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너선 하이트
Jonathan Haidt조너선 하이트 | |
---|---|
![]() | |
태어난 | 조너선 데이비드 하이트 1963년 10월 19일 |
교육 | 예일 대학교 (BA) 펜실베이니아 대학교(MA, 박사) |
과학 경력 | |
필드 | 사회심리학, 도덕심리학, 긍정심리학, 문화심리학 |
기관 | 버지니아 대학교 (1995–2011) 뉴욕대학교 스턴 경영대학원(현) |
논문 | 도덕적 판단, 영향과 문화, 아니면 개를 먹는 것이 잘못된 것인가? (1992) |
박사학위 자문위원 | 조너선 배런, 앨런 피스크 |
웹사이트 | people |
조나단 데이비드 하이트(/Hautt/;; 1963년 10월 19일생)는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뉴욕대학교 스턴 경영대학원의 윤리리더십 교수,[1] 작가다. 그의 주요 연구 분야는 도덕과 도덕 감정의 심리학이다.
하이트의 주요한 과학적 공헌은 인간의 도덕적 추리의 진화적 기원을 논리적인 이성보다는 타고난 직감적 감정에 기초하여 설명하려는 도덕적 [2]기초 이론의 심리학 분야에서 나온다.[3] 그 이론은 나중에 확장되어 서로 다른 도덕적 추론과 그들이 어떻게 정치적 이념과 관련되는지 설명하게 되었고, 다른 정치적 지향들은 서로 다른 일련의 도덕을 우선시했다.[4] 그 연구는 다양한 주제에 관한 미래 책의 토대가 되었다.
Haidt는 일반 독자들을 위한 다음과 같은 3권의 책을 썼다. 행복 가설: 고대 지혜에서 현대적 진리를 찾기(2006)는 고대 철학과 현대 과학 사이의 관계를 탐구한다.[5] 바른 마음: 왜 좋은 사람들은 정치와 종교에 의해 나뉘어지는가(2012년)는 도덕이 추론보다 감정과 직관에 의해 어떻게 형성되는지, 그리고 왜 다른 정치 집단이 옳고 그름에 대한 다른 관념을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한다.[6] 그리고 미국인의 정신: 그레그 루키아노프와 공동 집필한 '좋은 의도와 나쁜 생각이 얼마나 실패를 위한 세대를 세우고 있는가'(2018)는 증가하는 정치 양극화와 대학 캠퍼스에 대한 변화 문화, 그리고 그것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하이트는 대학 현황에 대한 비판과 진보적 가치에 대한 해석으로 지지와 비판을 동시에 이끌어냈다.[7] 포린폴리시지가 선정한 '세계 최고의 사상가' 중 한 명, 프로스펙트지가 선정한 '세계 최고의 사상가' 중 한 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8][9] 정치·도덕심리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연구자 중 한 명이며, 가장 영향력 있는 25대 생활심리학자로 꼽힌다.[10][11]
전기
하이트는 유대인이며 뉴욕에서 태어났으며, 뉴욕주 스카스데일에서 자랐다.[12][13][14] 그의 조부모는 러시아와 폴란드에서 온 이민자들이었다.[15]
교육과 경력
하이트는 1985년 예일대에서 철학 학사학위를 받았고, 1992년 펜실베이니아대에서 심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어 조나단 바론, 앨런 피스케(펜실베이니아대), 문화인류학자 리처드 슈웨더(시카고대)가 지도하는 박사후 연구원으로 시카고대에서 문화심리학을 공부했다. 슈웨더의 제안에 따라 그는 연구를 계속하기 위해 인도의 오리사를 방문했다.[16] 1995년 하이트는 2011년까지 일했던 버지니아 대학의 조교수로 채용되어 버지니아 주지사가 수여하는 주 전체의 상을 포함해 4개의 교수상을 수상하였다.[17]
