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바드후타카우파니샤드
Avadhutaka Upanishad아바드후타 우파니샤드(Avadhuta Upanishad, अपनित))는 중세 산스크리트어 문자로 힌두교의 소수 우파니샤드 중 하나이다.[6] 본문은 크리슈나 야주르베다에 붙어 있으며,[4] 20개의 산냐사(신설) 우파니샤드 중 하나이다.[3] 본문 제목도 '브리다바드후타 우파니샤드', '라후아바드후타 우파니샤드', '아바드후토파니샤드'이다.[5][7]
본문은 소령(브라이하드)과 소령(라후)이라는 두 부분으로 존재한다.[5] 주요 부분은 지반묵타라고도 불리는 말 그대로 해방된 사람 아바드후타의 성격과 특징을 기술하고 있다.[1][8][7] 소절은 8개의 사지 요가에 대한 짧은 우화적 요약으로 본문은 아바두타 생활방식의 일부라고 주장한다.[9]
역사
아바드후타 우파니샤드의 연월일이나 저자는 분명하지 않지만, 문학적 양식과 참고문헌을 볼 때 중세시대 문헌일 가능성이 높다.[10] Olivelle과 Sprockhoff는 약 14세기에서 15세기 사이의 연대를 가지고 있다.[2][11]
이 본문의 원고는 또한 아바드후토파니사드라는 제목 대신 발견된다.[7] 본문은 라마가 하누만에게 내레이션을 한 무크티카 캐논의 우파니샤드 108명의 텔루구어 문집에 79번으로 기재되어 있다.[12]
내용물
본문은 브리하드-아바드후타(크거나 큰 것)와 라후-아바드후타(작거나 작은 것)라는 두 부분으로 존재한다.[5]
브리하드-아바드후타 우파니샤드는 산크리티가 다타트레야에게 "아바드후타는 누구인가? 그의 상태와 행동은 어떠한가?[8] 다타트레야는 고대 및 중세 힌두교 문헌에서 요가의 숙달과 완벽하게 해방된 개인(아바드후타)을 상징하기 때문에 아바드후타 우파니샤드 등 산냐사 우파니샤드 여러 곳에 등장한다.[13]
다타트레야는 대답하며 아바드후타 우파니샤드(Avadhuta Upanishad)라는 단어는 각각 네 개의 개념에서 나온 네 개의 음절로 이루어져 있다고 단언한다. A는 악샤라(알파벳) 또는 불멸의 악샤라(알파벳)에서, Va는 바렌야 또는 우수한 사람, Dhu는 뒤타(흔들린)에서, 타는 타트(타트)에서 나온다.[14] 우파니샤드(Avadhuta)는 우파니샤드(Avadhuta)라고 말하고 있는데, 세상을 뒤흔든 사람은 그 지식(Brahman)으로, 언제나 자신의 애트만(자신, 영혼)에 의해 추진되고, 바르나(계급)나 삶의 단계에 의해 누구에게나 차별을 초월해 온, 그 지식(Brahman)[15][16]을 지니고 있다. 그는 행복에 겨워 살고, 외모에 신경도 쓰지 않고 방황한다.[17] 그의 의식은 몸 안에서 제물을 바치는 것이며, 그는 외부의 모든 희생을 비난한다.[18][16]
Patrick Olivelle은 Bhagavad Gita, Brihat-Sannyasa Upanishad, Pachadasi 및 기타 오래된 문헌의 찬송가 파편을 참조하고 통합한 것으로 유명하다.[19] 편입된 사상인 올리벨레 주에는 "아바드후타는 어떤 것에 대해서도 결코 매달리거나 갈망하지 않기 때문에 항상 평화롭다"는 것, 그리고 해방된 인간은 모든 세계를 자기 자신처럼 여기고 현재의 삶이 최대한 완전하기 때문에 천상의 내세에 신경 쓰지 않는 사람이라는 것 등이 포함되어 있다.[19] 해방된 자는 할 일을 다했고, 우파니샤드라고 말하고, 이 아바드후타는 베다족이 요구하는 대로 세계의 복지를 위한 여정을 계속한다, 그것이 그가 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20][21] 그는 무슨 일이 있어도 자신을 대리인이나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생각하므로, 그는 자신의 영혼에 따라 행동하는 것에 만족한다.[20][21] 그는 "나는 운이 좋다, 나는 나 자신을 안다, 우리가 얼마나 멋진 존재인가를, O what knows,[22][23] O what knowledge, O what happiness, O what server" 내가 가지고 있는 우파니샤드는 말한다.
