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라노 카샤닌

Milan Kašanin
밀라노 카샤닌
1923년 쿤스트 역사학 박물관 앞 카샤닌
태어난(1895-02-21)1895년 2월 21일
죽은1981년 11월 22일 (1981-11-22) (86세)
국적.유고슬라비아
모교소르본 대학교
직업미술사학자, 작가
레지옹 도뇌르

밀란 카샤닌(, 1895년 2월 21일 ~ 1981년 11월 22일)은 세르비아의 미술사가, 미술 평론가, 큐레이터, 작가, м илан к이다. 그는 세 곳의 베오그라드에 위치한 박물관장, 즉 파블레 왕자 박물관(현재의 세르비아 국립 박물관),[1] 현대 미술 박물관, 프레스코화 갤러리의 수장을 역임했습니다.

전기

초라한 출신인 카샤닌은 혼외자로 태어났기 때문에 그의 어머니 성을 채택했습니다. 장학금을 받은 그는 소르본에서 미술사를 공부했습니다.[2] 1926년 베오그라드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습니다. 그는 현대 미술관의 큐레이터, 파블레 왕자 박물관(현재의 세르비아 국립 박물관)의 관장, 베오그라드 프레스코화 갤러리의 큐레이터였습니다.[3] 그는 또한 베오그라드에서 열린 첫 번째 주요 유럽 미술 전시회인 1938년의 이탈리아 초상화와 1년 후인 19세기 프랑스 회화의 주최자 중 한 명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유고슬라비아에서 외국 전시회를 조직하는 것 외에도, 그는 남미뿐만 아니라 많은 유럽의 수도에서 세르비아 프레스코화와 다른 예술품들의 전시회를 조직했습니다.

카샤닌은 1937년에서 1941년 사이에 발행된 우메트니치키 프레글드(미술평론)의 창립자이자 편집자였습니다. 그는 1935년에서 1944년 사이에 파블 왕자 박물관의 수장으로 일했습니다. 파블레 왕자 박물관의 미술 컬렉션을 편집하기 위해 카샤닌은 유럽을 여행하고 네덜란드 등에 머물렀습니다. 그의 여행 보고서는 처음에는 신문에 실렸고 나중에는 선집인 Pronazeni predmeti (잃어버린 물건들) (1962)에도 실렸습니다. 암스테르담에서 유고슬라비아 미술을, 베오그라드에서 네덜란드 미술을 각각 전시한 것도 카샤닌 덕분입니다. 네덜란드 정부는 그에게 국가 훈장을 수여했습니다. 그의 과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그는 중세부터 현대까지의 세르비아 예술을 연구합니다. 그의 해석은 전간기 프랑스 연구학교가 얻은 통찰을 바탕으로 세련된 문체와 철저한 분석으로 쓰여집니다. 그것은 또한 그를 각각 밀란 콘요비치파블레 벨얀스키와 같은 세르비아 예술가와 수집가들의 회사로 데려갔습니다. 카샤닌은 또한 세르비아 중세 문학의 지식에 지대한 공헌을 했습니다. 그는 1924년에 예술 비평을 출판하기 시작했고 폴리티카, 브렘, 레치슬리카 같은 잡지에 출판되었습니다. 1927년, 그는 Veljko Petrovique와 함께 Vojvodina의 시각 예술에 대한 세르비아 예술가들의 기여에 대한 책을 공동 집필했습니다.[4] 그는 또한 격렬한 문학 비평으로 유명합니다.[5]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카샤닌은 파블레 왕자와의 이전의 가까운 관계 때문에 유고슬라비아의 새로운 공산주의 정부에 호감을 갖지 못하게 되었고, 일자리를 얻고 그의 책을 출판하기 위해 고군분투했습니다.[3][6] 카샤닌은 4명의 자녀와 3명의 아들, 1명의 딸을 두었습니다. 그의 형 라디보예는 뛰어난 수학자이자 학자였고, 그의 친구들 중에는 동료 미술사가 케네스 클라크[3]이시도라 세쿨리치, 아니카 사비치 레박, 이보 안드리치와 같은 세르비아 작가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가 수집한 작품들은 2002년에 총 8권으로 출판되었습니다.[7] 카샤닌은 성 사바 훈장, 유고슬라비아 훈장,[8]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 오렌지-나사우 훈장, 덴마크 훈장, 폴로니아 레스티투타 훈장, 이탈리아 훈장을 받았습니다. 베오그라드의 한 거리는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습니다.[9]

