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바리스
SybarisΣύβαρις 시바리 | |
![]() 시바리스 극장 유적 | |
위치 | 시바리, 이탈리아 칼라브리아 코센차도 |
---|---|
지역 | 마그나 그라이키아 |
좌표 | 39°43'0 ″N 16°29'38 ″E/북위 39.71667°N 16.49389°E |
유형 | 합의 |
지역 | 약 500 ha (1,200 에이커) |
역사 | |
빌더 | 아카이아와 트로이제니아의 식민지 주민 |
설립된 | 기원전 720년 |
버림받은 | 기원전 445년 |
기간 | 고대 그리스에서 고전 그리스로 |
사이트 노트 | |
발굴일자 | 1960년대 |
관리 | 소프린텐차 페리 베니 고고학 델라 칼라브리아 |
웹사이트 | 아르케오 칼라브리아 버추얼 (이탈리아어) |
시바리스(고대 그리스어: σ ύβα ρις; 이탈리아어: 시바리)는 오늘날의 이탈리아 칼라브리아의 타란토 만 해안에 위치한 중요한 고대 그리스 도시였습니다.
그 도시는 기원전 720년경에 아카이아인과 트로이제니아인 정착민들에 의해 세워졌습니다.시바리스는 그리스 고대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식민지로 알려질 정도로 비옥한 땅과 분주한 항구 덕분에 막대한 부를 축적했습니다.그 도시의 거주민들은 그리스인들 사이에서 쾌락주의, 축제, 과도함으로 유명해졌는데, 이는 "시바라이트"와 "시바라이트"가 풍요, 사치, 그리고 터무니없는 쾌락추구라는 단어들로 바뀌었을 정도입니다.시바리스는 또한 그 지역 전체의 작은 식민지들을 지배했고, 약 10 km 떨어진 Francavilla Marittima 근처의 Timpone della Motta에 아크로폴리스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시바리스는 이웃 크로톤에 의해 기원전[A] 510년에 파괴되었고, 인구는 축출되었지만, 그 지역의 식민지는 계속 존재했습니다.[1]
기원전 444/43년에 아테네의 주도하에 새로운 식민지로 대체되었고, 튀리는 부분적으로 오래된 도시의 꼭대기에 건설된 도시가 되었습니다.튀리 또한 기원전 193년에 파괴되었지만 로마인들은 튀리와 같은 격자 위에 코피아라는 도시를 지었고, 이 도시들의 일부는 오늘날 볼 수 있습니다.
시바리스/두리/코피아 유적은 크라티 강의 퇴적물에 묻혀 잊혀졌습니다.이 유적은 1932년에 재발견되어 발굴되었습니다.오늘날 그들은 이탈리아 칼라브리아의 코센차도의 시바리 남동쪽에서 발견될 수 있습니다.
지리학
그 도시는 바다에 가까이 위치해 있었고 크라티스 강과 시바리스 강 사이에 놓여 있었습니다.[2]대부분의 현대 연구는 이 도시를 습지 석호 근처 해안 능선에 위치시킵니다.그 강들은 이제 크라티 강과 코실 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오늘날 코실레강은 도시의 고고학적인 장소의 바로 남쪽을 지나가는 입구에서 약 5km 떨어진 크라티강으로 흘러들어갑니다.시바리스의 인구가 아직 남아 있을 때 코실레는 북쪽으로 짧은 거리에 있는 타란토 만으로 가는 직항로를 추구했습니다.[3]
그 도시는 비옥함과 도시 부의 기원으로 유명한 현대 칼라브리아에서 가장 넓은 평원에 있었습니다.[4]
도시는 해수면에 가깝게 놓여 있었고 두 강으로 둘러싸인 평원은 주기적인 홍수의 영향을 받아 오늘날 시바리스는 지표면에서 약 6m 아래에 놓여 있습니다.2013년 참담한 홍수가 터를 메우고 토사로 뒤덮었습니다.2023년에도 현장에서 지하수를 빼내기 위해서는 강력한 펌프가 지속적으로 필요합니다.
