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트란 타브리지

Qatran Tabrizi
카트란 타브리지
The Maqbaratoshoara in Tabriz, Iran, where Qatran is buried
카트란이 묻혀 있는 이란 타브리즈마크바라토쇼아라.
네이티브 이름
قطران تبریزی
태어난1009–1004
라와디드 왕조 아자르바이잔 샤디바드
죽은1088년 이후
간자, 아란, 샤다디드 왕조

카트란 타브리지(페르시아어: قطرننن ;;;;;; 1009–1014 – 1088년 이후)는 페르시아[1] 작가로서 11세기 이란의 대표적인 시인 중 한 사람으로 평가받고 있다.북서부 아자르바이잔 지방 출신으로 트란사우차시아 인근 지역은 물론 그곳에서 평생을 보냈으며, 주로 라와디드샤다디드의 지방 왕조 아래에서 궁정 시인으로 활동했다.

배경

카트란은 1009년에서 1014년 사이에 아자르바이잔 북서부의 타브리즈 시 부근의 샤디아바드에서 태어났다.[2]샤디바드는 그의 시 중 한 구절에서 고향으로 언급되는데, 이 구절은 그를 티르미디히, 자발리, 질리, 우르마위, 아잘리 등의 네스바라고 부르는 다른 구절들을 무시한다.15세기 티무리드 시대의 전기 작가 도라트샤 사마르칸디에 따르면, 콰트란의 아버지 이름은 만수르였지만, 이것은 이전의 소식통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카트란은 여러 출처에서 아두디(Adudi)라는 별칭을 얻게 되는데, 이는 집권 라와디드 왕조후예였던 아랍 부족의 이름인 아즈디의 부패라고 주장되어 왔다.[1]

인생

아자르바이잔과 그 주변 지도

콰트란의 삶에 대해 알려진 것은 많지 않다.[1]카트란은 아자리의 이란 사투리를 구사하는 서 페르시아인으로서 후라산의 동 페르시아어 사투리인 '파르시'(즉, 다리)를 이해하는 데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2][a]1046년 타브리즈에서 만난 후라산 시인 나시르 후스로의 사파르나마에서 이런 말이 나온다. "그는 좋은 시를 썼지만 페르시아어를 잘 몰랐다.그는 나와 함께 읽었던 문직다치치(大qi)의 관(官)을 데리고 나에게 와서, 어려움을 발견한 모든 구절에 대해 나에게 의문을 품었다.내가 그 뜻을 말했고 그가 적었소." 다리는 콰트란 같은 서방 페르시아인에게는 알아들을 수 없는 동이란어(소그디안 등)가 들어 있었다.[1][4]콰트란이 페르시아어로 쓰인 어휘를 작곡한 것도 이 때문에 지금까지 살아남지 못한 타파시르 루가트푸르스라는 이름의 어휘를 작곡한 것으로 보인다.[1]그의 작품은 아자르바이잔의 교육받은 인구를 위해 작곡된 현대 아사디 투시의 페르시아어 사전 서문에 언급되어 있다.아사디는 그의 어휘에 카트란의 어떤 구절도 인용하지 않는데, 이것은 작품의 의도가 동 페르시아어에서 사용되는 흔치 않은 단어들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임을 더욱 강조한다.[1][5][6]11세기 중반 셀주크 제국에 의한 이란 통일로, 페르시아 문학 동부는 서부 지방을 뒤흔들 수 있는 더 좋은 기회였다.[7][b]

콰트란은 지방 통치자 밑에서 섬겼던 아자르바이잔과 트란사우차시아에서 일생을 보낸 것 같다.[2]그의 디완은 20세기 이란의 사업가이자 수집가인 하지 모하마드 나흐자바니에 의해 편찬되고 출판되었다.[9]여기에는 약 30명의 고객들을 언급하는 3000–10,000 커플츠가 포함되어 있다.The majority of the odes in his diwan are dedicated to the Rawadid rulers of Tabriz, Abu Mansur Wahsudan (r. 1019–1059) and his successor Abu Nasr Mamlan II (r. 1058/9–1070), as well as the Shaddadid rulers of Ganja, Abu'l-Aswar Shavur ibn Fadl (r. 1022–1067) and Fadl ibn Shavur (r. 1067–1073).다른 유명한 후원자들로는 나크치반의 통치자인 아부둘라-이 다야니가 있다.[10][2]카우스나마("아치 서")와 같이 카트란에게 잘못 귀속된 작품도 있는데, 실제로는 100년 뒤에 살았던 특정 카트란 티르미디의 작품이었다.페르시아의 저명한 시인 루다키(941년 사망)의 일부 작품도 그들의 스타일과 그들의 후원자인 사마니드의 지배자인 나스르 이븐 아마드(r.914–943년)와 아부 나스르 마믈란(Abu Nasr Mamlan)의 이름이 유사하기 때문에 콰트란에게 잘못 귀속되었다.[1][2]콰트란은 아자르바이잔 출신의 최초의 시인으로서 다리에서 시를 지었다.[1]

