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스럽 그루먼 페가수스

Northrop Grumman Pegasus
페가수스
Cropped Pegasus XL.jpg
모선 스타가저에 부착된 페가수스 XL
사용하다발사차량
제조사노스럽 그루먼
원산지미국
출시당 비용4천만 달러[1]
크기
높이16.9m(55ft) (페가수스)
17.6m(58ft)(페가수스 XL)
지름1.27m(4ft 2인치)
미사18,500 kg (40,800 lb) (페가수스)
23,130 kg (50,990 lb) (페가수스 XL)
단계3
역량
저지구 궤도에 대한 페이로드
미사443kg(977lb)
연합 로켓
가족궤도를 향한 항공 발사
파생작업미노타우르-C
비교할 수 있는전자, 벡터-H, 팔콘1, 페가수스
실행 기록
상태활동적인
시작 사이트궤도를 향한 항공 발사
총출발45
성공40
실패3
부분 고장2
제1편1990년 4월 5일
(페그사트 / 네이비사트)
마지막 비행2021년 6월 13일
(TacRL-2 / Odyssey)

페가수스오비탈 사이언스 코퍼레이션(OSC)이 개발한 공중발사형 발사체로 현재 노스럽 그루먼이 제작해 발사하고 있다. 지구 저궤도에 최대 443kg(977lb)의 소형 탑재체를 실을 수 있는 페가수스는 1990년 처음 비행해 2021년 현재 활동 중이다. 이 차량은 3개의 고체 추진체 단계와 옵션인 단극제 4단계로 구성된다. 페가수스는 약 12,000m(39,000ft)의 항모에서 방출되며, 첫 번째 단계에는 날개와 꼬리가 있어 대기 중에 양력과 자세 제어를 제공한다. 특히 1단계는 추력벡터제어장치(TVC) 시스템이 없다.[1]

역사

페가수스는 안토니오 엘리아스가 이끄는 팀에 의해 설계되었다.[2] 페가수스의 3대 오리온 고형 모터는 헤라클레스 에어로스페이스(Liter Aliant Techsystems)가 페가수스 발사체를 위해 특별히 개발했지만 원래 종료된 USAF 소형 ICBM 프로그램을 위해 개발된 첨단 탄소섬유, 추진제 제형 및 케이스 절연 기술을 사용했다. 날개와 지느러미의 구조는 버트 루탄과 그의 회사인 Scale Composites에 의해 설계되었고, 이 구조물은 Orbital을 위해 그것들을 제조했다.

  • 질량: 18,500 kg(페가수스), 23,130 kg(페가수스 XL)
  • 길이: 16.9m(페가수스), 17.6m(페가수스 XL)
  • 지름: 1.27m
  • 날개경간: 6.7m
  • 유하중 : 443kg (지름 1.18m, 길이 2.13m)

1987년 봄 시작된 이 개발 프로젝트는 궤도과학공사와 헤라클레스 항공우주공사의 자금 지원을 받아 정부 지원금을 전혀 받지 못했다.[3] 운영 테스트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 자금이 지원되었다.[4] NASA는 개발(캡티브 캐리어 테스트)과 처음 몇 번의 비행 동안 비용 보상 가능한 기준으로 B-52 항모 항공기를 사용하였다. 두 개의 오비탈 내부 프로젝트인 오비콤 통신 별자리와 오비뷰 관측 위성은 민간 자금 지원을 정당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앵커 고객 역할을 했다.[5]


1990년 4월 5일 NASA 시험 파일럿과 전직 우주비행사 고든 풀러튼이 항공모함을 지휘하는 가운데 첫 작전 발사가 있기 전에는 페가수스 시험 발사가 없었다. 처음에는 NASA 소유의 B-52 Stratofortress.NB-008은 항공모함 역할을 했다. 1994년까지, 오비탈은 그들의 "스타가저" L-1011로 전환되었는데, 이 항공기는 이전에 에어 캐나다가 소유했던 개조된 여객기였다. "스타가저"라는 이름은 텔레비전 시리즈 스타 트렉에 대한 경의를 표하는 것이다. 다음 세대: 장 뤼크 피카르라는 인물은 이 시리즈의 사건 이전에 스타가저라는 이름의 배의 선장이었고, 그의 첫 번째 장교 윌리엄 리커페가수스라는 이름의 배에 승선했던 적이 있다.[6]

