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므넬 케이크
Simnel cake![]() 시므넬 케이크 | |
유형 | 과일케이크 |
---|---|
코스 | 디저트 |
원산지 | 영국 |
심넬 케이크는 영국, 아일랜드 및 그 밖의 국가에서 널리 먹히는 과일 케이크로서, 사순절과 부활절과 관련된 이주 패턴을 가지고 있다. 아몬드 페이스트나 마지팬의 층으로 구분되는데, 보통 가운데와 위에 한 겹씩, 그리고 같은 페이스트로 만든 11개의 공 세트로 구분된다. 원래는 사순절의 네 번째 일요일로 만들어졌는데,[1] 사순절의 상쾌한 일요일(40일 단식이 풀릴 때), 마더링 일요일, 오곡절의 일요일 [2]또는 심넬 선데이에 케이크 이름을 붙였다.[3] 영국에서 그것은 이제 일반적으로 부활절 일요일과 연관되어 있다.[4]
장식
관례적으로 11개의 마르지판 공이 케이크를 장식하는데 사용되는데, 이는 유다 이스카리오트를 뺀 12명의 사도들을 상징하며,[1][5][6] 때로는 예수와 11명의 사도들을 대표하는 12명의 사도들을 상징한다.[7][8] 그러나 마르지판 공으로 장식하는 것에 대한 초기 언급은 메이 바이런의 팟럭 쿠커리에 나타나지만,[9][10] 이 이야기는 전혀 언급되지 않았으며, 그녀의 버전은 때때로 새로워진 이전 스타일에서 파생된 것일 수도 있다.[11]
재료
심넬 케이크는 옅은 과일 케이크로서 일반적으로 하얀 밀가루, 설탕, 버터, 달걀, 향기로운 향신료, 말린 과일, 정력, 설탕에 절인 껍질 등으로 만들어진다. 때때로 오렌지 꽃 물이나 브랜디가 케이크 반죽에 사용되거나 아몬드 페이스트의 맛을 내기 위해 사용된다. 대부분의 현대판에서는 마르지판이나 아몬드 페이스트가 케이크의 속을 채우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케이크가 익기 전에 믹스 가운데 층을 깔아 놓았고, 위에 장식용으로도 사용된다.[12] 대부분의 레시피는 적어도 90분 이상의 조리가 필요하며, 여러 겹의 베이킹 파지를 사용하여 양철에 줄을 서게 하고, 때로는 갈색 종이를 겉으로 감싸 마르지판이 타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13]
역사
심넬 케이크는 적어도 중세시대부터 알려져 왔다. 당시의 빵 규제에 따르면 그것들은 삶아서 구운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것은 적어도 1745년부터 1930년대까지 발명 신화를 낳게 한 기법으로,[14][15] 신화적인 커플인 사이먼과 넬리가 심넬을 만드는 것에 대해 빠져들게 했다. 하나는 삶고, 하나는 굽고, 다른 하나는 다양한 가정용 기구로 서로를 때린 후, 그들은 두 가지 요리 기법을 모두 사용하는 것을 타협한다.
시넬 케이크는 종종 시넬 선데이라고도 알려진 마더링 선데이와도 관련이 있다.[16][17] 역사학자 로널드 허튼에 따르면 17세기 글루스터셔와 우스터셔는 마더링 선데이(Mothering Sayday)에 산제 견습생과 가정 하인들이 어머니를 찾아 집으로 가는 풍습이 시작돼 가족이 잘 있는지 확인하고 필요할 경우 음식이나 돈을 챙긴다. 이때는 식품 재고량이 적었던 시기였고, 고칼로리 시몬 케이크는 유용한 영양소였다.[16] 그 케이크는 나중에 간단히 부활절 케이크가 되었다.[18]
심넬(simnel)이라는 말의 의미는 분명하지 않다: 라틴어 시밀라에서 가장 좋은 흰 빵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심넬로 만든 빵"을 가리키는 1226개의 언급이 있다,[19] "미세 밀가루"(이로부터 '세몰리나'도 파생된다). 존 드 갈란데는 그 단어가 태반 케이크,[3] 즉 비위를 맞추려는 케익과 맞먹는다고 느꼈다.[20]
변형
다른 마을들은 그들만의 시멜 케이크의 조리법과 모양을 가지고 있었다. Burry와 Shurresbury 둘 다 그들만의 레시피에 많은 수를 생산했다. 챔버스 북 오브 데이즈 (1869)에는 슈루즈베리 심넬 케이크의 삽화가 들어 있는데,[21] 그 중 다음과 같다.
