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JB1
GJB1GJB1 | |||||||||||||||||||||||||||||||||||||||||||||||||||
---|---|---|---|---|---|---|---|---|---|---|---|---|---|---|---|---|---|---|---|---|---|---|---|---|---|---|---|---|---|---|---|---|---|---|---|---|---|---|---|---|---|---|---|---|---|---|---|---|---|---|---|
| |||||||||||||||||||||||||||||||||||||||||||||||||||
식별자 | |||||||||||||||||||||||||||||||||||||||||||||||||||
에일리어스 | GJB1, CMTX, CMTX1, CX32, 갭 접합단백질 베타1 | ||||||||||||||||||||||||||||||||||||||||||||||||||
외부 ID | OMIM : 3040 MGI : 95719 HomoloGene : 137 GenCard : GJB1 | ||||||||||||||||||||||||||||||||||||||||||||||||||
| |||||||||||||||||||||||||||||||||||||||||||||||||||
| |||||||||||||||||||||||||||||||||||||||||||||||||||
| |||||||||||||||||||||||||||||||||||||||||||||||||||
| |||||||||||||||||||||||||||||||||||||||||||||||||||
| |||||||||||||||||||||||||||||||||||||||||||||||||||
위키데이터 | |||||||||||||||||||||||||||||||||||||||||||||||||||
|
갭 접합 베타-1 단백질(GJB1)은 코넥신 32(Cx32)로도 알려져 있으며, 사람에게서 GJB1 [5]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막 통과 단백질이다.갭 접합 베타-1 단백질은 갭 접합 코넥신 계열의 단백질로 세포막, 주로 간 및 [6]말초 신경계에서 통신 신호의 전달을 조절하고 제어합니다.
GJB1 유전자의 돌연변이는 간극 접합을 통해 신호 전달 및 전달에 영향을 미쳐 X-연계 Charcot-Marie-Tooth 질환이라고 불리는 유전성 말초 신경 장애를 일으킨다.합병증에는 세포의 정상적인 기능 이상 때문에 말초 신경계에서 신경 전달의 지연을 일으키는 올리고덴드로사이트와 슈반세포의 탈수를 포함한다.이러한 상태는 많은 증상, 가장 일반적으로 근육 약화 및 사지 외단의 감각 문제를 야기합니다.그 결과 신경전달 지연으로 인한 근육 위축이나 연조직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남성의 경우 X염색체의 반수합성으로 인해 X염색체-마리-치아를 둘러싼 증상과 문제가 더 [7]많이 발생한다.
기능.
코넥신은 세포 [8]간에 이온과 작은 분자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갭 접합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모이는 막 스판 단백질이다.커넥신 단백질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GJB2를 [9]참조한다.
멜라노사이트 세포에서 GJB1 유전자 발현은 MITF에 [10]의해 조절될 수 있다.
진
인간 GJB1 단백질을 코드하는 유전자는 X염색체의 q13.1 위치에 있는 긴 팔에서 염기쌍 71,215,[5][8]212에서 염기쌍 71,225,215까지 8 간격으로 발견된다.
돌연변이
GJB1 유전자 내에서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약 400개의 X형 샤르코 마리 투스가 확인되었으며, 이 [11][12]질병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유전자이다.이러한 돌연변이의 대부분은 단백질 사슬 내에서 단 하나의 아미노산만 변화시켜 다른 단백질이 생성된다.GJB1 유전자 내의 돌연변이는 신규, 미스센스, 더블 미스센스, 아미노산 삭제, 넌센스, 프레임 시프트, 프레임 내 결실/[6][7][8][13]삽입으로 구성된다.이러한 돌연변이는 가장 일반적으로 잘못 작용하고, 덜 효과적으로, 더 빨리 분해되거나, 적절한 수가 존재하지 않거나, 전혀 기능하지 않을 수 있는 단백질을 야기합니다.
구조.
GJB1 유전자의 길이는 약 10kb이며, 1개의 코드 엑손과 3개의 비코드 엑손이 있다.GJB1은 238개의 아미노산을 [7]가진 갭 접합, 베타 1 단백질 또한 코넥신 32로 식별된다.이 단백질은 조립될 때 갭 접합을 형성하는 4개의 막 통과 도메인을 포함합니다.각각의 갭 접합은 2개의 헤미채널(접속)로 구성되며, 이들 갭 접합은 6개의 코넥신 분자(갭 접합 트랜스막 단백질)[7][8]로 구성된다.이것은 방사상 확산 경로를 통해 Schwann 세포핵과 [7]축삭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기능.
