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뉴버그
Steven Neuberg![]() |
스티븐 L. Neuberg는 실험적인 사회 심리학자로, 연구는 사람의 인식,[1] 인상 형성,[2] 고정관념,[3] 편견,[4] 자기 실현 예언,[5] 고정관념 위협,[6] 그리고 친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주제에 기여했다.[7] 그의 연구는 동기와 목표가 사회적 사고 과정을 형성하는 방법을 탐구하는 것으로 광범위하게 특징지어질 수 있다; 이 접근법을 확장하면서, 그의 후기 연구는 진화 심리학의 적응주의적 논리를 사용하여 사회적 인식과 사회적 행동에 대한 연구를 알려준다.[8] 뉴버그는 60편이 넘는 학술적 기사와 장들을 출간했으며, 동료인 더글러스 케릭, 로버트 시알디니와 함께 다편집 사회심리학 교과서를 공동 집필했다.[9]
학력
뉴버그는 1983년 코넬 대학에서 심리학을 전공하여 학사 학위를 받았다. 그의 학부 우등 논문은 토마스 길로비치의 감독하에 토마스 아서 라이언 학부 연구상을 받았다. 1987년 수잔 피스크의 감독 아래 사회심리학 전문인 카네기멜론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워터루 대학교에서 NATO 박사 후 펠로우십을 수료하고 마크 잔나와 함께 일한 뒤 1988년 애리조나 주립 대학교의 교수진에 합류해 현재 심리학 교수로 재직 [10]중이고 복수 교수상을 수상한 바 있다.
뉴버그는 실험사회심리학회, 심리과학협회, 인성사회심리학회, 미국심리학회 회원이다. 그는 실험사회심리학 저널의 부편집장을 지냈고, 여러 저널 편집위원회와 연방 보조금 패널에서 일했다.
선택연구
(1) 동료인 더글러스 케릭과 함께, 마크 샬러, D. Vaughn Becker, Jon Maner, Bladas Griskevicius, Neuberg는 어떻게 근본적인 사회적 목표(예: 자기 보호, 질병 회피, 사회 제휴, 지위 획득, 짝 획득, 짝 유지, 자녀 양육)가 사회적 인식, 주의, 분류, 기억, 데시스를 형성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한 진화에 정통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했다.이온 제조와 행동.[11][12] 광범위한 새로운 경험적 발견을 창출하는 것 외에도, 이 틀은 아브라함 매슬로의 고전적인 욕구 위계를 재조명하기 위해 채택되었다.[13]
(2) Neuberg는 캐서린 Cottrell 등과 함께 편견과 사회적 가치의 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자신이 '사회 기능적 접근법'이라고 부르는 것을 채용했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인간의 사회적 선호도가 초사회적 동물이라는 진화된 본성에 의해 상당히 제한되어 있으며, 따라서 사람들은 집단 내에서 효과적인 기능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이는 개인과 집단을 중시하고 이를 위협하는 것으로 보이는 사람들을 오명을 씌운다는 가정에 근거한다. 그들의 이론과 일관되게, 코트렐과 뉴버그는 사람들이 다른 집단들에 대해 질적으로 뚜렷한 편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다른 그룹에 의해 제기되는 다양한 유형적 위협(예: 건강, 가치, 신체적 안전)에 대한 인식(정확하든 그렇지 않든)[14] 사회기능적 접근방식의 두 번째 작업 라인은 사람들이 관계의 성격에 특정한 특성(예: 프로젝트 팀 구성원의 지능 또는 소셜 클럽 구성원의 외향적 특성)을 소유하기 위해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을 매우 원하는 반면, 사람들은 어떤 개인에 대한 신뢰감을 강력하게 중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상호의존의 영역에 관계없이, 그들은 매우 상호의존적이다.[15]
(3)수잔 피스크와 스티븐은 노이 베르크는는 사람들이 대상 인물의 individuating 특성을 비교 대상의 인상을 만들기 위해 사회적 범주 고정 관념을 고용하고 있는 범위 시기를 결정하는 및 정보 동기 상황 제대로 인상 형성(그 연속체 모델)의 저명한 모델을 발달시켰습니다.[16][17] 2010년 초 현재, Continuum 모델은 과학 문헌 내에서 거의 900번 인용되었다.[18]
