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폭동 목록
List of ethnic riots국가별 민족 폭동의 목록으로 민족, 종파, 외국인 혐오, 인종 갈등에 따른 폭동이 포함된다. 이러한 폭동의 일부는 포그롬으로도 분류될 수 있다.
아프리카
나라 | 폭동 | 메모들 | 참조 |
---|---|---|---|
부룬디 | 1972년 이키자 | ||
1993년 부룬디의 민족 폭력 | |||
코트디부아르 | 2004년 프랑스-이보리아 충돌 | [1][2] | |
이집트 | 1945년 이집트 반유대 폭동 | ||
가나 | 참조: 가나의 민족 분쟁 | ||
케냐 | 소말리아-케냐 분쟁 | ||
2012년 바라고이 충돌 | |||
타나 강구역 충돌 2012-13 | |||
레소토 | 2007년 마세루 반중 폭동 | [3] | |
리비아 | 1945년 트리폴리타니아 반유대 폭동 | ||
1948년 트리폴리타니아 반유대 폭동 | |||
모리타니아 | 1989년 모리타니아에서 일어난 인종 폭동 | 마우리타니아에서 폭동이 일어났다.세네갈 국경 전쟁 | [4] |
모리셔스 | 1906년 파고다 폭동 | ||
1911년 쿠레파이프 폭동 | |||
1937년 우바 폭동 | |||
1943년 벨뷰 하렐 대학살 | |||
1965년 모리셔스 인종 폭동 | |||
1968년 모리셔스 폭동 | |||
1999년 모리셔스 폭동 | |||
1999년 라미칼 폭동 | |||
나이지리아 | 1966년 반익보 포그롬 | ||
로데시아 | 1925년 카낭가 폭동[citation needed]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949년 더반 반인도 폭동 | 1949년 1월 13~14일 사이에 일어난 이 폭동은 주로 줄루스가 인도인들을 표적으로 삼은 포그롬이었다. 총 142명의 아시아인이 사망하고 1,087명이 부상당했다; 폭동은 대부분 가난한 인도인들을 학살하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58개의 상점과 247개의 주거지, 1개의 공장이 파괴되었다. | [5] |
1976년 소웨토 봉기 | |||
1985년 더반 반인도 폭동 | 이 폭동은 줄루 젊은이들이 밤중에 더반(이난다 포함)의 아시아 교외 지역에 쏟아지면서 일어났다. 이 사건은 1949년 폭동보다 강도가 덜 세고 기간이 훨씬 짧았지만, 이 폭동 역시 1985년 8월 7일 밤 집을 약탈하고 횃불을 든 줄루 폭도들을 피하기 위해 수백 명의 남-아프리카 인디언 가족들이 이웃을 탈출하는 것을 보았다. | [6][7][8] | |
2007년 포트엘리자베스 반소말리 폭동 | [9] | ||
2020년 세네칼 폭동 | 브렌딘 호너 살해사건에 대한 항의시위는 폭력적으로 변했다. 폭도들은 대부분 Boers로 두 가해자가 수감되어 있는 법원을 습격했다. 총격전이 벌어졌고, 밖에 있던 경찰 승합차 한 대가 뒤집혀 불이 붙었다. | [10] | |
탄자니아 | 1964년 잔지바르 혁명 | 1964년 1월 12일에 일어났다. | [11][12] |
아메리카
나라 | 폭동 | 메모들 | 참조 |
---|---|---|---|
브라질 | 1823년 리우데자네이루 반포르투갈 폭동 | [13] | |
1831년 살바도르 반포르투갈 폭동 | |||
캐나다 | 1784년 노바스코샤에서 일어난 셸번 폭동 | 이러한 폭동은 1784년 7월 노바스코틀랜드의 셸번 마을과 인근 마을인 버치타운에서 독립전쟁의 땅 없는 백인 충성파 퇴역군인들이 흑인 충성파들과 정부 관리들을 상대로 일어났다. 이들은 캐나다에서 일어난 최초의 인종 폭동으로 간주되며 북아메리카에서 가장 일찍 기록된 인종 폭동 중 하나이다. | [14] |
1835-45년 샤이너스 전쟁 | |||
토론토에서 1875년 주빌리 폭동 | |||
1907년 밴쿠버 반 오리엔탈 폭동 | 1907년 캐나다와 미국의 서부 해안에서 일어난 대규모 반 아시아 태평양 연안 인종 폭동의 일부였다. | ||
1918년 토론토 반그리스 폭동 | |||
1933년 토론토에서 일어난 크리스티 핏츠 폭동 | |||
1969년 조지 윌리엄스 경 사건 | |||
멕시코 | 1911년 토레온 학살 | ||
페루 | 1880년대 반중 폭동 | 페루인들은 전쟁 내내 칠레에 대한 중국인들의 지원으로 인해 태평양 전쟁 중 칠레의 침략에 대한 책임을 중국인들에게 돌렸다. 이것은 중남미에서 처음으로 페루인들 사이에서 죄에 대한 공포증을 유발할 것이다. 카녜테 지역에서는 태평양 전쟁 당시 여성이 주도하는 아프로-페루비아 농민들에 의해 중국 이민자들이 학살되었다. 전쟁 이후, 중국인들은 페루 원주민들에 의해 더 많이 표적이 되어 살해되었다. 시에라 중심부에서 무장한 토착 농민들이 상륙한 엘리트 크리올로 '협업주의자'의 하키엔다를 약탈하고 점령했는데, 이들 중 대다수는 중국계 혈통이었다. 리마에서는 원주민과 메스티조 페루인들이 중국 상인들을 살해했다. 이에 중국 쿨리들이 반란을 일으켰고, 일부는 칠레 육군에 입대하기도 했다. 페루에서 반중국 포그롬이 종식된 것은 1890년대에 이르러서였다. | [15][16][17][18] |
