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las(로켓 패밀리)
Atlas (rocket family)아틀라스 계열 | |
---|---|
![]() | |
Atlas II, III 및 V 비교 | |
역할. |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갖춘 소모품 출시 시스템 |
제조원 | 컨베어 제너럴 다이내믹스 록히드 마틴 United Launch Alliance(통합 론칭 얼라이언스) |
첫 비행 | 1957년 12월[1] 17일 |
서론 | 1957 |
상황 | Atlas V(현재) |
프라이머리 사용자 | 미국 공군 미국 항공 우주국 |
생산. | 1957 ~ 2010년대 (최종) |
변종 | SM-65 아틀라스 SM-65D 아틀라스 아틀라스 LV-3C 아틀라스 IIIA 아틀라스 V |
Atlas는 SM-65 Atlas에서 유래한 미국의 미사일과 우주발사체 계열이다.아틀라스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프로그램은 1950년대 후반 제너럴 다이내믹스 컨베어 디비전(Convair Division of General Dynamics)[2]에서 시작되었다.Atlas는 액체 추진제 로켓으로 액체 산소와 함께 RP-1 연료를 연소하는 특이한 "단반" 또는 "병렬 스테이징" 설계로 구성된 3개의 엔진으로 구성되었다: 상승 중에 두 개의 외부 부스터 엔진이 지지 구조물과 함께 분사된 반면 중앙 서스테너 엔진, 추진제 탱크 및 기타 구조 요소는 남아 있었다.추진제 고갈 및 엔진 정지를 통해 연결됩니다.
아틀라스 이름은 원래 컨베어에서 프로젝트 MX-1593으로 일하는 카렐 보사트와 그의 디자인 팀에 의해 제안되었습니다.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강력한 타이탄의 이름을 사용하는 것은 그 당시 미사일의 위치를 가장 크고 강력한 것으로 반영했다.또한 Convair의 모회사인 Atlas [3]Corporation도 반영되었다.
이 미사일은 ICBM의 짧은 사용만 보였고, 1965년 마지막 비행대는 작전 경계에서 해제되었다.그러나 1962년부터 1963년까지 아틀라스 부스터는 최초의 4명의 미국 우주인을 지구 궤도에 올려놓았다(앞의 두 번의 레드스톤 준궤도 발사와는 대조적으로).아틀라스-아제나와 아틀라스-센타우르 위성 발사체 또한 오리지널 아틀라스에서 직접 파생되었다.아틀라스-센타우르스는 1991년과 2004년 사이에 63번 발사된 아틀라스 II로 진화했다.2000년과 2005년 사이에 아틀라스 III의 후속 출시는 6번뿐이었다.아틀라스 V는 2020년대에 출시될 예정으로 여전히 가동 중이다.
300대 이상의 아틀라스 발사가 플로리다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기지에서, 285대가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실시되었다.
오리지널 Atlas ICBM 기반 차량 출시
아틀라스는 수성, 금성, 화성 탐사선(1962-1973)과 수성 탐사선(1962-1963)[citation needed]을 위한 소모성 발사 시스템으로 사용되었다.
SM-65 아틀라스 미사일
SM-65 아틀라스 미사일의 첫 시험 발사는 1957년 [1]12월 17일이었다.약 350기의 아틀라스 미사일이 [citation needed]제작되었다.
아틀라스 부스터는 추진제가 없을 때 탱크에 질소 가스로 압력을 가하지 않으면 자체 무게로 붕괴될 것이다.아틀라스 부스터는 "풍선" 탱크를 사용하는 것이 특이했다.로켓은 매우 얇은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들어졌으며, 단단한 지지대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었다.우주 비행에 필요한 강성을 주는 것은 탱크 내의 압력이었다.무게를 줄이기 위해 그들은 페인트를 칠하지 않았고 녹을 방지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기름이 필요했다.이것은 원래 WD-40 물 대체 [4]오일을 사용한 것입니다.
