: Ivan V. Lalić, The Works of Love, tr. Francis R. Jones (Anvil)". PN Review. 30 (4, March–April).
  8. ^ O’Donaghue, Bernard (1997). "What's gained in translation". Poetry News: 9.
  9. ^ Lalić, Ivan V. (1997). Jovanović, Aleksandar (ed.). Dela. Vol. I. Belgrade: Zavod za udžbenike i nastavna sredstva. pp. 333–334.
  10. ^ Lalić. Dela. Vol. I. p. 333.
  11. ^ "Modern Poetry in Translation No. 1". Modern Poetry in Translation.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March 2018. Retrieved 25 March 2018.
  12. ^ 상을 받은 번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