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로 지도:

BMT 해변선

BMT Sea Beach Line
BMT 해변선
"N" train
N은 항상 Sea Beach Line 전체에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W에서도 제한된 러시아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개요
주인뉴욕 시
테르미니
측점10
서비스
유형쾌속환승
시스템.뉴욕 지하철
연산자뉴욕 교통국
일일승차권41,515[1]
역사
열린1915–1918
테크니컬
트랙수2–4
성격오픈 컷 / 앳 그레이드(코니 아일랜드 야드 스트레치) / 엘리베이터(스틸웰 애비뉴)
트랙게이지4 ft 8+12 in (1,435 mm)
전기화600V DC 제3레일
노선도

에잇 애비뉴
포트 해밀턴 파크웨이
뉴 위트레흐트 애비뉴
18번가
20번가
베이 파크웨이
킹스 하이웨이
애비뉴 U
86번가
코니 아일랜드 스틸웰 애비뉴

BMT 시 비치 라인(BMT Sea Beach Line)은 뉴욕 지하철BMT 부문의 고속 환승 노선으로, 59번가BMT 4번가 선브루클린코니 아일랜드를 연결하는 4트랙 와이드 오픈 컷을 통해 연결됩니다. 맨해튼과 코니 아일랜드 사이에 가장 빠른 급행 서비스를 제공해 왔는데, 이는 전체 노선을 따라 급행역이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N 노선에서 지역 열차만 운행하며 항상 전체 노선을 운행합니다. 러시아워에는 W 열차86번가 북쪽 노선을 운행합니다.

범위 및 서비스

다음 서비스는 BMT Sea Beach Line의 일부 또는 전부를 사용합니다.[2]

기간 선의 단면
"N" train 언제나 만선의
"W" train 러시아워 열차[3][4] 다섯 대 86번가 북쪽
6번가 고가도로에서 서쪽을 바라보는 오픈 컷으로, 왼쪽에 LIRR Bay Ridge Branch가 있고 오른쪽에 BMT Sea Beach Line이 있습니다.
16번가 파워하우스

경로설명

현대식 노선은 59번가 바로 남쪽에 있는 비행 분기점에서 BMT 4번가 선에서 갈라져 시작합니다. 역과 스플릿 사이에 크로스오버 스위치가 4번가 선의 로컬 및 급행 선로 사이에 제공되며, 그 다음 급행 선로는 북쪽 방향 로컬 선로 아래에서 동쪽으로 곡선을 그리며 시 비치 선의 시작이 됩니다. 4번가 아래 터널에서 나온 두 개의 분리된 Sea Beach 트랙은 이전에 베이 리지의 65번가에서 브루클린 해안으로 가는 원래 노선과 연결되었던 경사로의 양쪽에 올라 있습니다.[5]

해안으로 가는 선이 있는 이전 분기점을 지나면 씨비치는 4개 트랙의 폭으로 넓어집니다. 모든 역에는 2면 2선의 승강장이 있으며, 시 비치의 어디에서도 급행 선로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5]

킹스 하이웨이 전후로 북행 급행 선로에서 남행 급행 선로로 크로스오버 스위치가 있습니다. 킹스 하이웨이의 양쪽에는 고속 열차가 역 이전에 지역 선로로 전환하거나 역 이후에 지역 열차가 급행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크로스오버가 존재합니다. 급행 선로는 노선이 복선화되고 코니 아일랜드 야드에 인접하여 대각선으로 절단됨에 따라 86번가 남쪽에서 끝납니다. 몇 번의 마당 연결 후, 이 노선은 코니 아일랜드-스틸웰 애비뉴 터미널에서 끝납니다.[5]

급행 선로

급행 선로는 원래 코니 아일랜드 급행선을 유치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1924년부터 1952년까지, 1967년부터 1968년까지 코니 아일랜드승객들에게 빠른 러시아워의 브로드웨이 급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이 노선의 역사상 두 번에 걸쳐 운행되었습니다. 이 급행열차들은 Sea Beach Express로 생각되지만 Sea Beach Line의 단 하나의 역에도 운행하지 않았습니다.

