랄프 밀리밴드
Ralph Miliband랄프 밀리밴드 | |
---|---|
![]() 1958년 밀리밴드 | |
태어난 | 아돌프 밀리반드 1924년 1월 7일 벨기에 브뤼셀 |
죽은 | 1994년 5월 21일 ( 영국 런던 | (70세)
시민권 |
|
정당 | 노동 (1951~1964) |
배우자 | (1961년)m. |
아이들. | |
학력 | |
모교 | 런던 정경대학 |
논문 | 프랑스 혁명의 대중 사상, 1789년-1794년(1957년) |
박사 어드바이저 | 해럴드 라스키 |
영향 | |
학술적인 일 | |
규율 | 사회학 |
하위 분야 | 정치사회학 |
학교 또는 전통 | |
기관 | |
박사과정 학생 | 레오 패니치[1][2] |
주목받는 학생 | |
주목할 만한 작품 | 자본주의 사회의 국가 (1969년) |
영향받은 | |
군 경력 | |
서비스 | 영국 해군 |
근속 연수 | 1943–1946 |
순위 | 상병 |
시리즈의 일부 |
마르크스주의 |
---|
![]() |
랄프 밀리밴드(Ralph Miliband, 1924년 1월 7일 ~ 1994년 5월 21일)는 영국의 사회학자이다.그는 E.P.와 비교되는 방식으로 "그 세대에서 가장 잘 알려진 학문적 마르크스주의자 중 한 명"으로 묘사되어 왔다. 톰슨, 에릭 홉스봄, 페리 앤더슨.[8]
밀리밴드는 벨기에에서 폴란드계 유대인 노동자 계급의 이민자들 사이에서 태어났다.그는 1940년 나치 독일이 벨기에를 침공했을 때 박해를 피하기 위해 아버지와 함께 영국으로 도망쳤다.영어를 배우고 런던 정경대학에 입학하면서 그는 좌파 정치에 관여하게 되었고 칼 마르크스의 무덤에서 사회주의를 위해 헌신했다.제2차 세계대전 중 영국 해군에 복무한 뒤 1946년 런던에 정착해 1948년 영국 국적을 취득했다.
1960년대까지, 그는 소련과 중앙 유럽의 확립된 사회주의 정부에 비판적인 영국의 신좌파 운동의 중요한 멤버였다.그는 마르크스주의 이론과 자본주의 비판에 관한 몇 권의 책을 출판했는데, 의회 사회주의,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국가, 마르크스주의와 정치 등이 그것이다.
그의 아들 데이비드 밀리밴드와 에드 밀리밴드는 둘 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노동당의 고위 당원이 되었다.David은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영국 외무부 장관을 지냈고, Ed는 에너지 및 기후 변화 장관이 되었고, 이후 2010년부터 2015년까지 당 대표로 선출되었습니다.
인생과 경력
초기 생활: 1924~1940
밀리밴드의 부모는 폴란드 바르샤바의 가난한 유대인 지역에서 자랐다.사무엘 밀리밴드는 [9]바르샤바의 사회주의 유대인 노동당의 일원이었다.
1922년, 그들은 1차 세계대전 [10]이후 벨기에의 브뤼셀로 서쪽으로 이주한 폴란드 유대인들 중 하나였다.밀리밴드의 부모님이 처음 만났고 [9]1923년에 결혼했어요.그의 아버지 사무엘 (1895–1966)은 가죽제품을 만드는 숙련된 장인이었고, 그의 어머니 레니아 (또는 레니, 1901–1975)는 여성 모자를 [9]팔며 돌아다녔다.그녀는 이웃에게 숨기고 이 직업에서 일해야 하는 것에 당황했지만, [citation needed]1930년대 대공황의 경제난으로 인해 추가 수입을 필요로 했다.레니아는 폴란드어를 유창하게 말했지만, 그녀의 남편은 매우 기초적인 교육만 받았고 아마도 이디시어만 말했을 것이지만,[11] 그는 신문을 읽으며 독학으로 프랑스어를 배웠다.그들의 아들 아돌페는 1924년 1월 7일 브뤼셀에서 태어났다.
