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가타트바 우파니샤드
Yogatattva Upanishad요가타트바 우파니샤드 | |
---|---|
데바나가리 | योगतत्त्व |
제목 평균 | 요가와 진리 |
날짜 | 서기 150년 |
링크드베다 | 아타르바베다 |
시 | 143 |
철학 | 베단타 |
다음에 대한 시리즈 일부 |
힌두교 |
---|
![]() |
요가타트바 우파니샤드(산스크리트어: योगतत्ववव,,, IAST: 요가타트바 우파니샤드)는 힌두교의 중요한 우파니샤드 중 하나이다.[1][2]산스크리트어 텍스트로, 아타르바베다에 붙어 있는 11개의 요가 우파니샤드 중 하나이며,[3] 네 개의 베다에 있는 20개의 요가 우파니샤드 중 하나이다.[4][5]현대시대 108개 우파니샤드의 문집에 라마가 하누만에게 열거한 무크티카의 일련번호 41번에 기재되어 있다.[6]힌두교의 철학적 개념을 제시하는 것은 우파니샤드로서 베단타 문학 수집의 말뭉치의 한 부분이다.[7]
그 원고의 두 가지 주요 버전이 알려져 있다.하나는 15절이지만 아타르바베다에 붙어 있는 반면,[8] 또 다른 매우 다르고 증강된 원고는 1402절의 텔루구어에[8] 존재하며 크리슈나 야주르베다에 붙어 있다.[9][10]본문은 바이슈나비즘 전통의 요가를 묘사하는 것으로 유명하다.[8][11]
요가타트바 우파니샤드는 요가수트라, 하타 요가, 쿤달리니 요가와 사상을 공유한다.[1]여기에는 네 가지 스타일의 요가에 대한 토론이 포함되어 있다.만트라, 라야, 하타 요가, 라자.[12]우파니샤드는 베단타 철학의 해설자로서 음절 옴을 시작으로 요가 과정을 통해 앳만(소울, 셀프)[13]의 의미를 정교하게 다듬는 데 전념하고 있다.요가타트바 우파니샤드에 따르면 '요가 없는 jnana(지식)는 목샤(방산, 구원)를 확보할 수 없고, 지식이 없는 요가는 목샤를 확보할 수 없다'면서 '해방을 추구하는 사람은 요가와 지식 모두를 추구해야 한다'[14]고 했다.
어원
요가(산스크리트 뿌리 유즈로부터)는 가장 보편적인 문자적 의미에서 "더하기", "가입하기", "통합하기" 또는 "첨부하기"를 의미한다.[15]산스크리트와 철학의 학자 다스굽타에 따르면 요가라는 용어는 유지르 요가(요가) 또는 유즈 사마도(집중하기 위해)의 두 가지 뿌리 중 하나에서 유래될 수 있다.[16]
요가타트바는 "요가"와 "타트바"의 합성어로, 후자는 "진리"[9] 또는 "현실, 그-네스"[17]를 의미한다.독일의 인도학자이자 철학 교수인 폴 듀센은 요가타트바라는 용어를 "요가의 정수"[18]로 번역한다.