1999년 하이트는 긍정적인 도덕적 감정을 연구하면서 긍정적인 심리학의 새로운 분야에서 활동하게 되었다. 이 저작은 2003년에 Furdishing이라는 제목의 편집된 책을 출판하게 되었다. 2004년 하이트는 이념의 심리적 토대를 연구하면서 정치학 연구에 도덕심리를 적용하기 시작했다. 이 작품은 2012년 <정의로운 마음> 출판으로 이어졌다. Haidt는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2007-2008 학년을 명예교수 방문 교수로 보냈다.[18]
2011년 Haidt는 Thomas Cooley of Ethical Leadership의 교수로 뉴욕대학교 스턴 경영대학원으로 옮겼다.[19] 2013년에 그는 윤리학에 관한 학술 연구를 기업이 널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전념하는 비영리 협력 기관인 '윤리 시스템'을 공동 설립했다.[20] 하이드는 2015년 시각 다양성, 상호 이해, 생산적 의견 불일치 증진을 위해 활동하는 비영리 단체인 헤테로독스 아카데미를 공동 설립했다.[21][self-published source] 2018년 하이트와 리처드 리브스는 존 스튜어트 밀의 온 리버티(On Liberty)의 삽화판 '올 빼기 원: 존 스튜어트 밀의 프리 스피치 일러스트레이티드(Dave Cicireli가 삽화)'를 공동 편집했다. Haidt의 현재 연구는 윤리에 도덕심리를 적용한다.[22]
연구기여금
하이트의 도덕성 연구는 네 가지 핵심 분야에서 출판과 이론적 진보로 이어졌다.[23]
도덕적 혐오감
하이트는 폴 로진, 클라크 맥컬리와 함께 혐오에 대한 민감도의 개별적 차이를 측정하는 데 널리 사용되어온 혐오의 척도를 개발했다.[24][25] 하이트, 로진, 맥카울리는 혐오의 심리를 입의 보호자(병원균에 대한 것)로 시작되었으나, 생물학적, 문화적 진화 과정에서 확대되어 신체의 보호자가 되었고, 사회·도덕적 질서의 보호자가 되었다.[26]
도덕적 격상
새라 알고와 함께 하이트는 도덕적 아름다움에 대한 이야기(도덕적 혐오와는 반대)에 노출되면 따뜻하고 사랑스런 감정, 침착함, 더 나은 사람이 되고자 하는 욕구 등 공통적인 반응을 일으킨다고 주장했다.[27] 하이트는 위대한 문학 작품을 읽으면 얻을 수 있는 이점에 대해 논하는 편지에서 그 감정을 상세히 기술한 토마스 제퍼슨에 대한 찬사로서 그 감정을 도덕적 격상이라고 불렀다.[28][29] 도덕적 고양의 느낌은 모유 수유 엄마에서 젖을 먹일 때 생성되는 우유의 증가를 유발하며,[30] 옥시토신 호르몬의 관여를 암시한다. 현재 고도 및 관련 감정에 대한 연구의 큰 기구가 있다.
사회직관주의
Haidt의 주된 연구 라인은 도덕적 판단의 본질과 메커니즘에 관한 것이었다. 1990년대에 그는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을 개발했는데, 이 모델은 도덕적인 판단은 의식적인 추론보다는 대부분 자동적인 과정인 도덕적인 직관(moral intensis)에 기초한다고 주장한다.[31] 사람들은 그들의 초기 직관을 뒷받침할 증거를 찾기 위해 주로 추리에 관여한다. 사회직관주의 모델인 '감정적인 개와 그것의 이성적인 꼬리'에 대한 하이트의 주요 논문은 7,800번 이상 인용되었다.[32]
도덕근거론
2004년에 Haidt는 도덕적 직관의 가장 중요한 범주로 간주되는 것을 식별하기 위해 사회적 직감주의 모델을 확장하기 시작했다.[33] 크레이그 조셉과 제시 그레이엄과 공동 개발되어 부분적으로 리차드 슈웨더의 저술에 근거한 결과적 도덕 기반 이론은 도덕의 문화적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 이론은 문화가 많은 다양한 음식을 창조하기 위해 사용했던 5개의 선천적인 맛 수용기가 혀에 있는 것처럼 문화가 그들의 다양한 도덕성을 발달시키는 적어도 5개의 선천적인 도덕적 기초가 있다고 주장했다. 다섯 가지 값은 다음과 같다.[34]
- 돌봄/위해
- 공정성/치유
- 로열티/베스트레이럴
- 권한/전복
- 신성함/비하.