역사
토대
시바리스는 기원전 720년에 세워졌습니다.[5]설립자는 아하이아의 도시 헬리케의 이스[시크]였습니다.[6]아카이아인들은 수많은 트로이아인들과 동행했고 결국 더 많은 아카이아인들에 의해 추방당했습니다.[7]
외키스트의 이름은 Strabo가 유일한 출처이고 [Sagar]is 또는 [Sybar]is의 부패일 수 있기 때문에 진위 여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문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포세이도니아 동전에 위스라는 글자가 등장한다는 점입니다.[8][B]이는 포세이도니아가 시바리스의 식민지로 생각되기 때문에 스트라보의 설명을 확인한 것으로 해석되어 왔습니다.[9]
기원전 7세기와 6세기의 번영

시바리스는 비옥한 농경지와 외국인을 시민으로 받아들이는 정책의 결과로 엄청난 부를 축적하고 많은 인구를 모았습니다.그 도시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큰 그리스 도시였고 다른 도시들은 100,000명이라고 하지만 300,000명의 거주자가[10] 있었을지도 모릅니다.[11]그 도시의 둘레는 50개의 경기장 (9.7 킬로미터 이상)이었고 면적은 대략 500 헥타르 (1,200 에이커)였습니다.[12]
시바리스는 또한 그 지역에서 지배적인 세력이었고 4개의 부족과 25개의 도시를 지배했습니다.[6]시바리스는 반도를 가로질러 티레니아 해까지 지배권을 확장했고, 그곳에서 식민지 포세이도니아,[13] 라우스[14], 스키드루스가 세워졌다고 생각됩니다.[15]포세이도니아는 대략 기원전 600년에 세워졌으며,[16][17] 기원전 7세기 후반에 시바르인들은 북서쪽으로 1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팀포네 델라 모타에 있는 아테나의 성소를 오이노트리안들로부터 그들의 아크로폴리스로 넘겨받았고, 그곳에서 그들은 정기적으로 큰 축제들을 기념했습니다.[18]
고대 문헌에는 시바리스의 부와 사치에 대한 묘사가 풍부합니다.스민디리데스는 헤로도토스가 세련된 고급스러움에서 다른 모든 남자들을 능가했다고 주장하는 저명한 시민이었습니다.[19]디오도로스는 그를 사이키온의 클리스테네스의 딸의 가장 부유한 구혼자라고 묘사합니다.그는 시바리스에서 시콘까지 노 50개로 이루어진 배를 타고 자기 노예들이 타고 다녔고, 호화롭게도 클리스테네스를 능가했습니다.[20]아테나이우스는 자신의 수행원들이 천 명의 노예, 어부, 새잡이, 요리사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합니다.[21]그러나 그런 숫자를 언급하지 않는 헤로도토스를 인용한다고 주장하기 때문에 그의 정보는 거짓임에 틀림없습니다.[22]클라우디우스 아엘리아누스는 심지어 스민디리데스가 장미 꽃잎으로 된 침대 위에서 잠을 잘 수 없었다고 주장합니다. 왜냐하면 그것이 그에게 물집을 만들어 주었기 때문입니다.[23]이름으로 알려진 또 다른 시베리안 사람은 알키메네스입니다.한 사이비 아리스토텔레스는 그가 라치니아 헤라 신전에서 매우 비싼 망토를 바쳤다고 언급합니다.[24]여기서 아테나이우스는 정보를 왜곡하기도 합니다: 그는 그 이야기를 소문이 아닌 진실한 것으로 취급하고 그것을 진짜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돌립니다.[25]
저스틴은 이오니아 식민지 시리스에 대항하는 다른 아카이아 식민지 메타폰툼과 크로톤과의 시바리스 동맹에 대해 언급합니다.이것은 기원전 6세기 중반에 시리스를 정복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26]기원전 6세기 후반에 시바리스는 첫 번째 동전을 주조하기 시작했는데, 가장 오래된 동전은 기원전 530년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이 동전들은 다른 아카이아 식민지 크로톤, 코로니아, 메타폰툼과 공유된 아카이아 중량 기준을 사용했습니다.[27]
