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위 SC 100
Convoy SC 100호위 SC 100 | |||||
---|---|---|---|---|---|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부 | |||||
| |||||
호전성 | |||||
![]() | ![]() ![]() | ||||
지휘관과 지도자 | |||||
제독 카를 뫼니츠 | | ||||
힘 | |||||
U보트 17대 | 26척의 상선 21명의 호위병 | ||||
사상자 및 손실 | |||||
침몰한 배 5척 |
호위 SC 100호는 시드니, 케이프 브레튼 섬에서 리버풀까지 이어지는 상선의 제2차 세계 대전 슬로우 호송 시리즈 중 100번째였다.호송대는 1942년 9월 12일 핼리팩스를 출발, 9월[1] 16일 미드오션 에스코트포스 그룹 A-3이 합류했다.이 호송차는 9월 18일 U보트가 발견했을 때 등화 폭풍에 의해 흩어졌었다.A-3조의 배들은 표면화된 U보트를 잡을 만큼 충분히 빠르지 않았다; 그리고 U보트는 9월 25일에 연락이 끊기기 전에 5척의 흩어져 있는 배들을 침몰시켰다.[2][3]살아남은 배들은 9월 28일에 리버풀에 도착했다.[4]
에스코트
호위함은 다음과 같은 연합군 함정의 호위를 받았다.
- 구축함 2척
- ASW 트롤러 1대
- 2 재무성급 커터
U보트
호송차량은 U보트 9척과 울프팩 프필의 U보트 8척으로 구성된 울프팩 로의 공격을 받았다.
울프팩 로
- U-135 – Kapiténleutnant Friedrich-Hermann Praetorius[5]
- U-176 – Kapiténleutnant Reiner Dierksen[6]
- U-259 – 카피테뉴탕트 클라우스 쾨프케[7]
- U-373 – 카피테른트 폴-칼 로이저[8]
- U-410 – 카피테른트 커트 스터름[9]
- U-432 – 카피테뉴탕트 하인츠오토 슐체[10]
- U-569 – 카피테뉴탕트 한스피터힌슈[11]
- U-599 – 카피테른트 볼프강 브라이토프[12]
- U-755 – Kapiténleutnant Walter Göing[13]
울프팩 파이일
- U-216 – 카피테뉴탕트 칼-오토 슐츠[14]
- U-221 – Kapiténleutnant Hans-Hartwig Trojer[15]
- U-258 – Kapiténleutnant Wilhelm von Méssenhausen[16]
- U-356 – 카피테른트 게오르그 왈라스[17]
- U-595 – Kapiténleutnant 위르겐 퀘트-파슬렘[18]
- U-607 – 카피테른트 에른스트 멘제르센[19]
- U-615 – 카피테른트 랄프 카피츠키[20]
- U-617 – 카피테뉴탕트 알브레히트 브란디[21]
전투순서
연합 상선
이름[1] | 깃발 | 사상자 | 톤수(GRT) | 화물 | 운명 | 메모들 |
---|---|---|---|---|---|---|
아리렌센 | ![]() | 3,214 | 설탕 | |||
아텔술탄 | ![]() | 51 | 8,882 | 당밀, 알코올 | 그린란드 케이프 헤일리의 9월 23일 U-617에[22] 의해 침몰되었다. | 호위함 N H Gale DSO Rd RD RNR. 생존자들은 HMCS 웨이번과 HMS 나스터티움에 의해 픽업되어 런던데리 항에 착륙했다. |
앳랜드 | ![]() | 5,203 | 와바나 철광석 | |||
애틀랜틱 | ![]() | 5,414 | 강철, 목재 | |||
벨기에 어부 | ![]() | 4,714 | 일반화물 | |||
보리스 | ![]() | 5,166 | 와바나 철광석 | |||
덱스 | ![]() | 1,590 | 목재 | |||
엠파이어 기니베어 | ![]() | 7,072 | 철강 및 담배 | |||
하르트베스트 제국 | ![]() | 0 | 5,676 | 일반화물 | 9월 20일 그린란드 케이프 헤일리의 U-596에[23] 의해 침몰되었다. | |
엠파이어 오팔 | ![]() | 9,811 | 벤젠, 파라핀 | |||
엠파이어 레이저빌 | ![]() | 5,118 | 철강, 담배 | |||
엠파이어 솔져 | ![]() | 4,539 | 일반화물 | |||