작동하다

  • 유트렌자 이브덴자, 베오그라드, 1925년, 1926년.
  • Srpska umetnostu Vojvodini, Veljko Petrovivich, Novi Sad, 1927.
  • 1928년 베오그라드의 잘주블레니치.
  • Bela crkva Karanska: 은제나 이스토리야, 아르히텍투라 이 ž이보토피스, 베오그라드, 1928.
  • 사브라나 델라 I-II, 베오그라드, 1929-1932.
  • 1930년 베오그라드, 로마, 트로코슐리니크.
  • 1932년 베오그라드의 피야나 제믈랴 I, II.
  • 유고슬라비아 헤덴게덴가셰 벨덴게 쿤스트, 암스테르담, 1935년.
  • Srpska umetnostu Vojvodini do vellike sebe, Novi Sad, 1939.
  • 1939년 베오그라드의 노쇼르에서 시작된 라르트 유고 슬레이브 데노스.
  • 1942년 베오그라드 드바베카 스르프스코그 슬리카르스트바.
  • 1943년 베오그라드의 우메트니치.
  • 이즈메주 올라이 부카, 에세이, 베오그라드, 1953.
  • Savremeni beogradski kumetnici. 1953년 베오그라드, Repodukcije.
  • 1961년 노비사드, Usenci slave.
  • 1961년 베오그라드의 프로나제네스트바리.
  • 1968년 베오그라드의 우메트니케 크리티케.
  • 1968년 베오그라드의 수드바인 일류디.
  • Susreti pisma, Novi Sad, 1974.
  • 1975년 베오그라드의 스릅스카 크누지 ž프노스트.
  • Slučajna otkrića, Novi Sad, 1977.
  • 이자브라니에세지, 베오그라드, 1977.
  • 포글레디 미슬리, 노비 사드, 1978.
  • 1978년 베오그라드의 카메나 오트크리차.
  • Privijenja I, Novi Sad, 1981.
  • 밀란 카샤닌, 스베티슬라프 마리치: 프레피스카드 보이체 믈라디차, 노비 사드, 1991.
  • 그라도비 디보르시우스 레드노베코브노즈 스르비지, 베오그라드, 2015.[10]

번역문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Директори музеја Народни музеј" (in Serbian). Retrieved 8 July 2019.
  2. ^ "Милан Кашанин, Аристократа Српске Интелигенције". 21 July 2017.
  3. ^ a b c Dimitrijević, Kosta (2015). Razgovori sa Milanom Kašaninom. Belgrade, Serbia: Catena Mundi. p. 30. ISBN 978-86-6343-058-7.
  4. ^ Workman, Leslie J. (1994). Medievalism in Europe. Boydell & Brewer. ISBN 978-0-85991-400-0.
  5. ^ "MILAN KAŠANIN PO DRUGI PUT U ZAGREBU Časopis Prosvjeta". casopis.skd-prosvjeta.hr. Retrieved 2 November 2018.
  6. ^ "Otkriće svetlosti kod Milana Kašanina".
  7. ^ "27. mart 1941". www.27mart.com. Retrieved 2 November 2018.
  8. ^ 1936년 "프로스베트니 글라스니크" 베오그라드. године
  9. ^ "Milan Kašanin dobija ulicu u Beogradu". B92.net (in Serbian). Retrieved 2 November 2018.
  10. ^ "Gradovi i dvorci u srednjovekovnoj Srbiji : Milan Kašanin : 978-86-7269-163-4 : Knjizara.com: Knjige". Knjizara.com. Retrieved 2 November 2018.

더보기

  • Dimitrijević, Kosta (2015). Razgovori sa Milanom Kašaninom (in Serbian). Catena Mundi.
  • Group of authors (2006). S njive do akademije (in Serbian). Mirovna grupa Oaza.
  • Kovačeik, Božidar (2005). Milan Kašanin i Matica srpska. Letopis Matice Srpske.
  • Nedić, Marko (2002). Razgovori sa Milanom Kašaninom (in Serbian). SKD Prosvjeta.
  • Nenin, Milivoj (2005). Pisma Milana Kašanina Tihomiru Ostojiću.
  • Njegovan, Drago (2003). Znameniti Srbi iz Baranje (od početka XVI. do sredine XX. veka).
문화사무소
앞에 세르비아 국립박물관장
1935–1944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