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hailo Lalić
Mihailo LalićMihailo Lalić | |
---|---|
![]() | |
네이티브 네임 | Михаило Лалић |
태어난 | 트렙차, 안드리예비차 | 1914년 10월 7일
죽은 | 1992년 12월 30일 베오그라드, FR 유고슬라비아 | (78세)
국적. | 몬테네그로 |
시민권 | 유고슬라비아인 |
장르. | 사실주의, 사회적 사실주의 |
활동년수 | 1948 - 1992 |
주목할 만한 작품 | Lelejska gora, Svadba, Zlo proljeće |
주목할 만한 상 | 닌상, 네고시상 |
미하일로 랄리치(세르비아 키릴 문자: м ихаило л алић, 믹스 ǎ ɔ 라틀리트 ͡ɕ(, 1914년 10월 7일 ~ 1992년 12월 30일)는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의 작가입니다.
전기
1914년 몬테네그로 북동부 트렙차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장 중요한 소설은 《스바드바》, 《즐로 프로예치》, 《라스키드》, 《하지카》, 《라트나 스레차》, 그리고 그의 걸작인 《레예스카고라》입니다.
1973년 《라트나 스레차》로 NIN상(NIN 잡지 올해의 소설상)을 수상했으며, 《레예스카고라》로 첫 번째 NJEGO시상을 수상했습니다. 그의 소설에서 그는 몬테네그로의 현대사, 특히 세계 대전, 공산주의 파르티잔과 왕당파 체트니크 사이의 싸움의 주요 사건들을 묘사했습니다.
그는 헤르체그노비와 베오그라드에 살았고,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의 회원이었습니다. 그는 또한 SKOJ와 공산당의 일원이었습니다. 그는 1992년 베오그라드에서 사망했습니다.
서지학
단편소설
- 이즈비드니카 (순찰대) (1948)
- 프르비스니제그 (첫눈) (1951)
- 나므세치니 (In the Moonlight) (1956)
- Posljednje brdo (The Last Hill) (1967)
소설
- 스바드바 (The Wedding) (1950)
- 즐로프로예치 (악의 봄) (1953)
- 라스키드 (분리) (1955)
- 렐레스카고라 (The Mountain of Crys) (1957, 1962)
- 하즈카 (The Purchase) (1960)
- 프라멘 테임 (The Lock of Darkness) (1970)
- 라트나 스레차 (전쟁의 행운) (1973)
- 자토치니치 (The Advocuseds) (1976)
- Doklegora zazeleni (산이 푸르게 변할 때까지) (1982)
- 글레다쥬치 돌제나 드럼로브 (길을 내려다보며) (1983)
- Odluchanchovjek (결정적인 남자) (1990)
참고문헌
- ^ "Čitač knjiga". digitalna.nb.rs. Retrieved 2018-10-20.
- ^ "Jovan Deretic: Kratka istorija srpske knjizevnosti". www.rastko.rs. Retrieved 2018-12-13.
- ^ "- Crnogorski đaci bez najvećih pisaca". www.politika.rs. Retrieved 2018-12-13.
- ^ "Nova ratna proza". www.vrem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05-07. Retrieved 2018-12-13.
- ^ "Zaborav nad zlim prolećem". www.novosti.rs (in Serbian (Latin script)). Retrieved 2018-12-13.
- ^ Radisavljević, Z. "Posveta Mihailu Laliću". Politika Online. Retrieved 2018-12-13.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미하일로 랄리치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