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송로122번길
Convoy ON 122수송로122번길 | |||||||
---|---|---|---|---|---|---|---|
대서양 전투의 일부 | |||||||
| |||||||
호전성 | |||||||
![]() ![]() | ![]() | ||||||
지휘관과 지도자 | |||||||
캡틴 S.N. 화이트 RNR LCDR J.V. 워터하우스 RN | BdU: 카를 뫼니츠 | ||||||
힘 | |||||||
상선[1] 37척 호위함 5척 | 잠수함 9척 | ||||||
사상자 및 손실 | |||||||
상인 4명 침몰(1만7235GRT) 40명 사망/사망[2] |
호송차 ON 122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상선의 무역 호송차였다.그것은 영국 섬에서 북아메리카로 가는 Outbound 행렬의 번호가 매겨진 시리즈 중 122번째였다.이 배들은 1942년[2] 8월 15일 리버풀을 출발하여 8월[3] 17일 중오세안 호위대의 에스코트 그룹 B6가 합류했다.[4]
배경
서부 대서양 연안 호위대가 두 번째 행복한 시간을 보내자 베펠샤베르 데르 유보테(U-Boote 수석 선장) 제독 칼 d니츠는 항공기 순찰을 피하기 위해 대서양 중부로 초점을 옮겼다.비록 호위함 경로의 예측은 중간에서 덜 했지만, 더 많은 U보트가 생산될 경우 영국 해군 사이퍼 3호의 B-Dienst 암호 해독을 통해 얻은 지능의 이점을 가지고 이 지역을 효과적으로 수색할 수 있을 것으로 Dönitz는 기대했다.[5]그러나 1942년 7월 말부터 1943년 4월 말까지 대서양 횡단 수송선 180척 가운데 U보트 공격으로 선박을 잃은 것은 20%에 불과했다.
에스코트 그룹 B6의 노르웨이 사람 코벳은 호위함 SC 104, 144, HX 217과 함께 순차적인 항해에서 이들 호송 전투 중 세 가지를 치렀다.[6]
디스커버리
U-135는 8월 22일 위치를 바꾸려는 신호를 놓친 후 이전에 배정된 역을 순찰하던 중 호송차를 발견하고 보고했다.초기의 보도는 예기치 않은 위치와 코딩 오류로 인해 약간의 혼란을 야기시켰으나, U-135가 호송대를 그림자처럼 따라다니면서 두 개의 명확한 메시지를 보낸 후, 늑대 팩 Lohs에게 호송차에 집결하라는 명령을 받았다.[7]
스토킹
노르웨이 코벳이 8월 23일 Viscount와 Stockport가 제공한 HF/DF 베어링을 조사하는 동안 Viscount는 U 보트와 긴 일광 선미 추격에 관여하지 않음으로써 연료를 보존했다.비스카운트와 포텐티야는 어둠의 시간을 통해 더욱 공격적으로 HF/DF 접촉을 공격했지만, 지속적인 깊이 충전 공격을 하기보다는 단순히 U보트에게 잠수를 강요하는 것으로 만족했다.[4]
공략
8월 24일, 시야는 7,000야드로 축소되었고, 흐린 하늘 아래 군데군데 찌부러진 스몰이 있었다.황혼이 다가오자 호위대는 호송대와 접촉하고 있는 9척의 U보트 중 4척만 위치를 파악해 놓고 있었다.수송기의 항로는 2300Z에서 267°로 변경되었다.U-605는 코스 변경 1시간 후 호송차 우현 쪽에 있는 카트발디스와 셰프 마운트를 어뢰로 격침시켰다.Viscount는 RADAR과의 접촉을 얻어 잠수함을 강제로 잠수시켰다.비스카운트가 깊이 기소를 투하하고 있을 때, U-176과 U-438은 트로라와 엠파이어 브리즈를 어뢰로 공격하기 위해 호송차 앞으로 들어섰다.[4]
해제
호위대는 8월 25일 새벽까지 효과적으로 공격을 차단했다.모든 호위함이 탑재된 271cm 파장 레이더 타입은 잔잔한 바다 상황이 유리했고, 신속한 반격으로 U보트가 어뢰 발사 위치에 도달하지 못했다.Eglantine의 깊이 충전 공격이 U-605의 콘닝 타워에 숨어 있었다.[1]U-135, U-174, U-438도 깊이 전하에 의해 파손되었다.[7]그림자를 드리운 U보트는 8월 25일 새벽 이후 호송차가 짙은 안개에 진입한 뒤 연락이 두절됐고, 8월 26일 추격을 중단했다.[4]U-256은 지난 8월 31일 비스케이 만에서 비스카운트와 포텐실라로부터 깊이충전 피해를 입은 뒤 1년 넘게 수리 중이었다.U-438은 U-256 입항을 도왔고, U-174는 3척의 Lohs U보트를 급유한 뒤 프랑스로 돌아와 피해를 복구했다.[1]U-705는 호위대원들의 총탄에 맞아 여러 명의 사상자를 냈으며, 9월 3일 77번 비행대대의 암스트롱 휘트워스 휘틀리에 의해 비스케이 만에서 침몰했다.[7]