1880년대 백인 페루인들에 대한 원주민들의 봉기 | [19] |
미국
나티비스트 시대: 1700년대–1860년
- 1824: 프로비던스, RI — 하드 스크래블 폭동
- 1829: 신시내티, 오하이오 — 1829년 신시내티 폭동
- 1829: 매사추세츠 주 찰스타운 — 반 가톨릭 폭동[citation needed]
- 1831: 프로비던스, RI[citation needed]
- 1834: 매사추세츠 — 수녀원 연소[citation needed]
- 1834: 필라델피아, PA — 노예제도에 찬성하는[20] 폭동
- 1834: 뉴욕, 뉴욕 — 뉴욕 시 노예제 찬성 폭동
- 1835: 보스턴, MA — 노예제 찬성 폭동
- 1835: 파이브 포인트 라이엇[where?][citation needed]
- 1835: 워싱턴 D.C. — 눈 폭동[21][22]
- 1836: 신시내티, 오하이오 — 1836년 신시내티 폭동
- 1841: 신시내티, 오하이오 — 백인 아일랜드계 및 아일랜드계 이민자 부두 노동자들이 블랙 부두 노동자들을 상대로 폭동을 일으켰다.[citation needed]
- 1844: 필라델피아, PA —필라델피아 나티비스트 폭동
- 1851: 호보켄, NJ — 반독일의 폭동[citation needed]
- 1855: 루이빌, KY — 반독일의 폭동[citation needed]
남북전쟁 시기: 1861–1865
재건 기간: 1865–1877
짐 크로 시대: 1878–1914
- 1885: 록스프링스, WY — 반중 폭동
- 1886: 시애틀, WA — 1886년[23] 시애틀 폭동
- 1898: 노스캐롤라이나 — 1898년 윌밍턴 반란(백인 민주당원들이 선출된 정부를 전복하고 흑인들을 공격함)[24]
- 1898: Lake City, SC — Frazier B의 린칭. 베이커와 줄리아 베이커
- 1898: 그린우드 카운티, SC — 피닉스 선거 폭동
- 1900: 뉴올리언스, LA — 로버트 찰스 폭동
- 1900: 맨해튼, 뉴욕 — 텐더로인 인종 폭동
- 1904: 스프링필드, 오하이오 — 1904년[25] 스프링필드 레이스 폭동
- 1906: 스프링필드, 오하이오 — 1906년[25] 스프링필드 레이스 폭동
- 1906: 애틀랜타, GA — 1906년 애틀랜타 대학살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에 대한 반역자)[26]
- 1906: 브라운스빌, TX — 브라운스빌 사건
- 1907: 버지니아[citation needed] 주 오난콕
- 1907: 샌프란시스코, CA 및 벨링엄, WA — 1907년 태평양 연안 경주 폭동(반아시아)
- 1908: 스프링필드, IL — 1908년[27] 스프링필드 레이스 폭동
- 1909: 오마하, NE — 그리스 타운 폭동
- 1910: 전국적 — 존슨-제프리스 폭동 (Jack Johnson이 짐 제프리스에게 헤비급 챔피언쉽 우승에 이은 반흑 폭동)
- 1910: 슬로쿰, TX — 슬로쿰 학살
전쟁 및 전쟁 기간: 1914-1945년
- 1917: 이스트 세인트 루이스, 일리노이 주 — 이스트 세인트. 루이 폭동[28]
- 1917: 체스터, PA — 1917 체스터 인종 폭동
- 1917: 필라델피아, 펜실베이니아[citation needed] 주
- 1917: 엘 파소, TX - 1917년 바스 폭동
- 1917: 휴스턴, TX — 휴스턴 폭동
- 1919: 붉은 여름
- 1920: 오코이, FL — 오코이 학살
- 1921: 툴사, OK — 툴사 인종 학살[30]
- 1921: 스프링필드, 오하이오 — 1921년[25] 스프링필드 레이스 폭동
- 1923: 로즈우드, FL — 로즈우드 대학살[31]
- 1927: 야키마 계곡, WA — 야키마 계곡 폭동(반필리피노)[32]
- 1928: Wenatchee Valley — Wenatchee Valley 반필리피노 폭동[32]
- 1929: 엑서터, CA — 엑서터 반필리피노 폭동[33]
- 1930: 왓슨빌, CA — 왓슨빌 폭동 (샌프란시스코, 살리나스, 산호세 등지에서 더 많은 폭동과 공격을 불러일으킨 반필리피노 폭동)[33]
- 1935: 뉴욕, 뉴욕 — 1935년 할렘 폭동
- 1943: 디트로이트, MI — 디트로이트 인종 폭동[34]
