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헤티 나기리
Sylheti Nagri실헤티 나기리 ꠍꠤꠟꠐꠤ ꠘꠣꠉꠞꠤ | |
---|---|
![]() 실헤티 나그리의 실레지 나그리라는 말 | |
스크립트 유형 | |
방향 | 좌우로 |
지역 | 대 실렛 대미멘신 대노할리 |
언어들 | 미들벵골리, 실헤티[1], 노아킬라 |
관련 스크립트 | |
상위 시스템 | |
ISO 15924 | |
ISO 15924 | 실로, 316, 실로티 나그리 |
유니코드 | |
유니코드 별칭 | 실로티나그리 |
U+A800-U+A82F | |
[a] 브람어 대본의 셈어적 기원은 보편적으로 합의되지 않았다. | |
브람어 문자 |
---|
브람어 대본과 그 후손들 |
실헤티 나그리(Sylheeti Nagri, Silleṭ Nagri)는 많은 다른 이름들(아래 참조) 중에서 실헤트 나그리(Sylheet Nagri, Silleṭ Nagri)로 고전 필사본에서 알려져 있는 것으로, 브람어 가문의 문자 체계다.[5][6] 이 대본은 역사적으로 파드마의 동쪽에 있는 [7]벵골과 아삼 지역에서 주로 실렛 지역의 동부에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무슬림 종교 시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공식적인 문서화에는 존재하지 않았다.[6] 20세기 동안, 벵골어 문자에 대한 많은 근거를 잃었다. 실헤티 나기 인쇄기는 1970년대까지 존재했고, 2000년대에는 대본을 위한 유니코드 글꼴이 개발되었다.[8]
어원과 이름
실헤트 나그리는 '실레트(Sylet)'와 '나그루(Nagrī)'의 합성어다. 실렛은 대본이 주로 사용되었고 유래된 지역의 이름이다. Nagri는 "거주(nagar)"라는 뜻이다. 따라서 실렛 나그리는 실렛의 거주지나 도시에서 온 것을 가리킨다. 최근에는 무함마드 압둘 라티프의 포헬라 키타브 등 고전 원고에 이 이름이 쓰이지 않았지만 실헤티 나그리(Silheeti Nagri)[9]로 알려지게 되었다. 나겐드라나트 바수는 나그리가 이주한 곳의 현지 언어를 채택하면서 나그리의 대본을 유지한 것으로 알려진 나가르 브라만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고 단언한다.[10]
이 대본은 잘랄라바드(Sylet), 풀 나기리(Phul Nagri), 장리 나기리, 캣 나기리(Kat Nagri)[11] 등의 이름을 따서 잘랄라바디 나그리(Jalalalalabadi Nagri, Sylette, Phul Nagri, Kat Nagri) 등의 다른 이름으로 알려져 왔다.[12] 벵골 동부 이슬람교도들 사이에 널리 퍼져 있기 때문에 또 다른 통속 용어는 무살마니 나그리(武ꠝ馬manimani)이다.[13][10]
역사

오리진스
카디르(1999년)와 클리포드 라이트 교수에 따르면, 이 대본은 비하르에서 주로 사용되는 대본인 카이티 대본에서 내려온다.[4]
대본의 구체적인 기원에 대해서는 논의되고 있다. 실벳에서 가장 인기가 많았지만, 역사적으로 이 대본은 인도 북동부, 서벵골에서도 사용되었다.[14] 한 가지 가설은, 크리슈나 차이타냐가 이끄는 벵골 힌두교도들이 산스크리트와 바이슈나비스트의 재기 운동을 시작했을 때, 15세기 동안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는,[15] 대량 이슬람 교육을 목적으로 그것을 발명한 사람들이었다는 것이다.[16] 한편, 아마드 하산다니는 나그리의 글자는 아프가니스탄의 동전 상징과 그 당시 실렛의 많은 아프간 거주자들과 닮았기 때문에, 벵골 통치 기간 동안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에 의해 발명되었다고 믿고 있다.[6] 또 다른 이론은 이 대본의 기원을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후반으로 추정하는데, 이 대본은 비하르 주와 다른 이민자 무슬림들의 공동주로부터 오는 이슬람 세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발명되었다고 주장한다.[17]
