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스 FW10
Williams FW10![]() | |||||||||
카테고리 | 포뮬러 원 | ||||||||
---|---|---|---|---|---|---|---|---|---|
컨스트럭터 | 윌리엄스 | ||||||||
설계자 | 패트릭 헤드(테크니컬 디렉터) Frank Dernie(공기역학 및 연구개발 책임자) | ||||||||
전임자 | FW09B | ||||||||
후계자 | FW11 | ||||||||
기술사양[1] | |||||||||
섀시 | 몰드 카본 복합 모노코크 | ||||||||
서스펜션(전면) | 더블 위시본, 로커 작동식 인보드 스프링 댐퍼 | ||||||||
서스펜션(후면) | 하부 위시본, 로커 작동식 인보드 스프링 댐퍼/더블 위시본, 풀로드 작동식 인보드 스프링 댐퍼 | ||||||||
액슬 트랙 | 전면: 1,803mm(71.0인치) 후면: 1,651 mm (65.0 인치) | ||||||||
휠베이스 | 2,794mm(110.0인치) | ||||||||
엔진 | Honda RA165E 1.5L (1,494cc, 91.2cuin) V6 트윈 터보차지 미드 엔진 | ||||||||
전송 | 윌리엄스 / 휴랜드 6단 매뉴얼 | ||||||||
힘 | 800hp(11,000rpm시[2]) | ||||||||
체중 | 545 kg (1,450파운드) | ||||||||
연료 | 모빌 | ||||||||
타이어 | 굿이어 | ||||||||
경기 이력 | |||||||||
주목할 만한 참가자 | 캐논 윌리엄스 혼다 팀 | ||||||||
주목할 만한 드라이버 | 5. 나이젤 만셀 6. 케크 로스버그 | ||||||||
데뷔 | 1985년 브라질 그랑프리 | ||||||||
| |||||||||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 0 | ||||||||
드라이버 챔피언십 | 0 |
Williams FW10은 Frank Dernie가 1985년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십에서 사용하기 위해 디자인한 포뮬러 원 자동차입니다.혼다 RA165E V6 터보 엔진으로 구동되며, 영국인 Nigel Mansell과 Finn Keke Rosberg가 구동합니다.FW10B라고 불리는 이 차의 업그레이드된 버전이 시즌 말에 소개되었고, 이로 인해 그 팀은 올해의 마지막 세 개의 경주에서 우승할 수 있었다.
개념.

1985년은 혼다 터보 파워로 윌리엄스의 두 번째 풀 시즌이었다. 1984년은 FW09가 엄청난 힘과 잔혹한 토크 곡선에 대처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면서 시즌 내내 운전자들 케 로스버그와 자크 라피테를 괴롭혔다.따라서 기술 책임자인 Patrick Head는 FW10을 이전의 알루미늄 벌집 구조가 아닌 훨씬 견고한 탄소 복합체로 만든 완전히 새로운 자동차로 만들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는 이 소재를 주로 사용한 최초의 Williams F1 자동차입니다.이 공법은 1981년 McLaren 팀이 MP4/1로 개척한 것으로, 뛰어난 강성과 경량성의 조합으로 다른 팀에 채용되고 있었습니다.총 9대의 FW10 욕조가 제작되었다.하나는 혼다 시승 드라이버 나카지마 사토루(中島u)를 위해 일본으로 보내졌고, 다른 하나는 시공 과정을 [3]테스트하기 위한 시제품이었다.
1985년 동안 나이젤 만셀은 두 대의 자동차를 사고로 날려버렸습니다. 첫 번째는 디트로이트에서 장애물을 정면으로 들이받았을 때였고, 두 번째는 시속 322km 이상의 속도로 타이어가 펑크나면서 폴 리카드와 충돌하여 자신도 모르게 포뮬러 원에서 최고 속도 충돌 기록을 세웠습니다.Honda 엔진은 매우 강력했으며, Head는 자격 기준 약 1000~1250 bhp, 레이스 [4]구성 기준 최대 900 bhp(670 kW)라고 주장했습니다.
레이싱 이력
그 팀은 지난 2년 동안 4승을 거두고 컨스트럭터 챔피언십에서 3위를 차지하면서 훨씬 더 나은 시즌을 보냈다.시즌 초반에는 개량된 1984년식 엔진으로 완성했다.혼다는 몬트리올에서 완전히 새로운 RA165-E 엔진을 선보였는데, 이 엔진은 터보(엔진 및 터보 기술이 향상되어 회복된 매우 작은 동력 저하)를 가지고 있었고, 로즈버그와 만셀 모두 새로운 엔진의 힘과 주행이 얼마나 더 쉬웠는지에 대해 기쁨을 표시하며, 즉시 속도를 높였다.'피크'가 적고 동력 전달이 훨씬 원활합니다.시즌 마지막 단계에서 로즈버그는 디트로이트에서 우승했고, FW10B는 시즌 마지막 3개 레이스에서 승리하여 윌리엄스가 [5]로터스로부터 카운트백으로 컨스트럭터 챔피언십에서 3위를 차지할 수 있었다.
