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슈어
Kishū dialect기슈어 | |
---|---|
와카야마 사투리 | |
紀州弁 | |
원어민 | 일본 |
지역 | 간사이 와카야마현과 미에현 남부 |
일본어의
| |
사투리 |
|
언어 코드 | |
ISO 639-3 | – |
기슈 방언은 옛 기노 지방(현재의 와카야마현과 미에현 남부)에서 사용되는 간사이 방언이다.와카야마현에서는 와카야마 방언이라고도 한다.
분류
언어학자 우메가키 미노루는 기슈 사투리를 서부 일본어의 간사이 사투리, 특히 남부 간사이 사투리의 일부로 분류했다.나라현 남부와 미에현 동부의 방언과 이 하위 그룹을 공유한다.음운학, 구문학, 어휘 등에서 간사이 지방 중부 [1][2]방언보다 더 뚜렷하게 나타나는 고풍스럽고 보기 드문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것은, 동일본과 서일본의 주요 항로를 연결하는 역사적 고립과 함께, 여행으로 둘러싸인 산악 지형에 기인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서브 디비전
와카야마현내의 기슈 방언은 1982년 무라우치 에이이치가 제안한 기호쿠어, 기추어, 기난어 하위 방언으로 더욱 나눌 수 있다.기추어, 특히 다나베어 주변 사투리에는 니단 동사 활용과 옛 게이한식 피치 엑센트가 남아 있다.이와는 대조적으로, 기난 어구내의 히가시무로의 방언이나 미에현 부근의 방언은, 타루이식의 음색 악센트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독특한 지역 변형을 가지고 있다.방언의 다양한 하위 구분을 아래에 나타냅니다.[3]
와카야마현 기슈어
- 키호쿠
- 키난
미에현내에서는,[4] 아래와 같이, 키타무로와 미나미무로의 하위 방언으로 한층 더 나눌 수 있다.
미에 현의 기슈어
음운론
기슈 방언은 간사이 방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음운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예를 들어 단조어를 2모라로 길게 하고 긴 u())음을 짧게 한다.예를 들면, 오무타(서일본어)는 오모타(ota ()라고 하고, 아쿠나루(ka ()는 아코나루(on ()[5]라고 발음한다.
쌍동합병합
이중동 병합은 기슈 방언의 특정 지역에서 발생합니다.주로 와카야마현 남부에서 쌍봉아이는 긴 아음으로 합쳐진다.예를 들어 미즈쿠사이는 미즈쿠사라고 발음한다.방언 영역의 북동쪽에서는 ai가 긴 e(ぇ)가 된다.예를 들어 nai(없음)는 nee(e)라고 한다.남부 사투리 지역 해안 지역 중 ai를 긴 i())음으로 병합하여 연문 끝 입자 kai(い)를 kii())로 발음하고 nai를 nii(に)로 발음한다.사투리 영역의 대부분에서 쌍동이는 긴 e음으로 합쳐져 미에루(mieru)가 아닌 미루(meru)와 키에루(kieru)가 아닌 키루(keru)와 같은 발음을 낸다.그러나 이중모음 오이( (い))와 ui( (い))는 병합되지 않습니다.와카야마현에서는 표준 일본어와 달리 쌍봉이가 긴 [6][7]e음이라고는 할 수 없다.예를 들어, 선생님(선생님)은 마지막 i를 명확하게 발음합니다.이것은 이즈 제도 방언이나 규슈 방언 [8][9][10]등 상당히 멀리 떨어진 방언과 공통된다.