그는 생길레스의 노동자 계급 공동체에서 자랐고, 1939년 15세의 나이에 사회주의-시온주의 청년 [9]단체인 하쇼머 핫자이어의 회원이 되었다.1940년 5월,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후, 나치 독일의 군대가 벨기에를 침공했고, 밀리반드 가족은 유대인인 반유대주의 나치 당국에서 벨기에를 탈출하기로 결정했다.그들은 파리행 기차를 놓쳤고, 아돌페는 당시 16살이었지만, 가족은 그의 여동생 안나 헬렌이 12살 밖에 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았다.레니아와 안나 헬렌은 브뤼셀에 머무르고 샘과 랄프는 파리로 여행을 떠나기로 결정했다.하지만 도중에 샘은 계획을 바꾸기로 결심하고 아들과 함께 오스텐드로 갔고 그곳에서 그들은 영국으로 가는 마지막 배를 잡았다.그들은 1940년 [11]5월 19일에 그곳에 도착했다.
초기 영국: 1940~1959년
런던에서 밀리밴드는 나치 지도자 아돌프 히틀러와의 연관성 때문에 아돌프라는 이름을 버리고 대신 자신을 랄프라고 부르기 시작했다.그와 그의 아버지는 치스윅 지역에서 블리츠에서 폭격당한 집의 가구를 옮기는 일을 했고, 6주 후에 레니아와 앤 마리에게 그들이 런던에 있다는 소식을 보낼 수 있었다.벨기에의 유대인들이 나치에 의해 홀로코스트의 말살 수용소로 보내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 레니아와 앤 마리는 전쟁이 끝난 후 샘과 [11]랄프와 재회할 때까지 프랑스 가족에 의해 숨겨져 있던 시골 농장으로 도망쳤다.하지만, 밀리밴드의 친척들과 그의 가장 친한 친구 모리스 탄은 [9]홀로코스트에서 죽었다.
실망스럽게도, 10대 밀리밴드는 런던에서 반유대주의를 만났다.영국에 도착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작성한 일기에 그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
그 영국인은 광신적인 민족주의자다.그들은 아마도 세계에서 가장 국수주의적인 사람들일 것이다.당신이 이 전쟁에 대한 영국인들의 이야기를 들을 때, 당신은 때때로 그들이 상황을 보여주기 위해 그것을 잃어버리기를 거의 원할 것이다.그들은 대륙 전반, 특히 프랑스에 대해 가장 경멸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그들은 패배하기 전의 프랑스인들을 싫어했다...패배 이후, 그들은 프랑스 군대를 가장 경멸하고 있다...영국 먼저.이 슬로건은 영국 국민 전체에 의해 당연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그들의 제국을 잃는 것은 최악의 [12]굴욕일 것이다.
영어를 배운 랄프는 1941년 1월 국제난민연맹의 도움으로 런던 서부에 있는 액튼 기술 대학(현 브루넬 대학)[13]에 입학했다.그곳에서 과정을 마친 후, 그는 런던 정경대에서 공부하기 위해 망명 중인 벨기에 정부의 도움을 받았다.그는 마르크스주의와 혁명적 사회주의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런던 북부 하이게이트 묘지에 있는 마르크스주의의 창시자 칼 마르크스의 묘소를 찾아 "노동자의 대의"[8]를 위한 선서를 했다.한편, Luftwaffe의 런던 공습으로 LSE는 캠브리지의 Peterhouse 구내로 대피했다.역사학자이자 사회주의 이론가인 Harold Laski는 당시 LSE에서 지배적인 인물이었다.밀리밴드는 라스키 밑에서 공부했고 정치적으로 [11]상당한 영향을 받았다.
