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수막구균병
Meningococcal disease뇌수막구균병 | |
---|---|
![]() | |
샬롯 클레벌리-비스만, 이 질병에서 가장 어린 생존자 중 한 명이에요.감염된 팔과 다리는 나중에 절단해야 했다. | |
전문 | 감염성 질환, 중환자 치료제 |
증상 | 독감 같은 증상, 목 결림, 정신 상태 변화, 발작, 자반 |
합병증 | 절단, 패혈증, 뇌손상, 실명, 난청으로 이어지는 괴저 |
예방 | 뇌수막구균백신 |
치료 | 항생제 |
예후 | 일반적으로 10-20%의 사망률을 보입니다.치료 시 사망률 10% |
뇌수막염은 Neisseria meningitidis(뇌수막구균이라고도 함)에 의한 감염을 말한다.치료하지 않으면 사망률이 높지만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다.뇌수막염의 원인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지만, 패혈증을 일으킬 수도 있는데, 패혈증은 훨씬 더 해롭고 위험한 상태입니다.뇌수막염과 뇌수막혈증은 선진국과 후진국 모두에서 질병, 사망, 장애의 주요 원인이다.
미국에서는 연간 약 2,600건의 세균성 뇌수막염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개발도상국에서는 평균 333,000건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다.사망률은 10%에서 20% [1]사이이다.지난 13년간 유행성 뇌수막염 발병률은 선진국에서 10만 명당 1~5명, 개발도상국에서는 10만 명당 10~25명이다.전염병 동안 뇌수막구균의 발병률은 100,000명당 100명에 육박한다.뇌수막구균 백신은 선진국에서 발병률을 급격히 낮췄다.
그 질병의 병인은 완전히 파악되지 않았다.Neisseria meningitidis는 일반 인구의 상당 부분을 무해하게 식민지화하지만, 극소수의 사람들만이 혈류를 침범할 수 있고, 특히 팔다리와 뇌 전체에 영향을 미치며, 심각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지난 몇 년 동안, 전문가들은 뇌수막구균 생물학의 구체적인 측면을 이해하고 숙주의 상호작용을 하기 위해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였지만, 개선된 치료법과 효과적인 백신의 개발은 많은 다른 [2]분야 종사자들의 새로운 노력에 의존할 것으로 예상된다.
뇌수막구균성 질환은 일반적인 감기만큼 전염되지 않지만, 타액을 통해 전염될 수 있고 때때로 감염된 사람과의 가깝고 장기적인 접촉을 통해 전염될 수 있습니다.
종류들
뇌수막혈증
다른 많은 그램 음성 혈액 감염과 마찬가지로 뇌수막혈증은 혈관 내에서 혈액이 부적절하게 응고되는 파종성 혈관내 응고(DIC)를 일으킬 수 있다.DIC는 응고인자가 고갈되어 상류의 혈전이 혈류와 출혈을 방해할 때 허혈성 조직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피부에 작은 출혈이 일어나면 별 모양의 특징적인 페치알 발진이 생깁니다.이것은 혈관의 벽을 파괴하는 독소가 혈액으로 방출되기 때문입니다.혈액 누출로 인해 피부 아래에 발진이 생길 수 있으며, 붉은색이나 갈색의 핀픽 [3]반점이 남아 보라색 멍이 들 수 있습니다.뇌수막성 발진은 보통 유리 검사를 통해 확인되는데,[4] 유리 검사는 압박에도 발진이 사라지지 않습니다.
뇌수막염
뇌수막염은 세균성 뇌수막염의 일종이다.뇌수막염은 뇌수막, 뇌와 척수를 둘러싼 막의 염증과 자극에 의해 생기는 질환이다.뇌수막염에서 이것은 박테리아가 뇌척수액에 침입하여 중추신경계를 순환하면서 발생한다.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아메리카, 서유럽, 영국, 그리고 아일랜드는 여전히 이 [5]질병과 싸우는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기타 타입
그램 음성 박테리아와 마찬가지로 뇌수막염은 다양한 부위에 [citation needed]감염될 수 있다.
뇌수막구균성 폐렴은 인플루엔자 전염병이나 군대 캠프에서 나타날 수 있다.이것은 다엽성 폐렴으로 빠르게 진화하는 것으로, 패혈성 쇼크와 관련되기도 합니다.신속한 치료로 예후가 양호합니다.또 다른 대안은 반코마이신과 메로페넴을 [6]함유한 덱사메타손이다.심막염은 심각한 예후를 가진 패혈성 심막염 또는 뇌수막염 또는 패혈증 [citation needed]후 반응성 심막염으로 나타날 수 있다.