하이트와 그의 협력자들은 이 이론이 정치적 차이를 설명하는데도 효과가 있다고 주장했다. 하이트에 따르면, 진보주의자들은 돌봄과 공정성 재단을 주로 지지하고, 보수주의자들은 모든 재단을 더 평등하게 지지하는 경향이 있다.[34] 이후 <정의로운 마음>에서는 여섯 번째 재단인 <자유>와 <억압>이 발표되었다.
비학술 작품
하이트는 심리학과 정치학의 다양한 주제와 관련된 다음과 같은 일반 청중들을 위한 비학술적인 책을 저술했다.
행복 가설
행복 가설: 고대의 지혜에서 현대적 진리를 발견하기(2006)는 현대 과학 연구에 비추어 고대의 철학 사상을 끌어내어 잠재적인 교훈과 그것이 일상생활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를 도출한다.[35] 이 책은 플라톤,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부처, 예수 등 과거의 철학자와 사상가들이 지지한 행복에 대해 10대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현대 과학 연구가 이 아이디어들에 대해 어떤 말을 하는지 고찰한다.[36]
더 바티 마인드
바른 마음: 왜 좋은 사람들은 정치와 종교에 의해 나뉘는가(2012년)는 Haidt의 이전 도덕 기반 이론 연구에 의존한다. 도덕적 판단은 논리적 이성이 아니라 직감에서 나온다고 주장하면서 자유주의자와 보수주의자, 자유주의자는 서로 다른 가치관을 우선시하기 때문에 옳고 그름에 대한 직관이 다르다고 주장한다.
미국인의 마음가짐
The Codling of the American Mind: 미국인의 마음: 그레그 루키아노프와 공동 집필한 '좋은 의도와 나쁜 생각이 얼마나 실패를 위한 세대를 세우고 있는가'(2018)가 2015년 '더 애틀랜틱'을 위해 쓴 에세이로 확대된다.[37] 이 책은 증가하는 정치적 양극화와 대학 캠퍼스에 대한 문화의 변화와 그것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구한다. 또한 '공포한 육아'의 부상, 무감독 놀이의 쇠퇴, 최근 10년간 소셜 미디어의 영향 등 어린 시절의 변화를 탐구한다.[38]
"코끼리와 라이더"
Haidt의 책 전반에 걸쳐 널리 인용된 은유 중 하나는 코끼리와 기수의 은유다. 사회직관주의에 대한 그의 관찰, 직관이 먼저고 합리화가 둘째라는 관념은 그의 작품에 묘사된 은유로 이어졌다.[39] 기수는 의식적으로 통제되는 과정을 나타내며, 코끼리는 자동 과정을 나타낸다. 이 은유는 다니엘 카네만의 생각, 빠름, 느림에서 설명한 시스템 1과 2에 해당한다.[40] 이 은유는 <행복가설>과 <의인심>에 모두 광범위하게 쓰인다.