SM-65 아틀라스는 반세기 동안 위성 발사체의 첫 번째 단계로 사용되었다.많은 미사일들이 미사일로서 임무를 해제한 후 결국 궤도 발사체로 전환되었다.아틀라스 E/F "우주 부스터"로 개조된 미사일은 초기의 "블록 I" GPS [5]위성을 발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SM-65B Atlas SCORE 출시
초기의 아틀라스 로켓 또한 군사용이 아닌 용도로 특별히 제작되었다.1958년 12월 18일, 아틀라스는 "통신 위성의 첫 원형이자 직접적인 실용적 [6][7][8]적용을 위한 첫 번째 시험"인 궤도 중계 장치에 의한 신호 통신을 발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통신용 페이로드는 아틀라스 일련번호 10B의 지구 저궤도에 상단 없이 배치됐다.8,750파운드(3,970kg)의 아틀라스 10B/SCORE는 당시 궤도상에서 가장 무거운 인공 물체였고, 최초의 음성 중계 위성이었으며, 거울로 닦은 커다란 스테인리스강 탱크로 인해 육안으로 쉽게 볼 수 있는 최초의 인공 물체였다.이것은 아틀라스가 위성 발사대로서 오랜 시간 동안 비행한 첫 번째 비행이었다.
Atlas-D 기반 발사대

Atlas D 미사일에서 파생된 SLV-3는 RM-81 Agena와 Centaur 상단에서 궤도 발사에 사용되었다.수정된 아틀라스 LV-3B는 수성 프로젝트의 궤도 요소에 사용되어 4대의 승무원이 탑승한 수성 우주선을 지구 저궤도로 쏘아 [9]올렸습니다.아틀라스 D 발사는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 발사 단지 11, 12, 13, 14, 반덴버그 AFB 발사 단지 576에서 [citation needed]실시되었다.
프로젝트 FIRE 동안 2개의 준궤도 단계와 반쪽의 차량이 소리나는 [9]로켓으로 사용되었다.
1979년까지 아틀라스 우주발사체 변형은 아틀라스-센타우르스와 일부 개량 ICBM으로 축소되었다. 1980년대에 우주왕복선의 등장으로 아틀라스 발사율은 감소했지만, 아틀라스 발사는 2004년까지 계속되었다.그때 풍선탱크와 제트식 부스터 섹션이 있는 마지막 "클래식" 아틀라스 발사되었다.공군을 [citation needed]위해.
수성 프로그램

아틀라스 부스터는 또한 미국 최초의 유인 우주 프로그램인 지난 네 번의 유인 우주 프로젝트 머큐리에도 사용되었다.1962년 2월 20일, 그것은 Friendship 7을 발사했는데, 이것은 지구 궤도를 선회한 최초의 미국 우주 비행사 존 글렌을 태운 3개의 지구 궤도를 만들었다.동일한 아틀라스 부스터는 1962년부터 1963년까지 세 번의 수성 궤도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아틀라스는 머큐리-애틀라스 임무 기간 동안 "일하는 말"의 시작을 보았고, 그 결과 중령이 되었다.1962년 미국인 최초로 지구 궤도를 도는 존 H. 글렌 주니어(소령 유리 A). 소련의 우주비행사인 가가린은 1961년 인류 최초로 궤도에 올랐다.)아틀라스는 또한 1960년대 중반 제미니 프로그램 기간 동안 사용된 아제나 표적 차량을 출시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아틀라스아제나
1960년부터, 초고압 추진제로 작동되는 아제나 상부 스테이지가 아틀라스 발사체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습니다.미 공군, NRO, CIA가 SIGINT [10]위성을 발사하기 위해 그것들을 사용했다.나사는 달 표면의 첫 클로즈업 이미지를 얻기 위해, 그리고 다른 행성을 지나 비행한 최초의 우주선인 마리너 2를 위해 그것들을 레인저 프로그램에 사용했다.이후 제미니의 우주 랑데부 연습 임무에 사용된 각각의 아제나 표적 비행체는 아틀라스 로켓에 실려 발사되었다.
아틀라스센타우르
아틀라스-센타우르스는 SM-65D 아틀라스 [citation needed]미사일에서 파생된 소모성 발사 시스템이다.발사는 플로리다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 기지 발사 단지 36의 두 개의 패드로부터 수행되었다.아틀라스의 엔진은 업그레이드되었고 대형 상부 스테이지와 긴 추진제 탱크를 위해 강화되었다.
1962년 5월 아틀라스-센타우르의 첫 번째 발사 시도는 실패했고, 로켓은 이륙 후 폭발했다.이 장면은 1983년 고드프리 레지오가 감독한 예술 영화 코야니스카티의 마지막 장면에서 보여졌다.
