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먼 맥라렌

Norman McLaren
노먼 맥라렌
Norman McLaren drawing on film - 1944.jpg
McLaren은 필름에 직접 그림을 그린다(1944년)
태어난
윌리엄 노먼 맥라렌

(1914-04-11) 1914년 4월 11일
스털링 (스코틀랜드)
죽은1987년 1월 27일(1987-01-27)(72)
국적.스코틀랜드어/캐나다어
모교글래스고 예술대학
직종.애니메이터, 감독, 제작자
액티브 년수1933–1983
로 알려져 있다캐나다 국립영화위원회 애니메이션과 설립
주목할 만한 일
이웃들
리드메틱
파스 드 뒤
파트너가이 글로버(1937년-1983
어워드아카데미 단편 다큐멘터리상
1952년 네이버

윌리엄 맥라렌(William Norman McLaren, 1914년 4월 11일 ~ 1987년 1월 27일)은 캐나다 국립영화위원회(NFB)[1]에서 활동한 것으로 알려진 스코틀랜드 출신의 애니메이션 제작자, 감독, 제작자이다.그는 손으로 그린 애니메이션, 드로잉필름 애니메이션, 비주얼 음악, 추상 영화, 픽실레이션, 그래픽 사운드 [2][3]등 애니메이션과 영화 제작 분야의 선구자였다.

1952년 아카데미 단편 다큐멘터리 작품상, 1956년 베를린 국제영화제 단편 다큐멘터리 부문 은곰상, 1969년 BAFTA 단편 애니메이션 부문 [4]작품상 등 수상 경력이 있다.

초기 생활

Norman McLaren은 1914년 4월 11일 스코틀랜드 스털링에서 태어났다.그에게는 두 명의 형들이 있었는데, 한 명은 잭이고 한 명은 [5]시나였다.21세의 나이에 그는 그의 공산주의 신념을 확인시켜주는 휴가를 위해 러시아로 여행했다; 그의 아버지는 그가 소중하게 [5]여기는 공산주의 신념을 치료하기 위해 여행 비용을 지불했다.

맥라렌은 22살 때 스털링을[5] 떠나 글래스고 [1]미술학교에서 세트 디자인을 공부했다.맥라렌은 글래스고 예술대학에서 공부하는 동안 Kinecraft Society에 가입했고, 그가 영화 [5]제작의 다른 스타일과 기술을 실험하기 시작한 것은 사회 안에서였다.맥라렌이 헬렌 빅가를 만난 것도 글래스고 예술대학에서였고, 그들은 학교 밖에서 함께 영화를 제작했고 그들의 작품이 전국적으로 [5]개봉되기를 원했다.

필름과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그의 초기 실험은 카메라에 접근할 준비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필름 스톡 자체를 긁어내고 페인트칠하는 것을 포함했다.의 초기 작품인 "예술학교 생활 속의 하루"는 아이젠슈타인의 영향을 받아 형식주의적인 태도를 강하게 드러낸다.

맥라렌의 차기작인 Camera Makes Whoopee (1935년)는 Seven Till Five에서 탐구한 주제를 좀 더 정교하게 따랐는데, 이는 그가 많은 '꼼수' 촬영을 할 수 있게 해준 시니-코닥 카메라의 인수에 영감을 받았다.맥라렌은 아트 스쿨볼의 스테이징뿐만 아니라 이 이벤트로 인해 발생하는 미적 감각을 활용하기 위해 픽실레이션 효과, 중첩, 애니메이션을 활용했다.

그의 두 편의 초기 영화는 스코트랜드 아마추어 영화제에서 상을 탔고, 그곳에서 동료 스코트인과 미래의 NFB 설립자그리어슨[6]심사위원으로 있었다.

프로 경력

GPO 필름 유닛

당시 영국 우체국 종합영화부장이었던 그리어슨은 아마추어 영화제에서 또 다른 영화를 보고 [1]관심을 가졌다.는 스페인 내전에 관한 [6][7]이보르 몬타규의 다큐멘터리 마드리드 국방에 카메라맨으로 근무한 후 공부를 마친 후 맥라렌을 GPO에 고용했다.맥라렌은 1936년부터 1939년까지 GPO에서 일하며 다음을 포함한 4편의 영화를 제작했습니다.북바겐(1937년), 모니 어 피클러브 윙(1938년), 뉴스해군(1938년).[7]

솔로몬 구겐하임 재단

맥라렌은 유럽에서 [8]2차 세계대전이 막 시작되려던 1939년에 뉴욕으로 이사했다.솔로몬 구겐하임 재단의 지원으로, 그는 1941년까지 뉴욕에서 일하며 네 편의 드로잉 온 필름 애니메이션 작품인 Boogie-Doodle (1940년), Dots, Loops, Stars and [9][10]Stripes를 만들었다.

