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미부딘

Lamivudine
라미부딘
2
임상 데이터
상호에피비르, 에피비르-HBV, 제픽스, 기타[1]
기타 이름(-)-L-2µ, 3µ-디데옥시-3µ-티아시티딘
AHFS/Drugs.com모노그래프
Medline Plusa696011
라이선스 데이터
임신
카테고리
  • AU: B3
루트
행정부.
입으로
ATC 코드
법적 상태
법적 상태
약동학 데이터
바이오 어베이러빌리티86%
단백질 결합36 % 미만
반감기 제거5~7시간
배설물신장(70%)
식별자
  • 2', 3'-디옥시-3'-디옥시티딘
    4-아미노-1-[(2R,5S)-2-(히드록시메틸)-1,3-옥사티오란-5-일]-1,2-디히드로피리미딘-2-온
CAS 번호
PubChem CID
드러그뱅크
켐스파이더
유니
케그
첸블
NIAID 화학DB
PDB배위자
CompTox 대시보드 (EPA )
ECHA 정보 카드100.132.250 Edit this at Wikidata
화학 및 물리 데이터
공식C8H11N3O3S
몰 질량229.25g/140−1
3D 모델(JSmol)
  • O=C1/N=C(/N)\C=C/N1[C@@H]2O[C@@H](SC2)CO
  • InChI=1S/C8H11N3O3S/c9-5-1-2-11(8)10-5)6-4-15-7(3-12)14-6/h1-2,6-7,12H,3-4H2,(H2,9,10/136)
  • 키: JTEGQNOMFQHVDC-RQJHMYQMSA-N checkY
☒NcheckY (이게 뭐죠?) (표준)

흔히 3TC라고 불리는 라미부딘은 HIV/[1]AIDS를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항레트로바이러스제이다.그것은 또한 다른 선택이 [1]불가능할 때 만성 B형 간염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된다.HIV-1HIV-2 [1]모두에 효과가 있습니다.일반적으로 디도부딘아바카비르[1]같은 다른 항레트로바이러스제와 함께 사용된다.라미부딘은 HIV에 [1]잠재적으로 노출된 사람들의 노출예방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라미부딘은 액체나 [1]알약으로 입으로 섭취된다.

일반적인 부작용으로는 메스꺼움, 설사, 두통, 피로감, [1]기침 등이 있다.심각한 부작용으로는 간질환, 젖산증,[1] B형 간염 악화 등이 있다.생후 3개월 이상의 사람에게 안전하며 [1]임신 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그 약은 [1]음식과 함께 복용하거나 음식 없이 복용할 수 있다.라미부딘은 뉴클레오시드의 역전사효소 억제제이며 HIV 역전사효소 및 B형 간염 바이러스 [1]중합효소를 차단하여 작동합니다.

라미부딘은 1995년에 특허를 받았으며 [6][7]1995년에 미국에서 사용이 승인되었다.그것은 세계보건기구의 필수 [8]의약품 목록에 있다.제네릭 [1]의약품으로 구입할 수 있습니다.

의료 용도

라미부딘(Epivir)은 HIV-1 [2][4]감염 치료를 위해 다른 항레트로바이러스제와 함께 투여된다.라미부딘(Epivir HBV)은 B형 간염 바이러스 복제 및 활성 [3][5]간염의 증거와 관련된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치료에 사용된다.

라미부딘은 HIV/AIDS 치료보다 낮은 용량으로 만성 B형 간염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e-항원 양성 B형 간염의 혈청 변환을 개선하고 간의 조직학적 단계도 개선합니다.라미부딘의 장기 복용은 저항성 B형 간염 바이러스(YMDD) [9]돌연변이의 출현으로 이어진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라미부딘은 [10]잘 견디기 때문에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저항

HIV에서 고레벨 저항은 에모리 대학의 레이먼드 친나지 그룹이 보고한 역전사효소 유전자의 M184V/I 돌연변이와 관련되어 있다.글락소스미스클라인은 라미부딘 치료를 계속하면 HIV 바이러스 부하가 반등하지만 훨씬 낮은 수준으로 회복되고, 라미부딘을 제거하면 M184V 돌연변이의 빠른 손실과 함께 높은 바이러스 부하 반등이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M184V 돌연변이가 "바이러스 적합성"을 감소시킨다고 주장했다.내성 바이러스가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내성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라미부딘 치료를 지속하는 데 적합하다.COLATE 연구는 라미부딘 [11]내성을 가진 환자들에게 라미부딘 치료를 계속하는 것이 유익하지 않다는 것을 시사했다.데이터에 대한 더 나은 설명은 라미부딘이 M184V [original research?]돌연변이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부분적인 항바이러스 효과를 지속한다는 것이다.