징후 및 증상
뇌수막염
뇌수막염 환자는 일반적으로 고열, 누찰 경직, 케닉 징후, 심한 두통, 구토, 자반증, 광공포증, 그리고 때때로 오한, 정신 상태 변화 또는 발작을 보인다.설사나 호흡기 증상은 덜 흔하다.페테치아도 종종 존재하지만 항상 발생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들의 부재를 뇌수막구균 질환의 진단에 이용해서는 안 된다.뇌수막염 증상이 있는 사람은 치료 지연이 예후를 [citation needed]악화시키기 때문에 요추 천자 결과가 나오기 전에 정맥 항생제를 맞아야 한다.
뇌수막혈증
뇌수막혈증의 증상은 적어도 초기에는 인플루엔자와 유사하다.일반적으로 첫 번째 증상으로는 발열, 메스꺼움, 근육통, 두통, 관절통, 오한, 설사, 목 결림, 통증 등이 있습니다.나중에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패혈증 쇼크, 자반, 저혈압, 청색증, 발작, 불안증, 다발성 장기 기능 장애 증후군이 있다.급성호흡곤란증후군이나 정신상태의 변화도 일어날 수 있다.작은 발진은 '별처럼' 모양으로 나타납니다.뇌수막성 패혈증은 뇌수막염보다 사망률이 높지만 신경학적 후유증의 위험은 훨씬 [citation needed]낮다.
병인 발생
뇌수막염은 생명을 위협하는 뇌수막염과 패혈증을 일으킨다.뇌수막염의 경우, 뇌수막이라고 불리는 뇌와 두개골 사이의 내벽을 세균이 공격합니다.뇌수막에서 감염된 액체가 척수로 들어가 목 결림, 발열, 발진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뇌수막은 부풀어오르기 시작하는데, 이것은 중추신경계에 [citation needed]영향을 미친다.
항생제를 사용하더라도 뇌수막염을 앓고 있는 약 10명 중 1명은 사망할 것이다. 하지만, 이 병의 생존자들은 팔다리나 청력을 잃거나 영구적인 뇌 [7]손상을 경험한다.패혈증 타입의 감염은 훨씬 더 치명적이며, 전신에 영향을 미치는 뇌수막구균성 패혈증이라는 심각한 패혈증을 일으킨다.이 경우 세균 독소가 혈관을 파열시켜 중요한 장기를 빠르게 폐쇄시킬 수 있다.몇 시간 안에, 환자의 건강은 겉으로 보기에 좋은 것에서 치명적인 [8][unreliable source?]질병으로 바뀔 수 있다.
N. 뇌막염 박테리아는 질병을 유발하는 내독소를 함유한 끈적끈적한 외피로 둘러싸여 있다.많은 박테리아가 내독소를 생성하는 반면, 뇌수막구균에 의해 생성되는 수치는 정상보다 100배에서 1,000배 더 높습니다.박테리아가 증식하고 혈류를 통해 이동하면서 농축된 양의 독소를 배출한다.내독소는 심장에 직접 영향을 미쳐 혈액 순환 능력을 떨어뜨리고 몸 전체의 혈관에 압력을 가한다.일부 혈관에서 출혈이 시작되면서 폐와 신장 등 주요 장기가 [citation needed]손상된다.
뇌수막구균 환자는 다량의 항생제로 치료된다.혈류를 흐르는 전신 항생제는 박테리아를 빠르게 죽이지만 박테리아가 죽임으로써 더 많은 독소가 방출된다.지속적인 액체 치료와 항생제 [8]치료를 통해 독소가 몸에서 중화되기까지 최대 며칠이 걸린다.
예방
예방의 가장 중요한 형태는 뇌수막염 백신이다.나라마다 다른 종류의 박테리아가 있기 때문에 다른 백신을 사용한다.A, B, C, X, Y, W135 등 12개의 혈청 그룹이 존재하며, 6개의 혈청 그룹이 주요 전염병을 일으킬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혈청그룹 B에 대한 최신 백신을 포함해 현재 6개 변종 모두에 대한 백신이 제공되고 있다.뇌수막구균 혈청 그룹 B(뇌수막염 B) 질환을 예방하는 첫 백신은 2013년 1월 22일 유럽위원회에 의해 승인되었다.이 백신은 GlaxosSmithKline에 의해 제조되며 Bexsero라는 상표명으로 판매된다.벡세로는 생후 2개월 이상부터 [9]모든 연령층에서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laxoSmithKline백신의 Menveo와 Mencevax, Sanofi-Aventis의 Menactra와 Menomune, JN-International Medical Corporation의 NmVac4-A/C/Y/W-135(미국에서는 라이선스가 부여되지 않음)가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백신은 3~5년(일반 다당류 백신 Menomune, Mencevax 및 NmVac-4)에서 8년 이상(공동 백신 Menactra)[10][11]까지 상당한 보호를 제공합니다.