정치적 견해
하이트는 민주당이 더 많은 선거에서 승리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정치심리학을 공부하기 시작하게 된 경위를 설명하고, 보수, 진보, 자유주의 등 주요 정치집단은 각각 가치 있는 통찰력을 갖고 있으며, 아이디어의 경합에서 진실과 좋은 정책이 나온다고 주장한다.[41] 하이트는 2012년부터 자신을 정치적 중도주의자라고 지칭해 왔다.[42][43][44]
하이트는 정치적 분열을 해소하고 미국의 정치적 양극화를 줄이기 위한 여러 가지 노력에 관여하고 있다. 2007년에 그는 정치적 예의에 대한 연구를 위한 정보 센터인 웹사이트 CivilPolitics.org을 설립했다.[45] 그는 대표 자문 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다.비정부 부패방지기구인 우리, 빈곤 퇴치 방식을 바꾸고 있는 기업, 지도자, 아이디어에 투자하는 아큐멘 펀드, 정치적 양극화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는 초당파 단체인 braverangels.org 등이 그것이다.
2019년 하이트는 "미국 민주주의가 실패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앞으로 30년 안에 우리는 우리 민주주의의 치명적인 실패를 겪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46]
리셉션
자신이 무신론자인 동안 하이트는 종교에는 인간의 번영을 촉진할 수 있는 심리적 지혜가 담겨 있으며, 신무신론자들은 스스로 도덕적인 도그마에 굴복했다고 주장해 왔다. 이러한 내용들은 웹사이트 엣지가 후원한 2007년 온라인 토론에서 다양한 반응을 이끌어냈다. PZ 마이어스는 뉴 무신론자들에 대한 그의 비판에 반대하면서 하이트의 에세이의 첫 부분을 칭찬했다; 샘 해리스가 종교에 의한 해악에 대한 그의 인식된 난독화를 비판했고, 마이클 셔머가 하이트를 칭찬했고, 생물학자 데이비드 슬론 윌슨이 뉴 무신론자들이 종교라는 개념을 무시한 것에 대해 비판하는데 하이트에 동참했다. 진화 [47]적응
태블릿 매거진의 데이비드 미키크스는 하이트를 "이종교도의 대사제"라고 프로파일했으며, 헤테로독스 아카데미를 통해 대학에서 지적 다양성을 증대시킨 그의 업적을 높이 평가했다.[48]
2020년 피터 웨너는 대서양에서 "지난 10년간 우리가 정치와 종교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토론하고 토론하는지에 대한 나의 이해를 조나단 하이트만큼 더하는 사람은 없었다"고 썼다. 그는 이어 "자신의 분야에서 조나단 하이드는 자신의 방식으로 우리의 분열을 치유하고 증오심을 어느 정도 누그러뜨리고 지혜와 이해를 높이고 서로에 대해 조금 더 연민을 보이도록 촉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49]
출판물
책들
- 2002. 번영: 긍정적인 심리학과 잘사는 삶, 코리 L. M. Keyes와 공동 편집. 워싱턴 DC: 미국 심리학 협회 ISBN978-1-55798-930-7.
- 2006. 행복 가설: 고대의 지혜에서 현대적 진리를 찾아라. 기본 도서. ISBN 978-0-465-02802-3
- 2012. 정의로운 마음: 왜 좋은 사람들은 정치와 종교로 나뉘는가. 판테온. ISBN 978-0-307-37790-6
- 2018. 올 빼기 원: 프리 스피치 일러스트레이티드(Richard V)와 공동 편집한 존 스튜어트 밀의 아이디어. 리브스 뉴욕: 헤테로독스 아카데미. ISBN 978-0-69206831-1 OCLC 1038535520.
- 2018. The Codling of the American Mind: 그렉 루키아노프와 공동 집필한, 얼마나 좋은 의도와 나쁜 생각이 실패를 위한 세대를 세우고 있는가. 뉴욕시: 펭귄 프레스. ISBN 978-0-73522489-6 OCLC 1007552624.[50]
선택된품목
- 1993. S. Koller, M과 함께 "영향, 문화, 도덕, 아니면 개를 먹는 것이 잘못된 것인가?" 디아스. 성격과 사회심리학 저널 65:613–28.
- 2001. "감정적인 개와 그것의 이성적인 꼬리: 도덕적 판단에 대한 사회적 직관주의 접근." 심리학적 검토 108:814–34.