Sea Beach의 급행 선로는 수년에 걸쳐 다른 용도로 사용되었습니다. 대부분의 새로운 장비, 특히 실험용 자동차는 이러한 트랙에 침입했습니다. 이 트랙은 모터맨 훈련에 사용되었으며, 나중에 IRT 42번가 셔틀의 한 트랙에서 사용된 불운한 시스템을 테스트하기 위해 1950년대의 짧은 자동화로 설정되었습니다.

역사적으로 두 개의 급행 선로는 절대적인 블록이었습니다. 즉, 6번가와 킹스 하이웨이 근처 선로의 한쪽 끝 사이에 신호 제어가 없었습니다. 열차는 앞에 있는 열차가 블록을 출발할 때까지 블록에 진입해서는 안 됩니다.

이 블록의 급행 선로 구간은 1970년대부터 대부분의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심하게 악화되었습니다. 1998년에는 이 지역의 급행 선로를 전면적으로 복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 북쪽 끝에서 킹스 하이웨이까지의 양방향 교통을 위해 북쪽 방향 (E4) 선로만 복구되었습니다. 남행(E3) 선로는 사용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으며, 나머지 3개 선로와 연결이 끊어지고 59번가에서 킹스 하이웨이까지 접근할 수 없습니다.[5]

역사

초기역사

BMT Triplex 장비의 경로 지정

뉴욕과 해변 철도는 1876년 9월 25일 증기 동력 여행 철도로 조직되었습니다. 1877년 7월 18일 브루클린, 배스, 코니 아일랜드 철도(웨스트 엔드 라인)와의 분기점에서 코니 아일랜드까지 뉴욕, 베이 리지, 자메이카 철도(맨하튼 비치 라인)와 동시에 개통되었습니다.[6][7] 2년의 지연 끝에 1879년 7월 17일에 베이 리지 페리(맨해튼 사우스 페리까지)에 문을 열었고, 그 때 코니 아일랜드 끝에 시 비치 팰리스가 문을 열었습니다.[8][9][10]

애비뉴 U역에 있는 스테이션 헤드하우스, 개조 전

철도는 양 끝을 제외하고는 현재의 씨비치선과 같은 노선을 사용했습니다. 베이 리지 끝에서 철도는 롱아일랜드 레일로드의 베이 리지 분기점 바로 북쪽에서 64번가 주변의 베이 리지 채널에서 끝납니다. 현재 선은 5번가 근처에서 이 선형과 합류합니다. 오래된 철도는 7번가 바로 동쪽에서 뚜렷한 S 커브를 그리며 베이 리지 브랜치를 건넜고, 그 건널목은 이제 베이 리지 브랜치가 더 깊게 파인 지점으로 훨씬 더 직선이 되었습니다. 코니 아일랜드 끝에서 원래의 경로는 곡선을 따라 오른쪽으로 곧 구부러져 Coney Island Yards의 북쪽 가장자리에서 West 10번가 주변의 BMT Brighton Line 북쪽에 있는 Sea Beach Palace 호텔과 디포가 결합된 곳에서 끝납니다.[10]

1883년 5월 22일, 회사는 뉴욕 앤 씨 비치 철도 회사로 개편되어 뉴욕 항구에서 코니 아일랜드의 씨 비치 팰리스까지 운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회사는 파산하고 1896년 1월 15일 수신인이 선임된 후 1896년 8월 29일 설립된 씨비치 철도에 의해 회사가 압류되어 매각되었습니다. 브루클린 고속 교통 회사(BRT)는 1897년 11월 5일 코니 아일랜드의 짧은 고가 시뷰 철도와 함께 이 회사의 주식을 매입하고 브루클린 하이츠 철도에 임대로 배정했습니다. 곧 전기 작동을 위한 트롤리 와이어가 장착되었습니다. 1907년 3월 1일, 이 회사는 38번가와 뉴 위트레흐트 애비뉴에서 코니 아일랜드까지의 서비스를 통해 운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1908년경부터 전기 열차가 배스 정션에서 코니 아일랜드까지 이어지는 BMT 웨스트 엔드 라인의 지선으로 운행되기 시작했으며, 맨해튼의 파크 로우에서 브루클린 다리BMT 5번가 라인을 거쳐 오는 열차가 운행되었습니다. 노면전차는 뉴 위트레흐트 애비뉴와 62번가에서 65번가와 3번가까지 나머지 라인을 지나 베이 리지까지 운행했습니다. 1907년에는 시 비치 열차를 웨스트 엔드 디포로 들여오기 위해 코니 아일랜드 크릭 바로 북쪽의 웨스트 엔드 라인과 연결되는 연결 선로가 건설되었습니다. 원래 정렬은 화물 서비스에만 유지되었습니다.[10]