예방접종
아이들.
특정 만성 질환과 같은 뇌수막 질환의 위험이 높고, 고유행성 또는 유행성 뇌수막염 질환이 있는 국가를 여행하거나 거주하는 2-10세 아동은 일차 예방 접종을 받아야 한다.2세 미만 어린이와 발병 통제 대상 아동은 백신에 대한 안전성과 효능이 확립되지 않았지만,[12][13][14][15] 비접합 백신을 고려할 수 있다.
청소년
뇌수막염 A, C, Y 및 W-135 백신을 포함한 뇌수막구균 질환에 대한 1차 면역은 11-12세의 모든 젊은 청소년과 15세의 모든 미백신 노년 청소년에게 권장된다.켤레 백신이 11세 이상의 청소년에게 선호되는 뇌수막구균 백신이지만 켤레 백신이 [13][14][16]없을 경우 다당류 백신이 허용 가능한 대안이다.
어른들
18-24세 대학생의 뇌수막염 발병 위험은 비슷한 연령의 일반 인구의 [7]뇌수막염 발병 위험과 비슷하지만 기숙사에서 생활할 계획인 대학생에게는 뇌수막염 A, C, Y 및 W-135 백신을 통한 1차 예방접종이 권장된다.
뇌수막구균 질환이 유행하는 지역에 살고 있거나 그러한 지역으로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대부분의 성인들에게 뇌수막구균 질환에 대한 정기적인 1차 예방 접종이 권장된다.복합백신은 55세 이하 성인의 뇌수막구균 백신으로 선호되지만, 복합백신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 다당류 백신은 이 연령대의 성인에게 허용 가능한 대안이다.55세 이상 성인의 복합백신의 안전성과 효능이 현재까지 확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 [13][14]그룹의 1차 면역에는 다당류 백신을 사용해야 한다.
의료진
의료인은 뇌수막염의 분리균에 일상적으로 노출되는 실험실 직원을 위해 뇌수막구균병에 대한 정기적인 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실험실 직원과 의료진은 N. 뇌수막염 또는 뇌수막구균 질환 환자에게 노출될 위험이 있습니다.의료진의 정기적인 예방접종이 권장되는 의료종사자 예방접종에 관한 HICPAC(Hospital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권고사항. 뇌수막구균 질환의 위험을 줄이고자 하는 11-55세 개인은 뇌수막염 A, C, Y, W-135 백신을 맞을 수 있다.55세 이상입니다.특정 상황에서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의료인이 예방접종을 받을 수 없고 감염된 환자의 구강 인두 분비물과 집중적으로 접촉하고 적절한 예방조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즉, 구강 리팜피신 2일 식이요법 또는 IMFT 세프트 1회 복용)는 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리아손 또는 1회 복용량의 경구 시프로플록사신).[13][17]
미군 신병
미군 신병들 사이에서 뇌수막구균성 질환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모든 신병들은 이 [13]질병에 대한 1차 예방접종을 일상적으로 받는다.
여행자들
황열병과 달리 뇌수막구균 예방접종은 어느 나라에나 입국할 수 있는 요건이 아니다.매년 하지와 움라 순례에 참가하기 위해 그 나라를 방문하는 여행객들에게 사우디 [citation needed]아라비아에 도착하기 3년 이상 10일 전까지 뇌수막구균 예방접종 증명서를 발급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N. 뇌수막염이 매우 풍토병 또는 전염병이거나 노출 위험이 있는 지역을 여행하는 여행자 또는 거주자는 뇌수막구균 질환에 [13][14]대한 1차 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
HIV 감염자
HIV에 감염된 사람들은 뇌수막구균 질환에 걸릴 위험이 높아집니다; 뇌수막구균 질환의 위험을 줄이기를 원하는 HIV에 감염된 사람들은 뇌수막구균 [17]질환에 대한 일차 면역 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뇌수막염 A, C, Y 및 W-135 백신의 효능은 현재까지 HIV에 감염된 개인에게 평가되지 않았지만, HIV에 감염된 11-55세의 개인은 복합 [17]백신을 통한 1차 면역 접종을 받을 수 있다.뇌수막염 예방접종은 HIV에 감염된 사람들의 CD4+ T세포 수를 줄이거나 바이러스 부하를 증가시키지 않으며,[18][19][20] 백신이 생존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증거는 없다.