이 수송선들은 9월 3일 케이프 코드에서 떨어져 나와 북미 항구로 독자적으로 나아갔다.[2]
호위함
연합 상선
총 37척의 상선들이 리버풀에서나 항해 후반에 호송대에 합류했다.[3][2]
이름 | 깃발 | 죽은 | 톤수(GRT) | 화물 | 메모들 |
---|---|---|---|---|---|
앰버튼 (1928년) | ![]() | 5,377 | 목적지 핼리팩스 | ||
아텔프랭스 (1926년) | ![]() | 8,782 | 수송함대 대장 S.N. 화이트 RNR | ||
아틀란드 (1910) | ![]() | 5,203 | 석탄 | 목적지 세인트 존 | |
헤리스 남작(1940년) | ![]() | 4,574 | 목적지 뉴욕시 | ||
랭커스터 주의 도시 (1924년) | ![]() | 3,041 | 일반화물 | 목적지 뉴욕시 | |
엠파이어 브리즈 (1941) | ![]() | 1 | 7,457 | 밸러스트 안 | U-176 또는 U-438에[8] 의해 침몰됨 |
엠파이어 샤모아 (1918년) | ![]() | 5,684 | 목적지 뉴욕시 | ||
엠파이어 플라밍고 (1917년) | ![]() | 4,994 | 클라이드로 돌아감 | ||
엠파이어 와그테일 (1919년) | ![]() | 4,893 | 목적지 뉴욕시 | ||
핀트라 (1918년) | ![]() | 2,089 | 목적지 세인트 존 | ||
글록신아(1920) | ![]() | 3,336 | 목적지 뉴욕시 | ||
잉거 엘리자베스 (1920년) | ![]() | 2,166 | 석탄 | 목적지 핼리팩스 | |
잉거 토프트(1920) | ![]() | 2,190 | 목적지 시드니 | ||
인거파이어 (1905) | ![]() | 3,835 | 석탄 | 목적지 시드니 | |
잉그만(1907) | ![]() | 3,169 | 목적지 시드니 | ||
이소벨(1929년) | ![]() | 1,515 | 목적지 핼리팩스 | ||
1920년 1월 | ![]() | 1,946 | 타깃 헤링 코브, 노바스코샤 | ||
카트발디스(1907) | ![]() | 3 | 3,163 | 밸러스트 안 | U-605년[9] 침몰 |
콜스나렌 (1923년) | ![]() | 2,465 | 목적지 뉴욕시 | ||
라이프랜드(1920) | ![]() | 2,254 | 목적지 몬트리올 | ||
마리포사 (1914년) | ![]() | 3,807 | 목적지 뉴욕시 | ||
머천트 로열 (1928년) | ![]() | 5,008 | 목적지 보스턴 | ||
모들린 (1906) | ![]() | 3,569 | 목적지 핼리팩스 | ||
파리미나 (1908) | ![]() | 4,732 | 목적지 보스턴 | ||
라마바(1900년) | ![]() | 2,141 | 목적지 시드니 | ||
리오 브랑코 (1924년) | ![]() | 3,210 | 목적지 시드니 | ||
롤프 자를 (1920년) | ![]() | 1,917 | 석탄 | 목적지 핼리팩스 | |
셰프 마운트(1924년) | ![]() | 31 | 5,017 | 밸러스트 안 | U-605년[10] 침몰 |
실베렐름 (1924년) | ![]() | 4,351 | 일반화물 | 목적지 뉴욕시 | |
시레헤이 (1907) | ![]() | 3,888 | 목적지 시드니 | ||
술리오티스 (1917년) | ![]() | 4,299 | 목적지 핼리팩스 | ||
스타드 아르넴 (1920) | ![]() | 3,819 | 목적지 뉴욕시 | ||
시작점(1919년) | ![]() | 5,293 | 목적지 봇우드 | ||