밀리반드는 저항운동을 돕기 위해 벨기에에 파견되는 것을 자원했고 1942년 1월 그의 의술을 통과시켰지만 폴란드 당국의 동의가 있을 때까지 폴란드 국적으로 그는 입대할 수 없었다.그는 라스키에게 군복무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요청했고, 곧이어 해군 제1경 A. V. 알렉산더는 그에게 "그것을 고쳐줄 해군 제독의 부제독을 찾아가라"고 조언하는 편지를 썼다.밀리밴드는 1943년 [12]6월에 영국 해군에 입대했다.그는 3년 동안 영국 해군의 벨기에 부대에서 근무하며 최고 [10]소령 계급에 올랐다.그는 독일군 무선 [9][14]통신을 차단하는 임무를 맡은 지중해의 독일어권 무선 정보 장교로 여러 군함에서 복무했다.몇 달이 지나자 그의 초기 흥분이 곧 사라졌고, 1944년 6월 그는 노르망디 상륙작전을 지원하는 데 참여했는데, 그 작전은 "역사상 가장 큰 작전"이었고 "어떤 일이 있어도 놓치지 않을 것"이라고 썼다.그는 툴롱 [12]상륙작전에서 추가 작전을 목격했다.
전쟁 후, 밀리밴드는 1946년에 LSE에서 공부를 재개하여 1947년에 [9]1급 학위를 받고 졸업했습니다.그는 1947년 1789-1794년 프랑스 대혁명의 대중사상에 관한 박사학위를 받기 시작했지만 [9]1956년까지 논문을 완성하지 못했다.LSE에서 공부를 계속하기 위해 Liverhulme 연구 장학금을 받은 후, Miliband는 시카고에 있는 Roosevelt College(현재의 Roosevelt University)에서 가르쳤다.그는 1948년 [15]9월 28일 영국 국적이 되었다.1949년 그는 [9]LSE에서 정치학 조교수직을 제안받았다.
신좌파: 1960~1994년
밀리밴드는 1951년 노동당에 입당했고 1950년대 초에는 마지못해 베바나이트였다.그는 E.P.와 함께 영국 신좌파에 가입했다. 톰슨과 존 새빌은 1958년 뉴 리저에서 1960년 뉴 레프트 리뷰가 되었다.
밀리밴드는 1961년 영국 정치와 사회에서 노동당이 맡은 역할을 마르크스주의 입장에서 살펴본 첫 번째 저서 의회사회주의([14]Parlibal Socialism)를 출간했다.폴 블랙리지는 나중에 그것이 "논의의의 여지없이 밀리밴드의 가장 훌륭한 작품"[8]이라고 주장할 것이다.그는 1960년대 중반에 노동당 당적을 종료했고, 그 후 공식적인 정치적 [10]입당으로부터 독립했다.그는 영국의 사회주의자들이 진정으로 혁명적인 사회주의자가 [8]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대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그는 또한 1964년 새빌과 함께 사회학 등록부를 만들었고 미국 사회학자 C의 영향을 받았다. 그가 친구였던 라이트 밀스.그는 1969년 마르크스주의 정치사회학 연구서인 자본주의 사회학(The State in Capitalist Society)을 발표하면서 다원주의가 정치력을 확산시킨다는 생각을 배척하고 서구 민주주의에서 그 힘을 유지하는 것이 지배층의 [9]손에 집중됐다.