거의 전적으로 이슬람교도들에 의해 사용되었지만, 이 대본의 기원을 나중에 이슬람으로 개종한 불교 신자들과 힌두교도들에게 지적하는 다른 이론들이 있다. 나가르 브라만스를 통해 이 지역에 전해졌다는 설이 일반적이다. 이것은 아대륙을 여행하고 정착하는 것으로 유명한 힌두교 카스트인데, 현지 언어를 채택하고 대신 카이트리의 나가리 변수에 글을 쓴다.[18] 브라만족은 나그리 대본의 시를 쓰는 관행을 유지했지만 이슬람으로 개종했다.[10] 신드, 물탄, 바라나시 등 남아시아의 다른 지역에서도 그렇다. 바이탈리 카이티(Baitali Kaithi)는 비슷한 시기에 힌두스타니(Hindustani)를 쓸 때 사용한 이전의 대본으로, 후자가 마트라(브람어 대본에 사용된 상부 수평선)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헤트 나기리와 동일했다.[19] 다른 이들은 이 대본이 네팔과 같은 이웃 국가 출신의 이민자 빅쿠스(원래 신앙 불교 신자)에 의해 발명되었다고 말한다.[17]
파질 나심 무함마드의 라그나아, 압둘 카림의 쇼나바너 푸시, 굴람 후산의 초창기 작품 탈리브 후산(1549년) 등의 원고가 발견됐다.[14]
전사
벵골 무슬림 시는 페르시아어와 힌두스탄어 어휘가 높은 도바시로 알려진 중 벵골어의 구어적 방언으로 쓰여졌다. 실헤티 나그리의 문학은 비슷한 문체로 쓰여졌지만, 그 음운론과 일부 어휘가 실헤티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것과 구별된다.[1]
사용법
비록 실헤티 나그리 문학의 대부분은 19세기 말에 태어났지만, 대본의 단순화된 성질은 많은 시인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런던에서 공부를 하고 교육을 마치던 문시인 압둘 카림은 인쇄업을 배우기 위해 영국 수도에서 몇 년을 보냈다. 1869년경 귀국한 그는 대본에 쓸 목판형을 디자인하고 실레트 반다르 바자르에 이슬람 인쇄소를 설립했다. 대본에 대한 최초의 학술적 글을 쓴 파드마나트 바타차르제 비디야비노드는 압둘 카림의 표준화가 대본의 재기(노보존모) 시기의 시작을 알리는 것이라는 의견이다.[20] 압둘 카림이 개입하기 전에는 대본의 인기와 사용법에 대해 잘 알려져 있지 않다.[21] 원고는 원고의 질이 높았지만 시문도 풍부했다.[17]
다른 실헤티 나기 프레스들은 실헤트, 수남간지, 실롱, 콜카타에 설립되었다. 실레트주 나이요르펄의 사라다 인쇄 출판사, 탈탈라 16가드너 레인의 캘커타의 일반 인쇄 작품, 셀다에 있는 하미디 출판사 등이 있다.[13] 학문의 저술로부터 이 대본이 방쿠라, 바리살, 치타공, 노아칼리까지 사용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6][page needed] 슈리파드마나트 데브샤르마의 설명에서:
이전 시대의 대본은 스리하타에서 사용되었다. 인쇄의 등장으로 이 대본은 이제 스리하타 지구, 카차르, 트리푸라, 노아칼리, 치타공, 마이멘싱과 다카, 즉 파드마 동쪽 벵골 전 지역의 무슬림에게까지 퍼져나갔다.[5]
대본은 강을 거쳐 치타공과 바리살로 전파된 것으로 생각된다.