- 1943: 보몽, TX — 보몽 인종 폭동
- 1943: 뉴욕, 뉴욕 — 1943년 할렘 폭동
- 1943: 로스앤젤레스, CA — 주트 슈트 폭동 (흑인과 멕시코계 미국인에 대한 백색)
- 1944: 아가나, 괌 — 아가나 인종 폭동
전후 시대: 1946-1954
- 1946: 공항 홈즈 레이스 폭동 (시리즈) 공항 홈즈 레이스 폭동
- 1946: 콜롬비아, TN — 1946년 콜롬비아 인종 폭동
- 1949: 코틀란트 마노르, 뉴욕 — Peekskill 폭동 (유대인과 아프리카계 미국인에 대한 반공산적 인종 폭동)
- 1951: Cicero, IL — Cicero 인종 폭동
민권과 흑권운동 시기: 1955-1977
- 1958: 맥스턴, NC — 헤이스 폰드 전투
- 1962: 옥스퍼드, MS — 올레 미스 폭동
- 1963: 버밍엄, AL — 1963년 버밍엄 라이엇
- 1963: 케임브리지, MD - 1963년 케임브리지 폭동
- 1963: 렉싱턴, NC — 렉싱턴 폭동[35]
- 1964: 할렘, 뉴욕 — 1964년 할렘 라이엇
- 1964: 로체스터, 뉴욕 — 로체스터 폭동
- 1964: 북 필라델피아, PA — 필라델피아 1964 인종 폭동
- 1965: 로스앤젤레스, CA — 와츠 폭동
- 1966: 험볼트 공원, 시카고, 일리노이 — 디비전 스트리트 폭동
- 1966: 클리블랜드, 오하이오 — Hough Improbations
- 1966: 오마하, NE — 북오마하 여름 폭동
- 1967: 1967년 긴 여름
- 6월 2일 보스턴 폭동(보스턴, MA)[36]
- 6월 11~14일: 탬파 폭동(탬파, FL)
- 6월 12일~6월 15일: 신시내티 폭동(신시내티, OH)
- 6월 17일: 애틀랜타 폭동 (Atlanta, GA)
- 6월 26일7월 1일 버팔로 폭동(뉴욕 주 버팔로)
- 7월 12일~17일: 뉴어크 폭동(뉴어크, NJ)
- 7월 14일부터 16일까지: 플레인필드 폭동(플레인스필드, NJ)
- 7월 17일: 카이로 폭동 (카이로, IL)
- 7월 20일 – 21일: 미니애폴리스 폭동(미니애폴리스, MN)
- 7월 23일 – 25일: 톨레도 폭동 (톨레도, OH)
- 7월 23일 – 28일: 디트로이트 폭동(디트로이트, MI)
- 7월 24일: 케임브리지 폭동 (캠브리지, MD)
- 7월 26일: 새기노 폭동 (새기노, MI)
- 7월 30일: 알비나 폭동 (포트랜드, OR)
- 7월 30일~8월 3일 밀워키 폭동(밀워키, 와이)
- 1968년: 1968년 시위
- 오렌지부르크 학살(오렌지부르크, SC)
- 1968년: 킹 어저스트 폭동 (마틴 루터 킹 주니어 암살에 따른 폭동)
- 1968년 볼티모어 폭동 (볼티모어, MD)
- 시카고 웨스트사이드 폭동(시카고, IL)
- 1968년 루이빌 폭동(Louisville, KY)
- 1968년 워싱턴 D.C. 폭동(워싱턴, D.C.)
- 1968년 윌밍턴 폭동(윌밍턴, DE)
- 1968: 클리블랜드, 오하이오 — 글렌빌 총격전과 폭동
- 1969: 요크, PA — 1969 요크 레이스 라이엇
- 1969: 뉴욕, 뉴욕 — 스톤월 라이엇
- 1970: 오거스타, GA — 5월 11일 경주 폭동
- 1970: Jackson, MS — Jackson State 살인 사건
- 1971: 캠든, NJ — 캠든 폭동
- 1972–1977: 펜사콜라, FL — 에스캄비아 고등학교 폭동
- 1972: 북베트남 해안 — USS 키티호크 라이엇 (10월 12~13일)
- 1975: 온타리오, CA — 지역 저격수에[citation needed] 의해 강화된 채피 고등학교 인종 폭동
1978년 현재까지
- 1978: 휴스턴, TX — 무디스 파크 라이엇 (조 캠포스 토레스 사망 1주년 기념일)
- 1979: 우스터, MA — 그레이트브룩 밸리 프로젝트 폭동 (Puerto Ricans 폭동)
- 1980: 마이애미, FL — 마이애미 폭동 (아더 맥더피의 죽음으로 마이애미-데이드 경찰관 4명이 무죄 판결을 받은 것에 대한 반격으로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 1980: 채터누가, TN — 채터누가 폭동[citation needed]
- 1984: 로렌스, MA — 로렌스 인종 폭동 (노동계급 백인들과 히스패닉인들 사이의 해버힐과 철도 거리의 교차점에 집중된 소규모 폭동; 1984년 8월 8일; 화염병에 의해 건물 몇 채가 파괴되었다.[37]
- 1989년: 마이애미, FL — 오버타운 폭동 ( 흑인 오토바이 운전자가 주로 흑인 커뮤니티인 오버타운에서 히스패닉 경찰관의 총에 맞은 후 이틀 밤 동안 주민들이 폭동을 일으켰다. 그 장교는 후에 과실치사죄로 유죄판결을 받았다.
