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 테슬고름

SS Thistlegorm
Thistlegorm train parts minus red edit.jpg
Thirtlegorm 승선 스팀 윈들래스 및 계류 윈치
역사
영국
주인님.알빈 선
연산자앨빈, 블랙 & 코
등록항선덜랜드
빌더J.L. 톰슨선덜랜드
야드 번호599
시작됨1940년 4월 9일
후원자:KW 블랙 부인
완료된1940년 6월 24일
식별
운명1941년 10월 6일 독일 항공기에 의해 침몰됨
일반적 특성
유형화물선
톤수4,898 GRT, 2,750 NRT
변위c.13,000톤 완전 적재
길이415.1ft(제곱.5m)
58.2ft(17.7m)
드라우트26피트(7.9m)
깊이24.8ft(7.6m)
갑판1
설치된 전원365 NHP, 1,850 IHP
추진
크루41
센서 및
가공 시스템
무장을
  • 1 × 4 in (100 mm) 저각 건
  • 1 × 3 in (76 mm) 대공포[1]

SS 테슬고름은 1940년 영국 북동부 잉글랜드에서 건조된 뒤 1941년 독일 폭격기에 의해 홍해에서 침몰한 영국의 화물선이다. 라스 무함마드 근처의 그녀의 난파선은 이제 유명한 다이빙 장소가 되었다.[2]

빌딩

J.L. 톰슨 선즈더럼 카운티 선덜랜드에 599번 야드로 테슬고름을 지었다. 그녀는 1940년 4월 9일에 발사되어 6월 24일에 완성되었다.[3] 등록 길이는 415.1ft(126.5m), 빔은 58.2ft(17.7m), 깊이는 24.8ft(7.6m)이었다. 그녀의 톤수는 4,898 GRT와 2,750 NRT이었다. 노스이스트 해양공학은 그녀의 엔진을 만들었는데, 그것은 365 NHP[4] 또는 1,850 IHP 등급의 3기통 팽창 엔진이었다.[2]

Thirtlegorm은 그녀를 선덜랜드에 등록시킨 Albyn Line을 위해 지어졌다. 그녀의 영국 공식 전화번호는 163052번이었고, 무선 전신 호출 부호는 GLWQ였다.[4]

전쟁 교통부는 부분적으로 Thirlgorm에 자금을 지원했다. 그녀는 4.7인치(120mm)의 선미에 탑재된 방어 장비를 갖춘 상선(DEMS)과 대공 엄호용 중장비 기관총이었다.[5]

테슬고름의 후미에 있는 주포

그 배는 그녀의 생애에서 세 번의 성공적인 항해를 마쳤다. 첫째는 미국, 둘째는 아르헨티나, 셋째는 럼주를 위한 서인도 제도였다. 네 번째이자 마지막 항해 이전에 그녀는 글래스고에서 수리를 받았다.[6]

마지막 항해

트럭, 테슬고름의 화물의 일부

그녀는 1941년 6월 2일 이집트 알렉산드리아로 향하는 마지막 항해를 위해 글래스고를 떠났다. 이 배의 화물은 다음과 같다. 베드포드 트럭, 유니버설 캐리어 장갑차, 노턴 16HBSA 오토바이, 브렌 총, 탄약 케이스, 0.303 소총과 무선 장비, 웰링턴 부츠, 항공기 부품, 철도 마차[7], LMS 스타니어 클래스 8F 증기 기관차 2대.[8] 이러한 증기 기관차와 관련 석탄 및 물 공급기는 이집트 국철용 갑판 화물로 운반되었다. 나머지 화물은 이집트의 연합군을 위한 것이었다. Thirtlegorm이 6월에 Glasgow에서 출항할 때, 이것은 1941년 9월에 새로 결성된 8군단의 일부가 된 서부 사막군이었다. 윌리엄 엘리스 선장 휘하의 이 배의 선원들은 기관총과 대공포를 조종하기 위해 9명의 해군 요원으로 보충되었다.