트롤리 운행이 재개된 1913년 12월 1일부터 1914년 6월 23일 사이에 62번가와 뉴 위트레흐트 애비뉴, 3번가와 65번가 사이의 노선 부분이 버스 운행으로 대체되었습니다.[10]

1915년 라인을 위한 브로셔의 일부.

4번가 지하철 노선이 건설되는 동안 이중 계약의 일부로 BRT는 4개 선로의 오픈 컷을 파서 씨 비치 라인에 지하철 운행을 위한 높은 수준의 승강장을 건설했습니다. 1914년 1월 9일, 트롤리 카는 애비뉴 T와 86번가 사이의 새로운 오픈 컷을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새로운 씨비치 라인이 완전한 지하철 운행을 위해 개통될 때까지 점차 운행이 연장되었습니다. 기둥이 달린 두 대의 지하철이 3번가와 뉴 위트레흐트 애비뉴 사이를 운행하다가 1915년 3월 16일 운행을 시작했습니다. 1915년 5월 1일부터 이 노선이 완전한 지하철 운행을 위해 개통될 때까지 추가적인 차량에는 기둥이 장착되어 있었고, 1915년 6월 22일부터 로워 맨해튼의 코니 아일랜드와 챔버스 스트리트 사이를 운행하는 열차가 운행되었습니다. 운행은 4번가 지역 선로와 맨해튼 브리지 남쪽 선로를 경유하는 2량 및 3량 열차로 시작되었습니다. 급행 선로는 몇 주 후에 완료되었습니다. 1916년 1월 15일에 BMT 4번가 선이 시비치 선에서 남쪽으로 연장되었을 때, 시비치 열차는 4번가의 급행 선로로 전환되었고, 4번가 열차는 지역 서비스를 제공했습니다.[10]

맨해튼 다리 북쪽의 선로는 1917년 9월 4일 BMT 브로드웨이 선의 일부와 함께 개통되었습니다. 모든 Sea Beach 서비스는 14번가-유니온 스퀘어에서 끝나는 새로운 노선으로 이동되었습니다.[11] 이것은 1918년 1월 5일 타임스퀘어-42번가로 확장되었습니다.

1924년, BMT는 서비스에 번호를 할당했습니다. Sea Beach Line 서비스가 4가 되었습니다. 이것은 그 이후로 N 열차가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Sea Beach 서비스는 맨해튼과 브루클린의 4번가에서 항상 급행으로 운행되어 42번가와 이후 57번가에서 종료됩니다. NX는 1967년 11월 27일 BMT 브라이튼 선브라이튼 비치에서 코니 아일랜드-스틸웰 애비뉴를 거쳐 시비치 선의 급행 선로를 따라 57번가까지 7정거장, 브루클린에서 3정거장, 맨해튼에서 4정거장만 정차하는 초특급 열차로 시작되었습니다. 1968년 4월 15일 승객 수가 적어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이후 일반 열차가 씨비치 급행 선로를 이용하지 않고 있습니다.[12][13][14]