- 2005. T와 함께 "하이퍼토닉 혐오증은 도덕적 판단을 더 심하게 만든다." 휘틀리. 심리과학 16:780–84.
- 2007. "도덕심리학의 새로운 종합" 과학 316:998–1002.
- 2008. P. 로진, C. R. 매컬리와 함께한 "역겹다". M이 편집한 감정 핸드북(3차 개정판)의 757-76페이지. Lewis, J. Haviland, L. F. Barrett. 뉴욕: 길퍼드 프레스.
- 2009. J. Graham, B.와 함께 "자유와 보수주의자들은 서로 다른 도덕적 기반에 의존한다. 노섹. 성격과 사회심리학 저널 96:1029–46.
- 2010년. S. 케세비르와 함께한 "도덕성". S에 의해 편집된 사회심리학 핸드북 (제5편)의 797-832쪽. 피스크, D. 길버트, 그리고 G. 린지. 호보켄, NJ: 와일리.
- 2012. "리버타리아 도덕성 이해: 라비 아이어, 스파세나 콜레바, 제시 그레이엄, 피터 디토가 함께한 '자체 식별된 자유주의자들의 심리적 성향'이다. PLOS ONE 7(8):e42366.[51]
- 2015. José L. Duarte, Jarret T와 함께 "이데올로기적 다양성은 심리과학을 향상시킬 것이다." 크로포드, 샬롯타 스턴, 이주심, 필립 E. 테틀록. 행동 및 뇌과학 38:e130.[52]
- 2017. L과 함께 "기업 윤리를 누적 과학으로 만든다" 트레비노. 자연 인간 행동 1. doi:10.1038/s41562-016-0027
참조
- ^ Leadership, -Thomas Cooley Professor of Ethical. "NYU Stern – Jonathan Haidt – Thomas Cooley Professor of Ethical Leadership". www.stern.nyu.edu.
- ^ McNerney, Samuel. "Jonathan Haidt and the Moral Matrix: Breaking Out of Our Righteous Minds". Scientific American. Retrieved July 25, 2019.
- ^ "The moral matrix that influences the way people vote". The Guardian. Retrieved July 25, 2019.
- ^ Winerman, Lea. "Civil discourse in an uncivil world".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Retrieved July 25, 2019.
- ^ Ott, Jan (February 20, 2007). "Jonathan Haidt, The Happiness Hypothesis; Putting Ancient Wisdom to the Test of Modern Scienc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8 (2): 297. doi:10.1007/s10902-007-9049-2.
- ^ Saletan, William (March 23, 2012). "'The Righteous Mind,' by Jonathan Haidt".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December 19, 2018.
- ^ Henriques, Gregg (January 1, 2012). "Jonathan Haidt's Moral-Political Psychology". Psychology Today. Retrieved December 20, 2018.
- ^ Foreign Policy Staff (November 26, 2012). "The FP Top 100 Global Thinkers". Foreign Policy.
- ^ "World Thinkers 2013". Prospect. April 24, 2013.
- ^ "The 50 Most Influential Living Psychologists in the World". thebestschools.org. Retrieved July 26, 2019.
- ^ "Citations – Jonathan Haidt". Google Scholar. Retrieved July 26, 2019.
- ^ By George Eaton 2 2019년 1월 2일 뉴 스테이츠맨
- ^ Jenkins Jr, Holman W. (June 29, 2012). "Jonathan Haidt: He Knows Why We Fight" – via www.wsj.com.
- ^ "Transcript for Jonathan Haidt – The Psychology Behind Morality". On Being. June 12,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17, 2015.
- ^ "Jonathan Haidt — The Psychology of Self-Righteousness". The On Being Project. Retrieved April 17, 2020.
- ^ Wade, Nicholas (September 18, 2007). "Is 'Do Unto Others' Written Into Our Genes?". New York Times. Retrieved July 21, 2019.