스톡포트(1911년) | ![]() | 1,583 | 구조선을 호송하다 | ||
테낙스(1925년) | ![]() | 3,846 | 목적지 시드니 | ||
트로라 (1923년) | ![]() | 5 | 1,598 | 밸러스트 안 | U-438에[11] 의해 침몰됨 |
반 데 벨데 (1919년) | ![]() | 6,389 | 일반화물 | 목적지 뉴욕시 |
호송 호위대
미드 오션 에스코트 부대 소속 B6의 무장 군함들은 여정의 상당 기간 동안 호송차를 호위했다.[3][4]
이름 | 깃발 | 유형 | 합류했다 | 왼쪽 |
---|---|---|---|---|
HNoMS 안데네스(K01) | ![]() | 플라워급 코르벳의 | 1942년 8월 17일 | 1942년 9월 3일 |
HNoMS Eglantine(K197) | ![]() | 플라워급 코르벳의 | 1942년 8월 17일 | 1942년 9월 3일 |
HNoMS 몬트브레티아(K208) | ![]() | 플라워급 코르벳의 | 1942년 8월 17일 | 1942년 9월 3일 |
HNoMS 전위차(K214) | ![]() | 플라워급 코르벳의 | 1942년 8월 17일 | 1942년 9월 3일 |
HMS Viscount(D92) | ![]() | 수정된 장거리 V 클래스 구축함 | 1942년 8월 17일 | 1942년 9월 3일 |
참고 항목
메모들
- ^ a b c 로워 & 험멜첸 페이지 157
- ^ a b c d 헤이그 페이지 158&161
- ^ a b c "ON convoys". Andrew Hague Convoy Database. Retrieved 19 September 2012.
- ^ a b c d e 밀너 페이지 148-150
- ^ 타란트 페이지 108
- ^ 헤이그 페이지 133, 137-138, 161-162, 164, 181
- ^ a b c 블레어 pp.662&663
- ^ "Empire Breeze – British Steam merchant". www.uboat.net. Retrieved 29 October 2013.
- ^ "Katvaldis – British Steam merchant". www.uboat.net. Retrieved 29 October 2013.
- ^ "Sheaf Mount – British Steam merchant". www.uboat.net. Retrieved 29 October 2013.
- ^ "Trolla – Norwegian Steam merchant". www.uboat.net. Retrieved 29 October 2013.
참조
- Blair, Clay (1996). Hitler's U-Boat War: The Hunters 1939–1942. Random House. ISBN 0-394-58839-8.
- Hague, Arnold (2000). The Allied Convoy System 1939–1945. Naval Institute Press. ISBN 1-55750-019-3.
- Milner, Marc (1985). North Atlantic Run. Naval Institute Press. ISBN 0-87021-450-0.
- Morison, Samuel Eliot (1975). History of United States Naval Operations in World War II, Volume I The Battle of the Atlantic 1939–1943. Little, Brown and Company.
- Rohwer, J.; Hummelchen, G. (1992). Chronology of the War at Sea 1939–1945. Naval Institute Press. ISBN 1-55750-105-X.
- Tarrant, V.E. (1989). The U-Boat Offensive 1914–1945. Arms and Armour. ISBN 1-85409-52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