만년

1970년대, 선을 따라 있는 옹벽이 선로로 붕괴될 위험에 처할 정도로 악화되고 있던 씨비치 오픈컷을 개조하자는 제안이 있었습니다.[15] 1975년에 라인의 인프라 개선을 위해 자금이 할당되었습니다.[16] 1977년에 Sea Beach 노선의 업그레이드를 포함하여 뉴욕 지하철 프로젝트에 2천만 달러 이상이 배정되었습니다.[17]

1986년 뉴욕시 교통국은 승객이 적고 수리비가 많이 들어 시 비치 라인 전체를 포함한 11개 노선 79개 역의 폐쇄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연구를 시작했습니다.[18][19] 캐롤 그리처 뉴욕 시의회 의원을 포함한 많은 인물들이 이 계획을 비난했습니다.[19][20]

BMT Sea Beach line이 South Brooklyn을 통과합니다.

1993년부터 1995년까지, 그리고 2001년 11월 4일부터 2005년 5월 29일까지, 코니 아일랜드-스틸웰 애비뉴가 재건축을 위해 문을 닫았을 때, 86번가는 N 열차의 남쪽 터미널이었습니다.[21][13][22]

베이 파크웨이 프리 리노베이션
개보수 후 베이 파크웨이

2013년 10월, 이 노선은 대대적인 보수 공사를 할 것이라고 발표되었습니다. 모든 역은 방수 처리가 되어 과 통로가 리모델링되고 계단이 다시 지어집니다. 또한 도움말 포인트가 제공되며 각 역에는 개찰구가 추가됩니다. 또한, 노선에 만연한 낙서가 완화될 것입니다. 이는 낙서를 제거하고 역의 지붕을 고정하기 위해 사유지로 이동해야 합니다. 8번가와 뉴 위트레흐트 애비뉴/62번가는 휠체어로 접근 가능한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395,700,000 달러의 프로젝트는 2015년 겨울에 시작될 예정이었지만,[23] 2015년 6월 말에 작업이 시작되었습니다.[24]

보수를 위한 자금은 2010-2014 자본 프로그램에서 제공되었습니다.[25] 2016년 1월 18일부터 2017년 5월 22일까지 모든 역의 맨해튼행 승강장이 폐쇄되었습니다. 베이 파크웨이와 8번가에서는 임시 목재 승강장이 남행 급행 선로에 놓였습니다.[26][27] 두 달 동안 공사가 중단된 후 2017년 7월 31일 코니 아일랜드행 승강장이 문을 닫았습니다.[28][29] 킹스 하이웨이, 애비뉴 U, 86번가의 남쪽 방향 승강장은 2018년 10월 29일에 재개장했으며, 북쪽 방향 승강장보다 한 달 늦게 폐쇄되었습니다.[30] 그러나 8번가와 베이 파크웨이 사이의 남행 승강장은 2019년 7월 1일까지 폐쇄되었으며, 이는 북쪽 승강장보다 6개월, 다른 3개의 남행 승강장보다 7개월 더 긴 것입니다.[31] 뉴 위트레흐트 애비뉴/62번가의 엘리베이터는 2019년 7월 19일에 문을 열었습니다.[32] 8번가의 북쪽 방향 엘리베이터는 2019년 11월 4일에 개통되었습니다.[33] 2019년 10월 21일부터 2020년 4월 27일까지 86번가에서 N 열차가 종료되어 코니 아일랜드 야드를 홍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작업이 완료될 수 있었습니다. 86번가의 N번 역과 팻 애비뉴 X 사이에 시스템 외 환승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34]

