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트릭 섹스
Tantric sex

탄트라 섹스 또는 성적 요가는 힌두교와 불교 탄트라에서 의식화되거나 요가적인 맥락에서 성을 행사하기 위해 수행되는 광범위한 연습을 말합니다.탄트릭 섹스는 안티노미안 또는 알코올 소비, 그리고 신들에게 고기와 같은 물질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요소들과 관련이 있습니다.게다가 성적 액체는 외부적으로나 [1][2]내부적으로 의식적으로 사용되는 "힘 물질"로 간주됩니다.
The actual terms used in the classical texts to refer to this practice include "Karmamudra" (Tibetan: ལས་ཀྱི་ཕྱག་རྒྱ las kyi phyag rgya, "action seal") in Buddhist tantras and "Maithuna" (Devanagari: मैथुन, "coupling") in Hindu sources.힌두교 탄트라에서 마이투나는 5개의 마카라(5개의 탄트라 물질) 중 가장 중요하며 판차마카라, 판차타트바, 타트바 차크라로 다양하게 알려진 탄트라 대제사의 주요 부분을 구성합니다.티베트 불교에서, 카르마무드라는 종종 탄트라 수행의 완성 단계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이러한 관행과 카마샤스트라 문헌(카마수트라 포함) 사이에 어느 정도 연관이 있을 수 있지만, 두 관행 전통은 별개의 목표를 가진 별개의 방법입니다.영국의 인도학자 제프리 새뮤얼이 지적한 바와 같이, 카마사스트라 문학이 성적 쾌락 추구(카마)에 관한 것인 반면, 성적 요가 수행은 종종 해방 추구(목샤)[3]를 목표로 합니다.
역사


사무엘에 따르면, 하이미니야 브라흐마나, 찬도냐 우파니사드, 브라다라냐카 우파니사드와 같은 후기 베다 문자들은 "성교를 베다의 제물과 상징적으로 동등하게 취급하고 정액의 사정을 제물로 삼는다"고 합니다.브라다라니야카 우파니샤드에는 남성의 남성다움과 [4]권력의 상실과 관련된 아이를 얻는 것을 목표로 하는 다양한 성 의식과 관행이 포함되어 있습니다.브라다라냐카 우파니샤드의 한 구절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그녀의 외음부는 제사장이고, 그녀의 치골은 신성한 풀이고, 그녀의 입술은 소마 프레스이고, 그녀의 입술은 중앙에서 타는 불입니다.이 지식을 가지고 성교를 하는 남자는 소마 제물을 하는 남자만큼 위대한 세상을 얻고, 그는 자신과 성관계를 가진 여자들의 장점을 자기에게 전용합니다.반면에 여성들은 이러한 지식 없이 자신들과 성관계를 맺는 남자의 장점을 자신들에게 알립니다.(브라다라냐카 우파니는 6.4.3, 트랜스.올리벨 1998: 88)[5]
성 요가에 대한 가장 초기의 언급 중 하나는 아상가의 마하야나수트랄람카라 불교에 있습니다.이 구절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고의 자제력은 행복한 부처님의 자세와 [6]배우자의 자유로운 비전 속에서 성교의 역전에서 달성됩니다.
David Snellgrove에 따르면, 본문에서 '성관계의 역전'에 대한 언급은 사정을 보류하는 관행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스넬그로브 주:
아상가가 글을 쓰고 있던 5세기에 이미 이러한 성적 요가의 기술들이 평판이 좋은 불교계에서 사용되고 있었고, 아상가 자신이 그러한 관행을 타당하다고 받아들인 것은 결코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숨을 들이마시고 내쉬는 호흡의 자연적인 힘은 힌두교 요가뿐만 아니라 불교에서도 통제되어야 할 필수적인 힘으로 확실히 받아들여졌습니다.그러므로 왜 성적인 힘의 자연적인 힘은 없을까? [...] 일단 성 요가가 아상가에 의해 이미 받아들여지는 요가 관행으로 간주되었다는 것이 확인되면, 이전의 불교 가르침에 대한 명백한 모순에도 불구하고 탄트리의 논문이 어떻게 다음 세기에 쉽게 시성되었는지 이해하기가 훨씬 쉬워진다.[7][7]
제프리 사무엘에 따르면, 어떤 종류의 성적인 요가가 4세기나 5세기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지만,
그러나 그러한 관습에 대한 실질적인 증거는 상당히 나중인 7세기와 8세기에 시작되었으며 사이바와 불교 탄트리 서클에서 파생되었습니다.여기서 우리는 성 요가를 특정한 연습의 일부로 봅니다.사이바 쪽에서는 남인도와 북인도의 일련의 지명 교사들, 티루뮐러와 보가르를 포함한 남부의 치타(싯다) 교사들, 북쪽의 소위 나스 교사들과 관련이 있는데, 주요 이름은 마츠옌드라(마츠옌드라나트)와 고라크(고라크나트)입니다.불교적인 측면에서, 그것은 소위 마하요가 탄트라와 연관되어 있습니다.이러한 발전은 세 가지 [6]영역 모두에서 거의 동시에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9세기 힌두 철학의 니야 학파의 학자이자 탄트라 문학에 대해 논평한 자얀타 바타는 탄트리 사상과 영적 실천은 대부분 잘 배치되어 있지만, 그것은 또한 그것의 수행자들이 "단순히 하나의 파란색 옷을 입고," 소위 "닐람바라" 종파에 의한 것과 같은 "비도덕적인 가르침"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그리고 나서 단체로 축제에서 "제한 없는 공공 섹스"에 참여합니다.그는 이러한 관행은 불필요하며 [8]사회의 근본적인 가치를 위협한다고 썼습니다.