(4) 뉴버그도 대인관계 자기충족 예언문학에 공헌했다. 대인관계 자기실현 예언은 지각하는 대상 납에 대한 지각자의 부정확한 기대가, 심지어 의도치 않게도, 지각자의 초기 잘못된 기대를 객관적으로 뒷받침하는 표적 행동을 가져올 때, 예를 들어, 교사가 특정 학생이 h를 부정확하게 예상할 때 존재한다.수학에 대한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선생님은 그 학생에게 덜 격려를 해주게 되고, 그 학생은 그렇지 않으면 그녀가 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나쁜 성적을 거두게 된다. Neuberg의 연구는 그러한 부정적인 기대 효과는 지각의 범위와 목표 목표에 의해 완화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예를 들어, 동기가 정확하거나 좋아하거나 대상이 자기표현적으로 주장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은 인식자와 대상 상호작용의 대인관계를 변화시키고 부정적인 자기충족적 예언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19][20][21]
(5) Neuberg와 Newsom은[22] Megan Thompson과 그녀의 동료들에 의해 만들어진 Personal Needs for Structure의 규모를 부각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23] PNS는 사람들이 단순히 구조화된 믿음과 생활 활동을 선호하는 정도를 평가한다. PNS인 톰슨 외 연구원의 '불효성에 대한 개인적 공포'[24] 척도, 웹스터와 크루글란스키에 의한 개념적·운영적으로 유사한 인지폐쇄 필요 척도 사이의 관계를 심도 있게 탐구해 왔다.[25][26][27][28]
선택한 게시물
Neuberg, S. L., Kenrick, D. T, & 샬러, M. (2010) 진화적 사회심리학. S. T. Fiske, D. Gilbert, & G. Lindzey (Eds.)에서 사회심리학 핸드북(5차 개정, 페이지 761–796). 뉴욕: John Wiley & Sons.
샤피로, J. S. & Neuberg, S. L. (2007) 고정관념 위협에서 고정관념 위협까지: 원인, 중재자, 중재자, 결과 및 개입에 대한 다중 위협 프레임워크의 영향. 성격과 사회심리학 리뷰, 11, 107-130.
Cottrell, C. A. Neuberg, S. L., & Li, N. P. (2007)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에게서 무엇을 원하는가? 다양한 가치관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기능적 관점. 인성과 사회심리학 저널 92, 208-231.
Kurzban, R, & Neuberg, S. L. (2005) 그룹 내 및 그룹 내 관계 관리 D. 버스 (Ed.)에서 진화 심리학 핸드북 (pp. 653–675)을 참조한다. 뉴욕: John Wiley & Sons.
Cottrell, C. A. & Neuberg, S. L. (2005) 여러 그룹에 대한 다양한 감정 반응: 사회기능적 위협에 기반한 '사전 판단' 접근방법 성격과 사회심리학 저널 88, 770-789
Neuberg, S. L., Smith, D. M., Asher, T. (2000) 사람들이 낙인을 찍는 이유: 생물학적으로 틀에 박혀있네 T. Heatherton, R. Kleck, J. G. Hull, & M. Hebl (Eds.)에서는 오명의 사회심리학(pp. 31–61)이다. 뉴욕: 길퍼드.
Neuberg, S. L., Cialdini, R. B., Brown, S. L., Luce, C., Sagarin, B. J., & Lewis, P. (1997년). 감정이입은 피상적인 도움 이상의 것을 초래하는가? Batson 외 연구진(1997)에 대한 코멘트. 인성과 사회심리학 저널, 73, 510-516.
시알디니, R. B., 브라운, S. L., 루이스, B. P., 루스, C., & Neuberg, S. L. (1997년) 공감-알트루주의 관계 재해석: 1 대 1이 1과 같을 때. 성격과 사회심리학 저널, 73, 481-494.
스미스, D. M. 뉴버그, S. L., 주디스, T. N., & 비산즈, J. C. (1997년) 잘못된 인식자의 기대치를 확인하고 확인하는 데 있어 표적 복잡성: 즉각적이고 장기적인 영향. 성격과 사회심리학 저널, 73, 974-991
Neuberg, S. L., West, S. G., Judice, T. N., & Thompson, M. M.(1997). 차원성, 판별적 타당성 및 성격 이론과 측정에서 정신계 분석의 역할에 대하여: 폐쇄 척도의 필요성에 대한 크루글란스키 외 연구진(1997)의 방어에 회신한다. 성격과 사회심리학 저널, 73, 1017-1029.
Neuberg, S. L., Judice, T. N., & West, S. G. (1997) 폐업 규모에 대한 니즈 측정 항목 및 그렇지 않은 항목: 관련 인식론적 동기를 차별화한다. 인성과 사회심리학 저널, 72, 1396-1412.
Neuberg, S. L., Smith, D., Hoffman, J. C. & Russell, F. J. (1994년) 낙인이 찍히고 '정상적인' 개인이 상호 작용하는 것을 관찰할 때: 연관성에 의한 오명. 성격과 사회심리학 게시판, 20, 196-209.