고대 특허법
현대의 특허법과 유사한 최초의 문서화된 지적재산권법 중 하나는 요리사나 제빵사의 요리 창작물을 1년 동안 보호하기 위해 기원전 6세기에 시바리스에서 제정된 것으로 생각됩니다.[28][29]
크로톤 토벌
디오도로스 시쿨루스는 기원전 510/509년에 도시의 과두정권이 인기있는[30] 지도자 텔리스에 의해 전복되었다고 말합니다.그는 500명의 부유한 시민들을 추방하고 그들의 재산을 몰수하라고 시바르족을 설득했습니다.추방된 시민들은 크로톤의 제단으로 피신했습니다.텔리스는 크로토니아인들에게 전쟁 위협을 받고 있는 망명자들을 돌려줄 것을 요구했습니다.크로토니아인들은 전쟁을 피하기 위해 망명자들을 항복시키려 했지만, 피타고라스는 그들에게 지원자들을 보호하라고 설득했습니다.그리하여 시바리 사람들은 30만 명을 거느리고 크로토네 사람을 향해 진군하였는데, 그들의 군대는 마일로가 이끄는 십만 명이었습니다.디오도로스(스트라보와 공유)가 준 군대 규모는 인구 규모보다 더 과장되었을 것입니다.수적으로 열세였음에도 불구하고 크로토니아인들은 전투에서 승리하여 포로를 잡지 못했고, 대부분의 시바르인들을 죽였습니다.승리 후 그들은 시바리스를 약탈하고 약탈했습니다.스트라보에 의하면 전투와 포대 사이에 2개월에서 9일이 걸렸다고 합니다.아마도 시바르족은 이 시기 동안 텔리스와 그의 지지자들을 처형했을 것입니다.[31]
월터 버크트는 디오도로스 시쿨루스가 제시한 진술의 진실성에 의문을 제기합니다.텔리스가 먼저 상대를 쫓아낸 다음 그들의 귀환을 요구하는 것은 비논리적이었을 것입니다.그는 이야기의 요소가 허구적 비극과 닮았다고 주장합니다.[32]헤로도토스의 버전은 더 간략하고 피타고라스가 관여하지 않지만, 크로토니아테스가 도리에우스의 도움을 받았다고 주장합니다.[30]
스트라보는 크로토나이트들이 크라티스 강을 우회하여 시바리스를 수몰시켰다고 주장합니다.[6]크라티호는 수로에서 거친 모래와 조약돌을 운반하는데, 스트라보의 주장이 사실이라면, 그 물질은 강이 물에 잠겼을 때 도시 위에 침전물로 퇴적되었을 것입니다.그 장소에서 채취한 핵심 샘플의 분석은 이전 도시 바로 위에 있는 그러한 강 퇴적물을 발견하지 못했고, 시바리스의 매장은 부유물과 같은 자연적인 과정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33]
크로톤과의 지속적인 투쟁

파괴된 후 살아남은 주민들은 그들의 식민지인 라우스와 스키드루스로 피신했습니다.[15]5세기 초 포세이도니아의 동전들이 아카이아의 무게 기준과 시바리테 동전에서 볼 수 있는 황소를 채택했기 때문에 몇몇은 포세이도니아로 도망친 것으로 추정됩니다.A. J. Graham은 난민의 수가 충분히 많아서 포세이돈인과 시바르인 사이에 일종의 공생주의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마도 동조의 형태일 것입니다.[34]시바리스는 디오도로스와 스트라보가 주장한 것처럼 완전히 파괴된 것이 아니라 크로톤의 종속적인 동맹이 되었습니다."동맹" 동전은 크로톤의 삼각대 기호를, 다른 한 쪽은 시바리스의 황소 기호를 나타냅니다.아리스톡세누스의 문헌적 증거는 크로톤에 의한 시바리스의 토벌 이후에 시바리스로 이주한 것으로 보이는 피타고라스인들의 증거입니다.[35]