"우파니샤드"란 힌두교의 철학적 개념을 제시하는 베단타 문학 수집의 말뭉치에 속하는 지식 또는 "숨겨진 교리" 본문을 말하며, 그 경전인 베다스의 가장 높은 목적이라고 여겨진다.[7]
연대기와 문집
그 텍스트 말하길, 미르체아 엘리아데는 마하바라타의 교훈적인 부분 최고 Sannyasa 우파니샤드와 다른 초기 요가 Upanishads과 함께:Brahmabindu(아마도 Maitri 우파니샤드와 같은 시간에 대해 구성되어), Ksurika, Tejobindu, Brahmavidya, Nadabindu, Yogashikha, Dhyanabindu, Amritabindu 같은 기간에 작곡됐다.[19]
요가타트바는 요가쿤달리, 바라하, 파슈파타브라마와 같은 10~11세의 요가 우파니샤드보다 일찍 작곡되었다고 덧붙인다.[19]대체 연대 추정치는 수학 교수이자 힌두교와 불교의 요가에 관한 작가인 마이클 화이트맨이 쓴 것을 포함한다.[20] 그는 그것이 약 150CE로 추정된다고 말했다.[21]대조적으로, 비교 종교의 교수인 David White는 이 텍스트가 "고전적인 베단타의 유산으로부터 이념과 이미지"를 파생한다고 제안하며, 그것은 아마도 11세기에서 13세기 사이에 구성된 중세 시대의 텍스트일 것이다.[22]
Gavin Flood는 다른 요가 우파니샤드와 함께 요가타트바 텍스트의 날짜를 기원전 100년부터 300년까지로 추정한다.[23]
1656년 술탄 모하메드 다라 시크호(Muhammed Dara Sikhoh)가 합성한 우파니샤드(Oupanekhat)라는 제목의 우파니샤드 모음집에는 50개의 우파니샤드를 페르시아어로 번역한 뒤 이를 종교에 관한 최고의 책으로 발표한 요가타트바가 21위에 실려 있다.[24]다라 시코의 수집품은 인도 북부에서 유행하는 우파니샤드 문집과 같은 순서였다.52개의 우파니샤드 버전의 콜브룩에서 이 우파니샤드는 23번지에 나와 있다.[25]14세기 베단타 학자인 산카라난다(Sankarananda) 이후 살았던 인도의 학자 나라야나(Narayana)의 비블리오티카 인디카(Bibliotica Incenta) 판에서도 우파니샤드는 그의 52명 명단에 23명으로 올라 있다.[26]
구조
요가타트바 우파니샤드의 텔루구 버전은 142개의 구절을 가지고 있으며,[27] 산스크리트어로 가장 짧은 생존 원고는 15개의 구절에 불과하다.[8]두 버전 모두 힌두교 신 비슈누를 최고 푸루샤 또는 최고 영령으로 칭송함으로써 개방되고, 위대한 요긴, 최고존재, 위대한 타파스빈(중재자), 그리고 진리의 길에 있는 등불이다.[9][1][28]이것은 본문을 힌두교의 바이슈나바 전통과 연결시킨다.[1]
산스크리트어 버전의 3절에서 15절까지의 의미와 메시지는 본문 텔루구 버전의 마지막 13절의 의미와 메시지를 반영한다.[29][30]
내용물
요가타트바 우파니샤드는 요가에 관한 가장 오래된 문헌 중 하나로 요가 기법과 요가의 장점을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31]
처음으로 우파니샤드는 연습과 명상에 의해 얻어지는 비범한 힘에 대해 수없이 정밀하고 세세한 내용을 들려준다.나무늘보, 말괄량이 등 초보자가 겪는 장애물처럼 4대 아사나(시다, 파드마, 심하, 바드라)가 언급된다.프라나야마에 대한 설명은 마트라(호흡 단계의 측정 단위)의 정의와 함께 신비로운 생리학의 중요한 세부사항(나디스의 정화는 몸의 가벼움, 안색의 명석함, 소화력 증가 등 외부 신호에 의해 나타난다.
— Mircea Eliade on Yogatattva Upanishad, Yoga: Immortality and Freedom[31]
요가 학생의 자아실현과 덕목
힌두교의 신 브라흐마의 요청에 대해 비슈누는 모든 영혼이 마야가 만들어낸 세속적인 쾌락과 슬픔의 순환에 사로잡혀 있다고 설명한다(현실을 바꾼다).[32][33]그리고 카이발야는 이러한 출생, 노령, 질병의 순환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32]비슈누 주 정부는 샤스트라에 대한 지식은 이런 점에서 부질없는 것이며, "해방의 설명할 수 없는 상태"에 대한 설명은 그들과 심지어 데바를 피한다.[32][33]
그것은 궁극적인 현실과 최고의 자아에 대한 지식일 뿐, 해방과 자아실현의 길로 인도할 수 있는 브라흐만은 요가타트바 우파니샤드라고 말한다.[34][32]'열정, 분노, 공포, 망상, 탐욕, 자존심, 정욕, 출생, 죽음, 비참함, 기드니스, 굶주림, 갈증, 야망, 수치심, 공포, 가슴 타오르는 슬픔, 기쁨'[34][32]에서 자유로운 요가 학생에게 이러한 자아 실현이 가능하다.