45개 발사 역사 동안 페가수스 프로그램은 세 번의 임무 실패(STEP-1, STEP-2, HETI/SAC-B), 두 번의 부분 실패(USAF Microsat, STEP-2)를 거쳤으며, 그 뒤를 이어 30회 연속 비행에 성공해 총 프로그램 성공률이 89%에 이르렀다.[7] 1991년 7월 17일 첫 부분 고장으로 인해 7개의 USAF 마이크로 위성들이 계획보다 낮은 궤도로 전달되어 임무 수명을 크게 단축시켰다. 1996년 11월 4일 마지막 임무 실패는 1996년 감마 버스트 식별 위성 HETE(High Energy Transient Explorer)의 상실을 초래했다.[8]

NASA 인터스텔라 경계 탐사선(IBEX)을 실은 페가수스 XL의 발사 준비.
페어링이 장착된 페가수스 XL은 노출 페이로드 베이와 IBEX 위성을 제거했다.

1994년에[citation needed] 도입된 페가수스 XL은 페이로드 성능을 높이기 위해 단계를 연장했다. 페가수스 XL에서는 1단계와 2단계를 각각 오리온 50SXL과 오리온 50XL로 늘린다. 더 높은 기지는 변하지 않고, 비행 운항도 비슷하다. 날개가 약간 강화되어 높은 무게를 감당한다. 페가수스 표준은 단종되었다. 페가수스 XL은 2019년 현재 여전히 활동중이다. 페가수스는 2019년 10월 12일 현재 91개의 위성을 발사하며 두 구성 모두 44개의 임무를 수행했다.[9][10]

이중 탑재체를 발사할 수 있으며, 하단 우주선을 감싸고 상단 우주선을 탑재하는 캐니스터가 탑재된다. 상부 우주선이 전개되고, 통이 열리며, 그 다음 하부 우주선이 3단계 어댑터와 분리된다. 비용 및 공기역학적 이유로 페어링이 변경되지 않으므로 두 개의 페이로드 각각은 상대적으로 소형이어야 한다. 다른 다위성 발사는 OBCOMM 우주선과 같은 "자체 스택" 구성을 포함한다.

안토니오 엘리아스가 이끄는 페가수스팀은 로켓 개발에 대한 공로로 조지 H. W. 부시 미국 대통령으로부터 1991년 국가기술훈장을 받았다.

최초 출시 가격은 옵션이나 HAPS(Hydrazine 보조 추진 시스템) 기동 단계 없이 600만 달러였다. 페가수스 XL의 확대와 차량 관련 개선으로 기본 가격이 상승했다. 또한 고객은 추가 테스트, 설계 및 분석, 론칭 현장 지원 등의 부가 서비스를 주로 구매한다.[11]

2015년 현재, 구매될 가장 최근의 페가수스 XL - 2017년 6월 NASA의 Ionergrepace Connection Explorer(ICON) 임무의 발사 예정 - 총 비용은 5,630만 달러였으며, NASA는 "고정형 발사 서비스 비용, 우주선 처리, 탑재물 통합, 추적, 데이터 및 원격 측정 및 기타 발사 지원 요건"을 포함하고 있다고 NASA는 언급했다.".[11] 일련의 기술적 문제로 인해 이번 발사가 지연되었고, 마침내 2019년 10월 11일에 실시되었다.

2019년 7월에는 노스럽 그루먼스페이스X이미징 X선 폴라리메트리 익스플로러(IXPE) 위성의 발사 계약을 패소했다고 발표했다. IXPE는 페가수스 XL 로켓에 의해 발사될 계획이었고, 페가수스 XL 로켓 제약조건에 맞도록 설계되었다. 페가수스 XL 로켓에서 IXPE 발사가 제거되면서 현재(2019년 10월 12일, ICON 발사 이후) 페가수스 XL 로켓에 대한 우주 발사 임무가 발표되지 않고 있다. The future (under construction as of 2019) NASA Explorer program mission Polarimeter to Unify the Corona and Heliosphere (PUNCH) was planned to be launched by Pegasus XL; but then NASA decided to merge the launches of PUNCH and another Explorer mission, Tandem Reconnection and Cusp Electrodynamics Reconnaissance Satellites (TRACERS) (also under co2019년 현재 건설). 총 6개의 인공위성으로 구성된 이 두 개의 우주임무는 발사체 한 대가 발사할 예정이다. 이번 이중 미션 발사에는 더 큰 발사체가 선택될 것으로 예상된다.[12]

