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미 문법

Otomi grammar

오토미어문법은 합성구조와 해석구조의 혼합요소를 나타내고 있다.특히 구문 수준의 형태학은 합성적인 반면 문장 수준은 [1]분석적이다.동시에, 언어는 언어 형태학에서는 헤드마크되지만, 더 분석적인 명목 형태학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오토미는 명사, 동사, 입자의 3개의 큰 오픈 워드를 인식합니다.형용사 [2]또는 정지동사로 다양하게 분석되는 특성어에는 작은 닫힌 부류가 있다.

가장 일반적인 분석에 따르면 오토미어에는 두 종류의 결합 형태소가 있다.반음은 주로 음운학적 특성에서 접사와 다르다. 즉, 음색과 차단 비음 [3]조화로 표시된다.일부 저자들은 선언문을 [4][5]접두사로 더 잘 분석해야 한다고 생각한다.철자법에서는 표준 철자법은 선언문을 별도의 단어로 쓰는 반면 접사는 숙주근에 결합되어 씁니다.대부분의 접사는 접미사이고 예외는 거의 없이 동사에서만 발생하는 반면, 선언어는 명목 패러다임과 동사 패러다임 모두에서 발생합니다.선언문은 정의와 숫자, 인물, 부정, 시제, 측면의 범주를 나타내며 종종 하나의 선언문으로 융합됩니다.접미사는 직접적, 간접적 목적어뿐만 아니라 폐쇄성(포용적, 배타적)과 숫자, 위치 및 감정적 강조를 표시합니다.역사적으로 다른 오트망게어족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어순은 동사-주사-목적어(VSO)이지만, 일부 방언은 주어-동사-목적어(SVO) 어순을 지향하는 경향이 있으며,[1] 아마도 스페인어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다.소유형 구성에서는 소유형 순서의 소유자를 사용하지만, 수정형 구성에서는 수식자-헤드 순서를 사용합니다.

문자 변환

이 글에서 Otomi 표기에 사용된 음소 철자법은 Lastra(1992년과 2005년)가 사용한 것이다.최대한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톤을 포함하고 있지만, 오토미 스피커가 사용하는 많은 실용적인 맞춤법에는 톤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예에서 톤을 쓰는 데 사용되는 기호는 고음의 경우 급성 악센트 /'/, 상승음의 경우 곡절 악센트 /^/입니다. 저음의 경우 표시는 없습니다.네 개의 비음에 사용되는 기호는 /,, ,, ,, // 입니다.자음 기호: /c/는 IPA [tss], /y/는 IPA [j]를 나타냅니다.나머지 기호는 원래 값과 함께 IPA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대명사계

대부분의 오토미 품종의 지명 체계는 첫 번째 포함과 배타적, 두 번째와 세 번째, 그리고 세 개의 단수, 두 번째와 복수라는 네 사람을 구별한다.아래의 체계는 톨루카 [6]방언에서 왔다.

단수형 듀얼 복수형
1인칭 포함. 누고
'나'
누고베
'너와 나'
누고헤
'나랑 너희'
1인칭만. 누고위
우리 둘(너 말고)
누고히
우리 모두(너 말고)
2인칭 하지 않다
'너'
누키제위
'너희 둘'
'누키게게'
'너희들'
3인칭 게게
"그/그/그녀/그녀/그녀/그녀"
누게게위
'둘이'
너게히
"그들"

명사들

오토미 명사는 소유명사와 소형명사를 굴절한다.소유적 굴절의 특정 패턴은 메소아메리카 언어 지역에 널리 퍼져 있다.소유명사 앞에는 소유자와 직접 합의하는 형태소가 붙는다.소유자가 복수 또는 이중일 경우 명사는 소유자의 숫자에 일치하는 접미사로도 표시된다.아래는 톨루카 [7]방언의 /ng///"house"에 대한 굴절 패러다임이 제시되어 있다.

단수형 듀얼 복수형
1인칭만. m'-ng'의
'우리 집'
m--ngų-bé
우리 집(나랑 그 사람)
m-ng-ng-hé
우리 집(나와 그들)
1인칭 포함. m--ngų-wi
우리 집(나랑 너)
m'-ng'-h'의
우리 집(나, 너, 그리고 그들)
2인칭 ri-ng의
'네 집'
리엔지위
"두 분 집"
리엔지하하
"너희들 집"
3인칭 r'-ng'의
"그녀/그녀/그녀/그녀의 집"
yʌ-ngų-wi
"둘의 집"
y'-ng-h'의
"그들의 집"

복수의 소유명사를 표현하기 위해 주격구조를 사용한다.