요가와 지식
요가타트바 우파니샤드의 초창기 구절에서는 요가와 jnana(지식)의 동시적 중요성이 주장되고, 상호보완적이며 필요하다고 선언한다.[31][36]
तस्माद्दोषविनाशार्थमुपायं कथयामि ते । योगहीनं कथं ज्ञानं मोक्षदं भवति ध्रुवम् ॥
योगो हि ज्ञानहीनस्तु न क्षमो मोक्षकर्मणि । तस्माज्ज्ञानं च योगं च मुमुक्षुर्दृढमभ्यसेत् ॥
अज्ञानादेव संसारो ज्ञानादेव विमुच्यते । ज्ञानस्वरूपमेवादौ ज्ञानं ज्ञेयैकसाधनम् ॥[37]
나는 오류의 파괴를 위해 고용될 수 있는 수단과 관련이 있다.
요가의 연습이 없다면, 어떻게 지식이 앳먼을 자유롭게 할 수 있었을까?
반대로 지식도 없는 요가 연습만으로 어떻게 이 일을 성공할 수 있었을까?
해방을 추구하는 자는 두 사람에게 동시에 정력을 쏟아야 한다.
불행의 근원은 Ajnana(무시)에 있다.
지식만이 사람을 자유롭게 한다.이것은 모든 베다에서 발견된 격언이다.
본문은 '지식'을 정의하고, 산스크리트 학자 아이야르를 '자신 속에서 가이발야(목샤)의 실체를 최고좌석, 스테인리스, 파트리스, 그리고 사키다난다(진리의식-블리스)'[14]로 인식한다.[40]이 지식은 브라만과 앗만과 지바와 파라마트만의 차별화되지 않은 본성에 관한 것이다.[41]우파니샤드에 따르면 요가와 지식(jnana)은 둘 다 함께 브라만을 실현하고 구원을 얻기 위해 간다.[1]
요가스
우파니샤드에서 비슈누는 브라흐마에게 요가는 여러 종류의 실천에서 요가는 하나라고 말하는데,[43] 만트라 요가는 구호를 통한 실천, 라야 요가는 깊은 집중을 통한 실천, 하타 요가는 노력을 통한 실천, 라자 요가는 명상을 통한 실천이다.[1]
하나 있는데 이 모든 yogas에 공통된 4개 주 텍스트를 서술하면, 및 성취도의 이 4단계가 있:Arambha(시작하여 적절한 식사 비폭력 같은 연습하는 윤리의 무대, asana가 그 뒤를 이었다)[44]Ghata(두번째 통합 무대 몸과 마음 사이에 음주 규제와 관계를 배우기)[45]Parichaya 자세한 내용은 정확해다hird을 native기류를 잡고 조절하는 이미시 스테이지에 이어 마음과 앳만의 관계를 위한 명상,[46] 니시파티(사마디를 완성하고 앳만을 실현하기 위한 4단계)가 이어진다.[47]본문에서는 라자 요가가 요가의 정점이라고 언급하고 있지만 본문의 강조와 대부분의 구절은 하타 요가에 바친다.[42]
만트라 요가는 요가타트바에 의해 만트라의 청각적 암송의 규율이라고 명시되어 있지만, 요가의 열등한 형태라고 언급되어 있다.[48]그것은 12년 동안 알파벳의 소리를 암송하거나 억양을 하는 연습이다.[49]이것은 점차적으로 지식과 내면의 감쇠의 특별한 힘을 가져온다, 라고 본문은 주장한다.[14]요가를 하는 이 만트라 기반의 방법은, 요가타트바는 둔한 재치를 가지고 있고 다른 세 가지 유형의 요가를 연습할 능력이 없는 사람들에게 적합하다고 주장한다.[50][49]
