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라 초시치

Bora Ćosić
보라 초시치
태어난 (1932-04-05) 1932년 4월 5일 (91세)
유고슬라비아 왕국 자그레브
언어세르보크로아티아어
시민권독일어, 크로아티아어
모교베오그라드 대학교
장르.산문, 수필
주목할 만한 작품가격 오자나티마 울로가모제 포로디케우베츠코즈레볼루치지
주목할 만한 상NIN Award

보라 초시치(, 1932년 4월 5일 ~ )는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유고슬라비아소설가이다. 그는 베오그라드 아텔제 212에서 큰 성공을 거두며 연주된 여러 연극뿐만 아니라 약 50권의 책을 썼습니다. 소설 세계 혁명에서 우리 가족의 역할로 그는 1970년 NIN Award for the Novel of the Year of the World Revolution을 수상했습니다. 조시치는 1990년대 세르비아 민족주의의 발흥과 슬로보단 [1]밀로셰비치의 정치를 강하게 비난했습니다. 1932년 자그레브에서 태어난 그는 1937년부터 1992년까지 베오그라드에서 살다가 베를린으로 이주했습니다.

전기

1932년 자그레브에서 태어났으며 1937년 가족과 함께 베오그라드로 이주했습니다. 그곳에서 그는 제1 남자 체육관에서 고등학교를 마치고 베오그라드 대학 철학과에서 공부했습니다. 그는 젊은 시절 러시아의 미래지향적인 시인들을 번역했고, 1952년에는 믈라다 쿨투라 신문, 1961-1963년에는 다나스 잡지, 1969-1970년에는 록 잡지를 편집했습니다. 1958-1959년, 1962-1963년 영화 《슬라비야》에서 극작가 겸 예술 고문으로 일했습니다. 그는 다큐멘터리를 공동 작업하고 장편 영화를 위한 대화를 썼습니다. 유럽에 머무는 동안, 그는 전집 외에도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헝가리, 루마니아, 러시아, 폴란드, 알바니아의 신문과 잡지에 수백 권의 글을 출판했습니다. 그는 여러 유럽 국가에서 200개 이상의 독서에 참여했습니다. 그는 다양한 미디어, 언론, 라디오, 텔레비전에서 백 번 이상의 인터뷰를 했습니다. 그는 문학 회의, 축제, 심포지엄, 국제 회의 및 회의에 참여했습니다.[2]

문학의 오푸스

그는 1956년부터 소설 도둑들의 집으로 작가로서의 경력을 시작했고, 1962년, Sodom and Gomorrah, 1963년 수필집을 출판했습니다. 그는 전쟁과 전후 베오그라드를 배경으로 한 1969년 세계 혁명에서 우리 가족의 역할이라는 최근 세르비아 산문의 컬트 소설의 저자입니다. 동시에 조시치는 지적 에세이주의의 중앙유럽 산문 전통의 수임자이자 유고슬라비아가 해체된 후 엘레강스와 고통스러운 재조명이 혼재되어 감정적으로 진정성 있게 유고슬라비아와 동일시한 마지막 지식인 중 한 명입니다. 그 소설을 바탕으로 동명의 영화가 만들어졌습니다.

유고슬라비아의 해체는 작가를 자발적인 망명으로 이끌었습니다(대부분로빈과 베를린에서, 크로아티아에서 출판되었습니다).[3] 그의 작품의 그 부분은 주로 에세이에 의해 특징지어집니다. 그 중 1993년, (그가 현대 사회 정치적 현실에 대한 견해를 표현하는 허구적 정체성을 가진 연극), 굿 거버넌스, 1995년, 그리고 세관 선언, 2000년,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반성과 그에 대한 작가의 엇갈린 감정에 젖은 반자전적인 텍스트 그는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독일에서 출판된 약 50권의 책을 썼습니다.[4]

작동하다

불완전한 작품 목록:

  • 1956년 쿠찰로포바
  • Vidljivi i nevidljivi čovek, 1962.
  • Sodoma i Gomora, 1963.
  • 프리체오 자나티마, 1966.
  • Uloga moje porodice usvetskoj revoluciji, 1969.
  • 투토리, 1978.
  • Poslovi/sumnje/snovi Miroslava Krleže, 1983.
  • 독터 크렐 ž라, 1988.
  • Dnevnik apatrida, 1993.
  • 도브라 블라다비나 (ipsihopatalogijenjenogsbakodnevlja), 1995.
  • 카린스카 데클라라시자, 2000.
  • Pogled malumnog, 2001.
  • 깐제, 2001.
  • Nulta zemlja, 2002.
  • Irenina soba, (poezija), 2002.
  • 이즈나니키, 2005.
  • 버오그라두 영사, 2007.
  • 2008년, Putna Aljasku.
  • 자파드누 오드 라자, 2009.
  • Kratko detinjstvo u Agramu, 2011.
  • 도루차크 코드 마제스타, 2011.
  • Povest to Mishkinu, 2019.
  • 베즈, 2021.
  • 베르고토바 우도비카, 2022.

참고문헌

  1. ^ "Bora Ćosić je Slobodanu Miloševiću rekao odlučno NE!". Al Jazeera Balkans (in Bosnian). 14 July 2019. Retrieved 26 September 2020.
  2. ^ LOM 출판, 베오그라드, 2010, 데얀 미하일로비치 지음, 215쪽.
  3. ^ Jovanović, Piše: Milica. "Ličnost Danas: Bora Ćosić". Dnevni list Danas (in Serbian). Retrieved 2020-09-26.
  4. ^ Knežević, Piše: Vesna. "Rođen sam u Zagrebu, umro u Beogradu, živim u Berlinu". Dnevni list Danas (in Serbian). Retrieved 2020-09-26.
  5. ^ Welle (www.dw.com), Deutsche. ""Moramo pripaziti da se ne ponove ružne stvari iz Jugoslavije" DW 02.07.2011". DW.COM (in Croatian). Retrieved 2020-09-26.
  6. ^ Bora Ćosić: Priče o zanatima (in Croatian).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