"쇼프셔와 헤어퍼드셔에서는 오래된 관습이고, 특히 슈루즈베리에서는 사순절과 부활절에 만들고, 크리스마스에는 부귀하고 비싼 케이크 종류로 심넬 케이크라고 한다. 그것들은 부풀린 케이크인데, 그 껍질은 고운 밀가루와 물로 되어 있고, 깊은 노란 색을 줄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샤프란이 있고, 내부는 매우 풍부한 매실 케이크 재료로 가득 차 있으며, 설탕에 절인 레몬 껍질 등이 풍부하다. 그것들은 매우 뻣뻣하게 만들어져 있고, 헝겊에 묶인 후 몇 시간 동안 끓이고, 그 후에 달걀로 스친 후 구워진다. 팔 준비가 되면 껍질은 나무로 만든 것처럼 딱딱하다... 슈루즈베리에서는 현재 판매되고 있는 크고 작은 케이크를 대표하는 동반 판화 이런 케이크의 사용은 분명히 아주 오래된 것 중 하나일 겁니다."
오늘날, 영국의 다른 곳과 마찬가지로 슈루즈베리에서는 보통 Simnel 케이크가 Burge 레시피로 만들어진다.[21]
참고 항목
참조
- ^ a b "Mothering Sunday". bbc.co.uk. Retrieved 14 July 2012.
- ^
Herbermann, Charles, ed. (1913). "Laetare Sunday". Catholic Encyclopedia.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 ^ a b Massey, Gerald (2007). A Book of the Beginnings. Cosimo, Inc. p. 269.
- ^ Berry, Mary. "Easter cake recipe". BBC Food. Retrieved 4 April 2021.
- ^ Cory, Lara (19 March 2012). "The Debated History of the Simnel Cake". Foodepe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June 2012. Retrieved 14 July 2012.
- ^ "Cook the Perfect... Simnel Cake". BBC Radio 4 Woman's Hou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April 2014. Retrieved 27 September 2012.
- ^ Taylor, Anna-Louise (23 January 2012). "Food symbolism: Why do we give food meaning?". bbc.co.uk. Retrieved 9 April 2012.
- ^ Broomfield, Andrea (2007). Food and cooking in Victorian England: a histo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p. 155.
- ^ Byron, May Clarissa Gillington (1926). Pot-luck (7th ed.). p. 421.
- ^ "Gloucester Simnel Cake". The Foods of England. Retrieved 2017-04-28.
- ^ "Shrewsbury Simnel Cake". The Foods of England. Retrieved 2017-04-28.
- ^ "Traditional Simnel Cake Recipe". blog.rachelcotterill.com.
- ^ Cloake, Felicity (2015-03-26). "How to cook the perfect simnel cake". The Guardian. ISSN 0261-3077. Retrieved 2017-04-28.
- ^ Anon (1745). Veillée à la campagne: or, the Simnel. A tale. [In verse.]. London: R. Manby & H. S. Cox.
- ^ "Simnel Cakes". The Times. 21 March 1924.
- ^ a b Joseph Lee (30 March 2019). "Mother's Day: From medieval brawls to greeting cards and flowers". BBC News.
- ^ "simnel". Oxford English Dictionary (Online ed.). Oxford University Press. (가입 또는 참여기관 회원가입 필요)
- ^ Davidson, Alan (2014). The Oxford Companion to Foo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677337.
- ^ Harland, John; Wilkinson, Thomas Turner (1867). Lancashire folk-lore. F. Warne. pp. 223–224.
- ^ Toussaint-Samat, Maguelonne (2009). A History of Food. John Wiley & Sons. p. 206.
- ^ a b "Foods of England - Shrewsbury Simnel Cake". www.foodsofengland.co.uk. Retrieved 4 April 2021.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시넬 케이크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