더글러스 렌프루 브룩스(Douglas Renfrew Brooks)는 중독성 물질과 성(性)의 사용과 같은 반유대주의적 요소는 애니미즘적인 것이 아니라 일부 카울라 전통에서 "브라만의 궁극적인 현실과 세속적인 물리적이고 세속적인 세계 사이의 구별"을 타파하기 위해 탄트리 신자들에게 도전하기 위해 채택되었다고 말합니다.에로틱과 금욕적인 기술을 결합함으로써 탄트리크는 모든 사회적, 내부적 가정을 무너뜨리고 시바처럼 [9]되었습니다.데이비드 그레이는 카슈미르 샤이즘에서 반공주의적 횡단적 사상이 명상과 성찰을 위해, 그리고 "초월적 [10]주관성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내면화되었다고 말합니다.
사회 규정의 짜증나는 반전의 일부로, 성적 요가는 종종 가까운 친척이나 가장 낮고 오염된 카스트의 사람들과 같이 가능한 가장 금기시되는 그룹의 배우자를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그들은 젊고 아름다워야 하며 [11]탄트라를 시작해야 합니다.
탄트릭한 성행위는 종종 예외적이고 엘리트적인 것으로 여겨지며 모든 종파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것입니다.그들은 불교와 힌두 탄트라에 속하는 일부 탄트라 문학에서만 발견되지만, 자인 탄트라에는 [12]전혀 없습니다.힘의 물질로서의 성액과 의식적 성이 언급되는 카울라 전통과 다른 것들에서 학자들은 그들의 번역, 해석, 그리고 실질적인 [13][14][15]의미에서 동의하지 않습니다.그러나, 감정, 에로티시즘, 성은 탄트릭 문학에서 보편적으로 자연스럽고 바람직한 신의 변화의 수단으로 간주됩니다.쾌락과 성은 삶의 또 다른 측면이자 "우주의 뿌리"이며, 그 목적은 생산을 넘어 영적인 여행과 성취를 [16]위한 또 다른 수단입니다.
이 아이디어는 힌두교 사원 예술에 카마 예술과 힌두교 학자 라마찬드라 쿨라카라의 [16]실파 프라카샤와 같은 다양한 사원 건축과 디자인 설명서를 포함하면서 꽃을 피웁니다.
연습
힌두교에서
만트라마르가의 샤이브파 학자들은 초자연적인 힘을 얻기 위해 브라흐마의 머리 하나(빅샤타나)를 자른 후 시바의 고행을 재현했습니다.그들은 [17]그들의 배우자들과 함께 오르가즘 의식에서 생성된 알코올, 피, 그리고 성액과 같은 불순한 물질로 시바를 숭배했습니다.
초기 형태에서, 탄트릭의 성관계는 보통 "탄트릭 [18][19]신들의 선호하는 제물"을 구성하는 성적 액체를 생성하도록 지시되었습니다.이미 4세기 마하바라타에서 수행하는 금욕주의자들에 대한 언급이 있지만, 그러한 기술은 후기 불교 탄트라까지 드물었습니다.그때까지는 성적 배출이 허용되기도 하고 [18]강조되기도 했습니다.첫 번째 천년이 시작될 무렵, 탄트라는 sidharavrata의 참회식과 vajroli mudra의 사후 요가 기술과 같은 정액 보존의 관행을 포함하기 시작했습니다.그들은 아마도 마하바라타에서 [18]언급된 것처럼 고대의 비탄트리적 독신주의 학교에서 입양되었을 것입니다.