독일과 이탈리아 해공군의 지중해 활동으로 인해, 테슬고름은 그녀가 번케한 남아프리카케이프타운을 경유하여 호송대의 일부로 항해한 후, 아프리카 동쪽 해안을 북쪽으로 올라 홍해로 향했다. 케이프타운을 떠나자 경 순양함 HMS 칼리슬이 호송대에 합류했다. 수에즈 운하의 충돌로 인해, 호송차는 알렉산드리아 항에 도착하기 위해 운하를 통과하지 못하고 1941년 9월에 세이프 앵커리지 F에 계류되었다. 그녀는 1941년 10월 6일에 침몰할 때까지 정박해 있었다.[9] HMS Carlisle은 같은 정박지에 정박했다.

1941년 9월 이집트에는 연합군의 대규모 증축이 있었고 독일 정보기관(Abwehr)은 이 지역에 추가 병력을 들여오는 병력 수송기가 있다고 의심했다.[9] 2대의 하이켈111대켐프게슈와데르 26, 루프트와페 항공기는 크레타에서 파견되어 병력 수송선을 찾아 파괴했다.[10] 이번 수색은 실패했지만 폭격기 중 한 대가 세이프 앵커리지 F호에 정박된 선박을 발견했다. 가장 큰 선박을 목표로, 그들은 2.5톤짜리 폭발물 두 개를 Thirlgorm에 투하했는데,[11] 두 폭탄 모두 10월 6일 0130으로 배의 선미 근처에서 4번 홀드를 명중시켰다.[9] 폭탄과 함께 4호 보관 중이던 탄약 일부가 폭발하면서 테슬고름의 침몰로 이어졌고, 선원 4명과 DMS 포병 5명이 사망했다. 생존자들은 HMS Carlisle에 의해 체포되었다. 엘리스 선장은 폭발에 따른 행동으로 OBE를 받았고, 승무원 앵거스 맥레이는 다른 선원을 구한 공로로 조지 훈장과 로이드의 해상 용맹 전쟁 훈장을 받았다. 대부분의 화물은 배 안에 남아 있었는데, 주된 예외는 갑판 화물에서 난파선의 양쪽으로 날아간 증기 기관차였다.[8]

쿠스토의 발견

1950년대 초, 자크 쿠스토는 지역 어부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그녀를 발견했다. 그는 난파선에서 오토바이와 선장 금고, 배의 종 등 여러 가지 물건을 들어올렸다. 내셔널 지오그래픽 1956년 2월호에는 배의 벨이 제자리에 놓여 있고 쿠스토의 다이버들이 배의 연등실에 있는 모습이 선명하게 나타나 있다. 쿠스토는 그의 저서 "살아있는 바다"의 일부에서 그 난파선에 대한 다이빙을 기록했다.

재발견 및 레크리에이션 다이빙 사이트

털고름에서 다이빙하기

쿠스토의 방문에 이어 현지 어민들을 제외하고는 현장이 잊혀졌다. 1990년대 초 샤름셰이크는 다이빙 리조트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또 다른 이스라엘 어선 선장으로부터 정보를 얻어,[12] Thertlegorm에서 레크리에이션 다이빙이 다이빙 보트인 Poolster의 방문 이후 다시 시작되었다.

그녀를 침몰시킨 거대한 폭발은 그녀의 중간 구조물의 많은 부분을 날려버렸고 난파선을 다이버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만들었다. 가장 깊은 곳의 30m(100피트) 깊이는 전문 장비와 훈련 없이도 다이빙에 이상적이다.

그 난파선은 많은 잠수부들을 끌어모으고, 볼 수 있는 화물의 양과 탐험을 할 수 있다. 1번 홀드에서는 부츠와 오토바이가 보인다. 트럭, 오토바이, 웰링턴 부츠, 소총, 웨스트랜드 라이샌더 날개,[13] 약 20개의 브리스톨 머큐리 방사형 엔진 배기 고리, 그리고 한 줌의 실린더와[14] 브리스톨 블렌하임 폭격기 테일플레인이[15] 2번 홀드에 보인다. 유니버설 캐리어 장갑차, RAF 트롤리 축전지와 [16]펀디트 조명[17] 2개도 찾아볼 수 있다. 폭발지역과 함께 난파선 좌현으로 내려가면 갑판화물로 보관돼 있던 증기기관차 중 1대가 있고, 다른 기관차는 2번 홀드로 우현 쪽 높이에서 벗어난다.[8]