라야요가는 일상생활을 하면서 늘 '부분 없는 주님'을 생각하는 데 초점이 맞춰지는 해체의 훈련으로 제시된다.[48][51]중요도 순서에서 두 번째인 라야 요가는 치타나 정신에 의한 동화 쪽으로 향하는데, 그 속에서 사람은 언제나 형태 없는 이스바라(신)를 생각한다.[14][49]
그 하타 요가, Yogatattva 우파니샤드의 verses,[42]의 대부분을 바쳤다가 8상호 의존적인 관행:10yamas(self-restraints), 10niyamas(self-observances),의 아사나(자세), 호흡(호흡의 제어), pratyahara(감각이 정복), dharana(농도), dhyana, samadhi meditati의 상태로 논의된다.적임자 c사생결단으로[53][49][50]
본문은 명상을 논하고 이후 128절까지 하타요가 연습의 20단계인 마하무드라, 마하반다, 케차리무드라, 물라반다, 우디야나반다, 잘란다라반다, 바지로리, 아마롤리, 사하졸리 등을 논한다.[54]그 후 우파니샤드는 요긴이 세상으로부터 자신을 분리할 수 있는 수단이 라자 요가라고 주장하면서 산스크리트 학자인 아이양가르를 번역한다.[55][56]명상을 위한 도구는 프라나바 또는 옴만트라로, 134~140절에서 설명하고, 그 뒤에 해방의 본질과 궁극적인 진리에 대한 진술이 뒤따른다.[57][58]
아사나스
프라나야마 관행에 대해 논의된 주요 자세(시계 - 바드라사나, 시드하사나, 심하사나, 파드마사나) |
우파니샤드에는 많은 아사나들이 언급되어 있지만, 프라나야마(호흡 운동)로 시작하는 초보자를 위한 요가의 네 가지 자세 – 싯다사나, 파드마사나, 심하사나, 바르드라사나(Siddhasana, Bhadrasana)를 명시하고 있다.[59]자세한 절차와 이에 대한 설정은 텍스트에 설명되어 있다.[59]
본문은 파드마사나(로투스) 자세로 앉아 프라나야마나 호흡은 점진적이어야 하며 흡입, 유지, 호기 모두 느리고, 안정적이며, 깊이 있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60]본문은 자기 모니터링을 돕고 진행률을 측정하기 위한 일련의 시간 측정법(마타, 음악 비트)을 소개하는데, 여기서 요가 학생은 손가락이 스스로 곡선을 그리며 비트 맥박에 자신의 무릎을 사용함으로써 박자가 만들어진다.[59]16 마트라스(지진)에 걸쳐 순차적으로 점진적으로 흡입하고, 64 마트라스 동안 공기를 깊숙히 잡고, 32 마트라스 이상으로 점차 공기를 내쉬는 것이 호흡 운동의 목표로 제시된다.[59][60]
요긴이가 눈으로 무엇을 보든, 그는 그 모든 것을 앳먼(소울, 자아)으로 생각해야 한다.비슷하게, 그가 듣고, 냄새와, 맛과, 만지는 것이 무엇이든지 간에, 그는 그 모든 것을 앳맨으로 생각해야 한다.
