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샤
Kosha보통 "껍질"로 렌더링되는 코샤(코사; 산스크리트어 कोश, IAST: kośa)는 베단틱 철학에 따르면 앳먼(atman), 즉 자아(Self)를 덮은 것이다. 5개의 코샤가 있으며, 그것들은 종종 미묘한 체내에서 양파의 층으로 시각화된다.[1]
오리진스
판차코샤라는 용어로 요약된 5개의 칼집은 타이티리야 우파니샤드(2.1-5)에 설명되어 있다.[2][3] 총체적인 것에서 벌금에 이르기까지 다음과 같다.
- 안나마야 코샤, "음식" 껍질 (안나)[3]
- Pramanaya kosha, "에너지" 피복(Prana)[3]
- 마노마야 코샤 "마음" 칼집 (마나스)[3]
- 비냐나마야 코샤, "장애" 또는 "지식" 껍질(비기나나)[3]
- 아난다마야 코샤 "블리스" 칼집 (아난다)[3]
베단타에 따르면, 현명한 사람은 각각의 코샤 안에 있는 다섯 가지 원소의 미묘한 영향을 의식하면서, 외모 속에서 자아를 발견한다.
다섯 칼집
안나마야코샤
이것은 다섯 개의 코샤 중 가장 징그러운 육체적(신체)자신의 피복으로, 음식으로 영양을 공급한다는 사실에서 이름이 붙여졌다. 이 층을 통해 사는 인간은 피부, 살, 지방, 뼈, 대변의 덩어리와 자신을 동일시하는 반면 차별의 인간은 자신을 알고 있다는 것, 즉 육체와 구별되는 유일한 현실이다. 육체는 음식의 본질로 형성된다. 출생과 죽음은 안나마야 코샤의 속성이다.
프라나마야코샤
프라나마야(Pramanaya)는 프라나(Prana), 생명력 원리, 몸과 마음을 활기차게 하고 함께 지탱하는 힘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유기체 전체에 퍼져서 하나의 물리적 발현이 숨쉬는 거야 유기체에 이 생명 원리가 존재하는 한 생명체는 계속된다. 5개의 활동 기관과 결합하여 그것은 필수적인 피복을 형성한다. 비베카츄다마니에서는 바유나 공기를 개조한 것으로, 몸 속으로 들어가 밖으로 나온다.
마노마야코샤
마노마야는 마나나 정신으로 구성된다는 뜻이다. 정신은 오감 기관과 함께 마노마야 코사를 구성한다고 한다. "마노마야 코사" 또는 "마인드-셰어"는 안나마야 코사와 프라나마야 코사보다 인격에 더 가깝다고 한다. 그것은 나와 나의 다양성의 원인이다. 아디 샨카라는 그것을 바람에 실려 다시 같은 기관에 의해 쫓겨나는 구름에 비유한다. 마찬가지로 인간의 속박은 정신에 의해 발생하며, 해방 역시 그것만으로도 야기된다.
비냐나마야코샤
비냐나마야는 비냐나, 혹은 지성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이는 차별, 결정 또는 의지를 하는 교수진을 의미한다. 샤탐피 마데니칼은 비냐나마야를 지성과 오감기관의 결합으로 정의한다. 그것은 지각의 기관과 연관된 더 많은 지적인 선택으로 구성된 피복이다. 산카라는 불상이 그 변형과 지식의 기관을 가지고 인간의 전염의 원인을 형성한다고 주장한다. 이 지식의 피복은 시인의 힘 반영이 뒤따르는 것 같은 것으로, 프라크르티를 개조한 것이다. 그것은 지식의 기능을 부여받으며 신체, 장기 등과 자신을 동일시한다.
이 지식 피복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최고자신이 될 수 없다.[citation needed]
- 그것은 바뀔 수 있다.
- 그것은 경솔하다.
- 그것은 한정된 것이다.
- 그것은 끊임없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아난다마야코샤
아난다마야(Anandamaya)는 아난다(Ananda) 또는 행복(bliss)으로 구성된다는 뜻으로, 다섯 개의 코샤 중 가장 작은 것이다. 우파니샤드에서는 칼집을 인과체라고도 한다. 깊은 잠에서 마음과 감각이 기능을 멈출 때, 그것은 여전히 유한한 세계와 자기 사이에 서 있다. 아난다마야(Anandamaya)는 최고의 행복으로 구성된 것으로 가장 내면의 것으로 간주된다. 행복의 피복은 보통 깊은 잠잘 때 그것의 완전한 놀이를 한다: 꿈과 깨어있는 상태에서는 부분적인 발현만 있을 뿐이다. 행복의 칼집(Anandamaya kosha)은 진실, 아름다움, 행복 절대인 Atman의 반영이다.
판차코샤
다섯 가지 요소들(지구, 물, 불, 공기, 에테르)이 각각의 오감들 사이에서 상응하는 미묘함으로 나타나듯이 지성은 다섯 가지 피복들을 통해 놀이에 있어서 더 미묘하게 원인과 효과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가장 강력한 피복인 아나마야코샤는 가네샤가 지키고 있는 지구 원소에 기반을 두고 있는 반면, 가장 미비한 피복인 아난다마야는 콴타/에테르 원소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태양 위에 완전한 어둠의 검은 원반에 의해 보호되고 있어 가네샤만이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가장 미묘한 피복인 아난다마야코샤의 그 자기반영에 대한 인식은 원소, 에너지, 감각, 코샤가 봉사하는 것을 분별하는 기초에 불과하다. 이를 위해 한 사람은 매일 21 OM, viz, 5 OM, 5 OM, 5 OM, 5 OM, 5 Kosha를 암송한 후 5개의 원소, 즉 20 OM에 해당하는 5개의 OM을 매일의 일탈적 명상 속에서 5개의 코샤의 성분을 재검사하고, 그 다음 20 OM을 동일시하여 21번째 OM을 제시한다.정화된 지성, 알라야 니르비즈나나나, 타타가가타타가의 자궁에서 은은한 노래를 부르는데, 거기서 침묵이 뒤따르고 맑아지는 꽃이 핀다.[citation needed]
참고 항목
참조
- ^ Roeser, Robert W. (2005). An introduction to Hindu India's contemplative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motivation, self, and development (PDF) (pdf ed.). p. 15. Retrieved 25 June 2015.
- ^ 데이비드 프롤리, 요가와 신성한 불: 자기실현과 행성 변환, 페이지 288
- ^ Jump up to: a b c d e f Mallinson & Singleton 2017, 페이지 184.
원천
- Mallinson, James; Singleton, Mark (2017). Roots of Yoga. Penguin Books. ISBN 978-0-241-25304-5. OCLC 92848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