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리 수도원

Jvari Monastery
이 수도원의 이름은 "십자의 수도원"으로 번역되었다. 같은 이름의 예루살렘에 있는 조지아 수도원은 십자가 수도원을 참조하십시오.
자바리 수도원
Georgia Jvari monastery IMG 9345 2070.jpg
자바리 수도원
종교
소속조지아 정교회
위치
위치조지아므츠케타
건축
유형교회
스타일테트라콘치
완료된서기 586-605년, 카틀리 왕 스테판 1세(이베리아)
높이(최대)25m
공식 이름: 므츠케타의 역사적 기념물
유형문화
기준iii, iv
지정된1994년(18회)
참조번호708
지역유럽

Jvari 수도원(Georgian: ჯვრისსსსს))))))))))은 조지아 주 동부 므츠케타 인근의 6세기 그루지야 정교회 수도원이다. 므츠케타의 다른 역사적 건축물들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Jvari는 오늘날까지 거의 변하지 않고 살아남은 중세 초기 조지아 교회의 드문 사례다. 교회는 그루지야와 아르메니아에 만연해 있는 그 유형의 교회 건축인 자바리 유형의 시조가 되었다. 자바리 산(656m a.s.l.)의 꼭대기에 세워진 이 수도원은 조지아 건축의 특징인 자연환경과의 조화로운 연결을 보여주는 사례다.

역사

자바리 수도원은 므트크바리아라크비 강이 합류하는 바위산 정상에 서 있는데, 이전에는 이베리아 왕국의 수도였던 므츠케타 마을이 내려다 보인다.

전통적 설명에 따르면 4세기 초 이베리아미리아 3세를 기독교로 개종시킨 공로를 인정받은 여성 전도사가 이교도 사원 자리에 큰 나무 십자가(혹은 덩굴)를 세웠다. 보도에 따르면 이 십자가는 기적을 행할 수 있었고 따라서 코카서스 전역에서 순례자들을 끌어 모았다. 구아람 1세 때인 c.545년 목십자 잔해 위에 작은 교회가 세워졌고, 북쪽에서는 여전히 본교회와 인접해 있는 '자바리의 작은 교회'라는 이름을 붙였다.

작은 교회는 대중적인 순례지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했으며, 현재의 건물, 즉 '자바리의 위대한 교회'는 일반적으로 과람의 아들 에리스마타바리 스테파노스 1세가 590년부터 605년 사이에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교회의 주요 건축가 스테파노스와 하파토스 데메트리오스, 하파토스 아다나세 등 교회의 주요 건축가들을 언급하는 자바리 비문에 바탕을 두고 있다. 시릴 투마노프 교수는 이러한 개인들을 각각 스테파노즈 2세, 데메트르(스테파노즈 1세의 형제), 아다르나세 2세(스테파노즈 2세의 아들)로 식별하면서 이러한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다.[1] 니노의 십자가는 교회 안에 남아 있었고, 원래의 자세는 여전히 여기서 찾을 수 있다.

914년 조지아에 대한 사자드 침공 때 아랍인들에 의해 교회가 불탔으나, 사소한 수리 작업만으로 겨우 살아남았다.

시간이 지날수록 자바리 콤플렉스의 중요성이 높아져 많은 순례자들이 몰려들었다. 중세 말기에, 이 단지는 돌담과 문으로 요새화되었고, 그 성벽의 잔재는 여전히 남아 있다. 소비에트 시대에는 교회를 국가 기념물로 보존하였으나, 인근 군사 기지의 삼엄한 경비로 접근이 어렵게 되었다. 조지아 독립 이후, 그 건물은 활발한 종교적인 용도로 복원되었다. Jvari는 1994년 Mtskheta의 다른 유적들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그러나 수세기 동안 이 구조물들은 비와 바람의 침식과 부적절한 유지보수로 인해 피해를 입었다. Jvari는 세계기념물기금에 의해 2004년 세계기념물시계 목록에 등재되었다.