비프비

그리어슨의 초대로, 그는 1941년 캐나다로 건너가 미국 영화 위원회에서 일하고, 애니메이션 스튜디오를 열고, 캐나다 애니메이터들을 훈련시켰다.맥라렌이 캐나다에 도착하자마자 그리어슨은 캐나다인들에게 크리스마스 카드를 일찍 부치도록 상기시키는 홍보 영화를 감독해달라고 부탁했다.그 후 그는 연합군의 선전 다큐멘터리 영화의 지도뿐만 아니라 애니메이션 반바지를 작업했고, 그의 전쟁 본즈 캠페인 영화: V for Victory (1941), 5 for 4 (1942), Hen Hop (1942) 그리고 Dollar Dance (1943)[7]가 뒤를 이었다.

1942년부터 맥라렌은 급성장하는 NFB에서 애니메이션에 대한 수요를 더 이상 따라갈 수 없었고 그리어슨으로부터 미술 학생을 모집하고 소규모 애니메이션 팀을 만들 것을 요청받았습니다. 이 작업은 많은 어린 학생들이 전쟁에 참전했기 때문에 더욱 어려웠습니다.맥라렌은 에콜 데보 아트몽트렐온타리오 미술 대학에서 그의 신생 애니메이션 유닛의 신병을 구했는데, 여기에는 르네 조도인, 조지 더닝, 맥케이, 그랜트 먼로와 그의 미래 협력자인 에블린 람바트가 포함된다.맥라렌은 만화, 애니메이션 카드, 선전 다큐멘터리를 제작하는 신진 애니메이터들을 직접 훈련시켰다.NFB의 첫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인 스튜디오 A는 1943년 1월 맥라렌을 [1][7]본부장으로 하여 정식으로 설립되었습니다.

NFB에서 일하는 동안, 맥라렌은 캐나다 영화상아카데미상포함한 전 세계에서 다양한 상을 받은 가장 유명한 영화인 "네이버스"를 만들었다.시각과 사운드의 훌륭한 조합 외에도, 이 영화는 폭력과 전쟁에 대한 매우 강한 사회적 메시지를 가지고 있다.캐나다에서의 초기 시절, McLaren은 [1]보드의 애니메이션 부서를 개발하는 데 상당한 시간을 소비했습니다.

유네스코

영화 외에도, 맥라렌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유네스코와 함께 [1]중국인도에서 영화와 애니메이션 기술을 가르치는 프로그램에 참여했다.1970년대 후반에 제작된 그의 5부작 애니메이션 반바지는 영화 애니메이션의 기초에 대한 훌륭한 교육 사례이다.

멕시코에서 돌아오는 길에 맥라렌은 쿠바를 여행하다가 우연히 피델 [5]카스트로를 만났다.

레거시

맥라렌은 음악과 애니메이션을 결합하고 동기화하기 위한 많은 획기적인 기술을 개발하여 이미지와 소리를 실험한 것으로 기억된다.

National Film Board는 몬트리올 본사 건물을 Norman McLaren Building으로 명명함으로써 McLaren을 기렸다.NFB의 본거지인 몬트리올의 생로랑 자치구도 맥라렌의 이름을 따서 그의 이름을 지음으로써 맥라렌을 기렸다.

1981년, 에딘버러에 새로운 필름 하우스가 문을 열었고, 에딘버러 국제 영화제의 본거지였다. 내부에는 맥라렌과 그리어슨에게 [5]바쳐진 두 개의 좌석이 있다.

2006년에 그는 단편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맥라렌의 네거티브의 주제였다.2006년, 필름 보드는 NFB 애니메이션 65주년을 기념해, 맥라렌의 복원된 고전과 그의 전집 DVD 박스 세트를 국제적인 회고전으로 개최했습니다.