B형 간염에서는 HBV 역전사효소 유전자의 YMDD(티로신-메티오닌-아스파르트산-아스파르트산) 궤적에서 라미부딘 내성이 최초로 기술되었다.HBV 역전사효소 유전자는 344개의 아미노산 길이로 바이러스 게놈의 코돈 349~692개를 차지한다.가장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저항 돌연변이는 M204V/I/[12]S입니다.아미노산 배열이 YMDD에서 YIDD로 변화함에 따라 역전사효소의 오류율이 3.2배 감소하여 바이러스의 현저한 성장 단점과 관련이 있다.다른 저항 돌연변이는 L80V/I, V173L 및 L180M입니다.[13]

부작용

  1. 가벼운 부작용으로는 메스꺼움, 피로, 두통, 설사, 기침, 코막힘 등이 있을 수 있다.
  2. 엠트리시타빈을 복용하는 환자에게 라미부딘/지도부딘, 아바카비르/라미부딘 또는 아바카비르/라미부딘/지도부딘을 처방하지 마십시오.
  3. 라미부딘의 장기 복용은 저항성 B형 간염 바이러스(YMDD) 돌연변이를 일으킬 수 있다.
  4. 라미부딘에 감염된 HIV나 HBV에 감염된 여성들은 모유 수유를 중단하라는 경고를 받는다.이는 아기가 HIV 전염과 약물 부작용의 위험에 처하게 하기 때문이다.
  5. HIV와 HCV감염되어 간섭제와 라미부딘제를 복용하고 있는 환자는 간 손상을 겪을 수 있다.
  6. 이 약은 기회주의 감염(예: 마이코박테륨 아비움 복합체[MAC], 결핵,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CMV], 기흉성 지로베키[이전 P. carini])에 대한 염증 반응을 촉발할 수 있다.
  7. 자가면역장애보고되었으며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 개시 후 수개월 후에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8. 신장 기능이 손상된 환자에게는 주의하여 사용하고 간 기능이 손상된 환자에게는 이 치료를 처방하지 마십시오.

작용 메커니즘

라미부딘은 시티딘유사물이다.그것은 HIV 역전사효소(1과 2)와 B형 간염 바이러스의 역전사효소(1과 2)를 모두 억제할 수 있다.그것은 바이러스 DNA로의 통합을 위해 경쟁하는 활성 대사물로 인산화된다.그것들은 경쟁적으로 HIV 역전사효소 효소를 억제하고 DNA 합성의 연쇄 종단자 역할을 한다.통합된 뉴클레오시드 유사체에 3'-OH기가 부족하여 DNA 사슬 연장에 필수적인 5'~3' 포스포디에스테르 결합의 형성을 방해하고, 따라서 바이러스 DNA 성장이 중단된다.

라미부딘은 경구 투여되며 80% 이상의 생체 가용성으로 빠르게 흡수된다.일부 연구에 따르면 라미부딘은 혈액-뇌 장벽을 넘을 수 있다.라미부딘은 종종 시너지 효과가 높은 디도부딘과 함께 투여된다.라미부딘 치료는 이전에 저항성이 있던 HIV의 디도부딘 감수성을 회복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라미부딘은 사람에게 [2]사용된 용량보다 10배에서 58배 용량에서 생쥐와 랫드의 생체 내 연구에서 발암성 또는 돌연변이 유발성의 증거를 보이지 않았다.

성인의 경우 5-7시간, HIV에 감염된 어린이의 경우 2시간의 반감기를 가진다.