노스롭社는 두 개의 페가수스 XL이 재고로 남아 있다. 그것은 그 로켓의 고객을 찾고 있다. 노스롭은 2019년 10월 현재 페가수스 XL 로켓을 폐기할 계획이 없다.[13]

시작 프로파일

오비탈의 록히드 L-1011 스타가저는 2006년 3개의 스페이스 테크놀로지 5 위성을 탑재한 페가수스를 발사한다.
페가수스 엔진은 1991년 보잉 B-52 Stratofortress라는 기종에서 방출된 후 발화한다.

페가수스 발사에서 항모 항공기는 지원 및 체크아웃 시설을 갖춘 활주로에서 이륙한다. 이러한 장소에는 케네디 우주 센터 / 플로리다 케이프 캐너벌 공군 기지,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공군기지 및 드라이든 비행 연구 센터, 월롭스 비행 시설, 버지니아, 태평양콰잘린 산맥, 대서양 카나리아 제도 등이 포함되어 있다. 오비탈은 브라질알칸타라에서 출시를 제안했지만, 알려진 고객 중 아무도 공연을 하지 않았다.

미리 정해진 준비 시간, 위치 및 속도에 도달하면 항공기가 페가수스를 방출한다. 5초간 자유낙하 후 1단계가 점화되어 차량이 위로 투구된다. 45도 델타 윙(탄소 복합 건축 및 이중 쐐기 에어포일)은 피치 업을 돕고 약간의 리프트를 제공한다. 오리온 50S 모터에는 추력 벡터링 노즐이 없기 때문에 꼬리 핀은 1단계 비행을 위한 조향 기능을 제공한다.

약 1분 17초 후에 오리온 50S 모터는 연소된다. 이 차량은 고도 61km 이상과 극초음속이다. 1단계가 떨어져 나가 날개와 꼬리 표면을 찍고, 2단계가 점화한다. 오리온 50호는 약 1분 18초 동안 연소한다. 자세 제어는 피치 및 의 두 축을 중심으로 오리온 50 모터를 추력 벡터링하는 것으로, 롤링 제어는 3단계에서 질소 추력자에 의해 제공된다.[citation needed]

2단 비행의 중간쯤에서 발사기는 거의 진공 상태에 가까운 고도에 도달했다. 페어링은 분리되어 떨어져 나가면서 페이로드와 3단계를 덮는다. 2단 모터가 소진되면, 임무에 따라 궤적에서 적절한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스택 코스트에 도달한다. 그러면 오리온 50은 폐기되고, 3단 오리온 38 모터는 점화된다. 그것은 또한 구르기 위한 질소 추진기의 도움을 받는 추력 벡터 노즐을 가지고 있다. 약 64초 후에 3단계가 타버린다.[citation needed]

높은 고도, 더 미세한 고도 정확도 또는 더 복잡한 기동을 위해 네 번째 단계가 추가되기도 한다. HAPPS(Hydrazine 보조 추진 시스템)는 재시동 가능한 단로펠란트 하이드라진 추력기 3대에 의해 구동된다. 이중 발사와 마찬가지로 HAPPS는 탑재 가능한 고정 볼륨으로 절단된다. 적어도 한 로, 이 우주선은 HAPS 주위에 세워졌다.

안내는 32비트 컴퓨터와 IMU를 통해 이루어진다. GPS 수신기는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 항공 발사와 날개 리프트로 인해 1단계 비행 알고리즘이 맞춤 설계된다. 2단 및 3단 궤도는 탄도이며, 이들의 지침은 우주왕복선 알고리즘에서 도출된다.[citation needed]

항공모함

항모 항공기(초기에는 NASA B-52, 지금은 Orbital이 소유하고 있는 L-1011)가 비용 절감을 통해 탑재량을 증가시키는 부스터 역할을 한다.12,000m(39,000ft)는 낮은 지구 궤도 고도의 약 4%에 불과하며 아음속 항공기는 궤도 속도의 약 3%에 도달하지만, 발사 차량을 이 속도와 고도로 인도함으로써, 리어시브(reusab)의 역할을 한다.르 항공기는 값비싼 1단 부스터를 대체한다.