역 목록

역 서비스 범례
Stops all times 항상 멈춥니다.
Stops rush hours only 러시아워만 중지합니다.
기간내역
Disabled access 스테이션은 미국 장애인법을 준수합니다.
Disabled access 스테이션은 미국 장애인법을 준수합니다.
지시된 방향으로만
Disabled access
메자닌 전용 엘리베이터 이용
이웃사촌 Disabled access 역. 타는 곳 서비스 열린 양도 및 어음
BMT 4번가 선에서 갈라짐(새벽)
2개의 센터 급행 선로가 시작됩니다(정기 운행 불가).
(남행 선로가 선로와 단절됨; 북행 선로 양방향)
선셋 파크 Disabled access 에잇 애비뉴 현지의 N all times W selected rush-hour trips 1915년 6월 22일
버로우 파크 포트 해밀턴 파크웨이 현지의 N all times W selected rush-hour trips 1915년 6월 22일
Disabled access 뉴 위트레흐트 애비뉴 현지의 N all times W selected rush-hour trips 1915년 6월 22일 62번가 BMT 웨스트엔드 라인 (D)
메이플턴[35] 18번가 현지의 N all times W selected rush-hour trips 1915년 6월 22일
20번가 현지의 N all times W selected rush-hour trips 1915년 6월 22일
벤슨허스트 베이 파크웨이 현지의 N all times W selected rush-hour trips 1915년 6월 22일
남행 급행 선로가 선로에 다시 연결됨(정기 운행 불가)
그레이브센드 킹스 하이웨이 현지의 N all times W selected rush-hour trips 1915년 6월 22일 B82 버스 서비스 선택
애비뉴 U 현지의 N all times W selected rush-hour trips 1915년 6월 22일
86번가 현지의 N all times W selected rush-hour trips 1915년 6월 22일
센터 익스프레스 트랙 끝
코니 아일랜드 야드에 트랙 연결
코니 섬 Disabled access 코니 아일랜드 스틸웰 애비뉴 모든. N all times 1918년 12월 13일 BMT 브라이튼 선 (Q)
IND 컬버 라인(F < F > )
BMT 웨스트 엔드 라인(D)