GJB1은 [7]세포 간에 영양소, 이온 및 소분자의 전달과 확산을 가능하게 하는 방사형 확산 경로로 기능합니다.GJB1 단백질은 간,[6][8] 신장, 췌장 그리고 신경계를 포함한 많은 장기에서 발견됩니다.정상적인 상황에서 이 단백질은 슈반 세포와 신경계의 특수 세포인 올리고덴드로사이트의 세포막에 위치한다.[8][14]이 세포들은 일반적으로 미엘린의 조립과 보존에 관여하는 신경을 캡슐화하여 신경신호의 신뢰성과 신속한 전달을 보장한다.[8][14]일반적으로 GJB1 단백질은 미엘린을 통해 내부 Schwann 세포 또는 올리고덴드로사이트로 채널을 형성하여 효과적인 운송과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한다.[8][14]
X형 샤르콧마리투스병
X-연관 Charcot-Marie-Tooth병(CMTX)[14]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약 400개의 GJB1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확인되었다.CMTX는 주로 근육 약화 및 감각 문제와 관련된 증상과 함께 분류되며,[8] 특히 팔다리의 끝부분에서 나타난다.CMTX는 CMT의 두 번째로 흔한 유형이며(전체 환자의 약 10%), X-연계 우성 [7]형질로 전염됩니다.변이된 GJB1 유전자의 남성 대 남성 전염의 결여와 헤테로 접합 여성과 반 접합 남성의 중증도의 차이로 분류되며, 후자는 더 심각한 [11]영향을 받는다.
GJB1 유전자의 돌연변이의 대부분은 갭 접합(코넥신-32) 단백질의 단일 아미노산을 바꾸거나 변화시키지만, 일부는 불규칙한 [7][11][13][14]크기의 단백질을 야기할 수 있다.이러한 돌연변이의 일부는 CMTX [14]환자에서도 청력 손실을 일으킨다.현재는 GJB1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샤르코 마리 투스병의 이러한 특이적 특징을 어떻게 유도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원인은 신경세포의 [14]탈수에 의한 것으로 이론화되어 있다.그 결과 말초신경계의 신경전달속도가 늦어져 Schwann세포의 [14]정상기능에 이상이 생길 수 있다.
CMTX는 말초신경계에 더 일반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중추신경계의 [6][14]탈수증상이 있는 일부 사례가 보고되었다.이러한 이상 징후는 나타나지 않지만 신경 자극 및 영상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으며, GJB1 [14]유전자의 돌연변이를 통해서도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진단/테스트
역사적으로 CMTX는 증상이나 신경 자극의 속도 측정을 통해서만 진단될 수 있었다.유전자 검사 생성으로 CMTX 사례의 90%가 GJB1([11]Cx32)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사용하여 진단된다.환자의 CMTX 진단 후 가족 유전자 검사도 일반화되어 질병으로 고통 받고 있는 다른 가족 구성원을 추가로 확인하게 되었다.이 검사는 또한 유전자 [6][12][13]내의 새로운 돌연변이를 식별하기 위해 연구자들에 의해 체계적으로 사용된다.
관리
현재 CMTX는 불치병이며 대신 이 질환으로 인한 증상에 대해 환자를 평가하고 치료한다.치료는 재활치료, 정형외과와 같은 보조기기의 사용,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골격 기형 및 연조직 [11]이상에 대한 외과적 치료로 제한된다.가장 일반적으로 외과적 치료에는 골절제술, 연조직 수술(건 이식 포함) 및/[11]또는 관절 융접술이 포함된다.
유전자 상담
CMTX 유전의 특성으로 인해, 영향을 받은 남성들은 GJB1 유전자 돌연변이를 모든 여성 자녀들에게 전달하고 그들의 남성 자녀들 중 누구도 전달하지 않을 것이며, 반면에 보균자인 여성들은 각각의 [11]자녀들에게 돌연변이를 전달할 50%의 확률을 가질 것이다.유전자 검사의 발달로,[11] 돌연변이 유형이 확인되면 환자가 선택한 태아 검사와 임플란트 전 검사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유전자 검사 결과는 이 병이 그들의 자손에게 전염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c GRCh38: 앙상블 릴리즈 89: ENSG00000169562 - 앙상블, 2017년 5월
- ^ a b c GRCm38: 앙상블 릴리즈 89: ENSMUSG000047797 - 앙상블, 2017년 5월
- ^ "Human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 "Mouse PubMed Referenc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 ^ a b Corcos IA, Lafrenière RG, Begy CR, Loch-Caruso R, Willard HF, Glover TW (June 1992). "Refined localization of human connexin32 gene locus, GJB1, to Xq13.1" (PDF). Genomics. 13 (2): 479–480. doi:10.1016/0888-7543(92)90278-Z. hdl:2027.42/30018. PMID 1319395.
