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스 FW26

Williams FW26
윌리엄스 FW26
Montoya 2004 Canada.jpg
카테고리포뮬러 원
생성자윌리엄스
디자이너패트릭 헤드(기술 책임자)
개빈 피셔(Chief Designer)
안토니아 테르지 (최고 공기역학자)
전임자윌리엄스 FW25
후계자윌리엄스 FW27
기술 사양
섀시카본아라미드 에폭시 합성 모노코크
서스펜션(전면)더블 위시본, 비틀림 바, 푸시로드
서스펜션(후면)더블 위시본, 코일 스프링, 푸시로드
길이4,600mm 이상(181인치)
1800mm(71인치)
높이950mm(37인치)
엔진BMW-Power P84 2,998 cc(183 cu in) 4행정 피스톤 오토 사이클이 자연 흡기되고 중간 장착되는 V10 전자 간접 멀티포인트 분사
전송Williams 7단 + 미끄럼 미끄럼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는 역순차 반자동 패들 시프트 1개
900 hp (671 kW) @ 19,000 rpm,[1] 300 N⋅m (221 ftlb) 토크
무게운전자 및 연료 포함 605kg(1,334lb)
연료Petrobras Suppled가 95 RON 레이싱 가솔린을 방출했다.
윤활제카스트롤
브레이크AP 캘리퍼스에 의해 작동되는 Carbon Industrie 카본 디스크 및 패드
타이어미슐랭 파일럿이 미끄러지듯 건조하고 중간과 습기를 밟음
클러치AP 레이싱 멀티플레이트 카본 클러치
경기이력
주목할 만한 참가자들BMW 윌리엄스 F1 팀
주목할 만한 드라이버 3. 후안 파블로 몬토야
4. 랄프 슈마허
4. 마크 제네
4. 안트니오 피조니아
데뷔2004년 포뮬러 원 오스트레일리아 그랑프리
인종이김.폴스F/Laps
18112
컨스터스 챔피언십0
드라이버스 챔피언십0

윌리엄스 FW26윌리엄스 F12004년 포뮬러 시즌을 위해 설계하고 제작한 포뮬러경주용 자동차다.디자인팀은 패트릭 헤드, 개빈 피셔, 안토니아 테르지가 이끌었다.랄프 슈마허후안 파블로 몬토야에 의해 구동되었으며, 올 시즌 가장 주목받는 자동차 중 하나로 입증되었다.[2]FW26은 BMW 3.0 V10 엔진에 의해 구동되었다.

디자인

헤드는 즉시 속도를 낼 목적으로 자동차를 감독했고, 그의 디자인 팀은 혁신적인 공기역학 패키지를 고안했다.그 차는 '월러스 코'라는 별명을 가진 과격한 앞부분을 특징으로 했다.그것은 차량 하부로 더 많은 공기 흐름을 허용하는 경사진 수직 스파에 의해 앞 날개에 연결된 짧고 뭉툭한 노세콘을 특징으로 했다.공기 흐름을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전면 현수막은 Sauber개척하고 McLaren과 Jordan이 사용했던 트윈원리를 중심으로 설계되었다.

지난 3시즌 동안 구단이 사용하던 발사 제어완전자동 변속 장치도 2001년 스페인 그랑프리 이후 2004년 금지됐다.[3][4][5][6][7][8]

시즌 요약

FW26은 시즌 전 테스트에서 빠른 속도로 증명되었고 몬토야는 우승 후보로 귀띔되었지만,[by whom?] 시즌 동안 제대로 된 차는 세팅이 어렵고 일관성이 없었으며, 몬토야와 슈마허 둘 다 차의 잠재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다.그 차는 그 당시 르노와 BARs에 의해 진정으로 앞서 있었고, 시즌의 대부분을 지배했던 Byrne/Brawn이 디자인한 Perrari F2004가 그 차를 압도했다.이것은 그 팀이 올해 대회에서 대부분 상위권에 올랐지만 타이틀을 놓고 다투지는 않았다는 것을 의미했다.

도닝턴 그랑프리 전시회에서 후안 파블로 몬토야 FW26.

특히 중기는 불모지였다.이 차들은 기술규정을 위반한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캐나다에서 2위와 5위를 한 데 이어, 슈마허는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심한 충돌로 3개월 동안 그를 따돌리고, 몬토야는 2차 레이스 연속 실격 처분을 받았다.슈마허의 대체품인 마크 제네앤트니오 피조니아는 이 차를 가지고 거의 할 수 없었고 윌리엄스의 명예를 지키기 위해 몬토야에게 맡겨졌다.

팀은 헝가리 그랑프리에 맞춰 차의 앞쪽 끝을 재설계했고, 좀 더 전통적인 노세콘을 차에 장착했다.몬토야가 몬자에서 열린 예선전에서 평균 163mph에 육박하는 그 당시 가장 빠른 F1 랩을 세운 것은 이런 구성이었다.이것은 경주 중에 기록되지 않았기 때문에 랩 레코드로 기록되지 않는다.그는 브라질에서의 승리로 시즌을 마무리했고, 복귀한 슈마허는 일본과 중국에서 강한 드라이브를 걸었다.브라질에서 몬토야의 우승에 이어 FW34에서 말도나도 목사가 우승한 2012년 스페인 그랑프리에서도 윌리엄스는 8년이 지나야 또 한 번의 승리를 거두게 됐다.

FW26은 윌리엄스 포뮬러 원(Williams Formula One)의 마지막 차로서 오랫동안 윌리엄스 기술 감독이었던 패트릭 헤드의 감독하에 디자인되었다.

공식 1 결과 작성

() (볼드하게 표시된 폴 위치 표시)

연도 엔진 타이어 드라이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포인트 WCC
2004 윌리엄스 BMW P84 V10 M AUS BHR SMR ESP EUR 미국 프레이 GBR GER ITA CHN JPN 브라 88 4일
Colombia 후안 파블로 몬토야 5 2 13 3 리트 4 8 DSQ DSQ 8 5 5 4 리트 5 5 7 1
Germany 랄프 슈마허 4 리트 7 7 6 10 리트 DSQ 리트 리트 2 5
Spain 마르크 제네 10 12
Brazil 안트니오 피조니아 7 7 리트 7

갤러리

참조

  1. ^ "Engine BMW • STATS F1".
  2. ^ "Williams Heritage Confirm Cars for Festival of Speed". historicracingnews.com. Retrieved 5 January 2021.
  3. ^ "Traction Control to Stay in F1 in 2004 - F1 - Autosport". autosport.com. Retrieved 12 November 2020.
  4. ^ "FIA makes massive changes to F1; several technological enhancements banned". Autoweek. 14 January 2003. Retrieved 12 November 2020.
  5. ^ "Knutson: F1 shifting gears, literally". ESPN.com. 22 February 2004. Retrieved 12 November 2020.
  6. ^ "Less electronics will make life interesting". au.motorsport.com. Retrieved 12 November 2020.
  7. ^ "F1 2004 - Australian GP Highlights (Greek Subs)". YouTub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December 2021.
  8. ^ "YouTube, a Google company". YouTub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November 2020.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스의 윌리엄스 FW26 관련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