자음
자음 s, r, w는 키슈어에서는 생략할 수 있다.예를 들어, 오코시타의 s는 떨어지면 오코이타가 되고, bakkari의 r은 없어져 bakkai가 되고, wata의 w는 생략되어 ata가 됩니다.시())음 직후에 발생할 경우 t를 s음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간사이 지방에 산재하는 특성은 여러 포켓이다.예를 들어 아시타는 아시사, 하나시타는 하나사가 된다.특정 단어에 산발적인 쌍둥이자리 자음(작은 () 삽입도 볼 수 있다.예를 들어 후카이( (海)는 후카이(福海), 호카니( ( ni)는 호카니( ( ni)[11]로 발음된다.
za, da, ra의 상호 발음
와카야마현에서 기슈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자란, 다란, 라란, 모라의 발음이 빈번한 이른바 자다라 헨칸( (田kankan)을 폭넓게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일반적으로 za 열의 모라를 포함하는 단어는 해당 소리를 da 열의 해당 모라로 대체하고, da 열의 모라를 포함하는 단어는 다시 ra 열의 해당 모라로 대체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지만 흔하지는 않다.아래 표는 이 현상의 개요를 나타내고 있으며, 화살표는 음운 변화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Za 열 | Da 열 | [Ra] 컬럼 | 예 |
Za(표준) → | ← Da(수직)→ | ← Ra (표준) | 카라다(신체)→카다라(신체) |
지(가명) → | ← Di(표준)→ | ← Ri (수직) | - |
Zu(수치) → | ← Dzu → | ← Ru(수직) | - |
Ze (표준) → | ← De (표준) → | ← Re (표준) | 젠젠(전혀 그렇지 않음) → 덴덴(天天) |
Zo(축소) → | ← 도(Do) → | ← Ro (표준) | 동상 → 동상 |
간사이 지방에서는 자다라 인터발음이 일반적이지만 기슈 방언에서는 가장 눈에 띈다.이 현상의 기원은 유성 s-시동 모라(일명 za, ji 등)가 음성학적으로 파찰음(예: dza, di 등)에 가깝기 때문에 마찰 요소가 상실되어 파열음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예: za → dza → da.한편, 플로시브 d-시동음은 그 플로시브 요소가 약해져 r음에 가까워져도 좋다.예: da → ra.전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상호작용이 발생합니다.
- za → [조화] → dza → [조화조화, 플로시브화] → da → [조화조화] → ra
이것이 일어나는 정도는 말하는 사람에 따라 다르며, 또한 사투리 말하는 사람이 반말하는 것인지 더 격식을 차리는 것인지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요쓰가나
요쓰가나가 기슈 방언으로 구별되는지에 대해서는 몇 가지 논란이 있다.와카야마현 남부에서는 지(吉)와 디( ()와 주( ()와 주(zu)가 모두 존재한다고 하는 견해도 있다.그러나 1962년 무라우치 에이이치의 연구에 따르면 이 차이는 한때 존재했지만 이미 방언에서 [12]사라졌다고 한다.
피치 엑센트
와카야마현내의 기슈 사투리의 억양은 거의 만장일치로 게이한이며, 다나베 지방(옛 혼구 마을 제외)에는 교토, 고베, 오사카보다 더 오래된 전통적인 특징이 남아 있다.반면 와카야마 신구에서 미에현 기호쿠까지 이어지는 땅은 일본에서 가장 복잡한 음색 분포로 유명하다.기슈 방언의 다른 음조 억양과 그 사용 영역을 [13][14]다음에 나타냅니다.
- 게이한식 - 신구, 혼구, 기타야마 이외의 와카야마현 전역에서 사용 가능.신구권 내에서는 미와사키 남쪽에도 게이한식 악센트가 있다.나치카츠우라 등 일부 지역에서는 게이한식 음색 악센트에서 첫 번째 모라에 상승 음을 가진 단어가 이 상승 음을 잃을 수 있다.예를 들어 바람은 바람이다라고 발음한다.
- 타루이식(타입 C) - 혼구어로 사용되며, 신구 중심부에서도 같은 버전이 사용됩니다.
- 구마노식 - 오와세 남부, 구마노 해안, 미하마, 기호, 다카다에서 사용.하루히코 킨이치에 의하면, 이 음의 억양은, 사실, 키노모토식과 아타와식의 두 가지 다른 억양이라고 한다.야마구치 유키히로는 대신 이 둘을 같은 것으로 분류했다.