그것들의

m'-ng'의

I-하우스

k'm'-ng's

그 I 하우스

'우리 집'

소유는 또한 강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강조 접미사 - (1인칭) - gé (2인칭) 또는 - gégé (3인칭)를 추가하고 접두사로 mposshti "소유"라는 단어를 추가합니다.

그거

인식하다

【b】【c】

바구니

mµ-mµhti-gö-nii

나-나-나-나-나-저것

ni rʌ bɛcé m--mɛhti-gö-nii

내가 가지고 있는 바구니가

"저 바구니는 내 거야"

그거

인식하다

【b】【c】

바구니

r--mɛhti-gégé-nii

그/그녀, 그/그녀, 그/그녀

ni rʌ bʌcʔ rɛ-mɛhti-gé-nii

그/그녀가 가지고 있는 그/그녀의 바구니가

저 바구니는 그/그녀의 것이다.

dimensive는 접두사 ci-에 의해 굴절된다.

ci누

DIM-하우스

ci누

DIM 하우스

'작은 집'

기사들

복수의 명사는 명사 에 rthe "the (단수)" 또는 ythe "the (dual/복수)"로 표현된다.

단수형 듀얼 복수형
rcngnggggggggggggggg
"그 집"
요호엔지
"두 집'
y'ngnggggggggggggggg
"집들"

단순한 복수/단독사 외에 카르세레스에 의해 기술된 고전 오토미어는 존댓말과 경멸적인 기사를 구별했다.고전 오토미에서는, 「n중립 단수」, 「e」(중립 단수), 「 (」(조어 단수), 「o」(명예 [8]단수)였다.

(nng) "집"
"빌어먹을 집"
ong(영예로운 집)

동사들

동사에서는 주어, 시제, 양상, 기분의 모든 범주가 각 [9]동사의 단일 접두사 수단에 의해 표시된다.톨루카의 오토미, 익스텐코의 구분된 범주는 현재, 프리테리트, 완벽, 불완전, 미래, 다중완벽, 두 개의 다른 부속사, 현재와 과거의 연속과 명령이다.메즈키탈 오토미에는 [10]또 다른 분위기가 있다.타동사에서는 목적어의 인칭에 접미사가 붙는다.서브젝트 또는 오브젝트 중 하나가 이중 또는 복수일 경우 오브젝트 서픽스 뒤에 복수의 서픽스를 붙여 표시한다.

오토미 동사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T/A/M 기호 접두사(예: 부사) 뿌리 오브젝트 서픽스 복수/듀얼 서픽스

인물, 숫자, 시제, 측면 및 분위기

현재 시제 접두사는 di-(1인칭), gi-(2인칭), i-(3인칭)입니다.

단수형 듀얼 복수형
1인칭만. 디누
"그렇구나"
디누베
(나와 그/그녀가) 보인다.
디누헤
(나와 그들이) 보인다.
1인칭 포함. 디누위
(나와 당신이) 보인다.
디누히
(나, 너, 그리고 그들)
2인칭 기누
"보여요"
기누이
"두 분 다 아시겠죠?"
기누히
"여러분 보세요"
3인칭 이누
"그녀/그녀/그녀/그녀가 본다"
이누이
'둘이 보면'
이누히
"그들은 보고 있다"

프리테릿은 접두사 do, go, bi-, perfect uses to, ko-, ,i-, future uses dima, gima, mi, future uses go-, gi-, da-, pluperfect tamą-, kamą-를 사용한다.모든 시제는 이중 및 복수 숫자와 현재 시제와 같은 접미사를 사용하며, 여기서부터는 단수 형식만 제공됩니다.프리테리트와 불완전함의 차이는 스페인어프리테리트인 "his speak (정시적)"와 불완전한 "his speaked/his speaked/his speaked/his speaking (정시적)"의 구별과 유사하다.

프리테리트 완벽하다 불완전 미래형 퍼펙트
1인칭 단수 도누
(정시에) 봤어요.
토누
본 적이 있다.
디마누
(시간 외) 봤어요.
고누
"그럴게요"
타마누
'본 적이 있다'
2인칭 단수 고누
(평소) 보셨군요.
코누
"너도 봤잖아"
히마누
(비일상적인) 것을 보았습니다.
기누
"너도 알게 될 거야
김나누
"너도 봤잖아"
3인칭 단수 바이누
"그녀/그녀/그녀/그녀/그녀/그녀/그녀/그녀/
아이누
"그/그/그/그/그것은 보았다"
미누
(비일상적인) 것을 보았습니다.
다누
"그/그/그/그/그/그/그/그것은"
카미노
"그/그/그/그것은 본 적이 있다.