- 1990: 마이애미, FL — 윈우드 폭동 (푸에르토리코인 마약상을 때려 숨지게 한 혐의로 기소된 경찰관 6명에 대해 배심원단이 무죄를 선고한 후 폭동을 일으켰다)
- 1991년: 브루클린, 뉴욕, 뉴욕 — 크라운 하이츠 폭동 (검은 반유대인 폭도들이 2명 사망, 190명 부상)
- 1992년: 로스앤젤레스, CA — 로스앤젤레스 폭동 (라타샤 할린스 살해 사건에 연루된 한국인 외에 로드니 킹의 비디오 구타에 연루된 LA 경찰 4명의 무죄 판결에 대한 반동; 주로 중앙 LA의 흑인 거주 지역과 이웃 후에서 흑인 및 라틴계 젊은이들을 포함한 폭동이 일어났다.d 시내 다른 지역으로 확산하기 전 코리아타운의 d)
- 1996: 세인트. 페테르부르크, FL — 세인트. 페테르부르크 폭동 (18세의 타이론 루이스가 속도위반으로 인해 루이스의 말을 가로막고 우발적으로 무기를 발사했다고 주장하는 짐 나이트 경관이 쏜 이틀간의 폭동)
- 2001: 신시내티, 오하이오 — 신시내티 폭동 (신시내티 경찰관 스티븐 로치가 비무장 흑인 청년 티모시 토마스를 사살한 사건에 대한 반격으로 소요).
- 2003: 벤튼 하버, MI — 벤튼 하버 폭동
- 2005년: 톨레도, 오하이오 — 2005년 톨레도 폭동(Neo-Nazi 시위 계획 후 흑인 이웃을 행진하다가 발생한 인종 폭동)
- 2006: 폰타나, CA — 폰타나 고등학교 폭동 (약 500명의 라틴계 학생 및 흑인 학생 포함)[38]
- 2006: 캘리포니아 — 교도소 인종 폭동 (라티노와 흑인 교도소 갱들 간의 전쟁으로 촉발된 캘리포니아 전역의 일련의 폭동)[39][40]
- 2008: 로스앤젤레스, CA — 로크 고등학교[41] 폭동
- 2009년: 오클랜드, CA — 2009년 오클랜드 폭동(BART 중계 경찰관이 비무장 흑인 오스카 그랜트를 사살한 후 평화적인 시위가 폭동으로 변했다).
- 2014~2015년: 퍼거슨, MO — 퍼거슨 소요 사태(마이클 브라운의 총격으로 발생한 일련의 폭동)
- 2015년: 볼티모어, MD — 2015년 볼티모어 폭동(프레디 그레이 사망에 따른 시위대 출신, 경찰 유치장에서 피의자가 사망한 사건)
- 2016: 솔트 레이크 시티, UT — 압둘라히 오마르 모하메드의 총격으로 촉발된 폭동.