엠파이어 스토어 | ![]() | 4,696 | 일반화물 | |||
에스토리아 | ![]() | 6,968 | 연료유 | |||
그레이록 | ![]() | 7,460 | 일반화물 | |||
군보르 머스크 | ![]() | 1,977 | 시드니 목재 | |||
이네스무어 | ![]() | 4,392 | 일반화물 | |||
에반스 산 | ![]() | 5,598 | 일반화물 | |||
노하우크 | ![]() | 6,086 | 일반화물 | 엠파이어 하르트베스트에서 구조된 승무원 | ||
파나마 | ![]() | 6,650 | 설탕 | |||
펜마르 | ![]() | 2 | 5,868 | 일반화물 | Stragdrowded 그리고 9월 24일 U-432에[24] 의해 침몰되었다. | USCGC 비브에 의해 구출된 생존자 |
리오 베르데 | ![]() | 3,223 | 일반화물 | |||
루마니 | ![]() | 42 | 3,658 | 일반화물 | Stragdrowded 그리고 9월 24일[25] U-617에 의해 침몰되었다. | 유일한 생존자는 U-617에 의해 PoW로 픽업되어 세인트 나사이어에 착륙했다. |
스퍼트 | ![]() | 2,061 | 목재 | 뒤로 돌아섰다 | ||
테네시 주 | ![]() | 15 | 2,342 | 시드니 곡물 | 그린란드 케이프 헤일리의 9월 23일 U-617에[26] 의해 발견되어 침몰했다. | HMS 나스터티움, USCGC인그함에서 픽업한 생존자 |
찢어진 자르 | ![]() | 1,514 | 목재 |
호송 호위대
이름[1] | 깃발 | 유형 | 합류했다 | 왼쪽 |
---|---|---|---|---|
HMCS 비터즈윗 | ![]() | 플라워급 코르벳의 | 1942년 9월 16일 | 1942년 9월 28일 |
ORP 브위스카위차 | ![]() | 그롬급 구축함 | 1942년 9월 16일 | 1942년 9월 26일 |
USCGC 캠벨 | ![]() | 재무급 커터 | 1942년 9월 16일 | 1942년 9월 16일 |
HMS 뎁트포드 | ![]() | 그림스비급 구불구불 걷다 | 1942년 9월 25일 | 1942년 9월 25일 |
HMCS케노가미 | ![]() | 플라워급 코르벳의 | 1942년 9월 12일 | 1942년 9월 26일 |
HMT 킹스턴 베릴 | ![]() | ASW 해군 트롤러 | 1942년 9월 27일 | 1942년 9월 27일 |
HMCS 루이버그 | ![]() | 플라워급 코르벳의 | 1942년 9월 21일 | 1942년 9월 26일 |
HMCS 루넨버그 | ![]() | 플라워급 코르벳의 | 1942년 9월 21일 | 1942년 9월 27일 |
마타베디아 HMCS | ![]() | 플라워급 코르벳의 | 1942년 9월 12일 | 1942년 9월 16일 |
HMCS 메이플라워 | ![]() | 플라워급 코르벳의 | 1942년 9월 16일 | 1942년 9월 28일 |
HMCS 무스 턱 | ![]() | 플라워급 코르벳의 | 1942년 9월 12일 | 1942년 9월 16일 |
HMS 나르빅 | ![]() | 상륙함, 탱크 | 1942년 9월 27일 | 1942년 9월 28일 |
HMS 나스터티움 | ![]() | 플라워급 코르벳의 | 1942년 9월 16일 | 1942년 9월 27일 |
HMCS 나이아가라 | ![]() | 타운급 구축함 | 1942년 9월 12일 | 1942년 9월 16일 |
HMCS 프레스콧 | ![]() | 플라워급 코르벳의 | 1942년 9월 21일 | 1942년 9월 26일 |
HMCS 로스터던 | ![]() | 플라워급 코르벳의 | 1942년 9월 25일 | 1942년 9월 25일 |
HMS 로터 | ![]() | 리버급 프리깃함 | 1942년 9월 25일 | 1942년 9월 25일 |
USCGC 스펜서 | ![]() | 재무급 커터 | 1942년 9월 16일 | 1942년 9월 16일 |
HMCS 트릴륨 | ![]() | 플라워급 코르벳의 | 1942년 9월 15일 | 1942년 9월 28일 |
HMCS 웨이번 | ![]() | 플라워급 코르벳의 | 1942년 9월 16일 | 1942년 9월 27일 |
HMCS 우드스톡 | ![]() | 플라워급 코르벳의 | 1942년 9월 21일 | 1942년 9월 26일 |