오비탈 ATK는 2016년 10월 스트래톨런치시스템과 제휴해 단 한 번의 비행으로 최대 3개의 페가수스-XL 로켓을 발사할 수 있는 거대 스케일링 컴포지트 스트래톨라운치에서 페가수스-XL 로켓을 발사한다고 발표했다.[14]

관련 프로젝트

스티븐 F의 페가수스 XL 선수 명단 우드바르-하지 센터

페가수스 부품은 다른 오비탈 사이언스 사의 발사대의 기본이 되어왔다.[15] 지상 발사된 타우러스 로켓은 페가수스 무대와 MX 피스키퍼 미사일의 1단인 카스토르 120 1단 위에 대형 페어링을 배치한다. 초기 발사는 리퍼브 MX 1단계를 사용하였다.

또한 지상 발사된 미노타우르스 1호는 타우러스 발사대와 미니트맨 미사일의 무대가 합쳐진 것으로, 그래서 이름이 붙여졌다. 처음 두 단계는 미니트맨 II에서 시작되며, 상위 단계는 오리온 50XL과 38이다. 잉여 군용 로켓 모터의 사용으로 인해 미국 정부와 정부가 후원하는 탑재물에만 사용된다.[why?]

세 번째 차량은 미니트맨 무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미노타우르 4로 불린다. 4단계로 오리온 38이 추가된 리퍼브 MX로 구성됐다.

NASA X-43A 극초음속 시험 차량은 페가수스 1단계에 의해 증가되었다. 상위 단계들은 스크램젯으로 구동되는 차량의 노출된 모델로 대체되었다. 오리온 무대는 X-43을 점화 속도와 고도로 끌어올려 폐기했다. 스크램젯을 발사하고 비행 데이터를 수집한 뒤 시험차량도 태평양으로 떨어졌다.

페가수스의 가장 많은 파생상품은 지상기반 미드코스 디펜스(GBMD) 요격용 부스터로, 기본적으로 수직(사일로)으로 발사된 페가수스(Pegasus)에서 날개와 지느러미를 뺀 후, 추력벡터 제어(TVC) 시스템을 추가해 1단계를 수정한다.

통계 시작

로켓 구성

1
2
3
4
5
6
  • 표준
  • XL
  • 잡종

시작 사이트

1
2
3
4
5
6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 에드워드 AFB
  • 케네디 우주 센터
  • 케이프 커내버럴
  • 반덴버그
  • 간도 기단
  • 월롭스 비행 시설
  • 콰잘린 환초

출시 결과

1
2
3
4
5
6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 실패
  • 부분 고장
  • 성공
  • 계획된

캐리어 비행기

1
2
3
4
5
6
1990
1995
2000
2005
2010
2015
2020
  • B-52
  • L-1011

실행 기록

페가수스는 1990년부터 2021년까지 45개의 임무를 수행했다.[9]

