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비 대성당

Mokvi Cathedral
목비 대성당
მოქვის ეკლესია
Mokva cathedral.jpg
목비 대성당
종교
소속조지아 정교회
오참치라 구
지역코카서스
위치
위치조지아 오참치라 지구 모크비/아브하지아
Mokvi Cathedral is located in Georgia
Mokvi Cathedral
조지아 주 내에서 표시됨
Mokvi Cathedral is located in Abkhazia
Mokvi Cathedral
목비 대성당(아브하지아)
지리 좌표42°50′06″N 41°30′28″e/42.835°N 41.507778°E/ 42.835; 41.507778좌표: 42°50′06″N 41°30′28″E / 42.835°N 41.507778°E / 42.835; 41.50777878
건축
스타일조지아 대성당
완료된10세기 압하지아레오 3세 시대
1

모크비 대성당(Georgian: მქვისს სსსა)))은 사실상의 독립국인 압하지아 공화국오참치라 구역있는 목비에 위치한 그루지야 정교회 성당으로, 국제적으로 그루지야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목비성당은 압하지아 왕 레오 3세 때인 10세기 3/4분기에 지어진 5개의 해군으로 구성되어 있다.비확장 비문(비록 1659년 목비를 방문한 예루살렘의 도시테오스 2세 총대주교가 발견)에 따르면 이 교회는 알렉시오스 1세 콤네노스조지아 주의 다비드 4세 시대에 그려졌다.[2]가톨릭의 압하지아 목비에서는 적어도 17세기까지는 주교의 자리였다.[2]

역사적 - 건축적 설명

수세기에 걸쳐 목비는 그루지야 문화의 중요한 중심지로서, 원고를 베껴 쓰고 오래된 대구를 개조하였다.현재까지 보존된 것은 목비 교회 도서관의 필사본으로 목비에서 활동 중인 사람들의 이름이 적혀 있다.특별한 의의와 예술적 가치가 있는 목비 고적 중에는 1300년 대니얼 목벨리(목비 비숍)가 의뢰한 유명한 목비 4복음서가 있다.이처럼 방대한 문화 활동의 중심지인 목비교회도 비문비가 풍부했다.그러나 현재는 목비 종탑에 새겨진 글귀만 보존되어 있다.

모크비 에파제는 10세기에 성립되었으나, 모크비는 그루지야 문화의 가장 중요한 중심지 중 하나로 13세기 이후부터 특별한 면모를 경험했다.그루지야 문학 출처는 그리골 목벨리, 다니엘 목벨리, 아브라함 목벨리, 에프트비메 사카렐라이드제, 필리페 체헤티제 등 그루지야 문화에 기여한 공로가 저평가되기 어려운 목비 주교들의 이름을 보존해 왔다.

목비교회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건축가 다비드 4세(1089~1125) 때 실질적으로 개축되어 그렸으나, 현재 교회에는 이 벽화의 흔적이 남아 있지 않다.1980년대에, 15세기 것으로 추정되는 벽화 조각들과 수많은 다른 그루지야 비문들이 이곳에서 발견되었다.

이 교회는 네모난 돔 모양의 교차 교회로, 해군을 따라 채플이 교회는 정사각형 모양의 돔형 교회다.동쪽에는 3개의 유인원이 돌출되어 있다.제단의 가운데 apse는 안쪽에서 생긴 말발굽으로, 바깥쪽에는 다섯 개의 면이 있다.돔은 건물 중앙에 있는 네 개의 기둥 위에 세워져 있다.돛은 사각형에서 돔 넥으로 이동하는 방법이다.돔의 12면 목은 낮다.그 건물은 돌로 장식되어 있다.정면은 장신구 없이 단순하다.매끄러운 표면은 개구부의 행에 의해 두 개의 층으로 나뉜다.

참조

  1. ^ 압하지아압하지아 공화국조지아 사이의 영토 분쟁의 대상이다.압하지아 공화국은 1992년 7월 23일 일방적으로 독립을 선언했지만 그루지야는 계속 자국 영토의 일부로 주장하고 러시아점령한 영토로 지정하고 있다.압하지아는 유엔 회원국 193개국7개국으로부터 독립국가로 공식 인정을 받았으며, 그 중 1개국이 이후 인정을 철회했다.
  2. ^ a b Акты собранные Кавказскою Археографическою Комиссиею (Acts of Caucasian Archeographic Commission), v. 5, pp. 1056-1057, cited byЭкзеков, Мусса (2012). По обе стороны Большого Кавказа. Сборник документов (1-я половина XIX века). Том II. Питер. pp. 570–572. ISBN 9785459008906.

온라인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