건축

자바리 수도원 남동쪽에서 보기

자바리 교회는 서쪽의 전면이 거의 절벽 위에 걸려 있는 벼랑 바로 그 여백 위에 세워져 있었는데, 거기서 그것은 통제된 벽에 의해 강화되었다. 그 절은 분명 건축가의 계획이었던 산에서 자라나는 것처럼 보인다. Jvari는 건축과 자연과의 조화 관계의 가장 좋은 예 중 하나이다.[2]

그것은 북쪽과 남쪽으로부터 두 개의 입구를 가지고 있다. 이 건물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길게 뻗은 십자가 모양을 하고 있으며, 각 팔은 반원뿔형으로 끝이 나 있다.[3] 자바리 교회는 "4개의 틈새가 있는 4개 교회"[4]의 초기 사례다. 4개의 유인원 사이에 3/4 원통형 틈새가 있어 중심공간에 개방되어 있으며, 3열로 늘어선 스퀴치를 통해 사각형 중앙만에서 돔 드럼 베이스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며, 이는 그 시대의 건축적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아랫줄은 네 개의 큰 스퀴치로 이루어져 있고, 두 개의 작은 스퀴치 윗줄과 마지막으로 32개의 면으로 이루어져 돔을 잡고 있다. 따라서 돔은 이후의 교회들처럼 기둥에 놓여 있지 않고 벽에 놓여 있어 교회 높이가 25m도 안 되지만 하나의 전체 공간과 큰 크기의 환상을 만들어낸다. 주요 공간과 네 개의 작은 공간 사이에 높은 전이적 틈새의 존재는 큰 공간과 작은 공간의 대비를 줄이고자 했던 건축가의 또 다른 수법이다.[5] 자바리 교회는 그루지야 건축이 더욱 발전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으며 다른 많은 교회의 모범이 되었다.

교회 안의 돔과 움푹 패인 자들의 모습

이 건물의 주요 요소인 돔에는 8면 투루베이트가 있다. 내부 중앙 부근의 돔 아래에는 8각형의 중요한 예술적 덧셈으로 둘러싸인 포스테이먼트가 서 있는데, 원래는 니노의 십자가 밑면에 있었으나, 지금은 새로운 나무 십자가를 들고 있다. 유인원 사이의 네 개의 원통형 틈새로 네 개의 방으로 이어진다: 동쪽에는 두 개의 방, 제단과 성찬이 있고 서쪽에는 두 개의 방, 통치자(북서쪽)와 여성(남서쪽)을 위한 기도실이 있다. 후자실 위에 쓰여진 글은 그것의 건설이 알려지지 않은 티미스티아에 의해 자금 지원을 받았음을 보여준다. 그것은 또한 그리스도의 승천에 대한 묘사와 함께 평평한 안도감을 가지고 있다. 내부 벽은 원래 애슐러로 덮여 있다가 나중에 도배되고 프레스코로 칠해져 있었는데, 그 중 거의 남아 있지 않았다.

자바리 수도원 남쪽 입구 위로 바스 릴리프된 십자가의 승천

헬레니즘사산파의 영향을 받은 다양한 기저부완 조형물들이 외관상 관측 가능한 동부와 남부 파사드를 장식하고 있으며, 그 중 일부는 그루지야 아솜타브룰리 대본에 설명문구를 곁들였다. 남쪽 파사드의 입구는 십자가의 미화라는 안도감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같은 파사드는 초기 기독교 예술에서 다소 보편적인 주제인 그리스도의 승천도 보여준다. 전통적인 볼리시 십자가인 십자가는 두 천사가 들고 있다. 북부 파사드는 이전에 지어진 작은 교회로 폐쇄되어 있으며, 멀리서도 보이는 서쪽은 장식되지 않았다. 동쪽 정면의 각 창에는 장식용 손잡이가 달려 있다. 동부 아피스의 세 면에는 각각 통치자와 귀족을 묘사한 기저귀가 있다. 왼쪽에는 스테파노스 1세의 동생 데메테르가 보인다. 중심에는 그리스도의 앞에서 스테파노스 1세를 묘사하고 있는데, 이 역시 글에 설명되어 있다. 오른쪽 바스리프에는 아드르네레스(Adrnerse the Hypatos)가 아들과 함께 있고, 가브리엘마이클이 하늘을 나는 대천사가 있지만, 정체는 불분명하고, 일부는 아다나세 1세 또는 아다나세 2세와 연결된다. 스테파노스 2세그리스도 앞에 두고 있는 또 다른 기저 구제책이 남부 압시스에서 발견된다. 아마도 툴로베이트의 남쪽 면에는 무릎 꿇은 모습인 교회 건축가가 그려져 있을 것이다.