2013년 6월, NFB는 「McLaren's Workshop」이라는 이름의 iTunes 앱을 발매해, McLaren이 활용한 애니메이션 기술을 사용해 독자적인 영화를 제작해, 50편 이상의 영화를 열람할 수 [11]있도록 했다.

2018년 6월 1일부터 10일까지 로버트 르파게, 수석 무용수 기욤 코트, 캐나다 국립발레단은 맥라렌의 삶과 업적을 [12]바탕으로 프레임 바이 프레임이라는 제목의 발레를 공연했다.

탄생 100주년 행사

맥라렌 탄생 100주년은 몬트리올의 Quartier des Spectles 엔터테인먼트 구역에서 "맥라렌 월 투 월"이라는 제목의 프로젝트로 기념되었고 맥라렌 워크스 네이버스, 베곤 덜 케어, 싱크로미, 스피어스로부터 영감을 받은 단편 영화들이 지역 [13]랜드마크로 상영되었다.

맥라렌의 100주년 기념일은 또한 스코틀랜드에서 맥라렌 2014 프로그램 상영, 전시회, 이벤트 및 애니메이션 워크샵과 함께 축하되었습니다.이 프로그램은 에딘버러 국제영화제의 애니메이션 프로그래머이기도 한 애니메이터 이언 가드너가 구상하고 감독했습니다.이 프로그램은 6월에 열린 제68회 에든버러 국제 영화제에서 중요한 초점이 되었고, 8월에 글래스고에서 열린 XX 영연방 게임까지 이어졌다.McLaren 2014 프로그램은 캐나다 국립영화위원회(National Film Board of Canada) 및 스코틀랜드와 영국에서 [14]20개 이상의 파트너와 협력하여 Center for the Moving Image(동영상센터)가 관리했습니다.2014년 4월 유일한 생존 조카인 더글러스 빅가(시나의 아들)는 출생 100주년을 기념해 어린 시절의 집에 파란색 유산 명판을 공개했다.

평생 공로상

1968년, 그는 캐나다 훈장 장교로 임명되었고 1973년 Companion으로 승진했습니다.1977년, 그는 콩코디아 [15]대학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1982년, 그는 퀘벡 영화계에서 뛰어난 경력을 쌓은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알베르 테시에 상을 받은 최초의 영어 전화기였습니다.

1986년, 그는 세계 애니메이션 영화제 - 아니마페스트 [16]자그레브에서 평생 공로상을 받았습니다.

2009년 맥라렌의 작품은 구텐베르크 성경[17]오즈마법사와 같은 작품들과 함께 유네스코의 세계기록유산등재되었다.

칭찬

아카데미상(미국)
애니상(미국)
BAFTA상(영국)
베를린 국제 영화제
캐나다 영화상 (캐나다)
  • (1949) 도트상 특별상 –
  • (1950) 베곤 덜케어 특별상 수상 - 수상
  • (1952) 어라운드 어라운드 특별상 – 원
  • (1952) 지금이야말로 특별상 – 수상
  • (1952) 폭풍특별상 수상
  • (1953) 환상의 특별상 - 수상
  • (1953) 이웃특별상-원
  • (1958) 의자 이야기위한 예술과 실험 (Claude Jutra와 공유) - 원
  • (1962) 수평선 예술과 실험 - 원
  • (1965) 캐논을 위한 예술과 실험 (Grant Munro와 공유)– 원
  • (1968) 파드득 특별상 - 원
칸 영화제
콜럼버스 국제 영화제
댄스온카메라페스티벌(미국)
  • (1984) 금성상 나르시스상 수상
국제 코트 축제(프랑스)
  • (1985년) 나르시스 - 특기
영화제 국제 영화 로맨티크
  • (1985) 마담 드 스타엘상 나르시스상 (1등상)-원
지니상(캐나다)
골든 시프상 / 단편 영화 비디오 페스티벌 (캐나다)
  • (1984) 골든 시프상 - 나르시스를 위한 최우수 실험영화상 수상
국제 영화제(인도)
  • (1984) 나르시스를 위한 영화제 최우수 단편영화상 황금 공작새-원
여행자 – 미국 영화 비디오 페스티벌(미국)
  • (1984) 나르시스를 위한 비주얼 에세이 - 명예상