- ^ a b c d e 온라인 Mendelian In Man (OMIM) : 3040
- ^ a b c d e f g h Gonzaga-Jauregui C, Zhang F, Towne CF, Batish SD, Lupski JR (October 2010). "GJB1/Connexin 32 whole gene deletions in patients with X-linked Charcot-Marie-Tooth disease". Neurogenetics. 11 (4): 465–470. doi:10.1007/s10048-010-0247-4. PMC 4222676. PMID 20532933.
- ^ a b c d e f g h i Bergoffen J, Scherer SS, Wang S, Scott MO, Bone LJ, Paul DL, Chen K, Lensch MW, Chance PF, Fischbeck KH (December 1993). "Connexin mutations in X-linked Charcot-Marie-Tooth disease". Science. 262 (5142): 2039–2042. doi:10.1126/science.8266101. PMID 8266101.
- ^ "Entrez Gene: GJB1 gap junction protein, beta 1, 32kDa".
- ^ Hoek KS, Schlegel NC, Eichhoff OM, Widmer DS, Praetorius C, Einarsson SO, Valgeirsdottir S, Bergsteinsdottir K, Schepsky A, Dummer R, Steingrimsson E (December 2008). "Novel MITF targets identified using a two-step DNA microarray strategy". Pigment Cell & Melanoma Research. 21 (6): 665–676. doi:10.1111/j.1755-148X.2008.00505.x. PMID 19067971.
- ^ a b c d e f g h Pagon RA, Adam MP, Ardinger HH, Wallace SE, Amemiya A, Bean LJ, Bird TD, Ledbetter N, Mefford HC, Smith RJ, Stephens K, Bird TD (1993–2016). "GJB1 – gap junction protein, beta 1, 32kDa Homo sapiens". GeneReviews. PMID 20301548.
- ^ a b Takashima H, Bondurand N, Habermann H, Karadimas C, Szigeti K. "GJB1 - gap junction protein, beta 1, 32kDa, Homo sapiens". Wikigenes.
- ^ a b c Ressot C, Latour P, Blanquet-Grossard F, Sturtz F, Duthel S, Battin J, Corbillon E, Ollagnon E, Serville F, Vandenberghe A, Dautigny A, Pham-Dinh D (August 1996). "X-linked dominant Charcot-Marie-Tooth neuropathy (CMTX): new mutations in the connexin32 gene". Human Genetics. 98 (2): 172–175. doi:10.1007/s004390050183. PMID 8698335.
- ^ a b c d e f g h i j "GJB1 gene". Genetics Home Reference.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추가 정보
- Andrew L Harris; Darren Locke (2009). Connexins, A Guide. New York: Springer. p. 574. ISBN 978-1-934115-46-6.
- Latour P, Fabreguette A, Ressot C, Blanquet-Grossard F, Antoine JC, Calvas P, Chapon F, Corbillon E, Ollagnon E, Sturtz F, Boucherat M, Chazot G, Dautigny A, Pham-Dinh D, Vandenberghe A (1997). "New mutations in the X-linked form of Charcot-Marie-Tooth disease". European Neurology. 37 (1): 38–42. doi:10.1159/000117403. PMID 9018031.
- Bone LJ, Deschênes SM, Balice-Gordon RJ, Fischbeck KH, Scherer SS (1997). "Connexin32 and X-linked Charcot-Marie-Tooth disease" (PDF). Neurobiology of Disease. 4 (3–4): 221–230. doi:10.1006/nbdi.1997.0152. PMID 9361298.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9-03-08.
- Nelis E, Haites N, Van Broeckhoven C (1999). "Mutations in the peripheral myelin genes and associated genes in inherited peripheral neuropathies". Human Mutation. 13 (1): 11–28. doi:10.1002/(SICI)1098-1004(1999)13:1<11::AID-HUMU2>3.0.CO;2-A. PMID 9888385.
- Hattori N, Yamamoto M, Yoshihara T, Koike H, Nakagawa M, Yoshikawa H, Ohnishi A, Hayasaka K, Onodera O, Baba M, Yasuda H, Saito T, Nakashima K, Kira J, Kaji R, Oka N, Sobue G (January 2003). "Demyelinating and axonal features of Charcot-Marie-Tooth disease with mutations of myelin-related proteins (PMP22, MPZ and Cx32):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205 Japanese patients". Brain. 126 (Pt 1): 134–151. doi:10.1093/brain/awg012. PMID 12477701.
- Sato H, Hagiwara H, Ohde Y, Senba H, Virgona N, Yano T (March 2007). "Regulation of renal cell carcinoma cell proliferation, invasion and metastasis by connexin 32 gene". The Journal of Membrane Biology. 216 (1): 17–21. doi:10.1007/s00232-007-9020-5. PMID 17565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