뉴버그, S. L. & 뉴섬, J. T. (1993) 구조에 대한 개인적 요구: 단순한 구조에 대한 욕구의 개별적 차이. 성격과 사회심리학 저널, 65, 113-131
Neuberg, S. L., Judice, T. N. Virdin, L. M. & Carrillo, M. A. (1993) 자기현상 목표를 기대 영향의 진행자로 인식한다. 배은망덕과 부정적인 기대의 확신이 없다. 성격과 사회심리학 저널 64, 409-420
Fiske, S. T., & Neuberg, S. L. (1990) 범주 기반 프로세스에서 개별 프로세스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인상 형성: 정보와 동기가 주의와 해석에 미치는 영향. M. P. Zanna (Ed.)에서 실험 사회 심리학의 진보 (Vol. 23, 페이지 1–74). 뉴욕: 아카데미 프레스.
뉴버그, S.L. (1989년) 사회적 상호 작용 중에 정확한 인상을 형성하는 목표: 부정적인 기대의 영향을 감소시킨다. 인성과 사회심리학 저널, 56, 374-386.
뉴버그, S.L. (1988) 의식의식 밖에서 제시된 정보의 행동적 영향: 죄수의 딜레마 게임에서 특성 정보의 승질적 표시가 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인식 6, 207-230
Neuberg, S.L. & Fiske, S.T. (1987) 인상 형성에 대한 동기적 영향: 결과 의존성, 정확성 주도 주의 및 개별 프로세스. 성격과 사회심리학 저널 53, 431-444.
참조
- ^ 애커먼, J. M., 샤피로, J. R., 뉴버그, S. L., 켄릭, D. T, 샬러, M, 베커, D. V, 그리스케비치우스, V, & 마너, J. K. (2006) 나한테는 다 똑같아 보여 (화나지 않는 한) 아웃그룹 동질성에서 아웃그룹 이질성에 이르기까지. 심리과학, 17, 836-840
- ^ Fiske, S. T., & Neuberg, S. L. (1990) 범주 기반 프로세스에서 개별 프로세스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인상 형성: 정보와 동기가 주의와 해석에 미치는 영향. M. P. Zanna (Ed.)에서 실험 사회 심리학의 진보 (Vol. 23, 페이지 1-74). 뉴욕: 아카데미 프레스.
- ^ Neuberg, S.L. & Fiske, S.T. (1987) 인상 형성에 대한 동기적 영향: 결과 의존성, 정확성 주도 주의 및 개별 프로세스. 성격과 사회심리학 저널 53, 431-444.
- ^ Cottrell, C. A. & Neuberg, S. L. (2005) 여러 그룹에 대한 서로 다른 감정 반응: '사전 판결'에 대한 사회 기능적 위협 기반 접근법. 인성과 사회심리학 저널 88, 770-789
- ^ 뉴버그, S.L. (1989년) 사회적 상호 작용 중에 정확한 인상을 형성하는 목표: 부정적인 기대의 영향을 감소시킨다. 인성과 사회심리학 저널, 56, 374-386.
- ^ 샤피로, J. S. & Neuberg, S. L. (2007) 고정관념 위협에서 고정관념 위협까지: 원인, 중재자, 중재자, 결과 및 개입에 대한 다중 위협 프레임워크의 영향. 성격과 사회심리학 리뷰, 11, 107-130.
- ^ 시알디니, R. B., 브라운, S. L., 루이스, B. P., 루스, C., & Neuberg, S. L. (1997년) 공감-알트루주의 관계 재해석: 1 대 1이 1과 같을 때. 성격과 사회심리학 저널, 73, 481-494.
- ^ Neuberg, S. L., Kenrick, D. T, & 샬러, M. (2010) 진화적 사회심리학. S. T. Fiske, D. Gilbert, & G. Lindzey (Eds.)에서 사회심리학 핸드북 (제5편 761-796쪽)을 참조한다. 뉴욕: John Wiley & Sons.
- ^ 켄릭, D. T, Neuberg, S. L., & Cialdini, R. B. (2010) 사회심리학: 상호작용에서의 목표 (5차 개정) 보스턴, MA: 앨리슨 & 베이컨.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12-15. Retrieved 2010-01-13.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 ^ 켄릭, D. T, Neuberg, S. L., Griskevicius, V, Becker, D. V, & Schaller, M. (언론인) 목표 지향적 인식 및 기능적 행동: 근본적인 동기 프레임워크. 현재 심리 과학의 방향.
- ^ 켄릭, D. T, 그리스케비치우스, V, 선디, J.M., 리, N.P., 리, Y.J., & Neuberg, S. L. (2009) 깊은 합리성: 의사 결정의 진화경제학. 사회인식, 27, 764-785
- ^ 켄릭, D. T, 그리스케비치우스, V, 뉴버그, S. L, & 샬러, M. (언론에서) 니즈의 피라미드 개조: 고대 토대 위에 세워진 현대식 확장판. 심리 과학에 대한 관점.