디오도로스 시쿨루스는 크로톤이 기원전 476년/475년에 다시 시바리스를 포위했다고 언급합니다.시바르족은 시라쿠사의 폭군 히에로 1세에게 도움을 호소했습니다.히에로는 자신의 형제 폴리젤로스를 군대 지휘관으로 삼아 시바르족을 구원하고, 크로토니아인들에게 살해당할 것을 예상했습니다.폴리젤로스는 이를 의심하고, 원정을 이끌기를 거부하고, 아크라가스의 폭군 테론과 함께 피난을 갔습니다.[36]디오도로스는 시바리스를 구제하려는 히에로의 계획에 대해 더 이상 언급하지 않고 있으며, 이는 시바리스가 또다시 패배했음을 보여줍니다.그러나 티마에우스와 두 명의 스콜리아 폴리젤로스는 시바리스의 포위를 푸는 데 성공했고 나중에 혁명을 모의했다는 혐의를 받자 아크라가스로 도망갔습니다.[37]
기원전 476년 공성전의 결과와 상관없이, 시바르인들은 그 해와 기원전 452/451년 사이에 그들의 도시를 떠나야 했던 것으로 보입니다.디오도로스는 시바르족이 기원전 452/451년에 테살리아인의 지도 하에 그들의 도시를 이전의 장소에 다시 세웠다고 쓰고 있습니다.[38]새로운 도시의 동전들이 포세이도니아의 동전들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포세이도니아가 여기에서 큰 비중을 차지했다고 생각됩니다.포세이도니아가 이 조약의 보증인이었기 때문에, 아마도 시바리스와 그 동맹국들, 그리고 세르다이오이(미지의 민족) 사이의 우호 조약이 이 새로운 재단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39]결국 기원전 446년/445년에 시바르족은 크로토니아인들에 의해 새로운 도시에서 쫓겨났습니다.[40]
기원전 445년 최종 추방
그 다음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또 불확실합니다.디오도로스에 따르면, 시바르족은 스파르타와 아테네에게 그들의 도시를 다시 점령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했습니다.아테네와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다른 도시들의 도움으로 그들은 시바리스의 자리에서 멀지 않은 곳에 투리라는 도시를 세웠습니다.곧 시바르인들과 튀리의 다른 식민지 주민들 사이에 시바르인들이 누리는 특권을 놓고 갈등이 일어났습니다.사실상 모든 시바르인들은 더 많고 힘이 센 다른 식민지 주민들에 의해 죽임을 당했습니다.[41]시바르족 중 몇몇은 가까스로 도망쳤고 기원전 444년 직후 트라에 시바르족을 세웠습니다.[42]
스파르타와 아테네가 아직 전쟁 중인 상황에서 도움을 요청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기원전 445년 초봄에 30년 평화협정이 체결된 후에 시바르족에게 도움을 요청한 것이 틀림없습니다.[43]디오도로스는 튀르이의 건국을 위한 원정대를 단 한 곳으로만 파악하고 있지만, 스트라보는 아테네와 다른 그리스 식민지 주민들이 시바리스에 처음 살았고, 시바리스인들이 추방된 후에야 튀르이를 설립했다고 쓰고 있습니다.[6]현대의 학문은 스트라보의 설명을 확증하고 두 개의 탐험을 확인합니다.기원전 446년/445년 아테네는 시바리스의 기존 인구를 보강하기 위해 원정대를 파견했습니다.기원전 445년 여름, 두 그룹간의 충돌은 시바르족의 몰락으로 이어졌습니다.기원전 444/443년 아테네인들과 다른 새로운 식민지 주민들은 그 후 그 도시를 튀리라고 불리는 새로운 기반으로 바꾸었습니다.그 도시는 10개 부족을 위한 조항을 만들었지만, 시바르족을 포함하지 않은 새로운 민주 헌법을 받았습니다.[44]
유산