- 2020년: 전국적 — 2020년 폭동(조지 플로이드 살해 이후 미국 전역에서 발생한 시위대 출신 폭동)
아시아
유럽
나라 | 폭동 | 메모들 | 참조 |
---|---|---|---|
벨기에 | 1941년 앤트워프 포그롬 | ||
2006년 브뤼셀 폭동 | |||
불가리아 | 2007년 소피아 반로마니 폭동 | [54] | |
2019년 가브로보 반로마니 폭동 | 약 1000명의 불가리아 인들이 로마니 청년들에 의한 불가리아 상점 종업원의 폭행 이후 4일 밤 동안 폭동을 일으켰다. 로마니 지역의 재산 파괴가 잇따랐다. | [55] | |
덴마크 | 1873년 성터 크룩스 노동 폭동 | 성 크룩스 농업 노동자들은 지주들과 노동법에 반대하여 폭동을 일으켰다. | |
1820–1822 유대인 교전[citation needed] | 덴마크와 독일의 여러 도시와 마을에서 일어난 폭동. | ||
프랑스. | 2005년 페르피난 폭동 | 마그레비족 출신의 한 남자가 총에 맞아 사망한 후 마그레비와 로마니 공동체 사이의 페르피난에서 폭동이 일어났다. | [56] |
2009년 아비뇽[citation needed] 폭동 | 2009년 9월 터키와 모로코 청년들 사이의 폭동 (아프리카계 청년 1명이 사망) | ||
2015년 코르시카 시위 | 2015년 12월 아자치오에서 현지인과 이민자 간 갈등 | ||
2020년 디종 폭동 | 체첸 디아스포라 회원들과 거주 아랍 공동체 사이의 이러한 폭동은 아랍 마약 거래상들에 의한 체첸 10대 폭행으로 인해 일어났다. | [57] | |
독일. | 1819년 헵 폭동 | ||
1938년 크리스탈나흐트 | 홀로코스트를 촉발할 반유대주의 폭동 | ||
드레스덴에서 네오나치 행진 | 이 행진은 2015년 8월까지만 해도 많은 폭동을 일으켰다.[58] | ||
1991년 호이어스베르다 폭동 | |||
1992년 로스토크-리히텐하겐 폭동 | |||
그리스 | 1990년 코모티니 사건 | ||
코소보 | 2000년 코소보 폭동 | ||
코소보에서 2004년 포그롬 | |||
이탈리아 | 2007년 밀라노에서 일어난 중국 폭동 | [59][60] | |
2010년 로사르노에서 발생한 아프리카계 이민자 폭동 | [61] | ||
2011년 아프리카계 이민자 폭동 | [62][63] | ||
2011년 람페두사 폭동 | 튀니지인들이 주로 참여하는 폭동 | [64] | |
2015년 사사리 폭동 | 난민들이 제공된 건물에 거주하기를 거부함에 따른 폭동 | [65] | |
2016년 세스토 피오렌티노 반아랍 폭동 | 아랍계 이민자와 난민에 대한 중국-이탈리아 폭동 | [66][67][68] | |
2018년 이탈리아-세네갈 폭동 | 세네갈 커뮤니티가 피렌체 도시를 폭동하다 | [69] | |
북마케도니아 | 2001년 마케도니아 반군 | ||
2012년 마케도니아 인종간 폭력 | |||
2017년 마케도니아 의회의 폭풍우 | |||
노르웨이 | 2008-2009년 오슬로 폭동 | 대부분 이슬람교도 이민자들과 극좌 운동가들을 포함한 오슬로시에서 일어난 반유대주의 폭동 | |
폴란드 | 1936 프지티크 포그롬 | 1936년 3월 9일 프지티크 반유대 폭동 | |
1945년 크라쿠프 포그롬 | 1945년 8월 11일 크라쿠프 시에서 일어난 반유대 폭동 | ||
1946년 킬체 포그롬 | 1946년 7월 4일 폴란드 킬체 유대인 사회에 대한 폭력사태 발생 | ||
1991년 음와와 포그롬 | 1991년 6월 폴란드 음와와 마을의 로마 주민들을 군중들이 공격한 일련의 폭력 사건들 | ||
2017년 에우크 폭동 | 새해 전야 동안, 한 폴란드 남자가 튀니지 남자에 의해 칼에 찔려 죽었다. 이 사건은 폭동을 촉발시켰다. | ||
루마니아 | 타르구 무레슈의 1990년 민족 충돌 | ||
1993년 호드레니 폭동 | |||
러시아 | 러시아 제국의 반유대주의 포그롬 | ||
2006년 콘도포가의 민족 긴장 | 카렐리아 콘도포가의 반이민 폭동 | ||
2010년 마네즈나야 광장 폭동 사건 | 에고르 스비리도프 피살사건에 이어 모스크바 마네즈나야 광장서 반이민 폭동 | ||
2013년 비류료보 폭동 | 모스크바 비류료보 구 반이민 폭동 | ||
스페인 | 2000년 알메리아 인종 폭동 | [70] | |
2007년 마드리드 폭동 | [71] | ||
2008년 3월 로케타스 폭동 | 세네갈과 로마(집시) 가족의 폭동 | [72] | |
2015년 아프리카 살루 폭동 | [73] | ||
스웨덴 | 2010년 린케비 폭동 | ||
2013년 12월 스톡홀름 폭동 | |||
2013년 5월 스톡홀름 폭동 | |||
2016년 스웨덴 폭동 | |||
2017년 린케비 폭동 | |||
2020년 스웨덴 폭동 | |||
터키 | 1934년 트라스 포그롬 | 동부 트라이스의 반유대성 포그롬 | |
1955년 이스탄불 포그롬 | |||
1980년 초룸 학살 | |||
우크라이나 | 1821년 오데사 포그롬 | ||
1881년 키예프 포그롬 | |||
1905년 오데사 포그롬 | |||
1905년 체르니히프 포그롬 | |||
1905년 키예프 포그롬 | |||
1914년 루우 포그롬 | |||
1918 루우프 포그롬 | |||
1919 키예프 포그롬 | |||
1941년 리비브 포그롬 | |||
2014년 오데사 충돌 | 더 큰 친 러시아 소요사태의 일부로서, 이러한 폭동은 5월 2일 도시 충돌로 절정에 달했고, 친 러시아 폭도들이 바리케이드를 친 노동조합의 하원을 불태웠다. | [74] | |
2016년 오데사 반로마니 폭동 | 현지 주민들은 9살 소녀의 시신이 발견된 후 오데사에 있는 로마니 정착촌을 공격하고 있다. | [75] | |
영국 | 1919년 사우스 실드 폭동 | 1919년 2월 | |
