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케수사
Tisquesusa티스케수사 | |
---|---|
zipa | |
![]() 티스케수사, 무이키타 지배자 19세기에 그려진 | |
통치. | 1514–1537 |
전임자 | 네메킨 |
후계자 | 사기파 |
태어난 | 알 수 없는 무이스카 연합 |
죽은 | 1537 파카티바 그라나다 신왕국 |
쟁점. | 우사카(누나) 하마(아들) 마친자(딸)[1] |
다이너스티 | 바카타 |
티스쿠사(Tisquesa, 1537년 사망)는 무이키타의 네 번째이자 마지막 독립 통치자이다.그의 이름의 스페인어 발음은 콜롬비아의 수도 보고타를 불러왔다.티스케수사는 스페인의 무이스카 정복 당시 남부 무이스카 연맹의 통치자였으며, 곤살로 히메네즈 데 케사다와 그의 형이 이끄는 군대가 중앙 안데스 고지대에 진입했다.
전기
보고타는 키아의 불친절이었고 무이스카 유산 규칙을 따랐고, 그는 이전 통치자 네메케네의 조카로서 1514년에 그의 삼촌의 뒤를 이었다.그의 통치 초기에 보고타는 무이스카 연합 서쪽에서 판체족과 싸웠다.티스케수사와 나중에 무이스카 유산 규칙에 따르면 후계자인 사기파는 남부 무이스카 군대의 장군이었다.치세 초기에 티스쿠사는 케무엔차토가 통치하는 북부 무이스카와 전쟁을 벌였다.남부 무이스카의 4만 명의 게차 전사들이 5만 명의 북부 무이스카와 싸웠다.이전에, 이라카 계곡의 이라카 수가무시의 지원은 그들의 전투에서 북부군을 도왔으나, 이번에는 제3자가 1537년 [2]스페인 정복자들이 도착할 때까지 지속된 양당 간의 휴전을 해결하는 것을 도왔다.
스페인 정복
스페인 정복자들의 도착은 우바케 마을에서 모한 포폰에 의해 보고타에게 알려졌다.그는 무이스카 통치자에게 외국인이 오고 있으며 티스케수사는 "자신의 [3]피로 목욕을 하다가 죽을 것"이라고 말했다.티스케수사는 스페인 병사들의 침략을 보고받았을 때, 그들의 병력, 무기, 그리고 그들이 이길 수 있는 전사의 수를 알아보기 위해 수에스카로 스파이를 보냈다.사이힙카는 수도 무이키타를 떠나 스페인 군대를 그곳으로 인도한 네모콘으로 피신했으며, 이 행군 동안 600명 이상의 무이스카 [4]전사들에게 공격을 받았다.
티스케수사가 카히카에 있는 그의 요새화된 장소에서 퇴각했을 때, 그는 부하들에게 "천둥과 번개"를 생산하는 무기를 소지한 강력한 스페인 군대에 맞서 싸울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고 한다.그는 바카타로 돌아가는 것을 선택하고 수도를 철수하라고 명령했고, 스페인군이 도착했을 때 버려진 장소가 되었다.무이스카 통치자를 찾기 위해 정복자들은 파카티바 주변의 티스케수사를 찾기 위해 북쪽으로 가서 밤에 그를 공격했다.
데 케사다의 병사 중 한 명인 알론소 도밍게즈는 티스케수사를 향해 칼을 들이댔지만, 그가 지파인 줄도 모르고 통치자의 값비싼 망토를 빼앗은 후 그를 풀어주었다.티스쿠사는 상처로 산으로 도망쳤고 그곳에서 죽었다.그의 시신은 1년 후에야 발견되었는데 그 위를 돌고 있는 검은 독수리들 때문이었다.