- ^ Cottrell, C. A. & Neuberg, S. L. (2005) 여러 그룹에 대한 서로 다른 감정 반응: '사전 판결'에 대한 사회 기능적 위협 기반 접근법. 성격과 사회심리학 저널 88, 770-789
- ^ Cottrell, C. A. Neuberg, S. L., & Li, N. P. (2007)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에게서 무엇을 원하는가? 다양한 가치관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기능적 관점. 인성과 사회심리학 저널 92, 208-231.
- ^ Fiske, S. T., & Neuberg, S. L. (1990) 범주 기반 프로세스에서 개별 프로세스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인상 형성: 정보와 동기가 주의와 해석에 미치는 영향. M. P. Zanna (Ed.)에서 실험 사회 심리학의 진보 (Vol. 23, 페이지 1-74). 뉴욕: 아카데미 프레스.
- ^ Neuberg, S.L. & Fiske, S.T. (1987) 인상 형성에 대한 동기적 영향: 결과 의존성, 정확성 주도 주의 및 개별 프로세스. 성격과 사회심리학 저널 53, 431-444.
- ^ http://isiwebofknowledge.com/
- ^ 뉴버그, S.L. (1989년) 사회적 상호 작용 중에 정확한 인상을 형성하는 목표: 부정적인 기대의 영향을 감소시킨다. 인성과 사회심리학 저널, 56, 374-386.
- ^ Neuberg, S. L., Judice, T. N. Virdin, L. M. & Carrillo, M. A. (1993) 자기현상 목표를 기대 영향의 진행자로 인식한다. 배은망덕과 부정적인 기대의 확신이 없다. 인성과 사회심리학 저널, 64, 409-420
- ^ 스미스, D. M. 뉴버그, S. L., 주디스, T. N., & 비산즈, J. C. (1997년) 잘못된 인식자의 기대치를 확인하고 확인하는 데 있어 표적 복잡성: 즉각적이고 장기적인 영향. 성격과 사회심리학 저널, 73, 974-991
- ^ 뉴버그, S. L. & 뉴섬, J. T. (1993) 구조에 대한 개인적 요구: 단순한 구조에 대한 욕구의 개별적 차이. 성격과 사회심리학 저널, 65, 113-131
- ^ 톰슨, M. M. 나카라토, M. E. 파커, K. C. H. & Moskowitz, G. (2001) PNS(Personal Needs for Structure) 및 PFI(Personal Fear for Improvality) 척도: 역사적 관점, 현재 애플리케이션 및 미래 방향 G. Moskowitz(에드)에서 인지 사회 심리학: 사회적 인식의 유산과 미래에 관한 프린스턴 심포지엄 (pp. 19-39) 마화, 뉴저지: 얼바움.
- ^ 톰슨, M. M. 나카라토, M. E. 파커, K. C. H. & Moskowitz, G. (2001) PNS(Personal Needs for Structure) 및 PFI(Personal Fear for Improvality) 척도: 역사적 관점, 현재 애플리케이션 및 미래 방향 G. Moskowitz(에드)에서 인지 사회 심리학: 사회적 인식의 유산과 미래에 관한 프린스턴 심포지엄 (pp. 19-39) 마화, 뉴저지: 얼바움.
- ^ 웹스터, D. M. & Kruglanski, A. W. (1994년) 인지 폐쇄에 대한 필요성의 개별적 차이. 성격과 사회심리학 저널, 67(6), 1049-1062.
- ^ Neuberg, S. L., Judice, T. N., & West, S. G. (1997) 폐쇄 규모 측정의 필요성과 그렇지 않은 사항: 관련 인식론적 동기를 차별화한다. 성격과 사회심리학 저널, 72(6), 1396-1412.
- ^ 크루글란스키, A. W., 아타시, M.N., 드그라다, E., 마네티, L., 피에로, A., & Webster, D. M. (1997년). 심리학적 이론 테스트 대 심리학적 반대 발언: 폐쇄 규모의 필요성에 대한 Neuberg 외 연구진(1997)의 비판에 대한 논평 성격 및 사회심리학 저널, 73(5), 1005-1016.
- ^ Neuberg, S. L., West, S. G., Judice, T. N., & Thompson, M. M.(1997). 차원성, 판별적 타당성 및 성격 이론과 측정에서 정신계 분석의 역할에 대해: 폐쇄 규모의 필요성에 대한 크루글란스키 외 연구진(1997)의 방어에 대해 회신한다. 성격과 사회심리학 저널, 73(5), 1017-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