밀리밴드는 미국이 베트남 전쟁에 개입하는 것을 열렬히 반대했다.1967년 그는 사회당 등록부에 다음과 같이 썼다. "미국은 ...년 이상 약혼했다...남성, 여성, 어린이를 대량 학살하고, 더 많은 사람들을 불구로 만들고, 베트남 국민에 대한 미국의 "공포의 목록"이 "엄청난 거짓말의 이름으로" 행해지고 있다는 것이다.같은 기사에서 그는 해롤드 윌슨이 베트남에서 미국의 행동을 옹호한 것에 대해 공격하면서 "노동당 역사상 가장 부끄러운 시기"라고 묘사했다.그는 이어 미국 정부는 영국 노동당 정부의 변함없는 지지와 관련된 정치적, 외교적 중요성을 숨기지 않았다고 말했다.[16]
그는 지난 몇 년간 LSE를 둘러싼 논란, 특히 1960년대 후반 학생 시위에 대한 LSE의 대응으로 인해 괴로워한 자신을 발견하고 1972년에 LSE를 떠났다.그는 리즈 대학의 정치학 교수직에 취임했다.리즈에서의 시간은 밀리밴드에게 불행한 시기였다.이사 직후 심장마비를 일으켜 부장으로서의 [9]행정 책임을 다하지 못했다.그는 1978년에 사임한 후 캐나다와 미국에서 [9]여러 직책을 맡기로 했다.1977년 브랜다이스대 교수로 재직했으며 토론토 요크대,[14] 뉴욕시립대 등 북미의 다른 대학에서도 강연했다.[14]그는 1977년에 마르크스주의와 정치를 출판했고 1982년에는 영국에서 자본주의 민주주의를 출판했다.지금까지 밀리밴드는 타리크 알리, 힐러리 웨인라이트 [17][18]같은 친구들과 함께 사회학회에서 활동하였다.
1985년 에릭 홉스봄 스튜어트 [20]홀 등 마르크스주의 투데이 잡지와 관련된 작가들에 대한 그의 논설인[19] 뉴 레프트 리뷰 25주년호에 실렸다.그들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홉스봄은 밀리밴드의 오랜 친구였다.

그는 만년에 심장질환을 앓았고 1991년에 우회수술을 받았다.그는 1994년 [21]5월 21일 70세의 나이로 사망했고 아내와 아들들을 남겼다.그는 칼 [22]마르크스와 가까운 하이게이트 묘지에 묻혔다.그의 마지막 책, 회의적인 시대를 위한 사회주의는 그가 [10]죽은 후 1994년에 출판되었다.
사생활
랄프는 1961년 [23]9월 폴란드 태생의 마리온 코작과 결혼했다.그녀는 폴란드계 유대인 혈통을 가진 철강 제조업자 데이비드 코작의 딸이었고 LSE에서 그의 이전 제자 중 한 명이었다.그들은 프림로즈 힐에, 그리고 나중에 사우스 켄징턴의 볼튼 가든에 집을 만들었고 1965년 데이비드와 1969년 에드워드라는 두 아들을 낳았다.
데이비드 & 에드 밀리밴드
그의 두 아들은 둘 다 노동당 정치인이 되었고, 2007년 그들은 1938년 이후 처음으로 내각으로 함께 일하는 형제자매가 되었다.그의 장남인 데이비드는 2001년부터 2013년까지 사우스 쉴즈의 노동당 하원의원이었다.2005년부터 2010년까지 그는 내각에서 근무했으며, 나중에는 외무장관을 역임했다.그의 작은 아들인 에드는 2005년 돈캐스터 노스 의원의 노동당 의원으로 선출되었다.2007년부터 2008년까지 국무조정실에서 제3섹터 장관을 역임했으며 2010년 총선 때 노동당의 성명서를 작성했다.2008년 10월, 신설된 에너지·기후변화성(DECC)의 서기로 승진했습니다.2010년 [24]9월 25일, 그는 데이비드도 출마한 지도부 경선을 거쳐 노동당의[24] 20대 당수가 되었다.데이비드는 2013년에 정계에서 물러날 예정이었지만, 에드는 2015년 총선의 여파로 제레미 코빈의 [25]지도 하에 백 컨설턴트로 잠시 근무한 후, 후에 키르 스타머의 지도 하에 비즈니스, 에너지 및 산업 전략 담당 섀도우 장관을 역임했습니다.