티스케수사가 사망하자 그의 아들 하마와 딸 마친자는 보고타 사바나 정착지 중 하나에 사이히프콰의 자매인 우사카를 숨겼다.정복자 중 한 명인 후안 마리아 코르테스가 이 사실을 알았을 때, 그는 이 지역을 장악하기 위한 전투를 준비했다.그 순간, 우사카가 나타나 스페인 정복자에게 저항했다.전설에 따르면 그는 무기를 버리고 그녀와 사랑에 빠졌고, 결국 티스케수사의 여동생과 결혼했고 그들은 무이스쿠분어로 "태양의 나라"라는 뜻의 우사켄에서 세례를 받았다고 한다.이것은 오늘날 수도의 일부이자 식민지 건축물과 [1]공원으로 알려진 식민지 마을의 건설의 시작을 형성했다.
왕위 계승
이전 통치자의 큰 누나의 장남이 다음 지파가 되는 무이스카 전통과는 달리, 티스케수사의 형인 그의 군대 장군 사기파가 그 통치를 이어받았다.이것은 남부 무이스카의 마지막 통치자가 될 것이며, 1538년에 패배하고 1539년 초에 스페인의 고문으로 사망한다.
무이스카 역사 속의 티스케수사
뮤스카의 역사 | |||||||||
![]() | |||||||||
알티플라노 | 무이스카 | 예체능 | 아키텍처 | 천문학 | 요리. | 엘도라도 | 서바이벌 | 여성들. | 정복 |
근대 역사 수정주의
21세기 티스쿠사의 존재에 대한 조사에서는 그의 이름에 의문이 제기되었다.티스케수사라는 이름은 정복 후 수십 년 후에 시인 후안 데 카스텔라노스가 쓴 엘레지아스 데 바로네스 일루스트레스 데 인디아의 작품에서 유래했다.그의 작품에서 그는 티스케수사를 지파로 명명하고 호르헤 감보아 멘도사와 같은 다른 연구자들은 이 이름을 보고타라고 주장한다.[note 1]페드로 시몬과 같은 후대의 학자들은 [5]검증 없이 이전 출처에서 이름을 따왔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 ^ 대부분의 자료에 따르면 "보고타"라는 이름은 무이스카 시대에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프시힙콰가 살았던 지역의 이름인 무이퀴타를 변형한 것이다; 보고타 사바나에서
레퍼런스
- ^ a b (스페인어) Las Tierras de la princesa Usaca - 엘 티엠포
- ^ (스페인어) 전기 Tisquesusa Wayback Machine에서 2016-06-11 아카이브 - Universidad Distrial Francisco Jose de Caldas
- ^ (스페인어로) 티스케수사는 자신의 피로 목욕을 하며 죽는다 - 푸에블로스 오리나리오스
- ^ (스페인어) Zipa Tisquesusa - Banco de la Republica
- ^ ¿Existió o no el cacique Tisquesusa?. El Espectador. Accessed 2016-09-29. . 2014.
추가 정보
- Memoria de los descubridores, que entraron conmigo a descubrir y conquistar el Reino de Granada. Accessed 2016-07-08. . 1576.
- Elegías de varones ilustres de Indias, 1–567. Accessed 2016-07-08. . 1857 (1589).
- Noticias historiales de las conquistas de Tierra Firme en las Indias occidentales (1882-92) vol.1-5. Accessed 2016-07-08. . 1892 (1626).
- El Carnero - Conquista i descubrimiento del nuevo reino de Granada de las Indias Occidentales del mar oceano, i fundacion de la ciudad de Santa Fe de Bogota, 1-598. Fundacion Biblioteca Ayacuch. Accessed 2016-11-21. , and . 1979 (1859) (1638).
- Historia general de las conquistas del Nuevo Reino de Granada. Accessed 2016-07-08. . 1688.
- Epítome de la Conquista del Nuevo Reino de Granada - Reseña, 116-130. Cervantes Institute. Accessed 2016-12-21. . 1967.
- Descubrimiento del Nuevo Reino de Granada y Fundación de Bogotá (1536-1539), 1-342. Banco de la República. Accessed 2016-12-26. . 1960.
- Epítome de la conquista del Nuevo Reino de Granada. Universitas Humanística 48. 11-17. Accessed 2016-12-21. . 2014.