카트란의 작품은 아자르바이잔과 그의 에서 언급된 코카서스의 많은 이름과 사건들이 그렇지 않았다면 알려지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에 역사학에서도 중요한 출처다.[2]여기에는 다른 것들 중에서 Ghuz가 Arran과 Azarbajan에 침입한 것, 그리고 1040년 Rawadids와 Shaddadids 사이의 평화 조약 등이 포함된다.[8][11]그의 후기 경력 동안, 콰트란은 통풍으로 고통받았는데, 이것은 아마도 그의 좋은 복지를 보여주는 것일지도 모른다.[2]콰트란은 간자에서 죽었다.[2] 그의 사망 날짜는 불확실하다.19세기 페르시아 시인 레자-콜리 헤다야트와 같은 작가들의 일부 설명에 따르면, 콰트란은 1072년에 죽었다.하지만, 아부 나스르 맘란에게 바친 카스다스의 카스다스 중 한 명은 적어도 1088년까지 살았다고 말한다.[1]타치에 따르면, 카트란은 1092년에 죽었다.[10]

레거시

콰트란은 11세기 이란의 대표적인 시인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1]현대 역사학자 데 브루옌은 그를 이란 서부 지방에서 태어난 최초의 저명한 시인이라고 부른다.[7]

메모들

  1. ^ 아자리는 14세기 말까지 다수가 사용하는 아자르바이잔의 원어였다.[3]
  2. ^ 콰트란의 라와디드샤다디드 후원자들은 1054년 셀주크 수저레인을 인정해야 했다.[8]

참조

  1. ^ a b c d e f g h i j 데한 1978년, 페이지 773.
  2. ^ a b c d e f g h 렙카 1968, 페이지 194.
  3. ^ F례 2004, 페이지 321–326.
  4. ^ 드 블루아 2004, 페이지 187.
  5. ^ 드 블루아 2004, 페이지 186–187.
  6. ^ 폴 2000.
  7. ^ a b 드 브뤼옌 1978, 페이지 61.
  8. ^ a b 공작새 2000.
  9. ^ 에트하드 2009.
  10. ^ a b 드 블루아 2004, 페이지 186.
  11. ^ 피콕 2017.

원천

  • de Blois, Francois (2004). Persian Literature - A Bio-Bibliographical Survey: Poetry of the Pre-Mongol Period (Volume V). Routledge. ISBN 978-0947593476.
  • de Bruijn, J.T.P. (1978). "Iran, vii.—Literature". In van Donzel, E.; Lewis, B.; Pellat, Ch. & Bosworth, C. E. (eds.). The Encyclopaedia of Islam, New Edition, Volume IV: Iran–Kha. Leiden: E. J. Brill. pp. 52–75. OCLC 758278456.
  • Dehghan, I. (1978). "Ḳaṭrān". In van Donzel, E.; Lewis, B.; Pellat, Ch. & Bosworth, C. E. (eds.). The Encyclopaedia of Islam, New Edition, Volume IV: Iran–Kha. Leiden: E. J. Brill. OCLC 758278456.
  • Ettehad, Hushang (2009). "Naḵjavāni, Ḥājj Moḥammad". Encyclopædia Iranica, online edition. New York.
  • Frye, R. N. (2004). "Iran v. Peoples of Iran (1) A General Survey". In Yarshater, Ehsan (ed.). Encyclopædia Iranica, Volume XIII/3: Iran II. Iranian history–Iran V. Peoples of Ira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 Kegan Paul. pp. 321–326. ISBN 978-0-933273-89-4.
  • Paul, Ludwig (2000). "Persian Language i. Early New Persian". Encyclopædia Iranica, online edition. New York.
  • Peacock, Andrew (2000). "Shaddadids". Encyclopædia Iranica, online edition. New York.
  • Peacock, Andrew (2017). "Rawwadids". Encyclopædia Iranica, online edition. New York.
  • Rypka, Jan (1968). History of Iranian Literature. Springer Netherlands. ISBN 978-9401034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