톨루카 오토미에서는 두 개의 가정형식(A와 B)의 의미적 차이가 쉽게 정의되지 않는다.라스트라에 따르면 가정형식 B는 가정형 A보다 더 최근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둘 다 뭔가 반사실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단, 기타 오토미 품종에서는 예를 들어Ixtenco Tlaxcala의 오토미(Otomi)는 두 가지 형태의 구별은 가정 대 일레알리스(Irrealis)[10]의 하나이다.과거와 현재의 진보어는 각각 영어예전과 현재의 X-ing과 의미가 비슷하다.명령은 직접 명령을 내리는 것입니다.

가정 A 가정 B 현재 진행형 과거 프로그레시브 필수
1인칭 단수 (n)과누
'내가 봤을 거야'
콰누
'내가 봤을 거야'
드라누
"보고 있다"
ndrµ-nu
"보고 있었어요"
*
2인칭 단수 (n)귀누
"너도 봤겠지"
쿠이누
"너도 봤겠지"
그르누
'보고 있다'
dgr--nu
'보고 있었구나'
하지 않다
"봐!"
3인칭 단수 (n) di-nu
"그녀/그녀/그녀/그녀/그녀"
트롬누
"그녀/그녀/그녀/그녀/그녀"
루누
"그/그/그/그것이 보고 있다"
mbr--nu
"그녀/그녀/그녀가 보고 있었다"
*

'오렴'처럼 화자에 대한 움직임을 나타내는 동사는 사람/T/A/M을 나타낼 때 접두사 집합이 다릅니다.이 접두사들은 또한 다른 동사와 함께 "이쪽으로 오는 동안 무언가를 하다"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톨루카 오토미에서 mba-는 이동 동사의 3인칭 단수 불완전 접두사이다.

mba-thh

3SG..-MOVIPFV노래하고 있다

mba-thh

3SG.MOVIPv-sing

"[11]노래를 부르러 왔어요"

명사에서 술어를 형성하기 위해 주어 접두사를 명사 어근에 추가합니다.

드르몽하

1SG..-PRSCONT접속

드르몽하

1SG.PRSCONT-사제

"나는 신부다"

타동사 및 정지동사

타동사는 접미사를 통해 목적어와 일치하기 위해 굴절되며, 자동사와 같은 주어 접두사를 사용하여 대리사와 일치한다.그러나 모든 방언에서 몇몇 자동사동사는 주어 접두사 대신 목적어 접미사를 취한다; 보통 이러한 자동사동사는 상태를 나타내는 안정사이다.이로 인해 오토미에서는 형태소사정렬능동-정체계대격계 [12]사이에서 분할된다는 해석이 나왔다.

Toluca Otomi에서 목적어 접미사는 -gi(1인칭), -k personi(2인칭), -bi(3인칭)이지만 /e/를 포함하는 어근에 접미사를 붙이면 /i/가 /e/와 조화를 이룰 수 있다.1인칭 접미사는 동사 어근동사 어근 뒤에 -kii로 나타나며, 다른 동사와 함께 사용될 때는 -hkii로 나타난다.2인칭 객체 접미사는 때때로 -kkii변형될 수 있다.3인칭 접미사는 동형체 -hpi/-hpé, -pi, -bi를 가지며, 3인칭 개체는 0 형태소로 표시되기도 한다.

1인칭 객체 2인칭 객체 3인칭 객체

바이누스키

그/OBJ과거-쓰기-1

바이누스키

그/과거 쓰기-1.OBJ

"그는 나에게 편지를 썼다"

바이누스키

그/OBJ과거-쓰기-2

바이누스키

그/과거 쓰기-2.OBJ

"그는 너에게 편지를 썼다"

바이크레비

그/과거의3 OBJ사람

바이크레비

그/과거-믿음OBJ

"그는 그것을 믿었다"

바이누기

그/과거1OBJ사람

바이누기

그/과거-시-1OBJ

'그는 나를 보았다'

바이누키

그/과거2OBJ사람

바이누키

그/과거-시-2OBJ

"그가 널 봤어"

bi-hwi-hwhwahtti-bi

그/그녀/OBJ과거3 히트-

bi-hwi-hwhwahtti-bi

과거 히트 3OBJ

"그/그녀를 때렸다"

복수의 오브젝트 및 이중의 오브젝트수는, 피사체와 같은 서픽스로 마크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피사체 및 오브젝트 각각의 수에 관한 불명확함을 초래한다.1인칭 또는 2인칭의 목적어 접미사는 때때로 어근이 바뀌며 종종 최종 모음을 떨어뜨린다.