헤로도토스, 디오도로스, 그리고 이전의 고대 그리스 작가들과는 달리, 로마 시대의 후기 작가들은 시바르족을 비난했습니다.아엘리아누스, 스트라보, 특히 아테나이오스는 시바리스의 파괴를 자존심, 오만, 지나친 사치로 인한 시바리스인들의 신성한 복수로 보았습니다.아테나이에우스는 시바르족에 관한 일화를 가장 많이 담고 있습니다.그에 따르면, 그들은 요리사들이 1년 내내 그들의 특징적인 요리로부터 독점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챔버 냄비를 발명하고 지적 재산의 개념을 개척했다고 합니다.그들은 항상 전차를 타고 여행했지만, 하루의 여행에는 여전히 3일이 걸립니다.시골의 별장으로 가는 길은 지붕으로 덮여 있었고 운하는 포도밭에서 포도주를 바다 근처의 창고로 운반했습니다.[45] 그가 인용한 코미디언 메타게네스의 한 조각에는 시바라이트가 도시를 흐르는 말 그대로의 음식 강에 대해 자랑하고 있습니다.[46]
아테나이오스는 시바르족의 퇴폐를 보여주는 많은 사례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지나친 사치와 죄가 그들의 파멸을 초래했다고 주장합니다.시바르족의 아테나이에우스 대사들(아미리스라는 이름을 가진 사람)은 델포이의 신탁을 상담했는데, 델포이는 그들이 신들보다 더 인간을 존중한다면 전쟁과 내부 갈등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라고 예언했습니다.[47]나중에 그는 필라르코스를 인용하는데, 필라르코스는 시바르족이 크로톤에서 온 대사 30명을 살해하고 그들을 매장하지 않을 때 헤라의 분노를 불러 일으켰다고 썼습니다.그는 또한 헤라클레이데스가 신들의 제단에 있는 텔리스의 지지자들을 살해한 것에 신성한 분노를 돌렸다고 언급합니다.헤라클레이데스는 시베리안들이 더 큰 상금으로 선수들을 자신들의 공개 경기에 끌어들임으로써 올림픽 경기를 대체하려고 시도했다고 언급했습니다.[48]사치와 부패 사이의 가장 직접적인 연관성은 시바르족의 패배에 대한 아테나이에우스의 일화에서 잘 드러납니다: 시바르족 기병들이 그들의 말을 즐겁게 하기 위해 플루트 음악에 맞춰 춤을 추도록 훈련시킨 것입니다.크로토니아 군대가 플루트 연주자들에게 음악을 부르자, 시바리 군대의 말들이 그들의 말들과 함께 크로토니아 군대로 달려갔습니다.[49]스트라보는 패배의 이유로 시바르족의 '호화와 오만'을 꼽습니다.[6]클라우디우스 아엘리아누스는 시바리스의 몰락을 그 호화로움과 헤라의 제단에서 류트리스트를 살해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50]
바네사 고먼은 그 당시에 중대한 죄와 신성한 응징이 허구의 주요 요소였기 때문에 이 이야기들에 신빙성을 주지 않습니다.[51]게다가 그녀와 로버트 고먼은 그가 인용한 역사학자들보다 아테나이에우스를 장식된 기록의 기원으로 지목합니다.그는 원래의 기록의 세부사항을 바꾸고, 자신의 기여를 과거 역사학자들의 것으로 위장하고, 사치가 재앙을 가져온다는 그의 주장에 맞게 새로운 정보를 발명했습니다.이 개념은 트리페(tryphé)라고 불렸고 기원후 2세기의 전환기에 그의 시대에는 대중적인 믿음이었습니다.[52]Peter Green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설명들이 도덕주의자들의 발명품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합니다.그는 이 도시의 막대한 천연자원이 크로톤의 공격을 받은 더 그럴듯한 이유였다고 지적합니다.[53]
과도한 사치와 관련된 이러한 연관성은 영어로 옮겨졌고, "시바라이트"와 "시바라이트"라는 단어는 풍부한 사치와 터무니없는 쾌락 추구를 뜻하는 단어들이 되었습니다.새뮤얼 존슨의 영어사전에 언급된 한 이야기는 스민디리데스에 관한 아엘리아누스의 일화를 암시합니다.장미 꽃잎이 쌓인 침대 위에서 잠을 자고 있지만, 꽃잎 중 하나가 접혀 잠을 잘 수 없는 시바라이트를 언급하고 있습니다.[54]
고고학
![]() | 이 섹션은 확장이 필요합니다.추가하면 도움이 됩니다. (2013년 12월) |
