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김치
Baek-kimchi![]() | |
대체 이름 | 백김치 |
---|---|
유형 | 김치 |
원산지 | 한국 |
주성분 | 나파배추 |
한국이름 | |
한글 | 백김치 |
---|---|
한자 | 白김치 |
수정 로마자 표기법 | 백옥치 |
매쿠네-라이샤워 | 백김치 |
IPA | [pɛk̚.k͈im.tɕʰi] |
백김치[1](白金治) 또는 백김치는[1] 한국 음식에서 흔히 김치를 발효시키는 데 사용되는 고춧가루를 넣지 않고 만든 다양한 김치다.[2] 백김치는 담백하고 담백한 맛이 있어 일반 김치가 너무 매울 수 있는 어린이와 노인들의 입맛을 사로잡는다. [3] 백김치는 배추, 무, 미나리, 파, 한우 배, 밤, 대추, 생강, 마늘, 소금, 설탕, 약간의 고추 실로 고명으로 구성된다.[4]
백김치는 담백한 맛과 아삭아삭한 식감이 한식당에서 갈비나 불고기 등 쇠고기를 기본으로 한 메인 요리를 주문하면 좋은 전채요리로 꼽힌다. 백김치 보쌈의 랩으로도 쓰인다.[5]
영양
백김치에는 비타민C, 미네랄, 유산균 등 인간에게 유용한 물질이 들어 있으며 섬유질이 풍부하다. 백김치는 암, 비만, 당뇨병 위험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앤박, 2018) 발효식품에는 인체가 영양소와 식품에 흡수·반응하는 방식을 개선할 수 있는 '좋은' 세균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백김치의 젖산세균은 장질환 개선과 과민성 장증후군 등의 질환으로 연결돼 왔다. 백김치에는 식이섬유와 프로바이오틱스는 물론 유산균의 함량이 높아 장내 트러블을 일으키는 염증을 크게 줄일 수 있다.[citation needed] 백김치가 내장에 미칠 수 있는 다른 긍정적인 효과는 궤양의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다. "좋은" 내장의 박테리아를 갖는 것은 또한 신경계가 신체의 모든 부분과 의사소통을 할 때 뇌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백김치는 장 질환에 유용하지만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체중 감량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한 연구에서 발효된 백김치를 3개월 동안 먹은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았다. (박 외, 2016) 또한 발효된 김치를 받은 과체중 또는 비만인 참가자들은 3개월 동안 체지방이 손실되었다. 백김치는 또한 이러한 참가자들에게서 심혈관 질환과 같은 대사 질환의 위험을 줄였다. 백김치는 참가자들의 체중 감량을 도와주면서 좋은 지방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백김치에는 비타민 A와 같은 비타민이 많이 들어 있어 건강한 시력을 유지하도록 촉진하고 도움을 준다.[citation needed] 백김치에서 발견되는 프로바이오틱스와 다른 산화방지제는 인체가 감염을 물리치고 면역체계를 강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백김치에도 이소시아네이트와 황화물이 함유되어 있어 사람의 장기가 해독하고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중금속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김&박, 2018) 백김치의 일부를 만드는 것과 함께 제공되는 다른 건강상의 이점으로는 건강한 머리카락과 피부 등이 있는데, 이것은 또한 정신의 안녕을 증진시킬 수도 있다.[citation needed] 백김치는 또한 그것을 식단의 규칙적인 부분으로 만든 사람들을 위한 에너지의 증가와 연관되어 있다.
백김치는 건강상의 이점 중 칼로리가 낮고 철분과 단백질이 풍부하다. 1컵인 백김치 1인분에는 약 23칼로리, 단백질 2g, 지방 1g 미만, 탄수화물 4g, 설탕 2g, 섬유질 2g, 나트륨 747mg이 들어간다. 또한 1인당 일일 철분 섭취량의 21%를 차지한다. (호튼, 2020)
참고 항목
참조
- ^ a b (한국어) "주요 한식명(200개) 로마자 표기 및 번역(영, 중, 일) 표준안" [Standardized Romanizations and Translations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of (200) Major Korean Dishes] (PDF).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4-07-30. Retrieved 2017-02-23. Lay summary.
{{cite web}}
: Cite는 사용되지 않는 매개 변수를 사용한다.lay-url=
(도움말) - ^ (한국어로) 백김치 2011-06-10년 한국 문화백과사전 웨이백머신에 보관
- ^ (한국어) 백김치
- ^ (한국어로) 두산백과사전 백김치
- ^ (한국어로) 웰빙 음식, 세계일보 2009-01-22. 2010-06-27 검색됨
호튼, B. (2020년, 04년 2월) 김치의 건강상의 이점. http://www.eatingwell.com/article/7595527/the-health-benefits-of-kimchi/, H, & Park, K. (2018)에서 검색되었다. 김치의 임상시험은 건강한 한국의 젊은이들에게 대사 매개 변수와 대장 건강의 조절에 관한 것이다. Journal of Functional Foods, 47, 325–333. doi:10.1016/j.jff.2018.05.052 Park, S, Ji, Y, Park, Lee, K, Park, H, Beck, B. R, . Holzapfel, W. (2016. 한국산 백김치와 격리된 유산균의 기능적 특성 평가 식품 관리, 69, 5–12. doi:10.1016/j.foodcontent.2016.04.037
외부 링크
![]() |
이 기사는 에 관한 시리즈의 일부분이다. |
한식 요리 한국 요리 조선 료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