참조
- ^ a b c "Convoy SC.100". Arnold Hague Convoy Database. Retrieved 12 November 2013.
- ^ 윌로비, 페이지198
- ^ Rohwer & Hummelchen, 페이지 144&162
- ^ 헤이그 2000, 페이지 133–135.
- ^ "Friedrich-Hermann Praetorius". www.uboat.net. Retrieved 12 November 2013.
- ^ "Reiner Dierksen". www.uboat.net. Retrieved 12 November 2013.
- ^ "Klaus Köpke". www.uboat.net. Retrieved 12 November 2013.
- ^ "Paul-Karl Loeser". www.uboat.net. Retrieved 12 November 2013.
- ^ "Kurt Sturm". www.uboat.net. Retrieved 12 November 2013.
- ^ "Heinz-Otto Schultze". www.uboat.net. Retrieved 12 November 2013.
- ^ "Hans-Peter Hinsch". www.uboat.net. Retrieved 12 November 2013.
- ^ "Wolfgang Breithaupt". www.uboat.net. Retrieved 12 November 2013.
- ^ "Walter Göing". www.uboat.net. Retrieved 12 November 2013.
- ^ "Karl-Otto Schultz". www.uboat.net. Retrieved 12 November 2013.
- ^ "Hans-Hartwig Trojer". www.uboat.net. Retrieved 12 November 2013.
- ^ "Wilhelm von Mässenhausen". www.uboat.net. Retrieved 12 November 2013.
- ^ "Georg Wallas". www.uboat.net. Retrieved 12 November 2013.
- ^ "Jürgen Quaet-Faslem". www.uboat.net. Retrieved 12 November 2013.
- ^ "Ernst Mengersen". www.uboat.net. Retrieved 12 November 2013.
- ^ "Ralph Kapitzky". www.uboat.net. Retrieved 12 November 2013.
- ^ "Albrecht Brandi". www.uboat.net. Retrieved 12 November 2013.
- ^ "Athelsultan – British motor tanker". www.uboat.net. Retrieved 12 November 2013.
- ^ "Empire Hartebeeste – British steam merchant". www.uboat.net. Retrieved 12 November 2013.
- ^ "Pennmar – American steam merchant". www.uboat.net. Retrieved 12 November 2013.
- ^ "Roumanie – Belgian steam merchant". www.uboat.net. Retrieved 12 November 2013.
- ^ "Tennessee – British steam merchant". www.uboat.net. Retrieved 12 November 2013.
참고 문헌 목록
- Hague, Arnold (2000). The Allied Convoy System 1939–1945. ISBN 1-86176-147-3.
- Rohwer, J.; Hummelchen, G. (1992). Chronology of the War at Sea 1939–1945. Naval Institute Press. ISBN 1-55750-105-X.
- 윌로비, 말콤 F.제2차 세계 대전 미 해안 경비대(1957) 미국 해군 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