19세기 마지막 분기의 가장 초기의 고고학적 탐험은 시바리스의 위치를 찾는데 실패했습니다.그 장소가 크라티 삼각주에서 4미터 이상의 충적층 퇴적물에 의해 시간이 지나면서 묻혀 있었기 때문에 그 장소를 찾는 것은 어려웠습니다.도시의 위치는 1960년대 초부터 중반까지 대규모 코어 시추 프로젝트가 진행된 후에야 발견되었습니다.고고학적 유적지는 현재의 타란토 만 해안선에서 서쪽으로 약 2.5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인간의 구조물이 지하수 아래에 놓여 있었기 때문에 그 발굴은 어려웠습니다.후기 도시인 튀리와 코피아는 부분적으로 시바리스 위에 세워졌다는 것이 발견되었습니다.[55]유적지 근처에 고고학 박물관이 세워졌습니다.
참고 항목
메모들
참고문헌
- ^ 붕괴에 대한 재고: 시바리스의 몰락 (기원전 510년경)과 그리스 식민지 공간의 변천 https://francavilla.philhist.unibas.ch/it/rethinking-collapse/
- ^ Strabo 1924, 6.1.13; Diodorus Siculus 2010, p. 189, 12.9.2.
- ^ Stanley & Bernasconi 2009, p. 76, 82.
- ^ 바로 1934, 1.44
- ^ 사이비 스컴무스, 페리오로스에서 니코메데스 360까지
- ^ a b c d e 스트라보 1924, 6.1.13
- ^ 아리스토텔레스 1932, 5.1303a
- ^ 홀 2008, 페이지 411.
- ^ 그레코 2011, 페이지 238-239.
- ^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2010, 페이지 189, 12.9.1–2.
- ^ 사이비 스킴누스, 페리오로스에서 니코메데스까지 340f
- ^ Hansen 2004, 34쪽.
- ^ 스트라보 1924, 5.4.13
- ^ Strabo 1924, 6.1.1; Herodotus 1920, 6.21.1 CITEREF 1920 (
- ^ a b Herodotus 1920, 6.21.1. CITEREF 1920 (
- ^ Cerchiai, Jannelli & Longo 2004, 페이지 62.
- ^ 파파도풀로스 2002, p. 30.
- ^ Kleibrink, Jacobsen & Handberg 2004, 페이지 63.
- ^ 헤로도투스 1920, 6.127.1 CITEREF 헤로도투스 (
- ^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1939, 8.18–19.
- ^ 아테나이우스 1854, 6.105
- ^ Gorman & Gorman 2007, 페이지 39-40.
- ^ Claudius Aelianus 1665, 9.24.
- ^ 사이비 아리스토텔레스 1936, 96.
- ^ Athenaeus 1854, 12.58; Gorman & Gorman 2007, p. 48-49
- ^ Justin 1853, 20.2; Wilson 2013, p. 443.
- ^ 파파도풀로스 2002, 38쪽.
- ^ "altlawforum".
- ^ "davison legal blog". 4 September 2019.
- ^ a b Herodotus 1920, 5.44. CITEREF 1920 (
- ^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2010, pp. 190-191, 12.9.1-12.10.1, 각주 46 및 48; Strabo 1924, 6.1.13.
- ^ Burkert 1972; Zhmud 2012, 페이지 96.
- ^ Stanley & Bernasconi 2009, 페이지 82.
- ^ Graham 1999, 페이지 114.
- ^ Zhmud 2012, 페이지 97.
- ^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2010, pp. 107–108, 11.48.1–5.