듀얼 오브젝트 / 듀얼 오브젝트 복수 객체/복수 객체

쌍방향

그/PAST그-

냐오

머리를 자르다

-케이

- 너

-wi

-DU

bi-na --kʔi -wi

그/과거-{머리카락}-you -DU

"둘이서 머리를 잘랐어" 또는
"너희 둘의 머리를 잘랐어"

쌍방향

그/PAST그-

냐오

머리를 자르다

-키

- 너

-hhhhh.

-PL

bi-na-ki-hi-hi.

그/과거- {cut hair}-you-PL

'내 머리를 잘랐어' 아니면
"우리 머리 잘랐어"

특성이나 상태를 설명하는 단어의 클래스는 형용사[13] 또는 정지 [14]동사로 묘사되어 왔다.이 단어 클래스는 "남자가 키가 크다", "집이 오래되었다"와 같이 속성을 엔티티에 귀속시키는 의미를 가진 단어로 구성됩니다.이 클래스 내에서 일부 루트는 일반 제목/T/A/M 접두사를 사용하는 반면, 다른 루트는 항상 개체 접미사를 사용하여 환자 또는 대상의 사람을 인코딩합니다.서술어의 환자/주어를 부호화하기 위해 타동사의 환자/객체를 부호화하는 데 사용되는 동일한 접미사를 사용하는 것은 분할 비타협성[12]특성으로 해석되었다.이 현상은 모든 방언에서 발생하지만, 어떤 stative 동사가 목적어 접두사이고, 얼마나 많은 동사가 사용되는지는 방언마다 다릅니다.톨루카 오토미에서는 대부분의 정적 동사가 목적어/환자 접미사와 유사한 접미사와 3인칭 주어 접두사를 사용하여 활용되지만, 현재 연속 주어 접두사는 극소수만 사용한다.다음은 톨루카 [13]오토미의 두 가지 정적 동사 활용의 예입니다.

환자/객체 접미사를 사용하여 서브젝트/에이전트 프리픽스 포함

~하다

그/-PRS

하지 않다

뚱뚱하다

hkkii

나야.

로노홍키

it/PRS-뚱뚱한-나

"나는 뚱뚱해"

드라이브

저는//-PRSCONT

하지 않다

짧다

드라이브

I/PRS/-CONT 쇼트

"나는 키가 작다"

기타 접사

대부분의 오토미 품종은 동사에 다른 종류의 부사적 의미를 부여한다.

Toluca Otomi의 부사접사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bi- 발언자가 목격하는 진행적 사건에 대해 사용되는 증거 접두사(3인칭 단수에만 있음)

인식하다

ùaa

bi-phi

비피피피

Juan은 지금 일하고 있다(그렇구나).

ga- 두 개의 동시 이벤트 또는 다른 이벤트 직전에 하나의 이벤트를 나타내는 접두사.2인칭 ngo-도 있어요

밧테루

언제

가토

가패스타고

r--ta mbr--mi-tho

3//PASTCONT앉다COMPL

바오스가토

ga-pass.by 3/PAST/CONT-sit-COMP일 때

"아버지가 왔을 때 그는 이미 앉아 있었다"

nd(nd) - 어떤 일이 잘 수행되었는지 또는 많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내는 프레픽스.

돈드랑츄

1/-PRFndcpa-discpairs의

돈드랑츄

1/PRF-nd-scared

"너무 무서웠어요"

다른 접사는 초기적 측면, 도구적 기능 또는 목적을 나타낸다.'meanwhile'[13]이라는 뜻의 접미사도 있다.

구문

예를 들어 Toluca의[15] Otomi와 San Ildefonso의 Querétaro와 [16]같은 일부 방언에서는 SVO가 가장 빈번한 어순이지만, Mezquital Otomi와 같은 다른 방언에서는 VSO가 기본적이고 실용적으로 표시되지 않은 어순입니다.[17]오토미조어는 다른 오트망게어족 언어에서 가장 빈번한 기본 어순이기 때문에 VSO 어순도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일부 오토미 방언은 스페인어의 [18]영향을 받아 동사 이니셜에서 주어 이니셜 기본 어순으로 바뀌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의문입자는 처음에 발생하는 문장의 조건부 클래스는 결론에 따른다.명사 [13]뒤에 관계구가 붙는다.