1919년 카디프 폭동 | 1919년 6월 | ||
1919년 리버풀의 폭동 | 1919년 6월 | ||
1919년 런던 폭동 | 4월 스테프니, 5월 세인트 앤 스트리트, 6월 케이블 스트리트와 포플러에서 | ||
1921년 피의 일요일 | |||
1947년 비르켄헤드 반유대 폭동 | |||
1948년 리버풀의 폭동 | 1948년 8월 | ||
1958년 노팅엄 폭동 | 1958년 8월 | ||
1958년 노팅힐 인종 폭동 | |||
1975년 채플타운 폭동 | |||
1976년 노팅힐 인종 폭동 | |||
1979년 사우스올 인종 폭동 | 1979년 4월 23일 런던 | ||
1980년 성터 폴스 폭동 | 인 브리스톨 | ||
1981년 브릭스턴 폭동 | 1981년 4월 런던 | ||
1981년 폭동 | 1981년 7월 리버풀 | ||
1981년 핸즈워스 폭동 | 버밍엄 7월 1981년 7월 | ||
1981년 채플타운 카리브해 폭동 | |||
1981년 모스 사이드 폭동 | |||
1985년 펙함 폭동 | |||
1985년 핸즈워스 폭동 | 버밍엄 1985년 7월 | ||
1985년 브릭스턴 폭동 | 1985년 9월 런던 | ||
1985년 브로드워터 농장 폭동 | 1985년 10월 런던 | ||
1987년 채플타운 폭동 | |||
1989년 드즈베리 폭동 | |||
1991년 메도우 웰 폭동 | |||
2001년 올덤 폭동 | 올덤, 2001년 5월 | ||
2001년 번리 폭동 | 번리, 2001년 6월 | ||
2001년 브래드퍼드 폭동 | 브래드퍼드, 2001년 7월 | ||
2001년 스토크온트렌트 폭동 | |||
2005년 버밍엄 폭동 | |||
2011년 런던 폭동 | |||
2021년 북아일랜드 폭동 | 브렉시트 이후의 거래와 PSNI가 신페인 의원의 불법 장례식 참석에 대한 기소 거부로 인한 충성파 젊은이들의 폭동 결국 충성파들이 민족주의 지역에 가솔린 폭탄을 투척했을 때 고조되었다. | [76] |
오세아니아
나라 | 폭동 | 메모들 | 참조 |
---|---|---|---|
호주. | 1857년 버클랜드 폭동 | ||
1860-61 램빙 플랫 폭동 | |||
브룸 폭동(1905, 1914, 1920) | |||
1915년 퍼스[citation needed] 반그리스 폭동 | |||
1916년 칼골리[citation needed] 반그리스 폭동 | |||
2004년 레데른 폭동 | |||
2004년 팜 아일랜드 폭동 | |||
2005년 크로눌라 폭동 | |||
피지 | 2000년 반인도 폭동 | 2000년 피지안 쿠데타 시도에 따른 인종 폭동 | [77] |
뉴질랜드 | 1943년 매너 스트리트 전투 | 미국 군인과 뉴질랜드 군인이 관련된 웰링턴의 분쟁 | |
솔로몬 제도 | 2006년 호니아라 반중 폭동 | [78] | |
통가 | 2006년 누쿠살로파 반중 폭동 | [79] |
참고 항목
참조
- ^ "Rwanda Syndrome on the Ivory Coast". Worldpress.org.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France's 'Little Iraq'".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8, 2013.
- ^ "Anti-Chinese resentment flares". IRIN. 24 January 2008.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Mauritania profile". Bbc.co.uk. 7 August 2017.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The Durban Riot 1949". Sahistory.org.z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March 2010.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남아공 더반 지역에 폭력 확산" 뉴욕타임스 1985년 8월 10일
- ^ 유나이티드 프레스 인터내셔널 1985년 8월 8일 "남아공에서 폭동이 아시아 교외로 확산되는 것으로 보고됨" 사우스 플로리다 선-센티넬
- ^ 2006년 5월 23일 파키르 하센 "1949년 반인도 폭동과 같은 현재 아프리카 인종 폭동: 장관" 인디언 별. 2009-02-03년 원본에서 보관.
- ^ "News24 – South Africa's leading source of breaking news, opinion and insight". News2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February 2009.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HOW IT UNFOLDED Brendin Horner murder: A timeline of violence, protests and shootings".
- ^ "Country Histories – Empire's Children". Channel4.empireschildren.co.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March 2008.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Heartman, Adam (2006-09-26). "A Homemade Genocide". Who's Fault Is I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2-03. Retrieved 2007-12-21.