비록 이 대본이 벵골 전역으로 광범위하게 확장되었지만, 그것의 사용은 "특정 계층의 이슬람교도들, 특히 이슬람 여성들에게 제한되었다."[7]
문시 사데크 알리는 이 대본에서 가장 위대하고 가장 인기 있는 작가로 여겨지고 있다. 이 대본은 종교 문학에서 사용하는 것 외에 실레트 주민들의 일상 생활에서도 사용되어 왔다. 편지, 영수증, 심지어 공식 기록까지도 이 대본을 사용하여 작성되었다.[citation needed] 할라트 운나비, 종고나마, 마합바타나마, 누어 노시핫 등 저명한 문학작품 외에도 '제2차 세계대전의 시'는 물론 의술과 마법의 원고를 쓰는 데 쓰이고 있다. 1930년대 후반, 나겐드라나트 바수는 비슈누푸르의 벵골 무슬림들이 모든 목적으로 벵골 알파벳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렸지만, 나그리 문자는 퍼트를 위한 것이었다.[10]
그 대본은, 어떤 정규 교육의 일부도 되지 않은, 쉬운 것처럼 보이는, 서민들에게 도달했다.[6] 비록 벵골어 대본에 비하면 거의 쓰이지 않았지만, 실헤트 동부의 하층 이슬람교도들은 이 대본에 서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22] 실헤티 나기리 언론도 방글라데시 해방전쟁과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때 화재로 소실된 이슬람 프레스 등 많은 실헤티 언론들이 쓰이지 않게 됐다.[citation needed]
현대사
실헤티 나기리 언론도 방글라데시 해방전쟁과 1971년 인도-파키스탄 전쟁 때 화재로 소실된 이슬람 프레스 등 많은 실헤티 언론들이 쓰이지 않게 됐다.[citation needed] 점차적으로 이 대본은 언어학자와 학자들에 의해 사용되어 매우 인기가 없게 되었다.[23][24] 이 대본에 대한 연구는 식민지 이후 파키스탄과 독립된 방글라데시에서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7] 20세기 후반, 벵골 민속 문학의 연구자인 문시 아슈라프 후세인(Munshi Ashraf Hussain)이 실헤티 나그리 연구에 크게 공헌하였다.[25]
2009년 방글라데시에서 다카에 본사를 둔 우트쇼 프로카손이라는 출판사를 설립한 모스타파 셀림과 실레트 푸란 레인에 있는 안와르 라시드의 뉴네이션 도서관의 노력으로 나그리 대본의 문학 출판이 재개되었다.[26][27] 2014년까지 우트쇼 프로카손의 무함마드 압둘 마난과 셀림이 낸 '나그리 그란타 삼바르'로 알려진 25편의 원고가 출간됐다. 최근의 리바이벌은 이 나라에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방글라데시 전역의 국영 신문, TV, 라디오 채널에서 상당한 취재를 달성했다.[26][27] 정부는 나그리에 관한 책들을 실렛에 있는 학교와 대학에 무료로 배포할 수 있도록 했다. 사르와르 타미주딘 감독의 다큐멘터리 '나그리 리피르 나바자트라'가 전국에 방영됐다. 방글라데시 정부가 후원해 벵골어와 관련된 공식 기구의 역할을 하는 기관인 뱅라 아카데미가 에쿠시 도서전에서 나그리 북스톨을 개최하기 시작했다.[28][27] 2014년에는 방글라데시의 수도 다카에 위치한 주요 이웃 국가인 샤하백의 파탁 샤마베쉬 센터에서 나그리 기자 회견이 열렸다.[29] 실헤트 시 공사와 실헤트 구의회는 슈바히트 차우두리가 설계한 2018년 나그리 차타르로 알려진 수르마 포인트에 2만 파운드의 원형 벽화를 세우는 데 자금을 지원했다.[30] 실헤트구 부청장 관사에도 나그리 간판이 설치됐다.[31]
영국에서는 신약성경이 제임스 로이드 윌리엄스 등에 의해 2014년 크리스마스 날 실헤티 나그리로 옮겨져 포비트로 인칠 쇼리프라는 제목으로 성공적으로 옮겨졌다.[32][33]
성격.