테슬고름 다리로 이어지는 산책로의 뒷모습

2007년에 타임즈Thistlegorm을 세계 10대 난파선 다이빙 사이트로 선정했다.[18] 자연 녹슬어 난파선이 급속히 해체되고 있다. 생계를 위해 난파선에 의존하는 잠수정들도 난파선의 약한 부분으로 배를 계류해 난파선의 일부가 붕괴되는 등 난파선을 뜯어내고 있다. 이 때문에 2007년 12월 비정부 후르가다 환경보호보전협회(HECA)는 난파선 주변에 계류부표 32개를 설치하고 선체에 구멍을 뚫어 갇힌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했다.[19] 이 작업을 하는 동안, 배는 레크리에이션 다이빙을 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2009년까지는 블록 자체가 너무 가벼워 이들 계류장 중 어느 것도 남아 있지 않았다. 계류된 배들이 그들을 끌고 갔고 계류장과 난파선을 연결하는 선들이 너무 길었다(이 지역의 강한 조류로 인해 사람들은 계류장에서 실제 난파선으로의 이주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제 모든 보트는 다시 그 난파선에 직접 정박한다.

난파선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재미있는 동물은 참치, 바트피쉬, 모레이장어, 사자, 돌고기, 악어, 전갈피쉬, 바다거북 등이다.

2021년 2월, 사이먼 브라운이 15,005개의 병합된 프레임으로 만들어진 Thertlegorm의 물에 잠긴 난파선의 정형도포토(일정한 스케일을 갖도록 조정된 연립사진)로 올해의 왕립사진작가회의 일반과학부문 수상자로 발표되었다.[20]

참조

  1. ^ 해군기록부 AFO 1524/41
  2. ^ a b "The Thistlegorm Project".
  3. ^ "Thistlegorm". Wear Built Ships. Shipping and Shipbuilding Research Trust. Retrieved 13 January 2022.
  4. ^ a b "Steamers & Motorships". Lloyd's Register of Shipping (PDF). II. London: Lloyd's Register of Shipping. 1942 – via Southampton City Council.
  5. ^ "National Maritime Museum". Nmm.ac.uk. Retrieved 26 February 2013.[데드링크]
  6. ^ Submitted by John Kean on Tue, 27/03/2012 - 18:00 (27 March 2012). "The SS Thistlegorm book". Ssthistlegorm.com. Retrieved 26 February 2013.
  7. ^ http://www.klissurov.dir.bg/shipwrecks/shipwrecks6.html
  8. ^ a b c [샤름 엘 셰이크 다이빙 가이드 ISBN 977-304-000-3]
  9. ^ a b c 다이버 매거진 2006년 12월[데드링크]
  10. ^ Rohwer, Jürgen; Gerhard Hümmelchen. "Seekrieg 1941, Oktober". Württembergische Landesbibliothek Stuttgart (in German). Retrieved 12 April 2015.
  11. ^ "75 Facts about the Thistlegorm". Dive Magazine. Dive Magazine. Retrieved 2 September 2019.
  12. ^ 다이버 매거진 2006년 2월[데드링크]
  13. ^ Frost, Chris (30 October 2011). "Westland Lysander Schweboo Magazine". Schweboo.com. Retrieved 26 February 2013.
  14. ^ Frost, Chris (30 October 2011). "Bristol mercury radial engine Schweboo Magazine". Schweboo.com. Retrieved 26 February 2013.
  15. ^ Frost, Chris (9 November 2011). "Bleinheim bomber parts Schweboo Magazine". Schweboo.com. Retrieved 26 February 2013.
  16. ^ Frost, Chris (30 October 2011). "Trolley acculmulator Schweboo Magazine". Schweboo.com. Retrieved 26 February 2013.
  17. ^ Frost, Chris (2 November 2011). "Pundit lights Schweboo Magazine". Schweboo.com. Retrieved 26 February 2013.
  18. ^ Ecott, Tim (3 March 2007). "World's best wreck diving". The Times. Lon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September 2011.
  19. ^ "Mooring installation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of our Red Sea wrecks". HEPCA.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November 2010.
  20. ^ "Science Photographer of the Year winners revealed". BBC News. 12 February 2021.

외부 링크

좌표: 27°48′51″N 33°55′12″e / 27.81417°N 33.92000°E / 27.81417; 33.9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