1963년부터 수소를 연료로 하는 액체 상태의 센타우르 상단은 수십 개의 아틀라스 발사에도 사용되었다.NASA는 탐사선 프로그램인 달 착륙선과 화성행 마리너 프로그램 우주선 대부분을 아틀라스-센타우르 발사체로 발사했다.
아틀라스 E/F
ICBM 은퇴 후 아틀라스-E는 아틀라스-F와 함께 궤도 발사를 위해 [9]개조되었다.
1995년 3월 24일 아틀라스 E/F 우주선의 마지막 발사는 아틀라스 E로 만들어졌던 로켓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1981년 [citation needed]6월 23일, 아틀라스 E/F의 발사가 행해져, 원래 아틀라스 E/F는 원래 Atlas-F로 제작되었던 로켓을 사용하기 위한 마지막 발사였다.
아틀라스 E/F는 1978년부터 1985년까지 GPS 위성 블록 I 시리즈를 발사하는 데 사용되었다.마지막으로 개조된 아틀라스-F는 1995년 반덴버그 AFB에서 발사돼 국방기상위성 [citation needed]프로그램을 위한 위성을 탑재했다.
일람표
모델명 | 첫 출시 | 전회 출시 | 기동 총수 | 성공 | ICBM 베이스 | 상부 스테이지 | 주목할 만한 페이로드 | 언급 |
---|---|---|---|---|---|---|---|---|
아틀라스베가[11] | - | - | 0 | 0 | 아틀라스 E | 저장 추진제 단계 | 없음. | 개발은 Atlas-Agena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이에 따라 1959년에 취소되었다. |
Atlas-Able | 1959 | 1960 | 3 | 0 | Atlas-D/Able(델타-A)[12] | 알테어 | 없음. | 정전기 발사 중 로켓 2발, 파이오니어 우주선 달 발사 시도 중 로켓 3발 실패 |
아틀라스 LV-3A | 1960 | 1968 | 49 | 38 | 아틀라스 D | 아제나 | 미사일 방어 경보 시스템, 레인저 프로그램, 마리너 2 | 베이스라인 Atlas-Agena 서브 패밀리 차량 |
아틀라스 LV-3B | 1959 | 1963 | 9 | 9 | 아틀라스 D | 없음. | 프렌드십 7, 오로라 7, 시그마 7, 페이스 7 | 인간 등급 Atlas LV-3A |
아틀라스 SLV-3 | 1964 | 1968 | 51 | 46 | 아틀라스 D | 아제나 | 코로나, KH-7 Gambit | 신뢰성 향상 이외에는 LV-3A와 동일 |
Atlas SLV-3A | 1969 | 1978 | 10 | 9 | 아틀라스 D | 아제나 | 협곡 | 연장 2.97m를 제외하고 SLV-3과 동일 |
아틀라스 SLV-3B[13] | 1966 | 1966 | 1 | 1 | 아틀라스 D | 아제나 D | 궤도천문대 1 | |
아틀라스 LV-3C | 1963 | 1967 | 11 | 8 | 아틀라스 D | 센타우르 C | ? | 베이스라인 Atlas-Centaur 서브 패밀리 차량 |
아틀라스 SLV-3C | 1967 | 1972 | 17 | 14 | 아틀라스 D | 센타우르 D | ? | LV-3C 연장 1.3m와 동일 |
아틀라스 SLV-3D | 1973 | 1983 | 32 | 29 | 아틀라스 D | 센타우르 D1a | ? | SLV-3C와 동일하지만 Centaur의 업레이티드 및 Centaur와 통합된 Atlas 전자제품은 제외 |
아틀라스 G | 1984 | 1987 | 6 | 4 | 아틀라스 G | 센타우르 D1a | ? | SLV-3D와 동일하지만 Atlas는 2.06m 더 길다. |
아틀라스 I | 1990 | 1997 | 11 | 8 | Atlas G 파생 | Centaur D1A 파생 모델 | CRES[14] | Atlas G와 동일하지만 4.27m 페이로드 페어링 강화 및 링 레이저 자이로 추가. |