항공편 번호 날짜/시간(UTC) 로켓
배열
발사장 페이로드 페이로드 질량 타겟 궤도 실제 궤도 고객 발사하다
결과
1 1990년 4월 5일
19:10:17
표준(B-52) 에드워드 AFB 페그사트, 네이비사트 1994.00° i 320.0 x 360.0km 273.0 x 370.0km @ 94.15° i 성공
2 1991년 7월 17일
17:33:53
표준(HAPS 포함)(B-52) 에드워드 AFB 마이크로사츠(위성 7개) 389.0 x 389.0km @ 82.00° i 192.4 x 245.5km @ 82.04° i 부분 고장
궤도가 너무 낮아서, 우주선은 계획된 3년 수명이 아닌 6개월 후에 다시 진입했다.
3 1993년 2월 9일
14:30:34
표준(B-52) 케네디 우주 센터 SCD-1 405.0 x 405.0km @ 25.00° i 393.0 x 427.0km @ 24.97° i 성공
4 1993년 4월 25일
13:56:00
표준(B-52) 에드워드 AFB ALEXIS – 저에너지 X선 영상 센서 어레이 400.0 x 400.0km @ 70.00° i 404.0 x 450.5km @ 69.92° i 성공
5 1994년 5월 19일
17:03
표준(HAPS 포함)(B-52) 에드워드 AFB STEP-2(공간 테스트 실험 플랫폼/미션 2/SIDEX) 450.0 x 450.0km @ 82.00° i 325.0 x 443.0km @ 81.95° i 부분 고장
궤도가 약간 낮음
6 1994년 6월 27일
21:15
XL (L-1011) 반덴버그 AFB STEP-1(공간 테스트 실험 플랫폼/미션 1) - - 실패
비행 35초 후 차량 제어 기능 상실, 비행 종료.
7 1994년 8월 3일
14:38
표준(B-52) 에드워드 AFB 에이펙스 195.0 x > 1000km @ 70.02° i 195.5 x 1372.0km @ 69.97° i 성공
8 1995년 4월 3일
13:48
하이브리드(L-1011)[a] 반덴버그 AFB Orbcomm (위성 2개), ObvView 1 398.0 x 404.0km @ 70.00° i 395.0 x 411.0km @ 70.03° i 성공
9 1995년 6월 22일
19:58
XL (L-1011) 반덴버그 AFB STEP-3(공간 테스트 실험 플랫폼/미션 3) - - 실패
2단계 비행 중 파괴됨
10 1996년 3월 9일
01:33
XL (L-1011) 반덴버그 AFB 렉스 2세 450.0 x 443.0km @ 90.00° i 450.9 x 434.3km @ 89.96° i 성공
11 1996년 5월 17일
02:44
하이브리드(L-1011) 반덴버그 AFB MSTI-3 298.0 x 394.0km @ 97.13° i 293.0 x 363.0km @ 97.09° i 성공
12 1996년 7월 2일
07:48
XL (L-1011) 반덴버그 AFB TOS-EP 340.0 x 955.0km @ 97.40° i 341.2 x 942.9km @ 97.37° i 성공
13 1996년 8월 21일
09:47:26
XL (L-1011) 반덴버그 AFB FAST(Fast Auroral Snapshot Explorer) 350.0 x 4200.0km @ 83.00° i 350.4 x 4169.6km @ 82.98° i 성공
14 1996년 11월 4일
17:08:56
XL (L-1011) 월롭스 비행 시설 HETE, SAC-B 510.0 x 550.0km @ 38.00° i 488.1 x 555.4km @ 37.98° i 실패
3단계에서 인공위성이 배출되지 않음
15 1997년 4월 21일
11:59:06
XL (L-1011) 스페인 그란카나리아 간도 공군기지 미니사트 01, 셀레스티 우주 매장 587.0 x 587.0km @ 151.01° i 562.6 x 581.7km @ 150.97° i 성공
16 1997년 8월 1일
20:20:00
XL (L-1011) 반덴버그 AFB 오브뷰-2 310.0 x 400.0km @ 98.21° i 300.0 x 302.0km @ 98.28° i 성공
부분적인 성공과 함께 선상에서.
17 1997년 8월 29일
15:02:00
XL (L-1011) 반덴버그 AFB 포르테 800.0 x 800.0km @ 70.00° i 799.9 x 833.4km @ 69.97° i 성공
18 1997년 10월 22일
13:13:00
XL (L-1011) 월롭스 비행 시설 STEP-4(공간 테스트 실험 플랫폼/미션 4) 430.0 x 510.0km @ 45.00° i 430.0 x 511.0km @ 44.98° i 성공
19 1997년 12월 23일
19:11:00
HAPS 포함 XL(L-1011) 월롭스 비행 시설 오브콤 (위성 8개) 825.0 x 825.0km @ 45.00° i 822.0 x 824.0km @ 45.02° i 성공
20 1998년 2월 26일
07:07:00
XL (L-1011) 반덴버그 AFB 스노에, 박쥐 580.0 x 580.0km @ 97.75° i 582.0 x 542.0km @ 97.76° i 성공
21 1998년 4월 2일
02:42:00
XL (L-1011) 반덴버그 AFB 트레이스 600.0 x 650.0km @ 97.88° i 599.9 x 649.2km @ 97.81° i 성공
22 1998년 8월 2일
16:24:00
HAPS 포함 XL(L-1011) 월롭스 비행 시설 오브콤 (위성 8개) 818.5 x 818.5km @ 45.02° i 819.5 x 826.0km @ 45.01° i 성공
23 1998년 9월 23일
05:06:00
HAPS 포함 XL(L-1011) 월롭스 비행 시설 오브콤 (위성 8개) 818.5 x 818.5km @ 45.02° i 811.0 x 826.0km @ 45.02° i 성공
24 1998년 10월 22일
00:02:00
하이브리드(L-1011) 케이프 커내버럴 SCD-2 750.0 x 750.0km @ 25.00° i 750.4 x 767.0km @ 24.91° i 성공
25 1998년 12월 6일
00:57:00
XL (L-1011) 반덴버그 AFB SWAS 635.0 x 700.0km @ 70.00° i 637.7 x 663.4km @ 69.91° i 성공
26 1999년 3월 5일
02:56:00
XL (L-1011) 반덴버그 AFB WILL – 광역 적외선 탐색기 540.0 x 540.0km @ 97.56° i 539.0 x 598.0km @ 97.53° i 성공
27 1999년 5월 18일
05:09:00
HAPS 포함 XL(L-1011) 반덴버그 AFB 테리어스, 무블컴 550.0 x 550.0km @ 97.75° i,


