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 라, 라, 라

La, la, la
"라, 라, 라"
Massiel La, la, la.jpg
싱글 바이 마시엘
방출된1968
라벨녹시아
작곡가마누엘 데 라 칼바, 라몬 아르쿠사
유로비전콘테스트 1968 참가 신청
나라
아티스트
언어
작곡가
작사가
마누엘 데 라 칼바
라몬 아르쿠사
지휘자
라파엘 이바르비아
파이널 퍼포먼스
최종결과
첫 번째
최종점
29
항목 연대기
◄ "하블레코스 델 아모르" (1967)
"비보 칸탄도" (1969년) ►

'라, 라, 라'는 스페인 가수 마시엘이 녹음한 곡으로 마누엘 데 라 칼바와 라몬 아르쿠사가 작곡했다. 그것1968년 런던에서 열린 유로비전콘테스트에서 스페인 우승팀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스페인이 콘테스트에서 우승한 것은 처음이었다.[1] 마시엘은 이 곡을 영어로 'He Gives Me Love (La, La, La)'로 발표하기도 했다.[2][3]

유로비전

이 곡의 연주는 현재까지 스페인의 유로비전 2회 우승 중 첫 번째였다. 이 곡은 라몬 아르쿠사와 마누엘 데 라 칼바가 작곡한 곡으로, 그 외는 노래 듀오 두오 디나미코로도 알려져 있다. 이날은 첫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컬러로 방송되었는데, 시청자들은 짧은 색상의 드레스(왼쪽/키에서 오른쪽/짧은색 옷까지)를 입고 마시엘의 뒤를 받치는 가수들을 주목했다(Maria Jesus Aguirre, Maria Dolores Arreas, Mercedes Valima Macaria).[1]

"La, la, la"는 우승 후보인 영국의 "축하"를 단 1점 차이로 이겼다. 빌 마틴(영국 엔트리의 작가)은 스페인 노래를 "쓰레기 한 조각"이라고 불렀다.[citation needed]

원래 스페인의 엔트리를 공연하기 위해 선택된 예술가인 Joan Manuel Serrat카탈로니아에서 이 곡을 부르려고 했다. 프랑코주의 국가 독재정권은 이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며, 비록 세라트가 프랑코주의 국가하에서 억압된 이 나라의 다른 지역 언어에 대한 주장을 하고 싶었지만, 이 진입은 스페인의 모든 영토에 대한 공식 언어인 스페인어(사실 카스티일의 언어)로 행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래서 마지막 순간에 마시엘을 가수로 대체했다. 안도라가 첫 출전을 한 2004년이 되어서야 카탈로니아는 경연 무대에서 들을 수 있었다.[citation needed]

2008년 스페인 텔레비전에서 상영된 다큐멘터리 영화는 카우딜로 프랑코가 스페인의 승리를 보장하기 위해 경쟁을 고정시켰다고 주장했는데, 이것은 프랑코의 해외 이미지를 높일 것이다.[4][5][6] 마시엘은 자신의 노래가 더 좋아서 이겼고, 프랑코는 애초에 그녀에게 표를 사주지 못했을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이러한 주장에 격분했다. 그녀는 또한 스페인 TV 채널들간의 경쟁의 원인이 이 혐의들을 비난했다.[7] 이 다큐멘터리에서 원론적인 주장을 펼쳤던 호세 마리아 이니고는 나중에 "이런 조작이 있었다면 정권에 더 가까운 다른 예술가를 위한 것이었을 것"[8]이라며 철회했다.

녹음

마시엘은 이 노래를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등 4개국어로 녹음했으며, 영어로는 'La, la, la'로 'He Gives Me Love(La, la, la)'로 녹음했다. 이후 라디오텔레비전(Radiotelevisione Italiana)의 1968년 버라이어티 시리즈 칸조니시마(Canzonissima)에서 이탈리아 가수 미나(Mina)와 핀란드 가수 카라(Carola)가 취재했다. 밴드 생 에티엔은 앨범 A Song for Eurotrash(1998)에 수록된 또 다른 커버 버전을 원곡과 다른 영어 가사로 녹음해 고마운 것 대신 사귀고 있는 남자를 언급했다. 그러나 이 곡의 가장 많이 팔린 녹음은 포르투갈의 파도 스타 아마리아 로드리게스가 스페인어로 공연한 커버 버전이었다. 터키의 유명 가수인 알페이가 같은 해 터키어로 "La La şarkş Sözü"와 함께 불렀으며, 1969년 싱글 "Sen Gidince"의 B 으로 발매되었다.[9] 하이디 브뤼엘은 독일어로, 슬로바키아에서는 마르셀라 라이페로바를 취재했다.[10]

참조

  1. ^ a b "Info on "La, la, la" from Diggiloo Thrush". Diggiloo.net. Retrieved 2010-06-24.
  2. ^ 컨티뉴움 2003년 0826463215 세계대중음악 백과사전 "그들의 아포기는 1968년 우승자인 '라라라'(스페인 마시엘)이었다. 1990년대 중반 이전 많은 공산국가들이 유로비전에 가입했을 때 이 대회는 유럽 음악의 현재 트렌드와 연락이 끊겼다고 말했다.
  3. ^ 제프 티볼스 The Good, the Bad, Wurst 1472137078 2016 "17명의 참가자 중 15번째의 성적을 거둔 선수는 스페인의 마리아 펠릭스 데 로스 앙겔레스 산타마리아 에스피노사였는데, 마시엘로 더 편리하게 알려졌다. 그녀의 노래 '라라라'는 138라 못지 않게 '싱어롱'이라는 용어를 정의했다.
  4. ^ "Franco stole Cliff Richard's 1968 Eurovision glory by fixing vote". Chinapost.com.tw. 2008-05-07. Retrieved 2010-06-24.
  5. ^ "Congratulations... 40 years late". BBC News. 2008-05-05. Retrieved 2010-05-07.
  6. ^ Govan, Fiona (2008-05-04). "How Franco cheated Cliff out of Eurovision title". The Daily Telegraph. Lon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1-14. Retrieved 2010-05-07.
  7. ^ "La prensa británica se escandaliza con el tongo de Massiel". elConfidencial.com. Retrieved 2010-06-24.
  8. ^ "Massiel e Iñigo acusan a La Sexta de 'urdir todo para favorecer a Chikilicuatre'". elmundo.es. Retrieved 2014-06-06.
  9. ^ "Discogs". Discogs.com. Retrieved 2020-05-17.
  10. ^ "WhoSampled". whosampled.com. Retrieved 2021-12-16.

외부 링크

선행자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우승자
1968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