연락처를 닫다
항경막 항체의 보호 수준은 뇌수막구균 백신 투여 후 7-14일까지 달성되지 않으며, 예방접종은 이러한 접촉의 조기 발병 질환을 예방할 수 없으며, 일반적으로 침습성 뇌수막구균 질환의 산발적인 사례에 따라 권장되지 않는다.선진국과 달리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나 다른 저개발국에서는 온 가족이 [21][22]한 집에 산다.
뇌수막구균 감염은 보통 증상이 없는 사람에 의해 가정으로 유입된다.운반은 가정 전체로 확산되어 보통 한 명 이상의 다른 가구원이 감염된 후에 유아에게 도달한다.질병은 순환하는 유기체의 변종에 대한 면역력이 부족하고 그 후에 침습적인 [23]변종의 운반을 얻는 유아와 어린아이들에게 가장 잘 발생한다.
식민지화를 직접적으로 억제함으로써 감염되기 쉬운 접촉자가 감염되는 것을 방지한다.가까운 접촉자는 키스나 음식이나 음료의 공유를 통해 환자의 구강 분비물과 친밀하게 접촉할 수 있는 사람으로 정의됩니다.뇌수막구균 질환에서 보균자 상태의 중요성은 잘 알려져 있다.선진국에서는 보통 질병 전염이 발생할 수 있는 탁아소, 학교 및 대규모 모임에서 질병 전염이 발생한다.뇌수막구균성 유기체는 호흡기 방울에 의해 전염되며 건조해지기 쉽기 때문에 전염을 위해서는 긴밀한 접촉이 필요하다고 가정해 왔다.따라서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는 것을 막을 수 없다.뇌수막염은 1년 내내 산발적으로 발생하는데, 이 유기체는 사람 외에 알려진 저장소가 없기 때문에, 보통 무증상 보균자가 [24]전염의 원인이다.
또한, 손 씻기와 음료수 컵을 나눠 마시지 않는 것과 같은 기본적인 위생 조치는 노출을 제한함으로써 감염의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사례가 확인되면 감염자와의 가까운 접촉자 모두에게 항생제를 투여해 감염이 다른 사람에게 확산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그러나 리팜핀 내성 균주가 보고되었고 항생제의 무분별한 사용은 이 문제에 기여하고 있다.항암제는 병원성 균주를 옮길 위험이 가장 높은 가까운 접촉자에게 흔히 사용된다.백신 지속 기간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대량 선택 접종은 집단 정기 접종 [25][unreliable source?][26]일정보다는 뇌수막구균 질환의 전염을 제어하는 가장 비용 효과적인 수단일 수 있다.
만성 질환
최종 공통 보체 경로(C3, C5-C9)에 성분 결핍이 있는 사람은 보체 만족도 [27][28][29][30][31][32][33][excessive citations]있는 사람보다 뇌수막염 감염에 더 취약하며, 그러한 [28]개인에서 감염 위험이 7000배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또한 보체성분결핍집단은 자연감염에 대한 면역반응이 [27][35]보체성분결핍인보다 덜 완전할 수 있기 때문에 자주 뇌수막구균질환을[34] 경험한다.
유전적인 프로퍼틴 결핍도 뇌수막구균 질환에 [27][35]걸릴 위험이 증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기능성 또는 해부학적 아스페니아가 있는 사람은 캡슐화된 Neisseria 수막염이 혈류에서[27][35] 효율적으로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면역억제증과 관련된 다른 질환이 있는 사람은 뇌수막염에 [36][37]걸릴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항생제
업데이트된 2013년 Cochrane 리뷰는 뇌수막구균 질환 예방 및 N. 뇌수막염 근절을 위한 다양한 항생제의 효과를 조사했다. 특히 보균자 위험이 있는 사람들에게서.체계적 검토에는 24개의 연구가 포함되었고 6,885명이 참여했습니다.후속 조치 동안 뇌수막구균 질환의 사례가 보고되지 않았으며, 따라서 진정한 항생제 예방 조치를 직접 평가할 수 없었다.그러나 데이터는 리팜핀, 세프트리아손, 시프로플록사신, 페니실린이 잠재적 보균자의 N. 뇌수막염 박멸에 동등하게 효과적이었지만, 리팜핀은 치료 후 항생제에 대한 내성과 관련이 있었다.18개 연구는 부작용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했으며, 부작용은 미미하지만 메스꺼움, 복통, 어지럼증, 주사 [38]부위의 통증을 포함한다고 보고했다.