참고문헌

  1. ^ "Annual Subway Ridership (2017–2022)".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2022. Retrieved November 8, 2023.
  2. ^ "Subway Service Guide" (PDF).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September 2019. Retrieved September 22, 2019.
  3. ^ "86 St – OpenMobilityData". transitfeeds.com. July 19, 2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9, 2021. Retrieved July 19, 2021.
  4. ^ "86 St – OpenMobilityData". transitfeeds.com. July 19, 20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9, 2021. Retrieved July 19, 2021.
  5. ^ a b c d Dougherty, Peter (2006) [2002]. Tracks of the New York City Subway 2006 (3rd ed.). Dougherty. OCLC 49777633 – via Google Books.
  6. ^ "Another Line Open". Brooklyn Daily Eagle. Brooklyn, NY. July 17, 1877. p. 4.
  7. ^ "The Sea Beach Railroad". Brooklyn Daily Eagle. Brooklyn, NY. July 19, 1877. p. 2.
  8. ^ "Sea Beach". Brooklyn Daily Eagle. Brooklyn, NY. July 15, 1879. p. 2.
  9. ^ "The First Train". Brooklyn Daily Eagle. Brooklyn, NY. July 17, 1879. p. 4.
  10. ^ a b c d e "Two Anniversaries–Sea Beach and Steinway Tunnel". New York Division Bulletin. New York Division, Electric Railroaders' Association. 58 (8). August 2015. Retrieved August 31, 2016 – via Issu.
  11. ^ "OPEN FIRST SECTION OF BROADWAY LINE; Train Carrying 1,000 Passengers Runs from Fourteenth Street to Coney Island.REGULAR SERVICE BEGINSNew Road Is Expected to Relieve Old System of 15,000 PersonsDaily in Rush Hours. Service Commissioners Jubliant. Schedule Not Fully Arranged". The New York Times. September 5, 1917. ISSN 0362-4331. Retrieved November 5, 2016.
  12. ^ Korman, Joseph D. "SUBWAY LINE NAMES". www.thejoekorner.com. Retrieved October 23, 2016.
  13. ^ a b Bolden, Eric. "NYCT Line by Line History". erictb.info. Retrieved October 30, 2016.
  14. ^ 1968년 4월 15일자 서비스 공지
  15. ^ Fowler, Glenn (April 28, 1974). "Subway Repairs Voted By City".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September 8, 2017.
  16. ^ Burks, Edward C. (October 19, 1975). "Subway Improvements Set by M.T.A."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September 8, 2017.
  17. ^ Burks, Edward C. Burks (October 4, 1977). "M.T.A. Receives $280 Million in Federal Grants". The New York Times. ISSN 0362-4331. Retrieved September 8, 2017.
  18. ^ Brooke, James (April 29, 1986). "Subway Aides to Weigh Cuts on 11 Route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January 25, 2024.
  19. ^ a b Gordy, Margaret (April 29, 1986). "MTA Studies Citywide Cuts in Subway Lines, Stations". Newsday. pp. 3, 27. Retrieved January 25, 2024.
  20. ^ Finder, Alan; Connelly, Mary (May 4, 1986). "The Region; On Shrinking The Subways".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January 25, 2024.
  21. ^ "Noteworthy – N restored to Coney Island". May 7,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7, 2005. Retrieved September 18, 2016.{{cite web}}: CS1 maint : bot : 원본 URL 상태 알 수 없음 (링크)
  22. ^ "Noteworthy – N restored to Coney Island". mta.info.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May 7,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7, 2005. Retrieved September 18, 2016.{{cite web}}: CS1 maint : bot : 원본 URL 상태 알 수 없음 (링크)
  23. ^ "Two elevators coming to the N line during massive rehabilitation". October 4,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3, 2014. Retrieved May 24, 2014.
  24. ^ lvladimirova. "Hazards Of The Sea Beach N Line Stations". Bensonhurst Be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9, 2014. Retrieved May 29, 2014.
  25. ^ http://web.mta.info/capital/pdf/CapitalConstruction_1014.pdf[bare URL PDF]
  26. ^ "N Line Sea Beach – 2016". web.mta.inf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18, 2016. Retrieved January 18, 2016.
  27. ^ "New York City Subway Map" (PDF). mta.info.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May 1,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May 2, 2017. Retrieved May 2, 2017.
  28. ^ DeJesus, Jaime (May 17, 2017). "Manhattan-bound service to return to N stations on Sea Beach Line". brooklynreporter.com. Retrieved May 18, 2017.
  29. ^ "Manhattan-Bound Service Returns to N Stations on Sea Beach Line". www.mta.info.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May 17, 201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30, 2017. Retrieved May 26, 2017.
  30. ^ "Transit & Bus Committee Meeting – November 2018" (PDF). mta.info.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November 13, 2018. p. 164. Retrieved November 10, 2018.
  31. ^ "Planned Service Changes for: Monday, July 1, 2019". travel.mtanyct.info. July 1, 201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 2019. Retrieved July 1, 2019.
  32. ^ "MTA Installs Four Elevators, Other ADA Features at New Utrecht Av/62 St Station Complex". mta.info.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July 19, 201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10, 2021. Retrieved July 19, 2019.
  33. ^ "MTA Opens New Elevator at 8 Av for Northbound Access to Improve Accessibility in Southern Brooklyn". mta.info.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November 4, 2019. Retrieved November 4, 2019.
  34. ^ "Preparing for Climate Change: Protecting the Coney Island Yard". mta.info. Metropolitan Transportation Authority. September 16, 2019. Retrieved September 17, 2019.
  35. ^ "MORE SEA BEACH TRAFFIC.; Three Mapleton Stations Contribute 4,000 Passengers Daily". The New York Times. December 5, 1915. ISSN 0362-4331. Retrieved February 21, 2019.

추가읽기

  • Rapid Transit의 Coney Island Route, The New York Times 1897년 11월 30일 4페이지
  • 브루클린의 지하철이 오늘 개통됩니다 뉴욕타임즈 1915년 6월 19일 18페이지
  • 새로운 지하철이 문을 열다; 시장은 참석하지 않음, 뉴욕 타임즈 1915년 6월 20일 6페이지
  • 뉴욕타임즈 1916년 1월 14일 16페이지, 새로운 지하철 링크를 열다
  • Broadway Line 첫 번째 섹션 오픈, The New York Times 1917년 9월 5일 8페이지
  • New Subway Extension, The New York Times 1918년 1월 6일 37페이지

외부 링크

KML은 위키데이터에서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