인디펜던트의 언론인 앤디 맥스미스는 랄프, 데이비드, 에드의 삶을 비교하면서 이 노인은 그의 아들들의 "안정적이고 실용적인 정치 경력"[11]에 부족한 "고귀와 드라마"를 가졌다고 말했다.2013년 9월 27일, 데일리 메일은 "영국을 증오한 남자"라는 제목과 함께 랄프 밀리밴드의 애국심에 이의를 제기하는 기사를 실었다.협상 후 사흘 뒤 신문은 에드 밀리밴드가 아버지의 삶을 묘사하고 데일리메일의 기사는 인신공격이라고 답변한 내용을 실었다.이 답변과 동시에 이 신문은 자신의 주장을 되풀이하고 사과 [26]거부 사설을 실었다.노동당 대표실은 밀리밴드가 사망한 아버지의 평판을 공정하게 다루기를 원한다고 응답했다.그 신문은 그것이 그의 아버지를 더럽혔다는 것을 인정하기는커녕 원래의 주장을 되풀이하고 있다.이것은 단순히 데일리 메일을 더 줄인다.이 신문이 전쟁 참전용사, 나치 유대인 난민, 저명한 학자에 대해 다룬 것이 우리 모두가 정치적 [27]논쟁에서 기대해야 할 가치와 품위를 반영하는 것인지 아닌지는 사람들이 판단할 것입니다."에드 밀리밴드의 답변은 정치권 전반에서 지지를 얻었고 데이비드 캐머런 보수당 총리의 지지를 받았다.일요판 메일 기자가 에드 밀리밴드 삼촌의 개인 장례식에 침입한 사실이 드러나자 신문사 사주와 일요판 편집자는 이에 [28][29]대해 사과했다.
참고 문헌
- 의회 사회주의: 노동정치에 관한 연구(1961년). ISBN0-85036-135-4.
- 자본주의 사회의 국가(1969), ISBN 0-7043-1028-7
- 마르크스주의와 정치 (옥스포드: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977년) ISBN 0-85036-531-7
- 영국의 자본주의 민주주의(Oxford: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1982년) ISBN 0-19-827445-9
- 클래스 전력 및 스테이트 전력(런던:Verso, 1983) ISBN 0-86091-073-3(크로), 0-86091-773-8(pbk)
- 분단된 사회: 현대자본주의의 계급투쟁(1989년)
- 회의적인 시대를 위한 사회주의 (캠브리지:Polity Press, 1994년) ISBN 0-7456-1426-4 (바운드), 0-7456-1427-2 (pbk)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Hurl, Chris; Christensen, Benjamin (2016). "Building the New Canadian Political Economy" (PDF). Studies in Political Economy. 96: 183. doi:10.1080/19187033.2015.11674942. ISSN 1918-7033. S2CID 155950833.
- ^ Panitch, Leo (7 August 2014). "Interview – Leo Panitch". E-International Relations. Interviewed by Fletcher, Louis. Retrieved 15 July 2020.
- ^ Allen, Josh (18 October 2013). "The Resurrection of Ralph Miliband". Jacobin. Retrieved 18 June 2020.
- ^ Kidd, Colin (2011). "The Warren Commission and the Dons: An Anglo-American Microhistory". Modern Intellectual History. 8 (2): 415. doi:10.1017/S1479244311000242. ISSN 1479-2443. S2CID 144003532.
- ^ Hopkinson, Amanda (16 February 2012). "Allan Segal Obituary". The Guardian. London. Retrieved 18 June 2020.
- ^ Coates, Tom (27 September 2018). "David Coates Obituary". The Guardian. London. Retrieved 23 June 2020.
- ^ Sunkara, Bhaskar (2014). "Project Jacobin". New Left Review (90): 35. Retrieved 18 June 2020.
- ^ a b c d Blackledge, Paul (4 January 2011). "Labourism and socialism: Ralph Miliband's Marxism". International Socialism. No. 129. Socialist Workers Party. ISSN 1754-465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November 2013. Retrieved 13 November 2013.
- ^ a b c d e f g h i j k l Michael Newman (2004). "Miliband, Ralph [formerly Adolphe] (1924–1994)".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nline ed.).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ref:odnb/55138. (구독 또는 영국 공공도서관 회원권 필요)
- ^ a b c d Ali, Tariq (24 May 1994). "Obituary: Professor Ralph Miliband". The Independ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October 2013. Retrieved 1 October 2013.