- ^ "Governor Warner Announces TIAA-CREF Virginia Outstanding Faculty Awards Recipients for 2004". State Council of Higher Education for Virginia. January 21, 20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1, 2007. Retrieved July 19, 2019.
- ^ "The Righteous Mind: Why Good People, Particularly Intellectuals, Are Divided by Politics – An America's Founding and Future Lecture". jmp.princeton.edu. Retrieved July 15, 2019.
- ^ "NYU Stern – Jonathan Haidt – Thomas Cooley Professor of Ethical Leadership". www.stern.nyu.edu. Retrieved July 26, 2019.
- ^ Brockman, John. "Jonathan Haidt, Biography". Edge. Retrieved July 20, 2019.
- ^ "Our Story". Heterodox Academy. Retrieved July 4, 2021.
- ^ Leadership, -Thomas Cooley Professor of Ethical. "NYU Stern - Jonathan Haidt - Thomas Cooley Professor of Ethical Leadership". www.stern.nyu.edu. Retrieved June 18, 2021.
- ^ Caldow, Stephanie. "Jonathan Haidt: The Contributions of a Moral Psychologist". PositivePsychology.com. Retrieved July 26, 2019.
- ^ Haidt, Jonathan; McCauley, Clark; Rozin, Paul (1994). "Individual Differences In Sensitivity To Disgust: A Scale Sampling Seven Domains Of Disgust Elicitors" (PDF).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6 (5): 7111–713. doi:10.1016/0191-8869(94)90212-7. Retrieved July 15, 2019.
- ^ Haidt, Jonathan; McCauley, Clark; Rozin, Paul (May 1, 1994). "Individual differences in sensitivity to disgust: A scale sampling seven domains of disgust elicitor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6 (5): 701–713. doi:10.1016/0191-8869(94)90212-7. ISSN 0191-8869.
- ^ Haidt, Jonathan; Rozin, Paul; McCauley, Clark; Imada, Sumio (1997). "Body, Psyche, and Cul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Disgust and Morality". Psychology & Developing Societies. 9 (1): 107–131. doi:10.1177/097133369700900105. S2CID 144762306.
- ^ 알고, 새라 B, 조나단 하이트 2009. "실행의 탁월함을 목격했다. 상승, 감사, 감탄의 '기타 상승' 감정들." 긍정적 심리학 저널 4장 105–27.
- ^ 하이트, 조나단. 2003. "도덕의 경락과 긍정적 심리학." 275–89년 출판사: 긍정적인 심리학과 삶의 안녕, C. L. M. Keyes와 J. Haidt가 편집한 "도덕성의 긍정적 심리학" 워싱턴 DC: 미국 심리학 협회
- ^ 제퍼슨, 토마스. [1771] 1975. "로버트 스킵위드에게 보내는 편지." M. D. 피터슨이 편집한 <휴대용 토마스 제퍼슨> 349~51쪽. 뉴욕: 펭귄.
- ^ Silvers, J, 그리고 Jonathan Haidt. 2008. "도덕적 고도가 젖을 유발한다." 감정 8:291–95.
- ^ Liao, Matthew (2011). Liao S.M. (2011) Bias and Reasoning: Haidt's Theory of Moral Judgment. Palgrave Macmillan, London. pp. 108–127. doi:10.1057/9780230305885_7. ISBN 978-0-230-30588-5. S2CID 146369020.
- ^ Haidt, Jonathan (2001). "The emotional dog and its rational tail: A social intuitionist approach to moral judgment" (PDF). Psychological Review. 4 (108): 814–34. doi:10.1037/0033-295X.108.4.814. PMID 11699120. S2CID 2252549.
- ^ Haidt, Jonathan; Joseph, Craig (2004). "Intuitive ethics: How innately prepared intuitions generate culturally variable virtues". Daedalus. 133 (4): 55–66. doi:10.1162/0011526042365555. JSTOR 20027945. S2CID 1574243.