- Epítome de la conquista del Nuevo Reino de Granada la cosmografía española del siglo XVI y el conocimiento por cuestionario, 1-139. Centro Editorial Javeriano. Accessed 2016-12-21. . 2001.
- Ximénez de Quesada en su relación con los cronistas: y el Epítome de la conquista del Nuevo Reino de Granada, 1-329. CSIC. Accessed 2016-12-21. . 1972.
- Epítome de la conquista del Nuevo Reino de Granada, 81-97. Banco de la República. Accessed 2016-12-21. . 1979 (1889) (1539).
- Compendio histórico del descubrimiento y colonización de la Nueva Granada en el siglo décimo sexto, 1-460. Beau Press. Accessed 2016-07-08. . 1848.
- Universidad La Javeriana. . 2005. El imperio muisca: invención de la historia y colonialidad del poder - The Muisca empire: invention of history and power colonialisation, 201-226.
- Los caciques en la legislación indiana: una reflexión sobre la condición jurídica de las autoridades indígenas en el siglo XVI - The caciques in the indian legislation: a review about the juridical condition of the indigenous authorities in the 16th century, 1-38. Accessed 2016-07-08. . 2006.
- Universidad Nacional de Colombia. . 2014 (2008). Sal y poder en el altiplano de Bogotá, 1537-1640, 1-174.
- Universidad Javeriana. . 2005. Muiscas: representaciones, cartografías y etnopolíticas de la memoria - The Muisca: representations, cartography and ethnopolitics, 1-380.
- Universidad La Javeriana. . 2005a. La élite no siempre piensa lo mismo - The elite does not always think the same, 180–199.
- ; ; ; ; , and . 2011. Condiciones de vida y jerarquías sociales en el norte de Suramérica: el caso de la población muisca en Tibanica, Soacha - Life conditions and social hierarchies in the north of South America: the case of the Muisca population in Tibanica, Soacha. Indiana 28. 15-34.
- . s.a.. Entre risas y llantos. Una mirada a las costumbres muiscas a través de los cronistas - Between laughter and cry. A look at the Muisca habits through the chroniclers, 1-16.
- . 2011. Un vestigio del cercado del señor de Bogotá en la traza de Santafe - A trace of the enclosure of the lord of Bogotá in the design of Santafe. Ensayos. Historia y teoría del arte 20. 155-190.
- Universidad La Javeriana. . 2005. La organización del poder público en las culturas soberanas de los chibchas - The public power organisation in the common cultures of the Chibchas, 298-314.
- . 1989. Santuarios, santillos, tunjos: objetos votivos de los Muiscas en el siglo XVI, 92-120.
- Arqueoastronomía, alineaciones solares de solsticios y equinoccios en Bogotá-Bacatá - Archaeoastronomy, alignment solar from solstices and equinoxes in Bogota-Bacatá. Revista Científica, Universidad Distrital Francisco José de Caldas 27. 146-155. Accessed 2016-12-26. ; , and . 2017.
- Aproximaciones al observatorio solar de Bacatá-Bogotá-Colombia - Approaches to solar observatory Bacatá-Bogotá-Colombia. Azimut, Universidad Distrital Francisco José de Caldas 3. 9-15. Accessed 2016-12-26. . 2011.
- University of Alberta. . 1993. "Muchas hipas, no minas" The Muiscas, a merchant society: Spanish misconceptions and demographic change (M.A.), 1-118.
- The evolution of the Bogotá chiefdom: A household view (PhD), 1-271. University of Pittsburgh. Accessed 2016-07-08. . 2003.
- . 2005. Sociedad y naturaleza en la mitología Muisca - Society and nature in the Muisca mythology. Tábula Rasa 5. 197–222.
- . 2012 (1984). Érase una vez entre los chibchas - Once upon a time between the Muisca, 1-116. Panamericana Editorial.
- . 2007. Grandes culturas indígenas de América - Great indigenous cultures of the Americas, 1–238. Plaza & Janes Editores Colombia S.A..
외부 링크
- (스페인어) 티스쿠사 애니메이션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