실헤티 나기 대본은 모음과 모음 분음부/표시, 자음과 자음 결막, 분음부 및 구두점으로 나눌 수 있다. 모음과 자음은 알파벳으로 사용되며 또한 분음 부호로도 사용된다. 이 대본은 벵골어보다 글자가 적은 단순한 글자로 특징지어진다. 글자의 총수는 32자로 모음 5개와 자음 28개가 있다.[17]
모음.
일부 텍스트는 추가 모음을 나타내지만, 널리 받아들여지는 모음 수는 5개다. 예를 들어, 쌍동 ôi는 때때로 추가 모음으로 간주되었다. 모음은 벵골 알파벳의 순서를 따르지 않는다. 모음은 또한 "호크롯"으로 알려진 각각의 분음 부호를 가지고 있다.
- "ꠅ" /ɔ/는 전체 대본에 대한 기본 고유 모음으로 들린다.
- 모음음이 음절초기적으로 발생하거나 다른 모음으로 이어질 때, 그것은 구별되는 문자로 쓰여진다. 모음 소리가 자음(또는 자음 군집)을 따를 때, 자음에 따라 자음의 위, 아래, 앞 또는 뒤에 나타날 수 있는 이음법으로 쓰여진다. 이러한 모음 표시는 자음 없이는 나타날 수 없으며 호르코트라고 불린다.
- 위의 시스템에 대한 예외는 모음 / //인데, 모음 표시는 없지만 모든 자음 문자에 내재된 것으로 간주된다. 자음 뒤에 고유모음[ɔ]이 없음을 나타내기 위해 자음 아래에 오손토(五꠆)라고 하는 이음절(異音)을 쓸 수 있다.
- 대본의 목록에는 "ꠂ" oi /oi/의 diphthong이 하나뿐이지만, 그것의 음성 체계에는 실제로 많은 diphthong이 있다. 대부분의 diphthong은 ꠇꠃꠃ /xeu/에서와 같이 그 형성 모음의 그래프를 juap으로 juap by으로 표현한다.
편지 | 디아크리트어 | 전사 | IPA |
---|---|---|---|
ꠀ | ꠣ | a | /a/ |
ꠁ | ꠤ | i | /i/ |
ꠃ | ꠥ | u | /u/ |
ꠄ | ꠦ | e | /e/ |
ꠅ | ꠧ | ô | /ɔ/ |
해당 없음 | ꠂ | ii | /ɔi/ |
자음
자음이 27개다. 글자의 이름은 일반적으로 고유모음인 ꠅ ///의 자음 소리일 뿐이다. 고유모음을 가정하고 쓰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글자의 이름은 글자 자체와 동일하게 보인다. 즉, ꠊ의 이름은 ghô이다.
ꠞ rô과 ꠠ oo의 발음에는 차이가 있다. 비록 평범한 말씨에서 이것들은 / /ɔ/와 같은 발음이다.