사생활

맥라렌의 오랜 파트너는 1937년 런던 발레단에서 만난 동료 NFB 감독 가이 글로버였다.그 두 남자는 맥라렌이 [21][22]죽을 때까지 헌신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c d e f 로젠탈, 앨런새로운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 사례집입니다.캘리포니아 대학 출판부, 1972년. 267-8.인쇄.
  2. ^ Schaffer, Bill (2005). "The Riddle of the Chicken: The Work of Norman McLaren". Senses of Cinema (35). Retrieved 16 March 2011.
  3. ^ Clark, Ken (Summer 1987). "Tribute to Norman McLaren". Animator (19): 2. Retrieved 20 March 2011.
  4. ^ Kozlov, Vladimir (28 May 2009). "Movie of the week – Norman McLaren retrospective". Moscow News.
  5. ^ a b c d e f g Dobson, Nichola (25 January 2018). Norman McLaren : between the frames. New York. ISBN 978-1-5013-2879-4. OCLC 1015372165.
  6. ^ a b Liz Faber, Helen Walters (2003). Animation Unlimited: Innovative Short Films Since 1940. Laurence King Publishing. p. 1929. ISBN 1-85669-346-5.
  7. ^ a b c d St-Pierre, Marc (December 2011). "70 Years of Animation, Part 2 – Norman McLaren". NFB Blog. National Film Board of Canada. Retrieved 6 December 2011.
  8. ^ Dobson, Nichola. Norman McLaren: Between the Frames. New York: Bloomsbury Academic. p. 87. doi:10.5040/9781501328800-008. ISBN 978-1-5013-2881-7.
  9. ^ Ortega, Marcos (16 July 2006). "Norman McLaren: The Master's Edition". Experimental Cinema. Retrieved 1 April 2011.
  10. ^ Beckerman, Howard (February 2004). Animation: The Whole Story. Allworth Press. pp. 51–52. ISBN 978-1-58115-301-9.
  11. ^ Amidi, Amid (7 June 2013). "NFB's Free McLaren's Workshop iPad App is a Must-Download". Cartoon Brew. Retrieved 28 June 2013.
  12. ^ Demara, Bruce (15 February 2017). "National Ballet and Robert Lepage team on work honouring Norman McLaren". Toronto Star. Retrieved 23 February 2017.
  13. ^ Milligan, Mercedes (5 December 2013). "NFB Invites Artists to Celebrate McLaren's 100th". Animation. Retrieved 18 December 2013.
  14. ^ McGill, Hannah (27 March 2014). "McLaren 2014 festival shines a light on underappreciated experimental filmmaker Norman McLaren". The List. Retrieved 28 March 2014.
  15. ^ "Honorary Degree Citation – Norman McLaren* Concordia University Archives". archives.concordia.ca. Retrieved 7 April 2016.
  16. ^ "Animafest Zagreb 1986".
  17. ^ Boswell, Randy (31 July 2009). "Montreal filmmaker honoured by UN". Montreal Gazette. Canwest. Retrieved 4 August 2009.[데드링크]
  18. ^ "NFB – Collection – Pas de deux".
  19. ^ "1st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Prize Winners". berlinale.de.
  20. ^ "6th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Prize Winners". berlinale.d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October 2013. Retrieved 26 December 2009.
  21. ^ McWilliams, Donald (1990). Creative Process: Norman McLaren.
  22. ^ Glassman, Marc (17 August 2009). "Norman McLaren: Animation genius created poetry". Playback. Brunico Communications. Retrieved 29 January 2014.

참고 문헌

  • 도미니크 샤토, "노르망 맥라렌: pené-cinéma et cinéplastique", 누벨 Vues, 17호, 2016년 겨울 봄://www.nouvellesvues.ulaval.ca/no-17-hiver-2016-cinema-et-philosophie-par-s-santini-et-p-a-fradet/articles/norman-mclaren-pensee-cinema-et-cineplastique-par-dominique-chateau/
  • Raphael Bassan, "Norman McLaren: le silence de Prométhée", 파리 박람회 17호 (프랑스어) (2004)*
  • Olivier Cotte (2007) 오스카 수상 애니메이션의 비밀: 13편의 고전 단편 애니메이션 비하인드. (이웃 만들기) 포커스 프레스.ISBN 978-0-240-52070-4
  • Alfio Bastiancich, "Norman McLaren: Précurseur des Nouvelles Images", Dreamland éditeur, Paris (1997년) ISBN 2-910027-07-4
  • 로저스, 홀리, 제레미 바햄:The Music and Sound of Experimental Film, New York: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1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