975.0 x 775.0km @ 97.75° i

551.0 x 557.0km @ 97.72° i,


774.0 x 788.0km @ 97.72° i

성공
28 1999년 12월 4일
18:53:00
HAPS 포함 XL(L-1011) 월롭스 비행 시설 오브콤 (7개의 위성 825.0 x 825.0km @ 45.02° i 826.5 x 829.0km @ 45.02° i 성공
29 2000년 6월 7일
13:19:00
XL (L-1011) 반덴버그 AFB TSX-5(Tri-Service-Experties 미션 5) 405.0 x 1.750.0km @ 69.00° i 409.9 x 1,711.7km @ 68.95° i 성공
30 2000년 10월 9일
05:38:00
하이브리드(L-1011) 콰잘린 환초 HETE 2 600.0 x 650.0km @ 2.00° i 591.9 x 651.9km @ 1.95° i 성공
31 2002년 2월 5일
20:58:00
XL (L-1011) 케이프 커내버럴 RHESSI 600.0 x 600.0km @ 38.00° i 586.4 x 602.0km @ 38.02° i 성공
32 2003년 1월 25일
20:13:00
XL (L-1011) 케이프 커내버럴 소르스 645.0 x 645.0km @ 40.00° i 622.3 x 647.3km @ 39.999° i 성공
33 2003년 4월 28일
12:00:00
XL (L-1011) 케이프 커내버럴 GALEX – Galaxy Evolution Explorer 690.0 x 690.0km @ 29.00° i 689.8 x 711.3km @ 28.99° i 성공
34 2003년 6월 26일
18:55:00
XL (L-1011) 반덴버그 AFB 오브뷰-3 369.0 x 470.0km @ 97.29° i 367.1 x 440.5km @ 97.27° i 성공
35 2003년 8월 13일
02:09:00
XL (L-1011) 반덴버그 AFB SCISAT-1 650.0 x 650.0km @ 73.92° i 647.9 x 659.7km @ 73.95° i 성공
36 2005년 4월 15일
17:27:00
HAPS 포함 XL(L-1011) 반덴버그 AFB 다트 538.7 x 566.7km @ 97.73° i 541.2 x 548.8km @ 97.73° i 성공
37 2006년 3월 22일
14:03:00
XL (L-1011) 반덴버그 AFB ST-5 Space Technology 5 (위성 3개) 300.0 x 4500.0km @ 105.6° i 301.1 x 4571.0km @ 105.62° i 성공
38 2007년 4월 25일
20:26:00
XL (L-1011) 반덴버그 AFB AIM – 중류권 내 얼음의 공기공법 197kg(434lb)[18] 600.0 x600.0km @ 97.77° i 601.3 x 596.2km @ 97.79° i 나사[18] 성공
39 2008년 4월 16일
17:01:00
XL (L-1011) 콰잘린 환초 C/NOFS 384kg(847lb)[19] 400.0 x 850.0km @ 13.0° i 401.0 x 868.0km @ 12.99° i STP / AFRL / DMSG[19] 성공
40 2008년 10월 19일
17:47:23
XL (L-1011) 콰잘린 환초 IBEX – 성간 경계 탐색기 107kg(lb)[20] 207.0 x 412.0km @11.0° i 206.4 x 445.0km @ 10.99° i 나사 성공
41 2012년 6월 13일
16:00:00
XL (L-1011) 콰잘린 환초 NuSTAR – 핵 분광 망원경 어레이 350kg(770lb)[21] ≥530.0 x ≤660.0km @ 5.0~7.0° i 621.2 x 638.5km @ 6.024° i 나사 / JPL 성공
42 2013년 6월 28일
02:27:46 [23]
XL (L-1011) 반덴버그 AFB IRIS – 인터페이스 영역 이미징 스펙트로그래프 SMEX 183kg(403lb)[24] ≥620.0 x ≤670.0km @97.89° i 622.9 x 669.3km @ 97.894° i 나사 성공
43 2016년 12월 15일
13:37:00
XL (L-1011) 케이프 커내버럴 사이클론 지구 항법 위성 시스템(CYGNSS)[25] 345.6kg(762lb)[26] 510.0 x 6888.0km @ 35° i 511.5 x 6908.1km @ 34.97° i 나사 성공[27]
44 2019년 10월 11일
01:59:05
XL (L-1011) 케이프 커내버럴 이온권 연결 탐색기(ICON) 281kg(619lb) LEO, 590 x 607km[29] 608.4 x 571.6 @ 26.98° i UC 버클리 SSL / NASA 성공
45 2021년 6월 13일
08:11 [31][32]
XL (L-1011)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 TacRL-2(오디세이) 325kg(717lb) 레오
-
미국 우주군 성공
  1. ^ '하이브리드' 페가수스(Hybrid) 페가수스(Pegasus H)는 스타가저 항모에 의해 발사되기 위해 페가수스 XL의 것과 유사한 통조림 지느러미로 개조된 표준 페가수스다.