IPA | 보통음문자 | 하이톤 문자 | 전사 | 전사 IPA | 참고 |
---|---|---|---|---|---|
/k~x/ | ꠇ | ꠈ | kô/khô | xɔ / xɔ́́ | "kite"의 k나 "khartoum"의 kh처럼 말이다. 모음 내의 위치에 따라 |
/g/ | ꠉ | ꠊ | gô/ghô | gɔ/gɔ́ | "garage"의 g처럼. |
/t͡ʃ~~s/ | ꠌ | ꠍ | 챠우/차우시 | sɔ/ś́ | "챗팅"의 ch나 "태양"의 s처럼. |
/d͡ʒ~~z/ | ꠎ | ꠏ | jj/jhj | zɔ/zɔ́ | "정글"의 j나 "zoo"의 z처럼. |
/ʈ/ | ꠐ | ꠑ | ṭô / ṭô | ʈɔ / ʈɔ́ | "툴"의 t처럼. |
/ɖ/ | ꠒ | ꠓ | ḍô / ḍô | ɖɔ / ɖɔ́ | "doll"의 d처럼. |
/t̪/ | ꠔ | ꠕ | tô / thô | t̪ɔ/t̪́́́ | "소비에트"의 t처럼. |
/d̪/ | ꠖ | ꠗ | dô/dhô | d̪ɔ/d̪́́́ | "the"의 th처럼. |
/n/ | ꠘ | n/a | nô | nɔ | "그물"에 나오는 n처럼. |
/p~ɸ~f/ | ꠙ | n/a | p | ɸɔ | "풀"의 p나 "fun"의 f처럼 말이다. |
/ɸ~~f/ | n/a | ꠚ | ph | ́́ | "음식"의 f처럼. |
/b/ | ꠛ | ꠜ | bô/bhô | bɔ/bɔ́ | "큰"의 b처럼. |
/m/ | ꠝ | n/a | mô | mɔ | "달"의 m처럼. |
/ɾ/ | ꠞ | n/a | r | ɾɔ | "장미"의 r처럼. |
/l/ | ꠟ | n/a | lô | lɔ | "럭"에 나오는 나처럼. |
/ʃ/ | ꠡ | n/a | sh | ʃɔ | "shoe"에 나오는 shh처럼. |
/ɦ/ | ꠢ | n/a | hô | ɦɔ | "머리"에 나오는 h처럼. |
/ɽ/ | ꠠ | n/a | ṛô | ɽɔ | "서둘러"의 r처럼. |
기호
기호 | 전사 | IPA | 참고 |
---|---|---|---|
◌꠆ | – | – | 이를 '오션토'라고 하며 자음 문자의 고유모음을 취소할 때 사용한다. |
ꠋ | ngô | /ŋ/ | 이것을 '우모'라고 부르기도 하고 'ng'라고 발음하기도 한다. |
꠨ | – | – | 시 마크 1 |
꠩ | – | – | 시 마크 2 |
꠪ | – | – | 시 마크 3 |
꠫ | – | – | 시 마크 4 |
샘플 텍스트
다음은 유엔의 세계인권선언 제1조 실헤티의 견본문자다.
실헤티 나가리 대본의 실헤티
- ꠗꠣꠞꠣ ১: ꠢꠇꠟ ꠝꠣꠘꠥꠡ ꠡꠣꠗꠤꠘꠜꠣꠛꠦ ꠢꠝꠣꠘ ꠁꠎ꠆ꠎꠔ ꠀꠞ ꠢꠇ ꠟꠁꠀ ꠙꠄꠖꠣ ‘ꠅꠄ। ꠔꠣꠁꠘꠔꠣꠁꠘꠞ ꠛꠤꠛꠦꠇ ꠀꠞ ꠀꠇꠟ ꠀꠍꠦ। ꠅꠔꠣꠞ ꠟꠣꠉꠤ ꠢꠇꠟꠞ ꠄꠇꠎꠘꠦ ꠀꠞꠇꠎꠘꠞ ꠟꠉꠦ ꠛꠤꠞꠣꠖꠞꠤꠞ ꠝꠘ ꠟꠁꠀ ꠀꠌꠞꠘ ꠇꠞꠣ ꠃꠌꠤꠔ।
표음 로마자 표기의 실헤티
- 다라 ex: Hoxol manuṣ ṣadinbabe homan ijot ar hox loia foeda oe. 태인테너 비벡스 아르 액솔 아세. Otar lagi hoxlor exzone aroxzonor loge biradorir mon loia asoron xora usit.