- '게이한 에스크'식 – 기호쿠에서 사용되는 나가시마식, 오와세 북부에서 사용되는 오와세식, 오와세 후루에서 사용되는 후루식의 세 가지 하위 악센트로 구분되는 표준 게이한식과의 유사성을 가진 음조 악센트.
- 나린도쿄식 - 나라현 남부 구마노산이나 키타야마산 등지에서 사용되는 도쿄식 악센트.
문법.
동사와 i-동사
일부 이치단 동사의 니단 활용은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특히 고보나 다나베를 중심으로 와카야마현의 중부 지역에 남아 있다.기슈어에는 표준어에는 없는 동사도 있다.예를 들어 아타쿠루는 란보스루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오라유루는 [15][16]사새루와 동등하다.
이토 지방이나 하시모토 주변에서는, 루엔딩의 이치단 동사가 고단 동사처럼 활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동사의 부정형(통상은 -nai 어간+n(사투리 영역)의 경우, min(보이지 않음)은 miran(사투리 영역)이 되고, taben(사투리 먹지 않음)은 taberan(사투리 영역)[17]이 된다.
일반적으로 i-접사(-ku, -))의 접속형은 u())음이 삽입된다.예를 들어, akaku nai(아카쿠나이)는 akau nai(아카우나이)가 됩니다.단, 어간에는 예를 들어 타카이(高 () 등의 모음음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소리가 발견되는 모라는 긴 o(う)음 또는 긴 a())음 중 하나로 변형될 수 있다.takai의 경우 표준 일본어 takaku nai(높지 않음)가 takau nai(높지 않음)[18]가 아닌 takau nai(높지 않음) 또는 taka nai(높지 않음)가 됩니다.
존재 동사·진행적·완벽적 측면
와카야마현 연안부, 기노카와 강변 평야, 미에현 미나미무로에서는 생물의 이루(居))와 무생물의 아루(uる)가 반대로 생물과 무생물의 양쪽에 동사 아루(uる)가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선생님 아루카이?선생님 계시니? (선생님 계시니?) 선생님 안 계시니? (선생님 안 [19]계시네.와카야마현의 산간 지역에서는 생물의 존재를 나타내기 위해 이루(ru () 대신 오루(五u)를 사용할 수 있으며, 지역에 따라서는 무생물에도 오루를 사용할 수 있다.그러나 최근에는 키호쿠 지방에서 [20][21]이루의 사용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다른 서일본 사투리와 마찬가지로 기슈 사투리도 진보와 완성을 구별한다.표준 일본어의 iru나 aru와 마찬가지로, aru나 oru를 모달 동사로 사용해 표현한다.일반적으로 서양어 방언에서는 진행형(실행형 등)은 동사 + oru의 -masu 어간(-す))에서 형성되고, 완성형(실행형 등 비가 오는 어간)은 -masu 어간 + teu 또는 u(실행형 등)에서 형성된다.진보적인 측면에서는 와카야마시와 가이소·나가 지구에서는 「-te·-ta 형태 줄기+te ru」가, 이토 지구에서는 「-te·ta 형태 줄기+toru」, 아리다 지구에서는 「-마스 줄기+야루」가 가장 [22][23]많다.미에현에서는 미나미무로, 기타무로에서는 [-마스 줄기+야루/야루], [-마스 줄기+요루]가 사용되고 [24]있다.이러한 형태가 가장 일반적이지만, 아래에 예시된 동사 furu(비에 대한 る to)를 사용하여 볼 수 있듯이 다른 수많은 형태도 존재한다.
기슈 사투리 진행면 (비가 온다)
- 와카야마시, 가이소, 나카 : 후테루(降っ)
· 이토구 : 후토루(降藤u)
· 아리다 지구 : 후리야루 (降り ()
· 미나미무로 : 후리야루 / 후리야루 (후리야루 / 후리야루)
· 키타무로 : 후리요루 (降りる)
기타 형태: 후카루, 후카루, 후타루, 후타루, 후타루, 후라루, 후라루, 후라루.