질병발생관리
뇌수막염 A, C, Y, W-135 백신은 아프리카와 세계 다른 지역에서 뇌수막구균성 질환이 발생했을 때 대규모 백신 접종 프로그램에 사용될 수 있다.미국에서 산발적 또는 군집적 사례나 뇌수막구균 질환의 발생이 발생할 때마다, 화학구균증은 가정과 침습성 질병에 걸린 개인의 다른 가까운 접촉에서 이차적인 사례를 예방하는 주요 수단이다.뇌수막염 A, C, Y 및 W-135 백신은 드물게 화학프로필락시스의 보조 백신을 사용할 수 있지만, 지속적인 노출 위험(예: 클러스터 사례 또는 발병 발생)이 있고 백신에 포함된 혈청 그룹이 관여하는 경우에만 사용할 [13]수 있다.
임상의는 뇌수막구균 의심 또는 확인된 모든 사례를 즉시 지역 보건 당국에 보고하고 관련된 뇌수막구균주의 혈청 그룹을 식별하는 것이 중요하다.집단 예방접종 프로그램의 효과는 발생의 조기적이고 정확한 인식에 달려 있다.뇌수막구균 질환의 발생이 의심되는 경우, 공중 보건 당국은 대량 예방접종(대량 화학구균 예방접종 유무) 여부를 결정하고 위험 [13][14]평가에 기초하여 예방접종 대상 집단을 명시할 것이다.
치료
뇌수막염이 의심되면 즉시 치료를 시작해야 하며 검사를 기다리는 동안 치료를 지연해서는 안 된다.1차 진료에서 치료는 대개 벤질페니실린을 신속하게 근육 내 투여한 후 추가적인 치료를 위해 병원(희망적으로 학계 I급 의료 센터 또는 최소한 24시간 신경학적 치료를 받는 병원)으로 긴급 이송하는 것이다.일단 병원에 입원하면, 일반적으로 IV 광스펙트럼 3세대 세팔로스포린(예: 세포탁심 또는 세프트리아손)이 선택된다.벤질페니실린과 클로람페니콜도 효과적이다.지원 조치에는 IV 유체, 산소, 이방성 지지(예: 도파민 또는 도부타민) 및 높아진 두개 내 압력 관리가 포함됩니다.스테로이드 치료는 일부 성인 환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장기적인 결과에 영향을 [citation needed]미칠 것 같지는 않다.
어떤 항생제가 그 병을 치료하는데 가장 효과적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체계적인 검토가 두 항생제를 비교했다.한 가지 실험이 있었다: 510명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두 가지 다른 종류의 항생제; 세프트리아손 (247명 중 14명 사망)과 클로람페니콜 (256명 중 12명 사망)을 비교한 공개 라벨 (맹인이 아닌) 비우호성 시험.보고된 부작용은 없었다.두 항생제는 동등하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간주되었다.항생제 선택은 지역 항생제 내성 정보에 [40]기초해야 한다.
예후
합병증
뇌수막구균 질환에 따른 합병증은 초기 그룹과 후기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초기 합병증에는 두개내 압력 상승, 파종성 혈관내 응고, 발작, 순환기 붕괴 및 장기 부전이 포함됩니다.이후의 합병증은 청각장애, 실명, 지속적인 신경학적 결함, IQ 감소, 그리고 [citation needed]절단까지 이어지는 괴저이다.
역학
아프리카

뇌수막염의 중요성은 HIV, 결핵, 말라리아만큼이나 아프리카에서 중요하다.심한 뇌수막염으로 이어지는 뇌수막혈증은 어린이나 노인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24시간 이내에 사망하는 것은 아프리카의 질병 유행기에 더 가능성이 높으며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는 유행기 내내 뇌수막염이 발병한다.기후 변화가[41] 베냉, 부르키나파소, 카메룬,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차드, 코트디부아르, 콩고민주공화국, 에티오피아, 가나, 말리, 니제르, 나이지리아, 토고에서 질병의 확산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이곳은 이 질병이 풍토병인 아프리카의 한 지역입니다: 뇌수막염은 "침묵적으로" 존재하며, 항상 몇 가지 사례가 있습니다.1주일 만에 인구 10만 명당 5명이 넘으면 팀에는 비상이 걸렸다.전염병 수준은 몇 [42]주 동안 인구 10만 명당 100명의 환자가 발생했을 때 도달한다.