우파니샤드는 하루에 여러 번 규칙적으로 연습하면 나디스(혈관)가 정화되고 소화력과 체력이 좋아지며 피부가 빛나게 된다고 주장하면서 콧구멍 하나로 호흡하고 내쉬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호흡 운동을 제안한다.[59][60]본문은 소금, 겨자, 산성 음식, 매운 아스트링 자극 음식으로부터 자신을 자제할 것을 권고한다.본문에는 또한 요가 학생은 단식, 새벽 목욕, 성교, 불 가까이에 앉아 있는 것을 피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우유와 기(클러라이드 버터), 조리된 밀, 녹색 그램 및 쌀은 본문이 46~49절에서 승인한 식품이다.[62][63]우파니샤드는 또한 마사지를 추천하는데, 특히 요가를 하는 동안 떨리거나 땀을 많이 흘리는 신체 부위가 특히 그렇다.[64]
요가 연습의 다음 단계인 본문은 프라나(호흡), 아파나(수분과 몸의 반복), 마나스(마인드)와 붓다(지적)의 결합을 목표로 가타(산스크리트어: टट)라고 불리며, 지바트마(생명의 영혼력)와 파라마트만(최고의 영혼)의 결합을 목표로 한다.프라타야하라(감각 기관에 의한 산만에서 탈퇴)와 다라나(집중)에게 이 연습은 본문을 단언하는 단계다.[65]요가타트바 주의 다라나의 목적은 자신의 감각으로 느끼는 모든 것과 모든 것을 자기 자신과 영혼(ATMAN)과 같은 것으로 상상하는 것이다.[61]72절부터 81절까지, 본문은 요가의 가타 단계를 숙달한 사람들 안에서 전개되는 신비한 힘의 범위를 설명한다.우파니샤드는 "완벽함은 연습을 필요로 하고, 요긴은 자신이 성취한 것을 결코 즐기지 말아야 하며, 결코 허영심을 갖지 말아야 하며, 데모 요청에 응하려고 애쓰지 말아야 하며, 다른 사람들을 의식하지 않고, 항상 자신이 설정한 목표를 달성하는 데 전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37][66]
쿤달리니
우파니샤드는 82절 이상에서 3단계의 요기 연습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서 이를 파라카야(산스크리트어: :परचच, 친밀감) 상태라고 부른다.[67]요긴이가 쿤달리니를 깨우며 본문을 주장하는 단계다.쿤달리니 교수는 종교와 아시아학 교수인 제임스 로크테펠트는 [68]"모든 사람에게 존재하는 잠재된 영적 힘"[69]을 가리킨다.요가타트바에서 언급된 전제는 탄트라에서도 기본 개념으로, 모든 사람에게 전형적으로 휴면상태인 샤크티의 한 측면을 상징하며, 그 각성이 탄트라에서는 목표다.[69]요가타트바 텍스트에서 이 단계는 요긴의 치타(마음)가 깨어나 수슈메나와 차크라로 들어가는 것으로 묘사된다.[70][37]

프르티비, 아파스, 아그니, 바유, 아카시의 다섯 가지 요소는 (브라흐마, 비슈누, 루드라, 이스바라, 사다시바) 내의 다섯 신에 해당하는 '5개의 브라만'으로 불리며, 그 신에 도달하는 것은 명상의 과정으로서 본문에 의해 설명된다.[70]각각에 대한 명상은 요가타트바를 주장하면서, 색깔, 기하학, 맨트라의 도움을 받는다: 황금, 4각형, 라오를 가진 프르티비, 흰색, 초승달, Vaṃ를 가진 아파, 빨강, 삼각형 그리고 라오를 가진 아그니, 검은색을 가진 바유, 새트코나(헥사그램),[73][74] 그리고 연기와 원과 하오를 가진 야즈.
우파니샤드는 다양한 하타 요가 아사나에 112절부터 128절까지를 바친다.[75][76]시르사사나(24분 동안 머리에 서 있음), 바즈로리, 아마롤리의 요가 연습의 절차와 이점은 본문에서 간략하게 설명한다.이러한 실천으로 요긴은 라자 요가 상태에 도달하고, 어머니와 아들 부인 관계의 생애 주기의 사실을 깨닫는다.[77]
Om 명상
(이 세 글자 "AUM"...)은 "이 모든 것은 나 혼자"라는 믿음으로, 투리야 주의 요긴이 현상의 전 세계를 지배하고 있다는 점에서 브라만과 다를 바 없다.그것이 진실이다.그것만으로도 초월적인 존재, 그것이 기질이다.