아틀라스 II | 1991 | 1998 | 10 | 10 | Atlas G 파생 | Centaur D1A 파생 모델 | 유텔사트 | Atlas는 연장 2.74m, 엔진 업레이트, 히드라진 롤 제어 추가, 고정 폼 단열재, 삭제된 버니어, Centaur는 연장 0.9m를 제외하고 Atlas I와 동일합니다.개발은 제너럴 다이내믹스(현 록히드 마틴의 일부)가 담당. |
아틀라스 IIA | 1992 | 2002 | 23 | 23 | Atlas G 파생 | Centaur D1A 파생 모델 | - | Centaur RL10 엔진은 최대 88kN의 추력 및 확장형 RL10 노즐에서 6.5Ip 증가한다는 점을 제외하고 Atlas II와 동일 |
아틀라스 IIAS | 1993 | 2004 | 30 | 30 | Atlas G 파생[citation needed] | Centaur D1A 파생 모델 | - | Atlas IIA와 동일, 4개의 Castor IVA 스트랩 온 부스터를 추가했습니다. |
아틀라스 D-OV1 | 1965 | 1967 | 7 | 6 | 아틀라스 D | 없음. | ? | ICBM 궤도 발사를 위해 쇄신 |
아틀라스 E | 1980 | 1995 | 23 | 21 | 아틀라스 E | 없음. | ? | ICBM 궤도 발사를 위해 쇄신 |
아틀라스 F | 1968 | 1981 | 23 | 22 | 아틀라스 F | 없음. | ? | ICBM 궤도 발사를 위해 쇄신 |
아틀라스 H | 1983 | 1987 | 5 | 5 | 수정된 Atlas G | 켄타우르 스테이지 제거 | ? | Atlas G는 서해안 항전용으로 개량되었다. SLC 3E는 스페이스 부스터 홀드다운 시스템 대 무기 시스템 플라이어웨이에 맞게 수정됨 |
RD-180 시대
아틀라스 III
아틀라스 III의 1단계는 러시아제 Energomash RD-180 엔진을 위해 3개의 엔진과 1.5개의 스테이징을 중단하고, 스테이지의 풍선 탱크 구조를 유지하였다.Atlas III는 싱글 또는 듀얼 RL10 [15]엔진에서 사용할 수 있는 Centaur 상부 단계를 계속 사용했습니다.
아틀라스 V
현재 서비스 중인 아틀라스 V는 록히드 마틴에 의해 미 공군의 EELV(Evolutionable Expendable Launch Vehicle)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개발되었다.첫 번째는 2002년 8월 21일에 시작되었습니다.2006년에는 록히드마틴과 보잉의 합작회사인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ULA)로 운영이 넘어갔다.록히드마틴은 2021년 9월까지 아틀라스 V를 상용 고객 대상으로 판매하다가 나머지 29개의 발사 계약을 마치고 퇴역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6][17] 아틀라스 V는 앨라배마주 디케이터에 건설되어 케이프커내버럴 공군기지의 우주발사단지 41과 반덴버그 공군기지의 우주발사단지 3-E 등 2개의 발사장을 보유하고 있다.
Atlas V의 첫 번째 단계는 Common Core Booster(CCB; 공통 코어 부스터)라고 불리며, Atlas III에 도입된 Energomash RD-180을 계속 사용하지만 풍선 탱크 대신 견고한 프레임워크를 사용합니다.견고한 동체는 더 무겁지만 취급 및 운반이 용이하여 지속적인 내부 압력이 필요하지 않습니다.최대 5개의 에어로젯 로켓다인 스트랩 온 고체 로켓 부스터를 사용하여 1단 추진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상부 스테이지에는 싱글 또는 듀얼 에어로젯 로켓다인 RL10 [18]엔진으로 구동되는 Centaur가 남아 있습니다.