라후아바두타 우파니샤드는 본문의 요가 부분이다. 8개의 팔다리를 파탄잘리의 요가수트라와 비슷한 방식으로 표기함으로써 열리게 된다.[24] 본문을 주장하는 야마스는 사람의 감각에 의해 통제되는 것을 방해하는 규율이다.[25] 니야마는 진리에 대한 끊임없는 애착을 초래하는 행동이며, 우파니샤드를 규정한다.[25] 아사나스는 세상의 모든 것에 무관심으로 이어지는 자세다.[25] 요가의 목표는 사마디를 달성하는 것이며, 본문을 서술하고, 완전히 망각된 정신 흡수 상태라고 할 수 있다.[25] 그러므로 그는 자신의 영혼을 고립시키고, 따라서 인생의 모든 망상과 자신을 분리하며, 최고의 꾸준함의 본질을 얻는다.[26] 그리하여 그는 가이발야에 이르러 우파니샤드를 주장하였다.[26]
참고 항목
참조
- ^ Jump up to: a b 2010년 달랄, 페이지 50.
- ^ Jump up to: a b 1992년, 8~9페이지.
- ^ Jump up to: a b 1992년, 페이지 x-xi, 5
- ^ Jump up to: a b 티노코 1996, 페이지 89.
- ^ Jump up to: a b c d 1992년, 페이지 273–277, 288–289.
- ^ Tinoco 1996, 페이지 86-89.
- ^ Jump up to: a b c 베딕 문학, 1권, 산스크리트 필사본의 기술 카탈로그, 페이지 PA286, 인도 마드라스 타밀나두 정부 구글북스 286-287페이지
- ^ Jump up to: a b 1992년 올리브유, 페이지 273–277.
- ^ 1992년, 288-289쪽 각주.
- ^ 1992년, 페이지 5, 7–8, 278=280.
- ^ 스프로크호프 1976년
- ^ 듀센 1997, 페이지 556–557.
- ^ 리고풀로스 1998, 페이지 64–71.
- ^ 1992년, 각주 1과 함께 273페이지.
- ^ 1992년 올리브유, 페이지 273.
- ^ Jump up to: a b Hattangadi 2000, 페이지 1-2.
- ^ 1992년 올리브유, 페이지 273–274.
- ^ 1992년 올리브유, 페이지 274.
- ^ Jump up to: a b 1992년 올리브유, 페이지 274–275.
- ^ Jump up to: a b 1992년 올리브유, 페이지 275–276.
- ^ Jump up to: a b Hattangadi 2000, 페이지 2-3.
- ^ 1992년 올리브유, 페이지 276–277.
- ^ Hattangadi 2000, 페이지 3.
- ^ 1992년 올리블레 288–289페이지.
- ^ Jump up to: a b c d 1992년 올리브유, 페이지 288.
- ^ Jump up to: a b 1992년, 페이지 289.
참고 문헌 목록
- Dalal, Roshen (2010).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Penguin Books. ISBN 978-0-14-341421-6.
- Deussen, Paul (1 January 1997). Sixty Upanishads of the Veda.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1467-7.
- Deussen, Paul (2010). The Philosophy of the Upanishads. Oxford University Press (Reprinted by Cosimo). ISBN 978-1-61640-239-6.
- Flood, Gavin D. (1996). An Introduction to Hindu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438780.
- Hattangadi, Sunder (2000). "अवधूतोपनिषत् (Avadhuta Upanishad)" (PDF) (in Sanskrit). Retrieved 4 March 2016.
- Olivelle, Patrick (1992). The Samnyasa Upanisads.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070453.
- Olivelle, Patrick (1993). The Asrama Syste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083279.
- Rigopoulos, Antonio (1998). Dattatreya: The Immortal Guru, Yogin, and Avatara: A Study of the Transformative and Inclusive Character of a Multi-faceted Hindu Deit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0-7914-3696-7.
- Sprockhoff, Joachim F (1976). Samnyasa: Quellenstudien zur Askese im Hinduismus (in German). Wiesbaden: Kommissionsverlag Franz Steiner. ISBN 978-3515019057.
- Tinoco, Carlos Alberto (1996). Upanishads. IBRASA. ISBN 978-85-348-0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