우파니샤드는 'A', 'U', 'M'이 '베다 3자, 산디하 3자(아침, 정오, 저녁)', '스바라스(소리)' 3자, 아그니스 3자, '구자 3자'라고 주장하는 요가 실천의 일환으로 옴만트라 이면의 원리를 설명한다.[79]은유적으로 이 실천은 꽃의 숨겨진 냄새를 깨닫고, 우유 속의 기(클러라이드 버터)에 도달하며, 참깨에 타고난 기름에 도달하고, 광석에서 금을 뽑아내려는 노력과, 마음속에서 애트맨을 찾는 것과 비교된다.[79]'A'자는 연꽃의 개화를, 'U'는 꽃의 개화를, 'M'은 그 나다(타트바나 내면의 진실, 소리)에 도달하고, '아르다마트라'(반메트레)는 투리야, 즉 침묵의 블러스를 나타낸다.[80][81]
우파니샤드는 규정된 요가 관행에 따라, 요긴이 육체의 아홉 오리피스의 기능을 익히고 수슈마나를 안쪽으로 깨우면 쿤달리니를 깨우고 자각하게 되고 진리를 알게 되고 앳만의 확신을 얻게 된다고 말한다.[37][82]
리셉션
요긴의 세계와의 관계
금지되지 않은 먼 곳에서
차분하고 조용하고 방해받지 않고
요긴은 보호를 보장하지만
모든 존재에게, 자기 자신에 대해서.
—Yogatattva Upanishad 15 (Sanskrit) [83]
요가타트바 우파니샤드는 요가에 관한 가장 중요한 텍스트 중 하나이다.[31][84]
요가타트바는 요가 관행을 가장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요가타트바인데, 요가는 여덟 개의 앵가(anga)를 언급하고 네 가지 요가:만트라 요가, 라야 요가, 하타 요가, 라자 요가.
— Mircea Eliade, Yoga: Immortality and Freedom[31]
본문인 화이트맨은 '신체의 건강과 청결, 모든 기능에 대한 자발적 통제의 완벽성'을 기본 목표로, 하타 요가를 포함한 다양한 요가 시스템에 대해 논하고 있다.[21] 이 우파니샤드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네 가지 유형의 요가와 비교에 있다.[21][9]
요가타트바 우파니샤드와 브라흐마 우파니샤드도 티베트 불교에서 채택된 차크라 관련 탄트적 사상의 초기 출처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85] 그러나 주(州)인 야엘 벤토르(Yael Bentor)는 티베트 불교 문헌과 힌두교의 요가타트바 문헌에 묘사된 내화 위치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86]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d e f Larson & Potter 1970, 페이지 618.
- ^ 듀센, 베데카 & 팔슐 (tr.) 1997, 페이지 557, 713.
- ^ 듀센, 베데카 & 팔슐 (tr.) 1997, 페이지 567.
- ^ 아이양가르 1938, 페이지 7.
- ^ GM 파틸(1978), 요가철학의 이스바라, 브라흐마바딘, 13권, 비베카난다 프라카산 켄드라, 209-210쪽
- ^ 듀센, 베데카 & 팔슐 (tr.) 1997, 페이지 556.
- ^ a b Max Muller, The Upanishads, Part 1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페이지 LXXVI 각주 1, 22, 13.4절
- ^ a b c d 듀센, 베데카 & 팔슐 (tr.) 1997, 페이지 713–716.
- ^ a b c d 1914년, 페이지 192.
- ^ 1938년 아이양가르 301~325쪽.
- ^ 제럴드 제임스 라슨(2009), 리뷰:산스크리트 문학사에서 "요가"와 "탄트라"의 개념 구분, 미국 동양학회의 저널, 129, 3페이지 487–498
- ^ 아이양가르 1938, 301페이지.
- ^ 듀센 2010, 페이지 9.
- ^ a b c d e 아이야르 1914 페이지
- ^ Monier Monier-Williams (1899). A Sanskrit-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p. 804.