- ^ 바이아 반군, 웨이백 기계에 2011년 11월 21일
- ^ 로버트슨, 제시 2014년 11월 19일. "셸번 레이스 폭동." 캐나다 백과사전. 캐나다 역사학 (최종 2015년 1월 20일 업데이트)
- ^ 펠로소, 빈센트 C. 2005. "전시 페루의 인종 갈등과 정체성 위기: 1881년 카녜테 대학살 재방문" 사회적 정체성 11(5):467–88. 도이:10.1080/13504630500407919
- ^ 캅솔리, 윌프레도. 1979. "Le Peu en una coyuntura de franciso, 1879–1883." 1권 라게라 델 파키피코에서 35–36 페이지, W. Reategui, W. Kapsoli 등이 편집했다. 리마: Nacional Market de San Marcos. 페이지 238 & ff.
- ^ 테일러, 루이스 1880년대 페루의 토착 농민 반란
- ^ 보닐라, 헤라클리오. 1978. "페루의 국가 및 식민지 문제" 과거와 현재
- ^ 드 로스 리오스, 라몬 아란다, 그리고 카멜라 소토마요르 로게로. 1979. "Una sublevion negra en chincha: 1879." 1권 라게라 델 파키피코에서 W. Reategui, W. Kapsoli 등이 편집했다. 리마: Nacional Market de San Marcos. 페이지 238 & ff.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01-12. Retrieved 2010-11-17.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 ^ 8월의 '눈보라'는 워싱턴에 황폐화를 가져왔다. NPR. 2012년 7월 5일.
- ^ 8월의 스노우 스톰: 워싱턴 시티, 프란시스 스콧 키, 그리고 제퍼슨 몰리의 2012년 1835년 잊혀진 인종 폭동.
- ^ 사망자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모든 중국인들과 대부분의 다른 아시아인들은 시애틀과 타코마에서 추방되었다. 슈완테스, 카를로스 A. "약속된 땅에서 시위: 1885–1886년 태평양 북서부의 실업, 상속권 상실 및 노동의 기원." 서부 역사 분기별 13:4 (82년 10월)
- ^ 30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죽었다. 로버트 A. 깁슨, 흑인 대학살: 미국의 린칭과 인종 폭동, 1880–1950, 예일 대학교 1979.
- ^ a b c Carter, Darnell (1993). "The 1904, 1906, and 1921 Race Riots in Springfield, Ohio and the Hoodlum Theory". Etd.ohiolink.edu. Retrieved 23 April 2016.
- ^ 아프리카계 미국인 10명과 백인 2명이 사망했다. 로버트 A. 깁슨, 흑인 대학살: 미국의 린칭과 인종 폭동, 1880–1950, 예일 대학교 1979.
- ^ 아프리카계 미국인 2명과 백인 4명이 사망했다. 로버트 A. 깁슨, 흑인 대학살: 미국의 린칭 및 레이스 폭동, 1880–1950, 예일 대학교 1979; 로베르타 세네찰, "1908년의 스프링필드 레이스 폭동," 일리노이 역사 교사, 여름/가을 1996.
- ^ 연방, 주 및 지방 정부 조사관에 따르면 39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사망했다. 그러나 폭동 직후의 민간인 조사는 100명에서 200명 사이의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사망했음을 보여준다. 이번 폭동은 희생자들의 눈을 피해 목을 매어 숨지게 한 백인 공격자들의 잔혹성으로 두드러졌다. 어떤 아이들은 다른 아이들을 죽이는 것이 목격되었다. 엘리엇 M. 러드윅, 이스트 세인트 레이스 라이엇 루이스, 1964년 일리노이 주립대 출판부
- ^ 아프리카계 미국인 23명과 백인 15명이 사망했다. 로버트 A. 깁슨, 흑인 대학살: 미국의 린칭과 인종 폭동, 1880–1950, 예일 대학교 1979.
- ^ 공식적으로 39명의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사망했다. 그러나 더 최근의 추정에 따르면 150명에서 200명 사이의 흑인과 50명의 백인 사이에 사망했으며, 일부 소식통들은 흑인의 사망자 수를 300명으로 집계했다. 제임스 S. 허쉬, 폭동 그리고 기억: 미국 최악의 인종 폭동과 그것의 유산인 메리너 북스, 2003. ISBN 0-618-34076-9; 로버트 A. 깁슨, 흑인 대학살: 미국의 린칭과 인종 폭동, 1880–1950, 예일 대학교 1979.
- ^ 공식적으로 아프리카계 미국인 6명과 백인 2명이 사망했다. 그러나 사망자 수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고, 흑사병 수를 40~150명으로 추정하는 견해도 있다. 마이클 도르소, 심판의 날과 같은 날: 푸트남 북스, 로즈우드라고 불리는 마을의 파괴와 구원, 1996. ISBN 1-57297-256-4
- ^ a b "IV. Timeline: Asian Americans in Washington State History". Center for the Study of the Pacific Northwest. University of Washington. Retrieved 5 January 2012.
- ^ a b "Racial Riots". Office of Multicultural Student Services. University of Hawai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6 January 2012. Retrieved 5 January 2012.
- ^ 아프리카계 미국인 25명과 백인 9명이 사망했다. 로버트 A. 깁슨, 흑인 대학살: 미국의 린칭과 인종 폭동, 1880–1950, 예일 대학교 1979.
