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크니 교회
Lykhny Church리크니 교단 ლინისსს ( ((조지아에서) лынтиии ( ( ((아브하즈어) | |
---|---|
![]() 리크니 교단 | |
종교 | |
소속 | 조지아 정교회 |
주 | 압하지아[1] |
위치 | |
위치 | ![]() |
지리 좌표 | 43°08′23″N 40°37′04″E/43.13972°N 40.61778°E좌표: 43°08′23″N 40°37′04″E / 43.13972°N 40.61778°E/ |
건축 | |
유형 | 교회 |
완료된 | 10세기 |
리크니 교단(Georgian: ლიხისსსძ, Abkhazian: и:иуәәә,)))))))ааа) 10 century))))))))))))))))))))))ааааааааааа)은 10세기에 지어진 리크니 마을의 중세 정교 기독교 교회다.[2]
역사
그것의 14세기 프레스코화는 현대 비잔틴 미술의 영향을 받아 십여 개의 그루지야와 그리스 비문들로 장식되었다.
리크니 교회는 돔 형태의 사각형 교차 설계로, 잘 정제된 아슐라 돌로 일직선으로 지어졌다.낮은 북과 경사진 지붕을 가진 작은 돔은 자유롭게 서 있는 네 개의 교각들을 기반으로 한다.[3]건물의 서쪽 부분에는 상부 갤러리가 있다.전면은 단순하고 창문이 뚫려 있으며 동쪽 벽에서 돌출된 3개의 유인물로 표시되어 있다.10~11세기 벽화의 흔적이 남아 있지만 프레스코화의 현존하는 주기는 14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다소 길쭉한 인간의 모습을 가지런히 채색하고 역동적이며 표현력이 풍부한 그림들이 특징이다.[4][5]
당시 수크수라고도 알려진 리크니의 고대 유물들은 1848년 프랑스의 학자 마리 펠리시테 브로셋에 의해 처음 연구되고 출판되었는데,[6] 그는 리크니 교회에서 나온 중세 조지아어와 그리스어 비문 몇 개를 베꼈다.주목할 만한 것은 아솜타브룰리 문자에서 조지아 비문인데, 1066년 조지아 바그라트 4세 시대에 핼리 혜성의 유령을 다룬 것이다.[4][5]
보존을 위한 노력은 사실상의 아브하스 당국에 의해 2010년에 시작되었다.조지아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 작품들은 진정성 침해의 위험을 안고 있다고 한다.Lykhny 교회는 조지아의 국가 중요 기념물 목록에 새겨져 있다.[5]
참조
위키미디어 커먼즈 리키니 교회 관련 매체
- ^ 압하지아는 압하지아 공화국과 조지아 사이의 영토 분쟁의 대상이다.압하지아 공화국은 1992년 7월 23일 일방적으로 독립을 선언했지만 그루지야는 계속 자국 영토의 일부로 주장하고 러시아가 점령한 영토로 지정하고 있다.압하지아는 유엔 회원국 193개국 중 7개국으로부터 독립국가로 공식 인정을 받았으며, 그 중 1개국이 이후 인정을 철회했다.
- ^ 리크니 마을의 교회 압하지아의 역사적 기념물 - 압하지아 자치 공화국의 정부.
- ^ Dzhanberidze, Nodar; Tsitsishvili, Irakli (1996). Architectural Monuments of Georgia. Stroyizdat. p. 11. ISBN 5274022235.
- ^ a b Constantinides, Efthalia C. (2007). "Wall Paintings in the Church of the Dormition of the Virgin at Lykhne, Abkhazia, Western Georgia". Images from the Byzantine Periphery: Studies in Iconography and Style. Alexandros Press. pp. 232–233. ISBN 978-9080647671.
- ^ a b c Gelenava, Irakli, ed. (2015). Cultural Heritage in Abkhazia (PDF). Tbilisi: Meridiani. pp. 34–37.
- ^ Brosset, Marie-Félicité (1851). Rapports sur un voyage archeologique dans la Georgie et dans l'Armenie, execute en 1847-1848 (in French). St.-Petersbourg: Impr. del'Acad. des sciences. p.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