모델명 | 첫 출시 | 전회 출시 | 기동 총수 | 성공 | 1단 엔진 | 고단 엔진 | 주목할 만한 페이로드 | 언급 |
---|---|---|---|---|---|---|---|---|
아틀라스 IIIA | 2000 | 2004 | 2 | 2 | RD-180 x 1 | RL10A×1 | 유텔샛 W4 | Atlas IIA의 주요 개정판으로, 새로운 1단 엔진 RD-180, 정상 스테이지, 1단 연장 4.4m 및 강화.최초의 싱글 RL10 엔진 센타우르. |
아틀라스 IIIB | 2002 | 2005 | 4 | 4 | RD-180 x 1 | RL10A×1 | Atlas IIIA와 동일하나, 1.7m 연장된 Centaur와 옵션의 듀얼 엔진 Centaur를 제외한다. | |
아틀라스 V 400 | 2002 | - | 54 | 53 | RD-180 x 1 | RL10A×1 | 새로운 1단계 구조(CCB)와 옵션의 솔리드 스트랩 온 부스터를 갖춘 Atlas III의 주요 개정판. | |
아틀라스 V 500 | 2003 | - | 18 | 18 | RD-180 x 1 | RL10A×1 | 옵션인 솔리드 스트랩온 부스터를 갖춘 Atlas V 400 개정판 및 5.4m 페이로드 페어링 내부에 캡슐화된 Centaur 스테이지. | |
아틀라스 V N22 | 2019 | - | 1 | 1 | RD-180 x 1 | RL10A×2 | 옵션인 2개의 솔리드 스트랩 온 부스터를 갖춘 아틀라스 V의 개정판, 센타우르 5.4m 페이로드 페어링은 없지만 스타라이너 우주선입니다. |
RD-180 페이즈아웃
2014년 미 의회는 Atlas [19]V의 1단계 부스터에 사용되는 러시아 공급 RD-180 엔진의 구매 및 사용을 제한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공식 연구 계약은 2014년 6월에 다수의 [20]미국 로켓 엔진 공급업체에 발행되었습니다.
2014년 9월 ULA는 블루 오리진(Blue Origin)과 제휴를 맺고 새로운 벌컨 로켓의 RD-180을 대체할 BE-4 LOX/메탄 엔진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이 엔진은 블루 오리진에서 8년 동안 개발되었으며 ULA는 새로운 스테이지와 엔진이 2022년 이전에 비행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14년 12월, 러시아제 엔진을 사용하는 차량에 대한 추가 군사 발사 계약의 부여를 금지하는 법률이 미 의회에서 승인되었습니다.이 법안은 ULA가 당시 [21]이미 주문한 29대의 RD-180 엔진을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2021년 9월, ULA는 아틀라스 V가 남은 발사 계약을 이행한 후 퇴역할 것이며, 나머지 로켓의 RD-180은 모두 [17]인도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전에 제안된 발사체
2015년 4월 벌컨 발사체가 발표되기 전에는 록히드 마틴과 보잉에서 ULA가 결성된 이후 10년 동안 미래 발사체에 대한 여러 제안과 개념 연구가 있었다.그 후 어느 누구도 완전한 개발을 위한 자금을 지원받지 못했다.그 중 2개는 Atlas V Heavy와 Atlas Phase 2였다.
아틀라스 V 헤비
Atlas V Heavy는 ULA 개념의 제안으로, 25톤의 페이로드를 지구 [citation needed]저궤도로 끌어올리는 데 필요한 능력을 제공하기 위해 3개의 CCB(Common Core Booster) 단계를 함께 묶었다.ULA는 Atlas HLV에 필요한 하드웨어의 약 95%가 이미 Atlas V 싱글코어 [citation needed]차량에 탑재되었다고 밝혔습니다.
RAND Corporation이 국방부 장관실을 위해 준비한 2006년 보고서는 록히드 마틴이 아틀라스 V 중형부양차(HLV)[22]를 개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보고서는 공군과 국가정찰국에 아틀라스 V 헤비 개발을 포함한 EELV 헤비리프트 변종의 필요성 판단과 RD-180 공동생산, 비축, 미국의 RD-180 [23][needs update]교체 등 RD-180 문제 해결을 권고했다.
Atlas V HLV의 리프팅 능력은 델타 IV Heavy와 거의 동등합니다.후자는 프랫&휘트니 [24]로켓다인이 국내 개발·생산한 RS-68 엔진을 사용한다.