- ^ a b c d e McSmith, Andy (7 September 2010). "Ralph Miliband: The father of a new generation". The Independen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October 2013. Retrieved 14 November 2013.
- ^ a b c Simkin, John. "Ralph Miliband: Biography". Spartacus Education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October 2013. Retrieved 10 July 2011.
- ^ "History". Brunel University Lond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October 2013. Retrieved 2 October 2013.
- ^ a b c d "Obituary: Professor Ralph Miliband". The Daily Telegraph. 1 October 2013 [First published 7 June 199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October 2013. Retrieved 1 October 2013.
- ^ "No. 38454". The London Gazette. 12 November 1948. p. 5949.
- ^ Miliband, Ralph (1967). "Vietnam and Western Socialism". The Socialist Register. Vol. 4, no. 1. London: Merlin Press. pp. 11–25. ISSN 0081-06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November 2013. Retrieved 7 May 2008.
- ^ Callaghan, John; Fielding, Steven; Ludlam, Steve, eds. (2003). Interpreting the Labour Party: Approaches to Labour Politics and History. Manchester: Manchester University Press. p. 67. ISBN 9780719067198.
- ^ Taylor, Matthew (1 October 2013). "Ralph Miliband friends dismiss Daily Mail's 'utterly grotesque' profile".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October 2013. Retrieved 1 October 2013.
- ^ Miliband, Ralph (March–April 1985). "The new revisionism in Britain". New Left Review. Vol. I, no. 150.
- ^ Panitch, Leo. "Ralph Miliband, Socialist Intellectual, 1924–1994". The Socialist Register 1995. pp. 1–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October 2013.
- ^ "From the archive, 23 May 1994: Ralph Miliband obituary - In the first rank of the dissenters". The Guardian. 10 March 2013.
- ^ Newsnight. 23 September 2010. BBC2.
- ^ Beckett, Andy (28 February 2004). "In the house of the rising sons".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October 2013. Retrieved 15 May 2010.
- ^ a b "Ed Miliband to take on brother David in leader battle". BBC News. 15 May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May 2010. Retrieved 15 May 2010.
- ^ "Labour: Ed Miliband returns to Labour shadow cabinet". BBC News. 6 April 2020. Retrieved 25 January 2021.
- ^ Siddique, Haroon (1 October 2013). "Ralph Miliband row: what the Mail said and how Ed Miliband responded". The Guardian. Retrieved 23 October 2020.
- ^ Wintour, Patrick (1 October 2013). "Ed Miliband attacks Daily Mail for smearing his father".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October 2013. Retrieved 14 November 2013.
- ^ Mason, Rowena; Aitkenhead, Decca (4 October 2013). "Mail attack on Ed Miliband worse than anything I faced, says Neil Kinnock".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August 2014. Retrieved 11 April 2014.
- ^ Watt, Nicholas (8 October 2013). "Ed Miliband was right to challenge Daily Mail, says David Cameron".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August 2014. Retrieved 11 April 2014.
인용된 작품
- Hallas, Duncan (1990). "Partial Vision". Socialist Worker Review 127. London: Socialist Workers' Party.
- Newman, Michael (2002). Ralph Miliband and the Politics of the New Left. London: The Merlin Press. ISBN 978-0-85036-513-9.
추가 정보
- 아로노위츠, 스탠리, 피터 브래시스.잃어버린 패러다임: 국가이론 재고 (미네소타 대학 출판부, 2002)
- 바로, C, 번햄, P., 웨덜리, P. 에드자본주의 사회의 계급, 권력, 국가: 랄프 밀리밴드에 관한 에세이 (런던: 팰그레이브)
- Blackledge, Paul (2013). "Labourism and Socialism: Ralph Miliband's Marxism". International Socialism 129. London.
- 뉴먼, 마이클랄프 밀리밴드와 신좌파의 정치(멀린 프레스, 2002)
외부 링크
- marxists.org의 Ralph Miliband 아카이브
- 밀리밴드 목록(marxists.org)
- 립맨-밀리밴드 트러스트
- 리즈 대학 도서관 자료
- 사회당 등록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