역사

Racemic BCH-189(마이너스 형태는 라미부딘으로 알려져 있음)는 1988년 McGill University에서 일하던 중 Bernard Belau와 Montreal에 기반을 둔 IAF BioChem International, Inc. 연구소에서 Paul Nguyen-Ba에 의해 발명되었으며 1989년에 분리된 마이너스 에노머에 의해 분리되었습니다.[14]독성에 대한 연구를 위해 예일 대학의 Yung-Chi Cheng에게 샘플이 처음 보내졌다.AZT와 함께 사용했을 때, 그는 라미부딘의 음성 형태가 부작용을 감소시키고 역전사 [15]효소를 억제하는 약물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라미부딘과 AZT의 조합은 HIV가 유전자 물질을 번식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효소를 억제하는 효율성을 증가시켰다.그 결과, 라미부딘은 다른 레트로바이러스 [16][17]약물보다 미토콘드리아 DNA에 덜 독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라미부딘은 1995년 11월 17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의해 디도부딘(AZT)과 함께 사용하도록 승인되었고, 2002년에는 하루에 한 번 복용하는 의약품으로 다시 승인되었다.그것은 세계보건기구의 필수 [8]의약품 목록에 있다.

제제

레퍼런스

  1. ^ a b c d e f g h i j k l m "Lamivudine". The Americ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une 2016. Retrieved 31 July 2016.
  2. ^ a b c "Epivir- lamivudine tablet, film coated Epivir- lamivudine solution". DailyMed. 1 August 2020. Retrieved 28 November 2020.
  3. ^ a b "Epivir HBV- lamivudine tablet, film coated Epivir HBV- lamivudine solution". DailyMed. 17 August 2020. Retrieved 28 November 2020.
  4. ^ a b "Epivir EPAR". European Medicines Agency (EMA). Retrieved 29 November 2020.
  5. ^ a b "Zeffix EPAR". European Medicines Agency (EMA). Retrieved 28 November 2020.
  6. ^ Therapy of Viral Infections Volume 15 of Topics in Medicinal Chemistry. Springer. 2015. p. 6. ISBN 978366246759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8-15.
  7. ^ Fischer, Jnos; Ganellin, C. Robin (2006). Analogue-based Drug Discovery. John Wiley & Sons. p. 506. ISBN 9783527607495.
  8. ^ a b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25771. WHO/MVP/EMP/IAU/2019.06. License: CC BY-NC-SA 3.0 IGO.
  9. ^ Cane PA, Mutimer D, Ratcliffe D, Cook P, Beards G, Elias E, Pillay D (1999). "Analysis of hepatitis B virus quasispecies changes during emergence and reversion of lamivudine resistance in liver transplantation". Antiviral Therapy. 4 (1): 7–14. PMID 10682123.
  10. ^ Kasırga E (April 2015). "Lamivudine resistance in children with chronic hepatitis B". World Journal of Hepatology. 7 (6): 896–902. doi:10.4254/wjh.v7.i6.896. PMC 4411531. PMID 25937866.
  11. ^ Fox Z, Dragsted UB, Gerstoft J, et al. (2006). "A randomized trial to evaluate continuation versus discontinuation of lamivudine in individuals failing a lamivudine-containing regimen: The COLATE trial". Antiviral Therapy. 11 (6): 761–70. PMID 17310820.
  12. ^ "Index".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7-01. Retrieved 2010-07-23. 스탠포드 대학의 약물 내성 데이터베이스입니다.
  13. ^ Koziel MJ, Peters MG (2007). "Viral hepatitis in HIV infection". N Engl J Med. 356 (14): 1445–54. doi:10.1056/NEJMra065142. PMC 4144044. PMID 17409326.
  14. ^ "Hunting Down HIV".
  15. ^ "US Patent Office" (PDF).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016-06-16.
  16. ^ Soderstrom, Jon (2003).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Moving Research from the Bench to the Bedsid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3-04.
  17. ^ Gilden, Dave (2000). "The Wide-Ranging Effects of Nucleoside Analogs:A Look at Mitochondrial Toxici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9-16.

외부 링크

  • "Lamivudine". Drug Information Portal.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