- ^ "The Dispatch". news.google.com.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Akilah Johnson (2 June 2017). "The forgotten riot that sparked Boston's racial unrest". The Boston Globe.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12-10. Retrieved 2009-12-31.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 ^ "Search Results for "ci_4491714" – San Bernardino Sun". Sbsun.com.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Archibold, Randal C. (10 February 2006). "More Injuries as Race Riots Disrupt Jails in Los Angeles". Nytimes.com.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via www.nytimes.com.
- ^ "Race riot put down at California state pris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7, 2010.
- ^ 로스엔젤레스 타임즈, 로크 고등학교가 큰 싸움 끝에 문을 닫았다.
- ^ "Xinjiang, China's Restive Northwest (Human Rights Watch Backgrounder, November 2000)". Hrw.org.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중국인을 희생양으로 만든 인도네시아, 뉴욕타임스
- ^ 인도네시아에서 반중 폭동이 계속되고 있다.
- ^ Acre는 폭동의 넷째 날 밤 알자지라 영어에 직면했다.
- ^ 2008년 10월 12일, 뉴욕 타임즈, 종파간 폭력으로 분열된 이스라엘 도시
- ^ 경찰은 2008년 10월 12일 Jpost의 웨이백머신에 2012-01-11을 보관한 Acre Yom Kippur 운전자를 체포했다.
- ^ "Anti-African Riots Erupt Over Tel Aviv Rape". Forward.com.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Tel Aviv race riots shock Israel". Theaustralian.com.au. 24 May 2012.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South Tel Aviv simmers as racial tensions linger". Jpost.com.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Deport the Sudanese': Violent Israeli race riots draw condemnation, empathy". News.nationalpost.com. 24 May 2012.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뉴욕 타임즈, 2015년 5월 3일 이스라엘의 반경찰 시위 폭력화
- ^ "Focus on Mesketian Turks". IRIN. 9 June 2005.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Bulgaria Roma riots highlight discrimination-group". Reuters. 2007-08-16. Retrieved 2021-01-18.
- ^ "Injuries in clashes between police and protesters in Bulgaria's Gabrovo amid ethnic tensions". The Sofia Globe. 11 April 2019.
- ^ "'Race killing' sparks French riot". News.bbc.co.uk. 30 May 2005.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French city of Dijon rocked by unrest blamed on Chechens seeking revenge". France 24. 26 June 2020.
- ^ "Protesters in Germany attack refugee buses shouting 'foreigners out'". Independent.co.uk. 22 August 2015.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Milan police in Chinatown clash". News.bbc.co.uk. 13 April 2007.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Milan Chinese riot over traffic fine". Theaustralian.news.com.au.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Immigrants Riot In Rosarno, Italy". Huffington Post. January 8, 2010.
- ^ "Clashes between Italy police, immigrants injure 30". Reuters.com. 1 August 2011.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freedom1164 (1 August 2011). "asylum seekers riot in bari italy". YouTube.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Police battle Tunisian migrants". Bbc.com. 21 September 2011.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Immigrati asserragliati a Sassari: seconda notte sul bus – Sardegna". Ansa.it. 9 June 2015.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Squires, Nick (1 July 2016). "Police raid Italy's largest Chinatown to investigate attacks against Arab immigrants". The Telegraph.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via www.telegraph.co.uk.
- ^ Staff Reporter (1 July 2016). "Chinese 'White Stags' wage race war against Arab migrants in Tuscany town". Ibtimes.co.uk.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Two held for Chinese riot near Florence – English". Ansa.it. 30 June 2016.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Migrants protest angrily in Florence after Italian kills street vendor". Reuters.com. 6 March 2018. Retrieved 7 March 2018.[데드링크]
- ^ "BBC News – EUROPE – Spain struggles with race riots". news.bbc.co.uk.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Breaking News, World News & Multimedia". Nytimes.com.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스페인에서 아프리카 이민자 폭동, BBC NEWS
- ^ Valentin, Jose. "Riot police quell tension in Salou after street vendor dies in raid". Euroweeklynews.com. Retrieved 17 September 2017.
- ^ 14 May 2014 06:59 (9 August 2013). "В милиции называют домыслами информацию о якобы погибших в Одессе россиян и приднестровцев. Информационное агентство Украинские Национальные Новости (УНН). Все онлайн новости дня в Украине за сегодня – самые свежие, последние". Unn.com.ua.
- ^ Ponsford, Matthew (25 September 2017). "A year on from Odessa "pogrom", Ukraine's Roma face rise in mob justice".
- ^ "Northern Ireland riots: Youths clash with police in second night of trouble in west Belfast". belfasttelegraph. ISSN 0307-1235. Retrieved 2021-04-08.
- ^ "Looting and race riots follow Fiji coup attempt". independent.
- ^ "태평양 프록시: 중국 vs 대만" 2007-11-04년 2월 7일, ABC 라디오 오스트레일리아, Graeme Dobell, 웨이백 기계에 보관
- ^ 2006년 11월 17일 인민일보 "통가 폭동 때 중국 상점 약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