아프리카에서의 뇌수막염 확산을 막기 위한 더욱 복잡한 노력은 12월부터 6월까지 니제르와 부르키나파소의 특징인 극도로 건조하고 먼지가 많은 기후 조건이 전염병의 발병에 유리하다는 사실이다.과밀촌은 세균 전파의 번식지이며 호흡기 감염의 높은 유병률로 인체를 감염에 더 취약하게 만들어 뇌수막염의 확산을 촉진한다.IRIN 아프리카 뉴스는 [43][44][45][46]1995년부터 각국의 사망자 수를 제공해 왔으며, 플로리다에서 뇌수막구균 질환이 집단으로 발병한 후 CDC가 [47]집단 예방 접종을 실시했다.
플로리다
2022년 6월 현재 플로리다에서 [48]이 질병의 발생이 계속되고 있다.질병관리본부는 26건의 [49]질병 사례를 확인했다.이 [48]질병으로 인한 사망자는 7명이다.
역사와 어원
그리스 메닝크스 + 코코스로부터, 뇌수막구균병은 1805년 제네바에서 발병했을 때 가스파르 비에우스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1884년 이탈리아 병리학자인 에토레 마르키아파바와 안젤로 셀리는 뇌척수액에 있는 세포내 미세구균(Diploccus intercellaris meningitidis)을 1887년 안톤 비첼바움은 뇌척수액에 있는 수막구균(Diplococcus incellaris meningitidis)을 확인하고 유기체와 유행성 [50]뇌염의 연관성을 확립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Riedo FX, Plikaytis BD, Broome CV (August 1995).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meningococcal disease". Pediatr. Infect. Dis. J. 14 (8): 643–57. doi:10.1097/00006454-199508000-00001. PMID 8532420. S2CID 39011100.
- ^ Pollard, Andrew J.; Maiden, Martin C. J. (2001). Meningococcal Disease: Methods and Protocols. Humana Press. ISBN 978-0-89603-849-3.
- ^ "Meningococcal septicaemia in college students". Essortment. 20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July 2007. Retrieved 29 January 2008.
- ^ "Glass Test". Meningitisnow.org. Retrieved 7 October 2018.
- ^ "Control of epidemic meningococcal disease. WHO practical guidelines. 2nd edition". WHO. World Health Organis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April 2003. Retrieved 7 October 2018.
- ^ 샌포드 항균 치료 가이드 2014 제44호
- ^ a b 질병 통제 및 예방 센터.대학생들의 뇌수막구균 질환: ACIP는 뇌수막염 예방접종에 대한 권고사항을 수정한다.보도 자료1999년 10월 20일
- ^ a b Jeeri R.레디와 티옴비아노 S.리고베르트감염 à Manningocoque Maladies 감염 et Africa.서아프리카메이드 황소 2007
- ^ Press Release (22 January 2013). "Novartis receives EU approval for Bexsero, first vaccine to prevent the leading cause of life-threatening meningitis across Europe". Novartis. Retrieved 12 February 2013.
- ^ "Conjugate Meningococal Vaccine Benefits"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4 July 2010.
- ^ Krause G, Blackmore C, Wiersma S, Lesneski C, Gauch L, Hopkins RS (December 2002). "Mass vaccination campaign following community outbreak of meningococcal disease". Emerging Infect. Dis. 8 (12): 1398–403. doi:10.3201/eid0812.040421. PMC 2738498. PMID 12498654.
- ^ Trotter CL, Andrews NJ, Kaczmarski EB, Miller E, Ramsay ME (2004). "Effectiveness of meningococcal serogroup C conjugate vaccine 4 years after introduction". Lancet. 364 (9431): 365–7. doi:10.1016/S0140-6736(04)16725-1. PMID 15276396. S2CID 8759414.
- ^ a b c d e f g h Bilukha OO, Rosenstein N; Rosenstein; National Center For Infectious Diseases (May 2005). "Prevention and control of meningococcal disease. Recommendations of the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ACIP)". MMWR Recomm Rep. 54 (RR-7): 1–21. PMID 15917737.