계획된 출시

날짜/시간(UTC) 로켓
배열
발사장 페이로드 궤도 고객

실행 실패

  • 1994년 6월 27일 F-6편: 차량이 비행 35초 만에 제어력을 상실했고, 원격 측정 다운링크도 비행 38초 만에, 비행 39초 만에 안전이 명령한 비행종료를 명령했다. 제어력 상실의 가장 유력한 원인은 이것이 첫 번째 비행이었던 더 긴 (XL) 버전의 부적절한 공기역학적 모델링이었다. 페가수스는 DoD 우주 시험 프로그램의 위성 - 우주 시험 실험 플랫폼인 미션 1(STEP-1)을 운반했다.
  • 1995년 6월 22일 F-9편: 1단계와 2단계 사이의 인터스테이지 링이 분리되지 않아 2단계 노즐의 움직임이 제약되었다. 결과적으로, 로켓은 의도된 궤적에서 벗어나 결국 사정거리 안전에 의해 파괴되었다. 페가수스는 DoD 우주실험 프로그램의 위성 - 우주실험 플랫폼인 미션 3(STEP-3)을 탑재했다.
  • F-14, 1996년 11월 4일 비행: 분리 피로를 시작하기 위해 방전된 배터리 때문에 탑재물을 분리하지 못했다. 발사 중 배터리 손상이 유력한 이유였다. 손실된 탑재체는 고에너지 과도 탐사선아르헨티나의 SAC-B 위성이었다.