![]() | 이 섹션은 확장이 필요합니다.추가하면 도움이 됩니다. (2023년 4월) |
불교에서
불교의 성례는 Shaivantra로부터 [11]통합되었고, 그 과정에서 훨씬 더 노골적으로 야하고 횡단적이 되었습니다.성적으로 암시적이고 피가 흐르는 Vajrayogini와 같은 신들은 성관계와 [11]월경 사이의 전통적인 분리를 뒤엎습니다.9세기 불교 문헌인 칸다마하로사나 탄트라와 같은 일부 극단적인 텍스트는 항문과 생식기의 세척수와 같은 수행자의 성 파트너의 신체 노폐물 소비를 옹호했습니다.그것들은 "힘의 물질"로 여겨졌고, 폐기물은 "모든 부처가 먹는"[20] 식단으로 소비되어야 한다고 가르쳤습니다.
어떤 형태의 불교에서는, 성액이 반드시 보존되어야 하는 정력적인 물질로 여겨지기 때문에, 탄트라 성교는 정액 보유의 실천과 강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많은 불교의 탄트릭 작업은 성적인 방출에서 유지와 의도적으로 오래된 행복으로 초점을 맞추며,[18][19] 따라서 신들에게 향하는 액체의 탄트릭 제물을 "내부화"합니다.
일본 불교
12세기 일본의 학교 다치카와류는 그것을 "수천 명의 [21]잠재적인 부처들을 포함한 사랑의 샤워"라고 생각하면서 사정 자체를 단념하지 않았습니다.그들은 인간의 두개골을 숭배하는 것과 함께 성적인 액체의 방출을 사용했고, 혼존을 만들기 위해 그 결과 [21]혼합물에 코팅되었습니다.하지만, 이러한 관행은 이단으로 간주되어 종파의 [21]탄압으로 이어졌습니다.
티베트 불교
티베트 불교에서, 고등 탄트라 요가는 일반적으로 사전적인 탄트라야나 수행(즉, 비 탄트라 마하야나 수행)과 예비적인 탄트라 명상을 포함하는 예비적인 수행(티브. 응곤드로)이 선행됩니다.탄트라 연습을 시작하려면 탄트라 시작이 필요합니다.
티베트의 탄트라 수행은 티베트 불교의 주요 탄트라 수행을 말합니다.위대한 림 학자인 Jamgön Kongtrül은 이것을 "비밀 만트라의 파괴할 수 없는 방식에서의 명상의 과정"이라고 언급하고,[22][23] 또한 그의 지식 금고에서 "만트라의 방식", "방법" 및 "비밀 방식"이라고 언급합니다.이러한 Vajrayana 불교 관습은 주로 불교 탄트라에서 유래되었으며 일반적으로 "흔한"(즉, 탄트라가 아닌) 마하야나에서는 발견되지 않습니다.이러한 관습은 티베트 불교도들에 의해 불교를 [24]향한 가장 빠르고 강력한 길로 여겨집니다.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요가 탄트라(Skt. uttarayogatra, Mahayoga로도 알려져 있음)는 차례로 티베트 불교에서 가장 높은 탄트라 수행으로 간주됩니다.중성요가 탄트릭 시술은 생성 단계와 완료 단계의 두 단계로 나뉩니다.생성 단계에서, 사람은 공허함에 대해 명상하고 자신이 선택한 신(이담), 만다라 및 동반신을 시각화하여 이 신성한 현실과 동일시하게 됩니다("신성한 자부심"[25]이라고 불립니다).이것은 신 요가 (데바타 요가)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완성 단계에서는 신의 형태에서 궁극적인 현실(다양한 방식으로 정의되고 설명됨)의 직접적인 실현으로 초점이 옮겨집니다.완성 단계 연습은 또한 정신의 빛의 빛의 본질뿐만 아니라 미묘한 신체 물질(Skt. bindu, Tib. thigle)과 "활력적인 바람"(vayu, lung)을 다루는 기술을 포함합니다.그들은 종종 나로파의 6개의 다르마 또는 칼라차크라의 6개의 요가와 같은 다른 시스템으로 그룹화됩니다.
카르마무드라는 그러한 행위에 종사하는 여성 요기니와 육체적 또는 시각화된 배우자와의 성적 결합 및 비이중적인 행복 상태와 [26]공허함에 대한 통찰력을 달성하기 위한 내면의 열(종양)의 연습을 이용하는 기술을 말합니다.티베트 불교에서, 완성 단계 연습인 투모 요가의 숙련은 일반적으로 카르마무드라의 [27]연습의 전제 조건으로 여겨집니다.
참고 항목
레퍼런스
- ^ 홍수 1996, 페이지 159–160.
- ^ Flood 2006, pp. i-ii.
- ^ 사무엘 2010, 273페이지
- ^ Samuel 2010, 283페이지
- ^ 사무엘 2010, 282페이지
- ^ a b Samuel 2010, 276페이지
- ^ 스넬그로브 1987, 127페이지
- ^ Flood 2006, 페이지 48–49.
- ^ Brooks 1990, 페이지 69–71.
- ^ 회색 2016, 11페이지
- ^ a b c 영어 2013, 41페이지
- ^ 그레이 2016, 17페이지
- ^ 홍수 2006, 페이지 164–168.