동부의 장식품: 노브와 바스 릴리프

구아람의 작은 교회는 일반적으로 4각형이며, 내부는 십자형으로 되어 있다. 북쪽으로부터 포탈로 연결되며, 이곳과 남쪽으로부터 교회로 들어가는 입구가 있다. 교회 벽은 잘 가공된 블록으로 덮여 있다. 소라에는 모자이크 처리가 되어 있었지만 조각만 남아 있을 뿐이다. 장식된 틈새는 조지아의 카톨리코스를 위한 것이다. 남쪽 입구는 수도에 장식 잎을 달아 장식하였다. 두 교회를 연결하는 포탈도 있다.

수도원 단지는 탑이 있는 벽의 잔재로 둘러싸여 있다. 대문이 있는 입구는 동쪽에서부터였다.

교회가 건립된 날짜에 대한 불확실성과 논쟁은 그루지야와 아르메니아에서 민족주의적인 언더톤을 가졌으며, 그 상은 국가가 "4개의 틈새 교회" 형태를 발명했다고 주장할 수 있는 상이다.

위협

침식은 그 수도원의 돌덩어리가 바람과 산성비에 의해 퇴화되는 등 수도원을 악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6]

갤러리

메모들

  1. ^ Rapp, Stephen H. (2003) 중세 조지아 역사학의 연구: 초기 문헌과 유라시아 문맥, 페이지 344. 피터 브바 ISBN90-429-1318-5.
  2. ^ Джанберидзе Н., Мачабели К. (1981) Тбилиси. Мцхета. м코바사: иуура, 255 c. (러시아어)
  3. ^ Закарая, П. (1983) Памятники Восточной Грузии. иуу оооо, мооа, 376 сааа. (러시아어)
  4. ^ J-M. 티에리 & P. 도나베디안, "Armenian Art" p67.
  5. ^ Джанберидзе Н., Мачабели К. (1981) Тбилиси. Мцхета. м코바사: иуура, 255 c. (러시아어)
  6. ^ ICOMOS Heritage at Risk 2006/2007: Mtskheta의 Javar (Holy Cross) 수도원

참조

  • 아바시제, 이라크리. 에드 조지아 백과사전 제9권 조지아주 트빌리시: 1985년.
  • ALTER, 알렉산드르. 라 크로이제 데 템스. 에딜리버 출판물: 파리, - (노벨)- 2012. ISBN 978-2-332-46141-4
  • 아미라시빌리, 샬바. 조지아 예술의 역사. 켈로브네바: 조지아주 트빌리시: 1961년.
  • Джанберидзе Н., Мачабели К. (1981) Тбилиси. Мцхета. м코바사: иуура, 255 c. (러시아어)
  • 그리골 칸텔리. 조지아의 연대기.
  • Закарая, П. (1983) Памятники Восточной Грузии. иуу оооо, мооа, 376 сааа. (러시아어)
  • 로젠, 로저 조지아: 코카서스의 소버린 국가. Odyssey 출판물: 홍콩, 1999. ISBN 962-217-748-4

외부 링크

좌표: 41°50′19″n 44°44′02″E / 41.83861°N 44.73389°E / 41.83861; 44.73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