IPA의 실헤티
- /d̪aɾa ex ɦɔxɔl manuʃ ʃad̪ínbábɛ ɦɔman id͡ʑd͡ʑɔt̪ aɾ ɦɔx lɔia fɔe̯d̪a ɔ́e̯ ‖ t̪aɪnt̪aɪnɔɾ bibex aɾ axɔl asé ‖ ɔt̪aɾ lagi ɦɔxlɔɾ ɛxzɔne arɔxzɔnɔɾ lɔgɛ birad̪ɔɾiɾ mɔn lɔia asɔɾɔn xɔɾa usit̪ ‖/
광택
- 제1조: 모든 인간의 자유 지배자는 동등한 존엄성과 권리를 갖는다. 출산하라. 그들의 이성과 지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모든 사람들은 - 실제로 행동한 비라드리 태도에 대한 서로의 태도가 그래야 한다.
번역
- 제1조: 모든 인간은 자유롭고 존엄과 권리에서 평등하게 태어난다. 그들은 이성과 양심을 타고났다. 그러므로 그들은 형제애 정신으로 서로를 향해 행동해야 한다.
글꼴 및 키보드
![]() | 이 글은 광고처럼 쓰인 내용을 담고 있다. (2020년 9월) (이 과 시기 |
1997년 STAR의 Sue Lloyd-Williams는 대본을 위한 최초의 컴퓨터 폰트를 제작했다. 뉴 수르마는 독점적인 글꼴이다. Noto 글꼴은 스크립트의 오픈 소스 글꼴을 제공한다. 실로티 나그리는 버전 4.1이 출시되면서 2005년 3월 유니코드 표준에 추가되었으며, 애플 기기에서 구입할 수 있다.[34] 다른 폰트로는 전통적인 실헤티 번호를 포함하도록 원고에서 개발된 묵터 아흐메드의 폰티 18.ttf가 있다. 메트로폴리탄 대학의 일상적인 프로젝트로 실렛, 사비르 아흐메드 샤원, 무함마드 누룰 이슬람(캡슐스튜디오라는 이름 아래)이 2017년 12월 9일 구글 플레이를 위한 실로티 나그리 키보드를 개발해 출시했다.[35] 이제 다양한 키보드와 글꼴을 사용할 수 있다.
- Syloti Nagri Notes, 영국에 본사를 둔 Sureware Ltd on Google Play.[36]
- Honso의 추가 앱 Sylheeti 키보드 플러그인이 포함된 Multiling O 키보드, Google Play.[37]
- 구글의 지부아르도 실헤티(실로티 나기리)를 2019년 4월부터 입력으로 이용할 수 있게 했다.[38]
유니코드
실로티 나그리는 버전 4.1의 발매와 함께 2005년 3월에 유니코드 표준에 추가되었다.
실로티 나그리의 유니코드 블록은 U+A800–U+A82F:
실로티나그리[1][2] 공식 유니코드 컨소시엄 코드 차트(PDF) |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A | B | C | D | E | F | |
U+A80x | ꠀ | ꠁ | ꠂ | ꠃ | ꠄ | ꠅ | ꠆ | ꠇ | ꠈ | ꠉ | ꠊ | ꠋ | ꠌ | ꠍ | ꠎ | ꠏ |
U+A81x | ꠐ | ꠑ | ꠒ | ꠓ | ꠔ | ꠕ | ꠖ | ꠗ | ꠘ | ꠙ | ꠚ | ꠛ | ꠜ | ꠝ | ꠞ | ꠟ |
U+A82x | ꠠ | ꠡ | ꠢ | ꠣ | ꠤ | ꠥ | ꠦ | ꠧ | ꠨ | ꠩ | ꠪ | ꠫ | ꠬ | |||
메모들
|
참고 항목
갤러리
참조
- ^ a b 티보우 뒤버트, 알렉산드르 파파스(2018). 지역 컨텍스트의 Jamī: 『Abd al-Raḥmán Jamī의 이슬람 세계 작품 접수』, ca. 9/15-14/20세기. pp.678. BRILL. 2020년 9월 9일 회수.