완벽한 측면은 와카야마시와 가이소·나카구에서는 [-te·ta 줄기+chaaru], 히다카구 이남에서는 [-te·ta 줄기+taru]가 가장 [22][23]널리 사용되고 있다.미에현에서는 미나미무로, 기타무로에서는 [24][-te와 -ta 줄기+ta/taaru/chaaru], [-te와 -ta 줄기+toru]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 「-te and -ta stren + iru」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것은, 매스미디어와 일본어 표준화의 진전 때문인 것 같습니다.
와카야마현의 기난 지방 연안에서는, 「-마스 줄기+이루」를 사용한 고풍스러운 형태가 남아 있다(예를 들면,[22][23] 「오모이이루」라고 생각하고 있다.
바인딩된 보조 장치
코풀라속
일반적인 간사이 방언 외에 야( (), 자( (), 데( (), 조( ()도 사용된다.이 중에서, 자어는 방언의 산간 지역에서 나이든 화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한다.다음은 이러한 연결관 사용의 몇 가지 예입니다.
- Sou da yo, aitsu ga kinou totta no da yo (そうだよ。あいつがきのうとったのだよ That’s right, he took it yesterday) could become sou jo, aitsu kin’no totta n jo (そうじょ。あいつきんのうとったんじょ).[25]
- 코레와 와타시의 꽃. 저것은 제 가위입니다. 샀습니다)가 될 수 있습니다. Kinou kouta n de (これわしのはさみで。きのうこうたんで).[25]
부정
결합 보조어 -n(-),), -헨(-ん),), -sen(-ん),), -yan(-ん)), -ran(-ん))은 모두 Kishu 방언에서 부정 표현을 위해 사용되지만 -n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yan은 미에와 나라 방언에서도 볼 수 있으며, 산간 지역을 제외한 기슈 방언의 많은 지역에서 볼 수 있다.-hen은 동사의 종류와 뉘앙스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앞의 동사에 붙일 수 있습니다.카쿠와 같은 고단 동사는 -nai 어간(또는 약간 변형)에 붙어서 카쿠헨이나 카케헨을 만든다.이치단 동사의 -iru(-,)로 끝나는 -masu 어간은 예를 들어 minai가 meehen이 되거나 -masu 어간 뒤에 ya())를 삽입하거나 -hen 앞에 minai가 된다.-eru(-)로 끝나는 이치단 동사의 경우, -masu 어간은 음이 길어진다(denai는 deehen이 된다).-iru 어미의 이치단 동사는 -hen 앞에 ya를 삽입한다(denai는 deyahen이 된다).불규칙 동사 쿠루는 -iru 어미 이치단 동사와 거의 동일하게 활용된다.예를 들어, 코나이는 키엔(keehen) 또는 키야엔(kiyahen)이 됩니다.불규칙 동사 suru도 마찬가지로 활용되기 때문에 sinai는 seehen 또는 siyahen이 됩니다.-ran은 산간이나 이토 지방 주변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습니다.붙임성이 있기 때문에, 이치단 동사의 「고단」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예를 들어, 타베나이는 타베란이 된다.[26]
원인
고단동사에서는 조수(-)가 -nai 어간에 붙는다.불규칙 동사를 포함한 다른 모든 동사 유형에는 대신 -yasu(-す)) 또는 -sasu(-す))가 붙는다.예를 들어 미사세루는 미야스 또는 미사스 중 하나가 되고, 코사세루는 키야스 또는 코사스 중 하나가 되며, 사세루는 시야스 또는 사스 중 하나가 된다.이토 지방에서는, 이치단 동사의 사동사를 고단 동사처럼 활용해, 끝에 -su(-))를 붙일 수 있다.예를 들어 miyas나 misas는 miras(미라스)라고 한다.니단 활용규칙을 유지하는 영역에서는 동사의 -nai 어간에 붙이는 -suru(-る))와 -sasuru(-する)의 결합 보조 어미를 사용한다.예를 들면, 카카스루나 미사스루입니다.[27]
수동적·잠재적
