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로테 리그

Epirote League
제우스(왼쪽)를 그린 에피로테 리그 동전, 'αα δ δ δ α δ δ α δ δ δ δ α δ δ δ δ α δ' – 에피로테스(오른쪽)

에피로테 동맹(Epirote League, 에피로테 동맹)은 고대 그리스[1]연합체이다.

역사

디오니와 제우스(왼쪽)와 황소(오른쪽) 묘사

연합은 기원전 370년에서 320년 사이에 설립되었고, 이는 에피루스의 세 주요 부족(즉, 몰로시아인, 테스프로티아인, 그리고 차오니아인)[3]을 통합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도도나의 신탁은 몰로시아 동맹과 후에 에피로테 동맹의 종교, 정치, 문화의 중심지였다.피로스는 기원전 [4]297년에 동맹의 지도자가 되었다.시러큐스의 아가토클레스 왕이 코르시라를 정복했을 때,[5] 그는 기원전 295년 그의 딸 라나사에피루스의 피루스와 결혼할 때 지참금으로 그 섬을 제공했다.그 후 그 섬은 에피로테 동맹의 일원이 되었다.아마도 카시오페 정착촌이 에피루스 왕의 탐험 기지로 사용되기 위해 설립되었을 것이다.이 섬은 기원전 255년까지 에피로테 동맹에 속해 있다가 에피로스의 알렉산더 2세가 죽은 후 독립했다. 동맹은 페니케 전투에서 일리리아인들에게 패배했고, 더 이상의 공격을 막기 위해 테우타와 동맹을 맺어야 했다.이 동맹은 에피로테족을 아카이인과 아이톨리아인들에게 적대적으로 만들었지만, 아마도 제1차 일리리아 전쟁에서 일리리아인이 패배한 후에 끝이 났을 것이다.

에피로테 동맹은 처음 두 차례의 마케도니아 전쟁에서 중립을 지켰지만, 몰로시아인들이 로마 [6]공화국을 지지하면서 결국 제3차 마케도니아 전쟁 (기원전 171–168)에 의해 해체되었다.

동맹의 법령

몰로시아와 에피로테 동맹의 법령 사본(프록세니 및 시민권 법령, 위임 기록)이 도도나에 세워졌다.모든 회원들은 공통 [7]시민권을 가지고 있었다.에피로테 동맹의 방언에 관해서는 코린트어 도리어가 아니었고 알파벳도 코린트어가 아니었다.도도나의 몇몇 기록된 질문에서 [8]알 수 있듯이 아마도 북서도리어였을 것이다.몰로시아 동맹의 첫 번째 경구적 증거는 네오프톨레무스 [9]왕(또는 바실레우스) 통치 시절인 기원전 37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인용문

  1. ^ The full range of meanings can be found under κοινός in Liddell & Scott 1940.
  2. ^ Boatwright, Gargola & Talbert 2004, 페이지 92: "Pyrhus는 이 모델과 일치합니다.그의 권력 기반은 관습적인 제한이 있는 전통적인 관직인 몰로시안 왕위에 있었다.여기에 에피로테 공동체 동맹인 에피로테 동맹의 패권자, 즉 지휘관직을 추가했다.각자는 공통의 목표를 위해 힘과 자금을 기부했다.
  3. ^ Franke 1989, 페이지 459: "몰로시아의 왕으로서, 그는 스스로를 에피로테의 왕이라고 칭한 적이 없고, 확실히 에피루스의 이라고 칭한 적이 없습니다.특히 로마의 전통에서 발견된 칭호입니다.피로스는 동시에 325/20년경에 설립되어 스스로를 δαμμμ로 묘사하고 있습니다."글씨로.동맹은 에피루스의 3대 주요 민족인 몰로시아인, 테스프로티아인, 차오니아인을 통합했다.이들은 각각 수많은 소그룹으로 구성됐다.
  4. ^ 쾨스터 1995, 페이지 33: "다양한 경험 후, 피로스는 몰로시안족의 왕이자 그리스 북서부 에피로테 동맹(기원전 297년)의 지도자가 되었다."
  5. ^ Chamoux 2002, 59쪽, Franke 1989, 458쪽
  6. ^ "Epirus".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Retrieved 16 November 2013.
  7. ^ 아이디노우 2007, 59페이지: "몰로사 왕정의 점진적인 약화와 구성원들이 공통 시민권을 가진 에피로테 동맹의 형성 (기원전 233/2–168년)"
  8. ^ 해먼드 1994 페이지 434
  9. ^ Cabanes 1976, 534페이지: 부록 에피그래피크, 1.

원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