- ^ Rhodes 2006, p. 75; Diodorus Siculus 2010, pp. 108–109, 각주 185
- ^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2010, p. 173, 11.90.3;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2010, p. 191-192, 12.10.2
- ^ 러터 1970, 173쪽.
- ^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2010, p. 173, 11.90.4;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2010, p. 191-192, 12.10.2
- ^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2010, 페이지 192-195, 12.10.2-12.11.2
- ^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2010, 12.22.1; 원더 2012, 페이지 133.
- ^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2010, 페이지 192, 각주 50.
- ^ Diodorus Siculus 2010, pp. 192-194, 각주 51, 54 및 57; Lewis 1992, pp. 141-142
- ^ 아테나이우스 1854, 12.17, 12.20
- ^ 메타제네스, 에피토니아 및 프래그먼트
- ^ 아테나이우스 1854, 12.18
- ^ 아테나이우스 1854, 12.21
- ^ 아테나이우스 1854년 12월 19일
- ^ 클라우디우스 아엘리아누스 1665, 1.19, 3.43
- ^ 고먼 2001, 페이지 106.
- ^ Gorman & Gorman 2007, 페이지 47–54, 59.
- ^ 디오도로스 시쿨루스 2010, 페이지 189-190, 각주 43.
- ^ 존슨 1830, 907쪽.
- ^ Stanley & Bernasconi 2009, p. 75–76.
원천
일차출처
- Aristotle (1932). Rackham, H. (ed.). Politics. Aristotle. Vol. 21.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99291-7.
- Athenaeus (1854). Yonge, C. D. (ed.). The Deipnosophists; or, Banquet of the learned, of Athenaeus. Vol. 3. London: Henry G. Bohn.
- Claudius Aelianus (1665). Stanley, Thomas (ed.). Ælian his Various History. London: Thomas Dring.
- Diodorus Siculus (1939). Oldfather, C. H. (ed.). Library of History. Vol. 3.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99375-4.
- ——— (2010). Green, Peter (ed.). Books 11-12.37.1: Greek History 480-431 B.C., the Alternative Version. Austin, Texas: University of Texas Press. ISBN 978-0-292-71277-5.
- Herodotus (1922). Godley, A. D. (ed.). The Persian Wars. Vol. 3.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99133-0.
- Justin (1853). Watson, John Selby (ed.). Epitome of the Philippic History of Pompeius Trogus. London: Henry G. Bohn.
- Pseudo-Aristotle (1936). "On Marvellous Things Heard". In Hett, W. S. (ed.). Minor Works. Aristotle. Vol. 14.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99338-9.
- Solinus (1895). Mommsen, Theodor (ed.). De mirabilibus mundi.
- Strabo (1924). Jones, H. L. (ed.). Geography. Vol. 3.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99201-6.
- Varro (1934). "Res Rustica". In Hooper, W. D.; Ash, Harrison Boyd (eds.). On Agriculture.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99313-6.
2차 소스
- Burkert, Walter (1972). Lore and Science in Ancient Pythagoreanism.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53918-1.
- Cerchiai, Luca; Jannelli, Lorena; Longo, Fausto, eds. (2004). The Greek Cities of Magna Graecia and Sicily. Translated from Italian by the J. Paul Getty Trust. Los Angeles, California: Getty Publications. ISBN 978-0-89236-751-1.
- Gorman, Robert J.; Gorman, Vanessa B. (2007). "The Tryphê of the Sybarites: A Historiographical Problem in Athenaeus". The Journal of Hellenic Studies. 127: 38–60. doi:10.1017/S0075426900001609. S2CID 15569550.
- Gorman, Vanessa B. (2001). Miletos, the Ornament of Ionia: A History of the City to 400 B.C.E.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ISBN 978-0-472-11199-2.
- Graham, A. J. (1999). Colony and Mother City in Ancient Greece. Manchester, England: Manchester University Press. ISBN 978-0-7190-5739-7.