- ^ Daniels, P. T. (2008). "Writing systems of major and minor languages". In Kachru, B.; Kachru, Y.; Sridhar, S. N. (eds.). Language in South A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 ^ Masica, Colin (1993). The Indo-Aryan languages. p. 143.
- ^ a b "Documentation in support of proposal for encoding Syloti Nagri in the BMP" (PDF). unicode.org. 1 November 2002. p. 5.
In the opinion of Qadir (1999) and of Professor Clifford Wright of SOAS (personal communication), Syloti Nagri is a form of Kaithi, a script (or family of scripts) which belongs to the main group of North Indian scripts.
- ^ a b "সিলেট নাগরী", শ্রী পদ্মনাথ দেবশর্ম্মা; সাহিত্য-পরিষৎ-পত্রিকা, ৪র্থ সংখ্যা; ১৩১৫ বঙ্গাব্দ, পৃষ্ঠা ২৩৬।
- ^ a b c d e Sadiq, Mohammad (2008). Sileṭi nāgarī : phakiri dhārāra phasala সিলেটি নাগরী:ফকিরি ধারার ফসল (in Bengali). Asiatic Society of Bengal. OCLC 495614347.
- ^ a b c Bhattacharjee, Nabanipa. "Producing the community". Communities cultures and identities a sociological study of the Sylheti community in contemporary India. Jawaharlal Nehru University. pp. 58–66. hdl:10603/18565.
- ^ Constable, Peter; Lloyd-Williams, James; Lloyd-Williams, Sue; Chowdhury, Shamsul Islam; Ali, Asaddor; Sadique, Mohammed; Chowdhury, Matiar Rahman (1 November 2002). "Proposal for Encoding Syloti Nagri Script in the BMP" (PDF).
- ^ "Sylhét Nāgrir Pahélā Kétāb o Doi Khūrār Rāg". Endangered Archives Programme.
- ^ a b c d Basu, Nagendranath (1933). "Bengali Section: Presidential Address". Proceedings And Transactions Of The Sixth All India Oriental Conference, December 1930. Patna, Bihar: Bihar and Orissa Research Society. pp. 262–264.
- ^ "From the Government of Bengal, No. 1363, dated 8th August 1888". Selections from the Records of the Government of India, Home Department. Calcutta: Government Printing, India. CCXLVII: 29 & 35. 1888.
- ^ "শ্রীহট্টে নাগরী সাহিত্য (জন্মকথা)", এম. আশরাফ হোসেন সাহিত্যরত্ন; শ্রীহট্ট সাহিত্য-পরিষৎ-পত্রিকা, ১ম বর্ষ ৩য় সংখ্যা; ১৩৪৩ বঙ্গাব্দ; পৃষ্ঠা ৯৮। উদ্ধৃতি: "সহজ ও সুন্দর বলিয়া জনসাধারণ ইহার অপর এক নাম দিয়াছিলেন সিলেটে 'ফুল নাগরী'।"
- ^ a b Achyut Charan Choudhury. "Srihatter Musalmani Nagrakkar". Srihatter Itibritta Purbangsha.
- ^ a b Islam, Muhammad Ashraful (2012). "Sylheti Nagri". In Islam, Sirajul; Miah, Sajahan; Khanam, Mahfuza; Ahmed, Sabbir (eds.). Banglapedia: the National Encyclopedia of Bangladesh (Online ed.). Dhaka, Bangladesh: Banglapedia Trust, Asiatic Society of Bangladesh. ISBN 984-32-0576-6. OCLC 52727562. Retrieved 1 December 2021.
- ^ Ahmad Hasan Dani (1958). শ্রীহট্ট-নাগরী লিপির উৎপত্তি ও বিকাশ. Bangla Academy (in Bengali): 1.