- ^ a b Graham, Jesse; Haidt, Jonathan; Nosek, Brian A. (2009). "Liberals and conservatives rely on different sets of moral found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96 (5): 1029–46. doi:10.1037/a0015141. ISSN 1939-1315. PMID 19379034. S2CID 2715121.
- ^ Flint, James. "Don't worry, be happy". The Guardian. Retrieved July 18, 2019.
- ^ Carter, Christine. "Book Review: The Happiness Hypothesis". Greater Good Science Center at UC Berkeley. Retrieved July 18, 2019.
- ^ Roth, Michael. "Have parents made their kids too fragile for the rough-and-tumble of life?". The Washington Post. Retrieved July 18, 2019.
- ^ Singal, Jesse. "How 'Coddled' Are American College Students, Anyway?". New York Magazine. Retrieved July 18, 2019.
- ^ McNerney, Samuel. "Jonathan Haidt and the Moral Matrix: Breaking Out of Our Righteous Minds". Scientific American (blogs). Retrieved February 2, 2013.
- ^ Haidt, Jonathan (October 7, 2012). "Reasons Matter (When Intuitions Don't Object)".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February 2, 2013.
- ^ Haidt, Jonathan (2012). The Righteous Mind: Why Good People Are Divided by Politics and Religion. Pantheon Books. ISBN 978-0307455772.
- ^ Jonathan Haidt [@JonHaidt] (January 23, 2018). "huh? I have never been right of center. I have never voted for a republican, nor given a dollar to a conservative candidate or cause. I am a centrist, a JS Mill liberal, who is now politically homeless" (Tweet). Retrieved July 27, 2020 – via Twitter.
- ^ 골드만, 앤드류, 면접관 2012년 7월 27일. "자유주의자는 경쟁하는 법을 배운다." 뉴욕타임즈. 2020년 7월 27일 회수
- ^ Weiss, Bari (April 1, 2017). "Jonathan Haidt on The Cultural Roots of Campus Rage". The Wall Street Journal. Retrieved July 7, 2017.
- ^ Saletan, William (March 23, 2012). "'The Righteous Mind,' by Jonathan Haidt".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July 26, 2019.
- ^ Kelly, Paul. "America's Uncivil War on Democracy". TheAustralian.com. The Australian. Retrieved July 20, 2019. 가입만으로 접속(2021년 2월)
- ^ Haidt, Jonathan (September 21, 2007). "Moral Psychology and the Misunderstanding of Religion". Edge.org. Retrieved July 19, 2019.
- ^ Mikics, David (July 21, 2019). "The High Priest of Heterodoxy". The Tablet. Retrieved October 30, 2019.
- ^ Wehner, Peter (May 24, 2020). "Jonathan Haidt Is Trying to Heal America's Divisions". The Atlantic. Retrieved June 3, 2020.
- ^ Aaronovitch, David (August 18, 2018). "Review: The Coddling of the American Mind by Greg Lukianoff and Jonathan Haidt – how we raised Generation Snowflake". The Times. ISSN 0140-0460. Retrieved August 24, 2018.
- ^ 아이어, 라비, 스파세나 콜레바, 제시 그레이엄, 피터 디토, 조나단 하이트. 2012. "리버타리아 도덕성 이해: 자아 정체성 자유주의자들의 심리적 처분." PLoS ONE 7(8):e42366. doi:10.1371/journal.pone.0042366.
- ^ 두아르테, 호세 L, 자렛 T. 크로포드, 샬롯타 스턴, 조나단 하이트, 이주심, 필립 E. 테틀록. 2015년. "이데올로기적 다양성은 심리과학을 향상시킬 것이다." 행동 및 뇌과학 38:e130. doi:10.1017/S0140525X14000430.
외부 링크
![]() | 위키포트는 다음과 관련된 인용구를 가지고 있다: Jonathan Haidt. |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조나단 하이트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뉴욕대학교 스턴 경영대학 홈페이지
- 조너선 하이트 출판물 구글 스콜라 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