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야그리바 우파니샤드
Hayagriva Upanishad하야그리바 우파니샤드 | |
---|---|
![]() 하야그리바 | |
데바나가리 | हयग्रीव |
동작 | 하야그르슈바 |
제목이란 | 비슈누의 아바타 중 하나인 목마 |
날짜. | 중세 |
작성자 | 브라마 |
유형 | 바이슈나바 |
링크 베다 | 아타르바베다 |
장 및 본장 | 2 |
구절 | 20 |
철학 | 바이슈나비교 |
시리즈의 일부 |
바이슈나비교 |
---|
![]() |
하야그리바 우파니샤드 또는 하야그리보파니샤드는 산스크리트어로 쓰여진 108개의 우파니샤드 중 하나이다.그것은 비슈누 [1]신의 말 얼굴 아바타인 하야그리바에게 바쳐진 작은 우파니샤드이다.그것은 비슈누를 숭배하는 바이슈나바 종파에 속하며 아타르바베다와 [2]관련이 있다.
라마가 하누만에게 내레이션한 근대 묵티카 우파니샤드 108명의 텔루구어 선집에는 [3]100위에 올라 있다.우파니샤드는 콜브룩의 인도 북부 52개 인기 우파니샤드 선집에도 속하지 않고 [4]나라야나의 인도 남부 인기 우파니샤드 선집에도 속하지 않는다.
하야그리바 우파니샤드는 최고의 현실 브라만의 [5][6]본질을 알 수 있는 만트라들을 제시한다.
날짜.
텍스트의 구성 날짜를 알 수 없습니다.비슈누 아바타 지향의 종파적 성격과 본문 속 탄트라 만트라에 대한 묘사를 감안할 때 비교적 후기 우파니샤드일 가능성이 높다.탄트라 만트라를 가진 종파적 우파니샤드는 10세기 이후에 작곡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더글러스 [7]브룩스는 말한다.패트릭 올리벨은 아타르바베다에 속한 종파 우파니샤드가 [8]약 16세기까지 2천 년기에 작곡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
이름.
하야그리바라는 단어는 "목걸이"[9]를 의미합니다.이 용어는 힌두교, 불교,[10][11][12] 자이나교라는 세 가지 주요 고대 인도 종교에서 발견되는 여러 다른 신화적 인물들을 가리키기도 한다.
하야그리바는 말을 테마로 한 아바타를 가리키며 아슈바무카, 아슈바시르사, 하야시르사로도 알려져 있다.전설에 따르면, 하야그리바는 [10]마하바라타에 묘사된 신화적인 전투인 선과 악의 싸움 동안 그들을 훔친 아수라스 마두와 카이타바로부터 베다를 데려온 끈질긴 말이다.또 다른 신화에서 하야그리바는 바가바타 [10][12]푸라나에 나오는 이야기인 마츠야 아바타에서 베다를 훔치고 비슈누에 의해 살해된 악마를 말한다.세 번째 버전인 중세시대 데비-바가바타 푸라나에서 비슈누는 히야그리바라고 불리는 인간의 몸과 말의 머리를 가진 잡종 형태로 등장하며 [10][13]히야그리바라고 불리는 말과 같은 악마와 싸우고 죽인다.마지막으로, 판카라트라 바이슈나바 전통에서, 하야그리바 비슈누는 배움의 신이 되고 보호하는 사람이 베다를 [10][11]유지한다.하야그리바 우파니샤드에서 이 용어는 인류의 [14]스승인 반인반의 말머리 비슈누 아바타를 가리킨다.
내용
하야그리바 우파니샤드는 20개의 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개의 장으로 나누어져 있다.그것은 브라흐마가 현자인 나라다에게 설교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본문은 비슈누, 인드라, 가루다, 태양, 브리하스파티 신에 대한 기도로 시작된다.[15][better source needed][16]
나라다는 브라흐마에게 브라흐만의 지식을 부여해 달라고 부탁한다. 브라흐만은 죄로부터 구해주며 정신적 물질적 부를 부여한다.브라흐마는 하야그리바의 만트라를 마스터하는 사람은 슈루티스(듣는 지식), 스므리티스(암기된 지식), 이티하사스(힌두 서사시, 문자 그대로 역사), 푸라나스의 지혜를 배우고 부를 부여받았다고 선언한다.그리고 브라흐마는 하야그리바의 [15][16]예배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만트라에 대해 이야기하기 시작한다.