기슈 방언에 사용되는 수동형 및 잠재형태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경계 보조형이 있으며 지역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다.고단 동사의 경우 -reu 어미(-れ)가 대부분의 방언 영역에 걸쳐 -nai 어간에 붙는다.예를 들어 ikareru('수동적'이 왔다(passive), 갈 수 있다(잠재적)) 등입니다.다른 동사형에서는 -rareru(-られ)와 -yareru(-れれ)가 사용된다.예를 들어 타베라레루(taberareu)와 타베야레루(tabeyareu)(둘 다 먹을 수 있다(passive), 먹을 수 있다(potential).불규칙 동사 kuru는 korareu, kirareu, kiyareu, suru는 serareu, sirareu, sirareu, sarreu, sarreu, sarreu, sarreu, sarreu, sarreu, sarever goes, sure, sare, sare, sare, sare, sare, sare, sare, sare, sare, sare, sare, sare, sare, sare, sare, sare,경우에 따라서는 -rareru 및 -yareru의 re())의 r음을 떨어뜨려 대체 어미 -eru(고단 동사), -raeru(-)ら) 및 -yaeru(-え))를 형성할 수 있다.니단 동사 활용규칙이 있는 영역에서는 보조어인 -ruru(-)))와 -raru(-るる)도 사용된다.[28]상기 조동사와 비교하여 특정 동사를 -eru 동사로 변형시키는 것이 키슈 방언의 잠재력 표현 수단으로서 보다 일반적으로 사용된다는 점에 주목한다.예를 들어, iceru(가도 됩니다)라고 합니다.또, 프리픽스 「your」( 「」)를 사용해 가능성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예를 들면, 「iku」나 「ikan」등입니다.더 오래된 변종인 ee(으)도 일부 지역에서 발견될 수 있습니다.신구, 미나미무로 남부에서도 -eru(-え))와 -ereu(-るえ)를 사용하여 -masu 줄기에 붙인다(둘 다 [29]착용 가능).
추측
단언적 추측(표준어로는 darou)에는 보조어인 -yarou(-やou), -jarou(-じou), -rashii(-ら (-)가 사용된다.표준어와는 달리 과거의 긍정 추측 보조어인 -tsurou(-つur)도 존재한다. -tsurou는 주로 방언의 산지에서 사용된다.[30]
음의 추측 또는 의지에 대해서는 보조 -mai(-い))를 사용한다.동사에 붙이는 방법은 이쿠마이, 이코마이, 이카마이,[31] 이카헤마이 등 다양하다.-nyaro(-ん (-)나 -ntoko(-ん (-) 등의 다른 표현도 사용되기 때문에 -mai 자체의 사용 부족도 이 변동의 원인으로 생각됩니다.
필수 사항
와카야마에서는 -nsu(-ん)와 -sansu(-さす)라는 표현이 명령 또는 금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예를 들어, sensu na는 suru na에 상당하고, misansee는 minasai yo(명령어)[32]에 상당합니다.다나베 등에서는, 고령의 여성이 동사의 -마스 어간에 붙는 -마텐수(-matensu), -마이텐수(-maitensu), -maten(-maten-maten-maten-maten-maten-maten-maten-maten-maten)을 사용합니다.이것들은 모두 마샤이트 데스(-ま石 desu)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되며,[33][34] 데스(desu)는 타나베 등에서는 덴스(densu)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공손한 말씨
기슈어 방언(특히 다나베어, 신구어)은 다른 방언에서 볼 수 있는 공손한 말과 동등한 단어가 부족하거나 아예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간단히 말하면, 나이든 젊은이, 상사와 하급의 관계, 상사와 종업원의 관계에 관계없이, 상위에 대한 공손한 말을 사용하지 않는 하급자는 관례로 받아들여진다.사실, 공손한 말을 사용하는 것은 종종 무례한 것으로 여겨집니다.전국 규모로 봐도 토사어 등에서만 볼 수 있는 드문 경향이다.