Atlas V 단계 2
2006년 12월 이후 보잉과 록히드-마틴의 우주 운영이 United Launch Alliance로 합병되면서 아틀라스 V 프로그램은 델타 IV에서 사용되는 직경 5.4m 스테이지의 공구 및 공정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직경 5.4m의 스테이지에서는 듀얼 RD-180 엔진을 수용할 수 있었습니다.2009년 어거스틴 보고서에서는 개념적으로 무거운 리프트 차량을 "Atlas Phase 2" 또는 "PH2"라고 불렀습니다.Atlas V PH2-Heavy (3개의 5m 스테이지, 6개의 RD-180)와 셔틀에서 파생된 아레스 V와 아레스 V Lite는 어거스틴 [25]보고서에서 미래의 우주 임무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무거운 리프터 개념으로 간주되었다.Atlas PH2 HLV 컨셉트 차량은 개념적으로 약 70 미터톤의 페이로드 질량을 28.5도 [25]기울기의 궤도로 발사할 수 있었다.이 컨셉은 완전한 개발로 진행되지 않았으며, 결코 구축되지 않았습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Rusty Barton. "Atlas ICBM Chronolog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02-04.
- ^ Deny Rocket Lag. Atlas Firing Keynotes U.S. Missile Build-Up, 1959/01/29 (1959). Universal Newsreel. 1959. Retrieved February 22, 2012.
- ^ Helen T. Wells; Susan H. Whiteley & Carrie E. Karegeannes. Origin of NASA Names. NASA Science and Technical Information Office. pp. 8–9.
- ^ "WD-40 History Learn the Stories Behind the WD-40 Brand WD-40". www.wd40.com. Retrieved 2022-06-15.
- ^ "Atlas E". Encyclopedia Astronauti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5, 2002. Retrieved 28 October 2014.
- ^ "Project SCORE". Patterson Army Health Clini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6-24.
- ^ "SCORE (Signal Communication by Orbiting Relay Equipment)". GlobalSecurity.org. Retrieved 28 October 2014.
- ^ Video: Atlas In Orbit. Radios Ike's Message Of Peace To World, 1958/12/22 (1958). Universal Newsreels. 1958. Retrieved 20 February 2012.
- ^ a b c "Encyclopedia Astronautica – Atlas A". Astronautix.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May 2013. Retrieved 19 July 2013.
- ^ Mark Wade. "Atlas/Agena D SLV-3A". Astronautix.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27, 2002. Retrieved 28 October 2014.
- ^ "Atlas Vega". Astronautix.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24, 2016. Retrieved 28 October 2014.
- ^ "Delta A". Astronautix.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5, 2002. Retrieved 28 October 2014.
- ^ "Atlas-SLV3B Agena-D". Space.skyrocket.de. Retrieved 28 October 2014.
- ^ "Atlas I". Encyclopedia Astronauti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27, 2002. Retrieved 28 October 2014.
- ^ "Atlas III Data Sheet". Retrieved 2015-03-18.
- ^ "Lockheed Martin Ready For Launch Of Intelsat 14 Spacecraft". Lockheed Martin. November 11,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December 2011. Retrieved 28 October 2014.
- ^ a b Roulette, Joey (26 August 2021). "ULA stops selling its centerpiece Atlas V, setting path for the rocket's retirement". The Verge. Retrieved 1 September 2021.
- ^ "Evolved Expendable Launch Vehicle". Afspc.af.mil. March 200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April 2014. Retrieved 28 October 2014.
- ^ "ULA Could Buy as Many as 30 More Russian-made RD-180 Engines". SpaceNews. 2015-01-20. Retrieved 2015-04-13.
- ^ Ferster, Warren (2014-09-17). "ULA To Invest in Blue Origin Engine as RD-180 Replacement". Space New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18, 2014. Retrieved 2014-09-19.
- ^ Petersen, Melody (2014-12-12). "Congress OKs bill banning purchases of Russian-made rocket engines". LA Times. Retrieved 2014-12-14.
- ^ National Security Space Launch Report (PDF). RAND Corporation. 2006. p. 29. Retrieved 28 October 2014.
- ^ National Security Space Launch Report (PDF). RAND Corporation. 2006. p. xxi. Retrieved 28 October 2014.
- ^ Atlas V EELV – 2008년 2월 8일 록히드마틴 회수.Globalsecurity.org 를 참조해 주세요.2011년 11월 19일에 취득.
- ^ a b "HSF Final Report: Seeking a Human Spaceflight Program Worthy of a Great Nation" (PDF). October 2009. p. 64. Retrieved 2011-02-07.
Review of U.S. Human Spaceflight Plans Committee
추가 정보
- Gainor, Christopher, "The Atlas and the Air Force: Assessing the Begining of America's First Intercontinental Ballistic Missile", 기술과 문화 54(2013년 4월), 34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