- ^ Islam, Muhammad Ashraful (2012). "Sylheti Nagri". In Islam, Sirajul; Miah, Sajahan; Khanam, Mahfuza; Ahmed, Sabbir (eds.). Banglapedia: the National Encyclopedia of Bangladesh (Online ed.). Dhaka, Bangladesh: Banglapedia Trust, Asiatic Society of Bangladesh. ISBN 984-32-0576-6. OCLC 52727562. Retrieved 1 December 2021.
- ^ a b c d Ali, Syed Murtaza (2003) [First published 1965]. Hajarata Śāh Jālāla o Sileṭera itihāsa হজরত শাহ্ জালাল ও সিলেটের ইতিহাস (in Bengali). Utsho Prokashon. p. 148. ISBN 984-889-000-9.
- ^ Nagendranath Basu (ed.). "Devanagar". Bangla Bishwakosh (in Bengali). 12. p. 731.
- ^ Saha, RN (1935). "The Origin of the Alphabet and Numbers". In Khattry, DP (ed.). Report of All Asia Educational Conference (Benares, December 26-30, 1930). Allahabad, India: The Indian Press Ltd. pp. 751–779.
- ^ Bhattacharjee Vidyabinod, Padmanath (1908). Sylhet Nagri.
- ^ Chanda, Anuradha (2006). SILET NAGARIR PAHELA KITAB O DAIKHURAR RAG (in Bengali). Dey's Publishing. pp. 16–17.
- ^ George Grierson (1903). Language Survey of India - Vol. V Pt 1. p. 224.
Among the low class Muhammadans of the east of the district... the script is hardly used
- ^ "Sylheti language and the Syloti-Nagri alphabet". www.omniglot.com.
- ^ "Sylheti unicode chart" (PDF).
- ^ Saleem, Mustafa (1 September 2018). নাগরীলিপিতে সাহিত্য প্রয়াস (in Bengali). Prothom Alo.
- ^ a b Gupta, Sumanta (8 June 2020). মোস্তফা সেলিম এবং ‘বাতিঘর থেকে নাগরীচত্বর’ বৃত্তান্ত. Daily Sylhet Mirror (in Bengali).
- ^ a b c Mostafa Selim (4 June 2020). সিলেটি নাগরীলিপির নবজাগরণ [The reawakening of the Sylheti Nagri script]. Puber Hawa (in Bengali).
- ^ Mamun, Muntasir (January 2004) [1993]. Dhaka: Smriti Bismritir Nogori (in Bengali) (3rd edition, 4th printing ed.). Dhaka, Bangladesh: Ananya Publishers. pp. 178–180. ISBN 984-412-104-3.
- ^ নাগরী লিপির গ্রন্থসম্ভার নিয়ে এল উত্স প্রকাশন [Utsho Prokashon has come with a Nagri script book collection]. The Daily Ittefaq (in Bengali). 23 January 2014. Retrieved 7 February 2021.
- ^ সিলেটে নির্মিত হচ্চে নাগরি চত্বর. Beanibazar News 24 (in Bengali). 12 July 2018.
- ^ নাগরিলিপির ঐতিহ্য রক্ষায় 'নাগরি চত্বর'. Prothom Alo (in Bengali). 20 April 2014.
- ^ সিলেটী ভাষায় প্রকাশিত হলো পবিত্র বাইবেল [Holy Bible published in the Sylheti language]. East End Life (in Bengali) (1039). London Borough of Tower Hamlets. 8 December 2014.
- ^ "Language scholar prints first ever Sylheti bible". East End Life (1040). London Borough of Tower Hamlets. 15 December 2014.
- ^ "Unicode Data-4.1.0". Retrieved 16 March 2010.
- ^ "Syloti Nagri Keyboard". Google Play.
- ^ "Syloti Nagri Notes".
- ^ "Sylheti Keyboard plugin". Google Play.
- ^ Wang, Jules (18 April 2019). "Gboard updated with 63 new languages, including IPA". Android Police. Retrieved 15 January 2020.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인큐베이터에서 위키백과의 실헤티 나그리 시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