부분적 성공

  • F-2, 1991년 7월 17일 비행: 결함이 있는 폭약 시스템으로 인해 1단 분리 중에 로켓이 진로를 이탈하게 되어 로켓이 정확한 궤도에 도달하지 못하게 하는 기동이 불규칙하게 일어났고, 3년 동안 계획된 비행 수명은 6개월로 단축되었다.[33]
  • F-5, 1994년 5월 19일 비행: 소프트웨어 내비게이션 오류로 인해 HAPS 상부 기지가 조기에 정지되어 계획한 궤도보다 낮은 궤도가 되었다. 페가수스는 DoD 우주 시험 프로그램의 위성 - 우주 시험 실험 플랫폼인 미션 2(STEP-2)를 운반했다.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Pegasus User's Guide" (PDF). Orbital-ATK. October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3 January 2016.
  2. ^ Brown, Stuart (May 1989), "Winging it Into Space", The Popular Science Monthly, Popular Science: 128, ISSN 0161-7370, retrieved 27 June 2013
  3. ^ Thompson, David (2007), An Adventure Begins - Orbital's First 25 Years, Orbital Sciences Corporation
  4. ^ Mosier, Marty; Harris, Gary; Richards, Bob; Rovner, Dan; Carroll, Brent (1990). "Pegasus First Mission Flight results". Proceedings of the 4th AIAA/USU Conference on Small Satellites. 1. Bibcode:1990aiaa....1.....M.
  5. ^ Rebecca Hackler (3 June 2013). "NASA Johnson Space Center Oral History Project Commercial Crew & Cargo Program Office Edited Oral History Transcript". NASA. Public Domain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6. ^ "startrek.com". startrek.com.
  7. ^ NASA는 두 번째 페가수스 실패 후 우주 접근을 검토한다.
  8. ^ 페가수스는 위성 화물에 매달린다.
  9. ^ a b "Pegasus Mission History" (PDF). Northrop Grumman.
  10. ^ "Pegasus Rocket".
  11. ^ a b "NASA Awards Launch Services Contract for Ionospheric Connection Explorer". NASA. 26 September 2017. Public Domain 글은 공개 도메인에 있는 이 출처의 텍스트를 통합한다..
  12. ^ Clark, Stephen (8 July 2019). "SpaceX wins NASA contract to launch X-ray telescope on reused rocket". Spaceflight Now. Retrieved 10 July 2019.
  13. ^ "Rockets purchased by Stratolaunch back under Northrop Grumman control – Spaceflight Now".
  14. ^ Foust, Jeff (6 October 2016). "Stratolaunch to launch Pegasus rockets". SpaceNews. Retrieved 7 June 2018.
  15. ^ Barron Beneski (6 December 2011). "Letter: "Qualified Success" Sells Pegasus Short". SpaceNews.
  16. ^ a b "Pegasus Payload User's Guide" (PDF). Northrop Grumman. September 2020. pp. 111–113.
  17. ^ Graham, William (13 June 2021). "Pegasus XL rocket to carry out Tactically Responsive Launch demo for Space Force". NASASpaceFlight.com.
  18. ^ a b ESA. "AIM (Aeronomy of Ice in the Mesosphere)". Retrieved 31 March 2020.
  19. ^ a b ESA. "C/NOFS (Communication/Navigation Outage Forecast System)". Retrieved 31 March 2020.
  20. ^ "IBEX - eoPortal Directory - Satellite Missions". directory.eoportal.org. Retrieved 31 March 2020.
  21. ^ "Nuclear Spectroscopic Telescope Array, or NuSTAR" (PDF). June 2012. Retrieved 16 June 2012.
  22. ^ "NuSTA" (PDF). December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7 July 2011.
  23. ^ "NASA's Consolidated Launch Schedule". NASA. 14 May 2013.
  24. ^ a b "IRIS Launch Coverage". NASA. 27 June 2013.
  25. ^ "NASA Awards Launch for Orbital's Pegasus Rocket". Orbital press release. 1 April 2014.
  26. ^ "Pegasus launches CYGNSS constellation following Stargazer release". NASASpaceFlight.com. 15 December 2016. Retrieved 29 March 2020.
  27. ^ Graham, William (15 December 2016). "Pegasus launches CYGNSS constellation following Stargazer release". NASASpaceFlight. Retrieved 16 December 2016.
  28. ^ Clark, Stephen (10 November 2017). "Launch of NASA ionospheric probe delayed to examine rocket issue". Spaceflight Now. Retrieved 29 March 2020.
  29. ^ a b "ICON Fast acts". icon.ssl.berkeley.edu. Retrieved 29 March 2020.
  30. ^ Gebhardt, Chris (11 October 2019). "NASA's ICON mission launches on Northrop Grumman Pegasus XL rocket". NASASpaceFlight.com. Retrieved 11 October 2019.
  31. ^ Erwin, Sandra (10 June 2021). "U.S. Space Force to launch "space domain awareness" satellite on Pegasus rocket". SpaceNews. Retrieved 10 June 2021.
  32. ^ Clark, Stephen (17 March 2021). "Northrop Grumman's Pegasus rocket selected for responsive launch demo". Spaceflight Now. Retrieved 29 April 2021.
  33. ^ 우주 발사 시스템에 대한 국제 참조 가이드, 제4판, 290페이지, ISBN 1-56347-591-X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