공손한 말투에 대한 직관이 부족하기 때문에 다른 현으로 이주하는 기슈 출신은 대화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의무교육이 보급된 이후 다른 간사이(大partic) 방언으로의 동화가 활발해지면서 상황에 따라 표준 간사이 방언과 고유 사투리를 모두 사용하는 기슈 방언 사용자가 늘고 있다.
한편, 기슈 사투리에는 옛 존칭이 남아 있으며, 2인칭 대명사 오마에가 가장 잘 알려져 있다.오마에(大 dialect)는 친숙한 정도를 나타내기 위해 기슈 방언으로 오만( ( () 또는 오마한(ahan馬漢)으로 발음할 수도 있다.단순하게 오마에라고 발음해도 아나타(anata)와 같은 중성적인 의미이거나 다른 방언에서 볼 수 있는 더 거친 의미일 수 있다.이러한 오마에의 다양한 용법이 표준 일본어에서는 없어졌기 때문에, 기슈 방언의 화자는 오만, 오마한, 오마에를 사용할 때 다른 현의 화자에게 오해를 받는 경우가 많다.
입자들.
대소문자 표시, 바인딩 및 부사 입자
와카야마현 중남부의 산간에서는 n())을 주격 표시 입자 ga(が)[30]에 상당하는 것으로 한다.미에현 남부에서는 입자 ga와 wa())를 각각 ya())와 a(),)로 발음하거나 붙이는 명사와 결합한다.예를 들어, 우미가(바다는…)는 운미(雲a)가 되고, 쿠츠가는 쿠츠( ( are)가 된다.이 경우 ga와 wa의 구별은 음성학적으로 [35]없어집니다.구마노에서는 대격 마킹 입자 wo())도 앞의 [36]명사와 합쳐진다.방향표시 입자 he(θ)[37] 대신 다른 입자 i(θ)를 사용한다.와카야마현 키호쿠에서는 식 [B시카요이](Bかよ))))를 식 [A요리B가요이](A a aB a aB가 A보다 좋다)와 동등하게 사용하여 비교 진술을 한다.한편, 남부 미에만을 제외하고, 일본 표준 입자 시카(ika ()에 상당하는 입자 hoka(oka (), haka(ka (), hocha(ほ ()[38]를 사용한다.
접속 입자
입자 사카(か () 또는 사카이(ai海)는 결과 결합사(카라(kara) 또는 노드(node(/ () 모두 because/so)로 사용됩니다.사카이는 간사이 지방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미에 남부에서는, 데(),), 몬데(de y), 요테(よよ)[39][40]도 사용되고 있다.
문장 끝의 입자
의지와 설득을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입자를 키슈 방언으로 사용할 수 있다.가장 일반적인 것은 icora와 같이 동사의 o-morfed -nai 어간에 붙는 ra(),)이다.[41]미에현의 무로 지방에서는, 자신보다 지위가 높은 사람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한 태도의 표현으로서 라이(い)를 사용하고,[42] 신분이 같거나 낮은 사람에게는 레어(ら)를 사용한다.와카야마현 키호쿠에서는, 예를 들면, 타베요소우(os ( ()등의 의지나 설득을 나타내기 위해서 파티클 수(水)를 사용합니다.일부 지역에서는 입자 소라( (ら) 또는 소라요(小o)를 [40]대신 사용한다.
와카야마현에서는 노시(oshi ()나 누시(ous ()의 입자가 주로 고령의 여성 화자에 의해 경의의의 말미에 사용되고 있다.그것들은 방언에서 가장 존경스러운 문장 끝의 입자이며, 또한 주사 입자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이들 입자는 와카야마시를 중심으로 한 와카야마현 북중부와 나카, 가이소, 아리다, 히다카(이들 각 지역의 고지 제외) 지역을 중심으로 사용되고 있다.남쪽의 히가시무로 해안가, 구마노 강변, [43][44]미에현 미나미무로 지방에서도 이용되고 있다.이 지역들 사이에 있는 땅들은 이 입자들을 사용하지 않는다.노시와 노시에는 노라, 노우라, 요시 등 음운적인 변형이 몇 가지 있습니다.그중에서도 요시 씨는 존경의 뉘앙스가 적거나 전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나( ()는 자신과 동일하거나 낮은 신분의 것과 함께 사용되는 반면, 와카야마현에서는 듣는 [45]사람에 대한 애정의 뉘앙스를 표현하기 위해 파티클 누( nou)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그러나 미에현 키타무로시에서는 나( is)가 누([44] nou)보다 더 세련된 것으로 여겨진다.