- ^ a b c d 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ommittee on Infectious Diseases (August 2005). "Prevention and control of meningococcal disease: recommendations for use of meningococcal vaccines in pediatric patients". Pediatrics. 116 (2): 496–505. doi:10.1542/peds.2005-1314. PMID 15995007.
- ^ Pichichero M, Casey J, Blatter M, Rothstein E, Ryall R, Bybel M, Gilmet G, Papa T (January 2005). "Comparative trial of the safety and immunogenicity of quadrivalent (A, C, Y, W-135) meningococcal polysaccharide-diphtheria conjugate vaccine versus quadrivalent polysaccharide vaccine in two- to ten-year-old children". Pediatr. Infect. Dis. J. 24 (1): 57–62. doi:10.1097/01.inf.0000148928.10057.86. PMID 15665711. S2CID 23012002.
- ^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ommittee on Infectious Diseases (January 2006). "Recommended childhood and adolescent immunization schedule--United States, 2006". Pediatrics. 117 (1): 239–40. doi:10.1542/peds.2005-2790. PMID 16396888.
- ^ a b 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December 1997). "Immunization of health-care workers: recommendations of the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ACIP) and the Hospital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HICPAC)". MMWR Recomm Rep. 46 (RR-18): 1–42. PMID 9427216.
- ^ Janoff EN, 태스커 S, Opstad NL 등최근 HIV-1 혈청전환기 예방접종의 영향.ICAAC 뉴올리언스 1996년 절차요약 번호I60
- ^ Kroon FP, Bruisten S, Swieten PV 등복합 폐렴구균 백신, 폐렴구균 또는 티푸스-Vi를 접종한 후 HIV 부하가 증가하지 않는다.ICAAC 뉴올리언스 1996년 절차요약 번호I61
- ^ 태스커 SA, Treanor J, Rossetti Ret al.전체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백신은 HIV 감염 환경에서 보호 효과가 있습니다.ICAAC 뉴올리언스 1996년 절차요약 번호I88
- ^ Obaro S (April 2000). "Control of meningococcal disease in west Africa". Lancet. 355 (9210): 1184–5. doi:10.1016/S0140-6736(05)72263-7. PMID 10791403. S2CID 40851283.
- ^ Akpede GO (1995). "Presentation and outcome of sporadic acute bacterial meningitis in children in the African meningitis belt: recent experience from Northern Nigeria highlighting emergent factors in outcome". West African Journal of Medicine. 14 (4): 217–26. PMID 8634227.
- ^ Munford RS, Taunay Ade E, de Morais JS, Fraser DW, Feldman RA (June 1974). "Spread of meningococcal infection within households". Lancet. 1 (7869): 1275–8. doi:10.1016/S0140-6736(74)90022-1. PMID 4134961.
- ^ 뇌수막구균 질환의 관리 및 예방:예방접종실천자문위원회(ACIP) 권고: 버지니아 역학보, 1997년 7월, 제97권, 제7호
- ^ Jeeri R.뇌수막염의 Reddy, 안전성 및 면역원성 4차적(A, C, Y, W-135) 다당류 백신 "PHASE III Multicenter 임상시험 in SUB-SAHARAN AFrica" 2008; 서아프리카 의학 저널 (인쇄)
- ^ Greenwood BM, Wali SS; Wali (April 1980). "Control of meningococcal infection in the African meningitis belt by selective vaccination". Lancet. 1 (8171): 729–32. doi:10.1016/S0140-6736(80)91230-1. PMID 6103155. S2CID 2002137.
- ^ a b c d Kirsch EA, Barton RP, Kitchen L, Giroir BP (November 1996). "Pathophysiology, treatment and outcome of meningococcemia: a review and recent experience". Pediatr. Infect. Dis. J. 15 (11): 967–78, quiz 979. doi:10.1097/00006454-199611000-00009. PMID 8933544.
- ^ a b Ross SC, Densen P; Densen (September 1984). "Complement deficiency states and infection: epidemiology, pathogenesis and consequences of neisserial and other infections in an immune deficiency". Medicine (Baltimore). 63 (5): 243–73. doi:10.1097/00005792-198409000-00001. PMID 6433145. S2CID 25041064.
- ^ Orren A, Potter PC, Cooper RC, du Toit E (October 1987). "Deficiency of the sixth component of complement and susceptibility to Neisseria meningitidis infections: studies in 10 families and five isolated cases". Immunology. 62 (2): 249–53. PMC 1453963. PMID 3679285.