- ^ Dasgupta, Surendranath (1975). A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Vol. 1. Delhi, India: Motilal Banarsidass. p. 226. ISBN 81-208-0412-0.
- ^ Stephen Phillips (2009), 요가, 카르마, 레버스트: A Brief History and Lechonics,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14485-8, 챕터:용어집, 327페이지
- ^ 듀센, 베데카 & 팔슐 (tr.) 1997, 페이지 713.
- ^ a b Mircea Eliade(1970), 요가: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의 불멸과 자유, ISBN 0-691-01764-6, 페이지 128–129
- ^ 2015년 카드, 페이지 355.
- ^ a b c 1993년, 페이지 80.
- ^ 데이비드 고든 화이트(2011), 프린스턴 대학 출판부의 요가, ISBN 978-0-691-14086-5, 페이지 104
- ^ 홍수 1996, 페이지 96.
- ^ 듀센, 베데카 & 팔슐 (tr.) 1997, 페이지 558–559.
- ^ 듀센, 베데카 & 팔슐 (tr.) 1997, 페이지 561.
- ^ 듀센, 베데카 & 팔슐 (tr.) 1997, 페이지 562–65.
- ^ 1938년 아이양가르, 페이지 325.
- ^ "Yogatattva Upanishad" (PDF) (in Sanskrit). Retrieved 23 December 2015.
- ^ 듀센, 베데카 & 팔슐 (tr.) 1997, 페이지 714–716.
- ^ 아이양가르 1938, 322-325 페이지.
- ^ a b c d e Mircea Eliade(1970), 요가: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의 불멸과 자유, ISBN 0-691-01764-6, 페이지 129
- ^ a b c d e 1914년, 192-93페이지.
- ^ a b 아이양가르 1938, 페이지 302.
- ^ a b 아이양가르 1938, 페이지 302–304.
- ^ 아이양가르 1938, 페이지 317–318.
- ^ 장 바렌(1976), 요가와 힌두 전통, 시카고 프레스 대학(트랜스: 데릭 콜트먼, 1989), ISBN 81-208-0543-7, 페이지 57–58
- ^ a b c d e f g ॥ योगतत्त्वोपनिषत् ॥ Sanskrit text of Yogatattva Upanishad, SanskritDocuments Archives (2009)
- ^ 데릭 (tr) 1989, 페이지 226.
- ^ 아이양가르 1938, 페이지 304.
- ^ 알렉스 웨이먼(1982년), 검토된 작업: K의 요가 우파니샤드를 포함한 30개의 마이너 우파니샤드. 나라얀스바미 아이야르, 철학 동서, 제32권, 제3권(Jul, 1982년), 페이지 360–362
- ^ 아이양가르 1938, 301~305페이지.
- ^ a b c Larson & Potter 1970, 페이지 137–138.
- ^ 아이양가르 1938, 페이지 305.
- ^ 아이양가르 1938, 페이지 306~312.
- ^ 아이양가르 1938, 페이지 312–314.
- ^ 1938년 아이양가르 314~317쪽.
- ^ 아이양가르 1938, 페이지 317–325.
- ^ a b Larson & Potter 1970, 페이지 137–138, 618–619.
- ^ a b c d 아이양가르 1938, 페이지 305–306.
- ^ a b Larson & Potter 1970, 페이지 618–619.
- ^ 대니얼 마리아우(2007) 라야 요가 힌두교 백과사전 (편집자:데니스 쿠시 외, 루트리지, ISBN 978-0-7007-1267-0, 460페이지
- ^ 아이양가르 1938, 페이지 306.
- ^ 아이야 1914쪽 193-94쪽
- ^ 1938년 아이양가르, 페이지 317–321.
- ^ 아이양가르 1938, 321~323페이지.
- ^ Antonio Rigopoulos (1998). Dattatreya: The Immortal Guru, Yogin, and Avatara: A Study of the Transformative and Inclusive Character of a Multi-faceted Hindu Deit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p. 79 with notes 12–14, 80 with notes 19–22. ISBN 978-0-7914-3696-7.