인용문
- ^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p. 12–14.
- ^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p. 369–370.
- ^ 村内, 英一 (1982). 和歌山県の方言 (in Japanese). 国書刊行会. p. 173.
- ^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 105.
- ^ 村内, 英一 (1982). 和歌山県の方言 (in Japanese). 国書刊行会. pp. 174–175.
- ^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p. 373–374.
- ^ 村内, 英一 (1982). 和歌山県の方言 (in Japanese). 国書刊行会. pp. 175–176.
- ^ 飯豊, 毅一 (1982). 講座方言学 (in Japanese). 国書刊行会.
- ^ 遠藤, 嘉基 (1961). 方言学講座 (in Japanese). 東京堂.
- ^ 加藤, 和夫 (1962). "白山麓白峰方言の変容と方言意識". 日本語研究諸領域の視点. Meiji: 323–345.
- ^ 村内, 英一 (1982). 和歌山県の方言 (in Japanese). 国書刊行会. p. 177.
- ^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 374.
- ^ 山口, 幸洋 (1976). "南近畿アクセント局所方言の成立". 国語研究 (in Japanese) (39 ed.). 国学院大学国語研究会.
- ^ 金田一, 春彦 (1975). "熊野灘沿岸諸方言のアクセント". 日本の方言 アクセントの変遷とその実相 (in Japanese). 玉川大学出版部.
- ^ 村内, 英一 (1982). 和歌山県の方言 (in Japanese). 国書刊行会. pp. 182–183.
- ^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p. 390–391.
- ^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 391.
- ^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p. 395–396.
- ^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p. 105, 392–393.
- ^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p. 392–393.
- ^ 村内, 英一 (1982). 和歌山県の方言 (in Japanese). 国書刊行会. pp. 184–185.
- ^ a b c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p. 393–395.
- ^ a b c 村内, 英一 (1982). 和歌山県の方言 (in Japanese). 国書刊行会. pp. 185–186.
- ^ a b 丹羽, 一彌 (2000). 日本のことばシリーズ 24 三重県のことば (in Japanese). Meiji. p. 29.
- ^ a b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 407.
- ^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p. 400–403.
- ^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p. 127, 397–398.
- ^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p. 128, 398–399.
- ^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p. 128, 399.
- ^ a b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 408.
- ^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p. 403–404.
- ^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 400.
- ^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 405.
- ^ 村内, 英一 (1982). 和歌山県の方言 (in Japanese). 国書刊行会. pp. 188–189.
- ^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 150.
- ^ 丹羽, 一彌 (2000). 日本のことばシリーズ 24 三重県のことば (in Japanese). Meiji. p. 31.
- ^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 409.
- ^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p. 408–410.
- ^ 丹羽, 一彌 (2000). 日本のことばシリーズ 24 三重県のことば (in Japanese). Meiji. p. 32.
- ^ a b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 410.
- ^ 楳垣, 実 (1962). 近畿方言の総合的研究 (in Japanese). Sanseido. p. 386.
- ^ 丹羽, 一彌 (2000). 日本のことばシリーズ 24 三重県のことば (in Japanese). Meiji. pp. 33–34.
- ^ 村内, 英一 (1982). 和歌山県の方言 (in Japanese). 国書刊行会. p. 190.
- ^ a b 丹羽, 一彌 (2000). 日本のことばシリーズ 24 三重県のことば (in Japanese). Meiji. p. 33.
- ^ 村内, 英一 (1982). 和歌山県の方言 (in Japanese). 国書刊行会. p. 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