- ^ Ross SC, Rosenthal PJ, Berberich HM, Densen P (June 1987). "Killing of Neisseria meningitidis by human neutrophils: implications for normal and complement-deficient individuals". J. Infect. Dis. 155 (6): 1266–75. doi:10.1093/infdis/155.6.1266. PMID 3106511.
- ^ Ross SC, Berberich HM, Densen P (December 1985). "Natural serum bactericidal activity against Neisseria meningitidis isolates from disseminated infections in normal and complement-deficient hosts". J. Infect. Dis. 152 (6): 1332–5. doi:10.1093/infdis/152.6.1332. PMID 3934293.
- ^ Al'Aldeen AA, Cartwright KA; Cartwright (November 1996). "Neisseria meningitidis: vaccines and vaccine candidates". J. Infect. 33 (3): 153–7. doi:10.1016/S0163-4453(96)92081-2. PMID 8945702.
- ^ Mayon-White RT, Heath PT; Heath (March 1997). "Preventative strategies on meningococcal disease". Arch. Dis. Child. 76 (3): 178–81. doi:10.1136/adc.76.3.178. PMC 1717118. PMID 9135255.
- ^ Andreoni J, Käyhty H, Densen P (July 1993). "Vaccination and the role of capsular polysaccharide antibody in prevention of recurrent meningococcal disease in late complement component-deficient individuals". J. Infect. Dis. 168 (1): 227–31. doi:10.1093/infdis/168.1.227. PMID 8515116.
- ^ a b c Cunliffe NA, Snowden N, Dunbar EM, Haeney MR (July 1995). "Recurrent meningococcal septicaemia and properdin deficiency". J. Infect. 31 (1): 67–8. doi:10.1016/S0163-4453(95)91550-8. PMID 8522838.
-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June 2000). "Prevention and Control of Meningococcal Disease. Recommendations of the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ACIP)". MMWR Recomm Rep. 49 (RR-7): 1–10. PMID 10902834.
-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pril 1993). "Recommendations of the Advisory Committee on Immunization Practices (ACIP): use of vaccines and immune globulins for persons with altered immunocompetence". MMWR Recomm Rep. 42 (RR-4): 1–18. PMID 8474421.
- ^ Zalmanovici Trestioreanu, Anca; Fraser, Abigail; Gafter-Gvili, Anat; Paul, Mical; Leibovici, Leonard (25 October 2013). Cochrane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Group (ed.). "Antibiotics for preventing meningococcal infection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0): CD004785. doi:10.1002/14651858.CD004785.pub5. PMC 6698485. PMID 24163051.
- ^ Wane, Joanna. "The case for vaccination" (PDF). North & South.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4 August 2015. Retrieved 3 July 2015.
- ^ Sudarsanam, Thambu D.; Rupali, Priscilla; Tharyan, Prathap; Abraham, Ooriapadickal Cherian; Thomas, Kurien (14 June 2017). "Pre-admission antibiotics for suspected cases of meningococcal disease".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7 (6): CD005437. doi:10.1002/14651858.CD005437.pub4. ISSN 1469-493X. PMC 6481530. PMID 28613408.
- ^ 아프리카: 질병 확산과 관련된 기후변화
- ^ 뇌수막염
- ^ FASO: 뇌수막염으로 400명 이상 사망
- ^ Enserink M (December 2008). "Meningitis. Less vaccine can be more". Science. 322 (5907): 1449. doi:10.1126/science.322.5907.1449a. PMID 19056945. S2CID 206583291.
- ^ BURKINA FASO: 뇌수막염 사망자가 증가함에 따라 500만 명이 위험에 처했습니다.
- ^ 뇌수막염으로 1000명 가까이 사망
- ^ 뇌수막구균 질환:자주 묻는 질문
- ^ a b Thomas, Naomi (23 June 2022). "CDC investigates 'one of the worst outbreaks of meningococcal disease' in US history among gay and bisexual men in Florida". CNN. Retrieved 28 June 2022.
- ^ Anthes, Emily (22 June 2022). "An Outbreak of Meningococcal Disease in Florida Is Growing, the C.D.C. Say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8 June 2022.
- ^ Henry, Ronnie (July 2017). "Etymologia: Meningococcal Disease". Emerg Infect Dis. 23 (7): 1187. doi:10.3201/eid2307.ET2307. PMC 5512471.
citing public domain text from the CDC
추가 정보
-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Ch. 13: Meningococcal Disease". In Atkinson W, Wolfe S, Hamborsky J (eds.).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Vaccine-Preventable Diseases (12th ed.). Washington DC: Public Health Foundation. pp. 193–2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March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