첫 번째 만트라는 하야그리바를 지식의 지배자인 비슈누로 경례한다.그는 물질적 세계를 넘어 구원자로 칭송받고 있다.두 번째 만트라는 하야그리바가 세 개의 베다인 리그베다, 야주르베다, 사마베다와 옴의 현상으로 식별된다.그는 모든 베다의 상징이자 모든 것의 스승이라고 단언한다.하야그리바는 달처럼 빛나며 세 손에는 샹카, 차크라, 책을 들고 있고, 네 손에는 마하무드라의 손동작을 하고 있다.29음절의 만트라(옴 srim hlaum om bhagavate hayagrivaya vishnave mahyam medham prajam svaha)와 28음절의 만트라(옴 srim hrim im aim klim sauh mah mah mah mah maham baham prajam praham svaham svaham svahm svahm svahm svaham svahm svaham svahm svahm svaham svahm sv
두 번째 장은 브라흐마가 하야그리바의 한 음절 만트라(비자)[15][16]에 대해 말하는 것으로 시작한다.아므리탐 쿠루 스바하는 본문을 주장하고, 말, 부, 그리고 8개의 부도를 통제한다.또 다른 만트라 Lhoum sakala-samrajyena siddim kuru svaha는 글을 통해 낭독자는 삶에서 즐거움을 얻고 사후에는 구원을 얻는다고 주장한다.이는 베다 격언(마하바키아)의 진정한 영적 의미를 깨닫는 데 도움이 된다.
- 프라지나남 브라흐마(브라만은 지혜다)
- Tat tvam asi (당신이 그거에요) ,
- 아얌 앗마 브라흐마(내 영혼은 브라흐만)
- 아함 브라흐마스미(나는 브라흐만)
그 후 "야드 박 바단티...", "고리미마야...", "오쉬타피다나...", "사 사르파레라마심..."[15][16] 등 4개의 부가적인 베다 만트라가 낭송된다.
우파니샤드의 전통에서, 하야그리바 우파니샤드는 본문의 장점을 언급함으로써 끝을 맺는다.에카다시에 하야그리바 우파니샤드를 암송하는 사람은 하야그리바의 은총과 구원을 받는다는 것이 경전이다.본문은 브라만에 대한 이 지식이 [15][16]신자에게 남아 있기를 바라는 기도로 끝난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Roshen Dalal (2010).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Penguin Books India. pp. 157, 431. ISBN 978-0-14-341421-6.
- ^ Farquhar, John Nicol (1920), An outline of the religious literature of India, H. Mil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 364, ISBN 81-208-2086-X
- ^ Deussen, Bedekar & Palsule 1997, 페이지 557.
- ^ Deussen, Bedekar & Palsule 1997, 페이지 561-564.
- ^ 베딕 문학, 제1권, 산스크리트어 사본 설명 카탈로그, 페이지 PA589, 구글 북스, 인도 마드라스 타밀 나두 정부, 579-580 페이지
- ^ 핫탕가디 2000.
- ^ Douglas Renfrew Brooks (1990). Secret of the Three Citie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 13–14. ISBN 978-0-226-07570-9.
- ^ Patrick Olivelle (2008). Upanisads. Oxford University Press. p. xxxiii. ISBN 978-0-19-954025-9.
- ^ 하야그리바 산스크리트 영어사전, 독일 쾰른 대학교 (2012)
- ^ a b c d e D. Desai (1995). R. T. Vyas (ed.). Studies in Jaina Art and Iconography and Allied Subjects. Abhinav Publications. pp. 87–88. ISBN 978-81-7017-316-8.
- ^ a b P. K. Mishra (1999). Studies in Hindu and Buddhist Art. Abhinav Publications. pp. 107–108. ISBN 978-81-7017-368-7.
- ^ a b S. N. Eisenstadt; D. Shulman; R. Kahane (1 January 1984). Orthodoxy, Heterodoxy and Dissent in India. Walter de Gruyter. pp. 22–24. ISBN 978-3-11-085256-1.
- ^ Cheever Mackenzie Brown (1990). The Triumph of the Goddess: The Canonical Models and Theological Visions of the Devi-Bhagavata Purana. SUNY Press. pp. 34–45. ISBN 978-0-7914-0363-1.
- ^ 마하데반 1975, 221~222페이지
- ^ a b c d e f P.R.Ramachander. "Hayagriva Upanishad". Vedanta Spiritual Library. Retrieved 14 January 2015.
- ^ a b c d e f Shantha N. Nair (1 January 2008). Echoes of Ancient Indian Wisdom. Pustak Mahal. pp. 387–8. ISBN 978-81-223-1020-7.
참고 문헌
- Deussen, Paul; Bedekar, V.M.; Palsule, G.B. (1 January 1997). Sixty Upanishads of the Veda.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1467-7.
- Hattangadi, Sunder (2000). "हयग्रीवोपनिषत् (Hayagriva Upanishad)" (PDF) (in Sanskrit). Retrieved 7 March 2016.
- Mahadevan, T. M. P. (1975). Upaniṣads: Selections from 108 Upaniṣads. Motilal Banarsidass Publ. ISBN 978-81-208-1611-4.
외부 링크
- 산스크리트어 하야그리바 우파니샤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