- ^ 라슨 2008, 페이지 154–157.
- ^ Payne 2006, 페이지 19–20.
- ^ a b 홍수 2006, 페이지 84–86.
- ^ 영어 2013, 40페이지
- ^ a b c d 화이트 2000, 17페이지
- ^ a b Baier, Maas & Preisendanz 2018, 페이지
- ^ 홍수 2006, 페이지 84–85.
- ^ a b c 스티븐스 1990, 페이지.
- ^ Jamgön Kongtrül 2005, 74페이지
- ^ Jamgön Kongtrül 2008.
- ^ 파워스 2007, 250페이지
- ^ Garson 2004, 52페이지
- ^ Krah (2015), 페이지 381–386
- ^ 송-카-파 (2005), 70페이지
인용된 작품
- Baier, Karl; Maas, Philipp André; Preisendanz, Karin (2018). Yoga in Transformation: Historical and Contemporary Perspectives. V&R Unipress. ISBN 978-3-73700-862-4.
- Brooks, Douglas Renfrew (1990). The Secret of the Three Cities: An Introduction to Hindu Sakta Tantrism.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07569-3.
- English, Elizabeth (2013). Vajrayogini: Her Visualization, Rituals, and Forms. Simon and Schuster. ISBN 978-0-861-71657-9.
- Flood, Gavin D. (1996). An Introduction to Hindu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43878-0.
- Flood, Gavin D. (2006). The Tantric Body, The Secret Tradition of Hindu Religion. I.B Taurus. ISBN 978-1-84511-011-6.
- Garson, Nathaniel DeWitt (2004). Penetrating the Secret Essence Tantra: Context and Philosophy in the Mahayoga System of rNying-ma Tantra.[전체 인용 필요]
- Gray, David B. (2016). "Tantra and the Tantric Traditions of Hinduism and Buddhism".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Religion.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acrefore/9780199340378.013.59. ISBN 9780199340378.
- Jamgön Kongtrül (2005). The Treasury of Knowledge, Book Six, Part Four Systems of Buddhist Tantra. Translated by Elio Guarisco and Ingrid McLeod. Snow Lion Publications.
- Jamgön Kongtrül (2008). The Treasury of Knowledge: Book Eight, Part Three: The Elements of Tantric Practice. Translated by Elio Guarisco and Ingrid McLeod. Shambhala Publications.
- Kragh, Ulrich Timme (2015). Tibetan Yoga and Mysticism A Textual Study of the Yogas of Naropa and Mahamudra Meditation in the Medieval Tradition of Dags po. Studia Philologica Buddhica. Tokyo: International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ISBN 4-906267-72-6.
- Larson, Gerald (2008). "Reviewed Work: Kiss of the Yoginī: "Tantric Sex" in Its South Asian Contexts by David Gordon White".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128 (1 (January - March 2008)): 154–157. JSTOR 25608318.
- Payne, Richard K. (2006). Tantric Buddhism in East Asia. Simon and Schuster. ISBN 978-0-86171-487-2.
- Powers, J. (2007). Introduction to Tibetan Buddhism (Rev ed.). Ithaca: Shambhala. ISBN 978-1559392822.
- Samuel, Geoffrey (2010). The Origins of Yoga and Tantra. Indic Religions to the Thirteen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695343.
- Snellgrove, D. L. (1987). Indo-Tibetan Buddhism: Indian Buddhists and their Tibetan Successors. Serindia.
- Stevens, John (1990). Lust for Enlightenment: Buddhism and Sex. Shambala Publications. ISBN 978-0834829343.
- Tsong-Kha-Pa (2005). The Six Yogas Of Naropa, Tsongkhapa's Commentary Entitled A Book Of Three Inspirations A Treatise on the Stages Of Training in the Profound Path Of Naro's Six Dharmas. Translated by Glenn H. Mullin. Snow Lion Publications. ISBN 1-55939-234-7.
- White, David Gordon, ed. (2000). Tantra in Practi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05779-8.
진일보한 내용
- Boner, Alice; Śarmā, Sadāśiva Rath (1966). Silpa Prakasa Medieval Orissan Sanskrit Text on Temple Architecture. Brill Archive. OCLC 29092186.
- Harle, James C. (1994). The Art and Architecture of the Indian Subcontinent. Yale University Press. ISBN 978-0-300-06217-5.
- Rabe, Michael (2001). David Gordon White (ed.). Tantra in Practice. Motilal Banarsidass. pp. 442–443. ISBN 978-81-208-1778-4.
- White, David Gordon (2003). Kiss of the Yogini: "Tantric Sex" in its South Asian Context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02783-8.
- White, David Gordon (2005). "Tantrism: An Overview". In Jones, Lindsay (ed.). MacMillan Encyclopedia of Religion. Macmillan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