올해 초 로터스로부터 팀에 합류한 만셀은 유럽 그랑프리의 브랜즈 해치에서 홈그라운드에서 첫 F1 우승을 차지했고 곧바로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로즈버그는 [6]호주에서의 시즌 마지막 레이스에서 시즌 두 번째 우승과 통산 다섯 번째이자 마지막 승리를 거머쥐었다.
실버스톤에서 열린 브리티시 그랑프리 예선전에서 로즈버그는 FW10에서 4.719km(2.932mi) 서킷을 1분5.591초 만에 평균 시속 160.9mph(258.9km)로 완주했다.이 기록은 2002년까지 유지될 것이다.로스버그의 업적은 트랙이 가랑비로 축축한 상황에서 슬릭한 퀄리파이 타이어로 달리고 있었고,[7] 또한 대부분의 랩에서 공기를 빼는 타이어를 가지고 있었다는 점이 더 인상적이었다.
오토소스는 1985년 FW10을 Lotus 97T와 McLaren MP4/2B에 이어 세 번째로 우수한 차로 선정했으며, 이 섀시는 또한 오토스포트지의 "올해의 경주용 자동차" 상을 수상했습니다.FW10은 FW11이 일반적으로 필드급이었던 1986년과 1987년에도 팀에 중요한 스텝업으로 작용했습니다.
FW10은 윌리엄스가 1993년 시즌 말까지 사용한 독특한 노란색, 파란색, 흰색 유니폼을 입은 최초의 차였다.
1985년 독일 그랑프리에서 FW10을 운전하던 나이젤 만셀은 6위에 그쳤다.
독일 그랑프리에서도 FW10을 이끌며 12위를 차지했다.
1985년 유럽 그랑프리 연습 중 만셀이 F1 첫 우승을 차지했다.
포뮬러 원 결과를 완성하다
(키) (굵은 글씨로 표시된 결과는 폴 위치를 나타내고, 기울임꼴로 표시된 결과는 가장 빠른 랩을 나타낸다.)
연도 | 팀. | 엔진 | 타이어 | 드라이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포인트 | WCC |
---|---|---|---|---|---|---|---|---|---|---|---|---|---|---|---|---|---|---|---|---|---|---|
1985 | 캐논 윌리엄스 | 혼다 RA164E 1.5 V6t 혼다 RA165E 1.5 V6t | G | 브라 | POR | SMR | 몬 | 할 수 있다 | 검출하다 | FRA | GBR | GER | 자동 | 네드 | ITA | 벨 | 유로 | RSA | AUS | 71 | 세 번째 | |
나이젤 만셀 | 리트 | 5 | 5 | 7 | 6 | 리트 | DNS | 리트 | 6 | 리트 | 6 | 11 | 2 | 1 | 1 | 리트 | ||||||
케크 로스버그 | 리트 | 리트 | 리트 | 8 | 4 | 1 | 2 | 리트 | 12 | 리트 | 리트 | 리트 | 4 | 3 | 2 | 1 | ||||||
출처:[8] |
레퍼런스
- ^ "AT&T Williams F1". Attwilliams.com. Retrieved 23 August 2010.
- ^ "Engine Honda • STATS F1".
- ^ "1985". www.williamsf1.com. Retrieved 5 December 2019.
- ^ "Museum Highlight: Frank Williams' FW10". 12 August 2019. Retrieved 5 December 2019.
- ^ "1985 Williams FW10B Honda - Images, Specifications and Information". Ultimatecarpage.com. Retrieved 5 December 2019.
- ^ "Top 10 Mansell Moments". The Telegraph. 5 January 2018. Retrieved 5 December 2019 – via www.telegraph.co.uk.
- ^ "Maximum attack - the day Rosberg averaged 160mph around Silverstone". www.formula1.com. Retrieved 5 December 2019.
- ^ Small, Steve (2000). Grand Prix Who's Who (3 ed.). Travel Publishing. pp. 361–2 & 487. ISBN 1902007468.
- 책들
- Hamilton, Maurice, ed. (1985). AUTOCOURSE 1985-86. Hazleton Publishing. ISBN 0-905138-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