메모들

  1. ^ a b Hekking & 2007. 없음: 2007
  2. ^ Palancar 2006b. 오류:: CITREFalancar
  3. ^ Palancar 2009, 페이지 64. 오류:: 2009 )
  4. ^ Soustelle 1993, 페이지 143-5. 오류:: 1993
  5. ^ Andrews 1993. 오류::
  6. ^ 라스트라(1992:19)
  7. ^ 라스트라 1992년 18-19페이지
  8. ^ 라스트라 2006년 39페이지
  9. ^ 이러한 접두사는 동사(예: 명사)가 아닌 다른 어휘적 소재에 접두사가 붙을 수 있기 때문에 때때로 선언어라고도 한다.이 사용법은 Palancar(2008)와 Voigtlander Echegoyen(1985)이 선호합니다.
  10. ^ a b 라스트라 1996
  11. ^ a b 라스트라(1992:24)
  12. ^ a b 팔랑카 (2008)
  13. ^ a b c d 라스트라(1992)
  14. ^ Palancar (2006, 2008)
  15. ^ 라스트라(1989), 라스트라(1992)
  16. ^ Palancar in Donohue & Wichmann (2008) (358)
  17. ^ 헤스 1968
  18. ^ Hecking & Bakker (2007)

문학.

  • Hekking, Ewald; Dik Bakker (2007). "The Case of Otomí: A contribution to grammatical borrowing in crosslinguistic perspective". In Yaron Matras; Jeanette Sakel (eds.). Grammatical borrowing in cross-linguistic perspective. Walter de Gruyter. ISBN 978-3-11-019628-3.
  • Lastra, Yolanda (2000). "Otomí language shift and some recent efforts to reverse it". In Joshua Fishman (ed.). Can threatened languages be saved? Reversing Language Shift, Revisited: A 21st Century Perspective. Multilingual Matters Ltd. ISBN 1-85359-492-X.
  • Lastra, Yolanda (2001). Unidad y diversidad de la lengua. Relatos otomíes (in Spanish). Universidad Nacional Autonoma de México, Instituto de investigaciones Antropológicas. ISBN 968-36-9509-4.
  • Lastra, Yolanda (1998). Ixtenco Otomí. Lincom. ISBN 3-929075-15-6.
  • Lastra, Yolanda (2006). Los Otomies – Su lengua y su historia (in Spanish). Universidad Nacional Autonoma de México, Instituto de investigaciones Antropológicas. ISBN 970-32-3388-0.
  • Lastra, Yolanda (1992). El Otomí de Toluca (in Spanish). Universidad Nacional Autonoma de México, Instituto de investigaciones Antropológicas. ISBN 968-36-2260-7.
  • Lastra, Yolanda (1989). Otomi de San Andrés Cuexcontitlan, Estado de México (PDF) (in Spanish). Archivo de Lenguas Indígenas. ISBN 968-12-0411-5.
  • Lastra, Yolanda (1996). "Verbal Morphology of Ixtenco Otomi" (PDF). Amerindia. 21: 1–8.
  • Palancar, Enrique L. (2008). "Emergence of Active/Stative alignment in Otomi". In Mark Donohue; Søren Wichmann (eds.). in The Typology of Semantic Alignment. Oxford University Press US. ISBN 978-0-19-923838-5.
  • Palancar, Enrique L. (2006). "Property in Otomi: a language with no adjec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72 (3): 325–66. doi:10.1086/509489. S2CID 144634622.
  • Palancar, Enrique L. (2006). "Intransitivity and the origins of middle voice in Otomi". Linguistics. 44 (3): 613–643. doi:10.1515/ling.2006.020. S2CID 144073740.
  • Voigtlander, Katherine; Artemisa Echegoyen (1985). Luces Contemporaneas del Otomi: Grámatica del Otomi de la Sierra (in Spanish). Mexico, D.F.: Instituto Lingüístico de Verano.
  • Palancar, Enrique L. (2008). "Juxtaposed Adjunct Clauses in Otomi: Expressing Both Depictive and Adverbial Seman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74 (3): 365–392. doi:10.1086/590086. S2CID 144994029.
  • Palancar, Enrique L. (2007). "Cutting and breaking verbs in Otomi: An example of lexical specification". Cognitive Linguistics. 18 (2): 307–317. doi:10.1515/COG.2007.018. S2CID 145122834.
  • Palancar, Enrique L. (2004). "Verbal Morphology and Prosody in Otomi".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70 (3): 251–78. doi:10.1086/425601. S2CID 143924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