- ^ 아이야르 1914, 페이지 194.
- ^ 아이양가르 1938, 323~325쪽.
- ^ a b c d e 아이양가르 1938, 페이지 307–309.
- ^ a b c 아이야 1914 페이지 194–195.
- ^ a b 아이양가르 1938, 페이지 312–313.
- ^ 아이야 1914, 페이지 194-96.
- ^ 아이양가르 1938, 페이지 309–310.
- ^ 1938년 아이양가르, 페이지 310~311.
- ^ 아이야 1914, 196-97페이지.
- ^ 아이양가르 1938, 페이지 313–314.
- ^ 1938년 아이양가르 314~315페이지.
- ^ 위스콘신주 카타지 칼리지 제임스 로크테펠트(2015년)
- ^ a b 제임스 G 로크테펠트(2001)힌두교 백과사전: A-M, 로젠 출판, ISBN 978-0-8239-3179-8, 페이지 381–382
- ^ a b 1938년 아이양가르 314~316쪽.
- ^ 아이야 1914 페이지 199.
- ^ 아이양가르 1938, 페이지 318.
- ^ 아이야 1914년 페이지 197-98.
- ^ 1938년 아이양가르, 315~317쪽.
- ^ 아이야르 1914쪽 198~200쪽
- ^ 1938년 아이양가르, 페이지 319–322.
- ^ 1914년, 페이지 200.
- ^ 아이양가르 1938, 페이지 323.
- ^ a b 아이양가르 1938, 페이지 322–324.
- ^ 아이양가르 1938, 323–324 페이지.
- ^ 아이야 1914, 페이지 201.
- ^ 아이양가르 1938, 324-325 페이지.
- ^ 듀센, 베데카 & 팔슐 (tr.) 1997, 페이지 716.
- ^ Tom Stiles (1975년), 고전 요가 철학의 역사적 관점, 요가 저널, 1권, 3권, 6페이지
- ^ 규르메 2008, 페이지 86.
- ^ 야엘 벤토르(2000), 인도와 티베트에서의 내화 의식, 미국 오리엔탈 소사이어티 저널, 120권, 4권 597쪽 각주
참고 문헌 목록
- Aiyar, Narayanasvami (1914). "Thirty minor Upanishads". Archive Organization. Retrieved 23 December 2015.
- Ayyangar, TR Srinivasa (1938). The Yoga Upanishads. The Adyar Library.
- Cardin, Matt (28 July 2015). Ghosts, Spirits, and Psychics: The Paranormal from Alchemy to Zombies: The Paranormal from Alchemy to Zombies. ABC-CLIO. ISBN 978-1-61069-684-5.
- Derek (tr), Coltman (1989). Yoga and the Hindu Tradition.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0543-9.
- Deussen, Paul (1 January 2010). The Philosophy of the Upanishads. Cosimo, Inc. ISBN 978-1-61640-239-6.
- Deussen, Paul; Bedekar, V.M. (tr.); Palsule (tr.), G.B. (1 January 1997). Sixty Upanishads of the Veda.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1467-7.
- Flood, Gavin D (1996), An Introduction to Hindu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43878-0
- Gyurme, Tenzin (2008). S-Alchemy. Lulu.com. ISBN 978-0-557-43582-1.
- Larson, Gerald James; Potter, Karl H. (1970). Yogatattva Upanishad (Translated by NSS Raman), in The Encyclopedia of Indian Philosophies: Yoga: India's philosophy of meditation. Motilal Banarsidass. ISBN 978-81-208-3349-4.
- Whiteman, Joseph Hilary Michael (1993). Aphorisms on Spiritual Method: The "Yoga Sutras of Patanjali" in the Light of Mystical Experience : Preparatory Studies, Sanskrit Text, Interlinear and Idiomatic English Translations, Commentary and Supplementary Aids. Colin Smythe. ISBN 978-0-86140-35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