- Greco, Emanuele (2011). "On the Origin of the Western Greek Poleis" (PDF). Ancient West & East. 10. doi:10.2143/AWE.10.0.2141822.
- Hall, Jonathan M. (2008). "Foundation Stories". In Tsetskhladze, Gocha R. (ed.). Greek Colonisation: An Account of Greek Colonies and Other Settlements Overseas. Vol. 2. Leiden: Brill. pp. 383–426. ISBN 978-90-04-15576-3.
- Hansen, Mogens Herman (2004). "The Concept of the Consumption City Applied to the Greek Polis". In Nielsen, Thomas Heine (ed.). Once Again: Studies in the Ancient Greek Polis. Historia Einzelschriften. Vol. 180. Stuttgart: Franz Steiner Verlag. ISBN 978-3-515-08438-3.
- Johnson, Samuel (1830). Johnson's English Dictionary, as Improved by Todd and Abridged by Chalmers. Boston: Perkins and Marvin.
- Kleibrink, Marianne; Jacobsen, Jan Kindberg; Handberg, Søren (2004). "Water for Athena: Votive Gifts at Lagaria (Timpone della Motta, Francavilla Marittima, Calabria)" (PDF). World Archaeology. 36 (1): 43–67. doi:10.1080/0043824042000192669. JSTOR 4128302. S2CID 162707534.
- Lewis, David Malcolm (1992). "The Thirty Year's Peace". In Lewis, David Malcolm; Boardman, John (eds.). The Fifth Century B.C.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 5. Cambridge, United Kingd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23347-7.
- Papadopoulos, John K. (2002). "Minting Identity: Coinage, Ideology and the Economics of Colonization in Akhaina Magna Graecia". Cambridge Archaeological Journal. 12: 21–55. doi:10.1017/S0959774302000021. S2CID 162404730.
- Rhodes, P. J. (2006). A History of the Classical Greek World: 478–323 BC. Blackwell History of the Ancient World. Vol. 11. Blackwell Publishing. ISBN 978-0-631-22564-5.
- Rutter, N. K. (1970). "Sybaris—Legend and Reality". Greece and Rome. 17 (2): 168–176. doi:10.1017/S0017383500017836. JSTOR 642759. S2CID 163611919.
- Stanley, Jean-Daniel; Bernasconi, Maria Pia (2009). "Sybaris-Thuri-Copia trilogy: three delta coastal sites become land-locked". Méditerranée (112): 75–86. doi:10.4000/mediterranee.3190.
- Wilson, Nigel, ed. (2013).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New York City, New York: Routledge. ISBN 978-1-136-78800-0.
- Wonder, John W. (2012). "The Italiote League: South Italian Alliances of the Fifth and Fourth Centuries BC". Classical Antiquity. 31 (1): 128–151. doi:10.1525/CA.2012.31.1.128.
- Zhmud, Leonid (2012). Pythagoras and the Early Pythagoreans. Oxford, United Kingdo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28931-8.
추가열람
- Bullitt, Orville H. (1969). Search for Sybaris. Philadelphia: Lippincott.
- Cucci, Luigi (2005). "Geology versus myth: the Holocene evolution of the Sybaris Plain" (PDF). Annals of Geophysics. 48 (6).
- Ferranti, Luigi; Pagliarulo, Rossella; Antonioli, Fabrizio; Randisi, Andrea (2011). ""Punishment for the Sinner": Holocene episodic subsidence and steady tectonic motion at ancient Sybaris (Calabria, southern Italy)". Quaternary International. 232 (1–2): 56–70. Bibcode:2011QuInt.232...56F. doi:10.1016/j.quaint.2010.07.014.
- Kleibrink, Marianne (2001). "The Search for Sybaris: An Evaluation of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Evidence". Babesch. 76 (1): 33–70. doi:10.2143/BAB.76.0.76.
- Rainey, Froelich G.; Lerici, Carlo M., eds. (1967). The Search for Sybaris, 1960–1965. University Museum Monographs. Vol. 29. University Museum Publications. ISBN 978-0-934718-21-9.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