뤄족

Luo peoples
루오
LuoLocation.png
동아프리카의 루오 지역
총인구
18,596,000
인구가 많은 지역
동아프리카:에티오피아, 케냐, 우간다, 탄자니아, 남수단, 콩고(DRC)
종교
기독교
루오족 지도

루오족(Loo라고도 함)은 이집트, 수단, 남수단, 에티오피아, 우간다 북부콩고 동부, 케냐 서부, 탄자니아의 마라 지역걸쳐 거주하는 민족언어적으로 관련된 여러 민족 집단이다.그들의 뤄어족나일어족서부 어족에 속한다.

남수단의 루오족에는 실루크족, 아누악족, 파리족, 아콜리족, 발란다 부어족, 투리족, 루우가 포함된다.우간다에는 알루르, 아콜리, 쿠맘, 파돌라가 있다.케냐와 탄자니아에 있는 것은 졸루오입니다.

졸루오와 그들의 언어인 도루오는 케냐에 기반을 둔 관찰자들에 의해 "루오 고유어"로 알려져 있지만, 그들의 방언은 다른 언어들보다 더 많은 반투 차용어를 가지고 있다.이들 집단 간의 역사적 분리의 수준은 약 8세기로 추정된다.남수단의 핵심 지역인 닐로트족으로부터의 분산은 무슬림[1][2]수단 정복의 혼란으로 촉발된 것으로 추정된다.지난 몇 세기 동안의 개별 집단의 이동은 각 집단의 구전 역사에서 어느 정도 추적할 수 있다.

수단의 기원

남수단의 신루크족
신루크 왕국(노란색) c. 1800년

루오족은 나일족의 한 집단이다.닐로테스 가문은 [3]기원전 3천년 무렵에 동수단 가문의 다른 구성원들과 분리되었다.나일어족 내에서 Luo는 서양 [4]그룹의 일부를 형성한다.

뤄(o)에서는 북방과 남방 그룹이 구별된다.도루오는 남루족의 일부입니다.북부 루오는 주로 남수단에서 쓰이고 남부 루오어군은 서기 2천년의 초기 수세기에 바흐 엘 가잘 지역에서 남쪽으로 이주했다.

북루(北 division)의 또 다른 분열은 뤄(o)의 [5]구전 역사에 "전통적인 전통"에 기록되어 있다: 신룩(또는 천로) 국가의 기초 인물은 약 15세기 중반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니캉고라는 족장이었다.그는 형과 싸운 후 나일강을 따라 북상하여 봉건사회를 구축하였다.파리족은 니캉고를 [6]거부한 집단에서 유래했다.

에티오피아

[필요한 건]

에티오피아 딤마의 아누아크 소녀들

아누아크족은 에티오피아 남서부 지역의 둑과 강을 따라 마을이 흩어져 있는 루오족이며, 다른 사람들은 남수단의 국경을 넘어 바로 살고 있다.이 사람들의 이름은 또한 Anyuak, Agnwak, Anywaa로 철자되어 있다.남수단의 아누아크족은 평평하고 사실상 나무가 없는 초원 지역에 살고 있다.장마철에는 이 지역이 홍수를 일으키기 때문에, 그 대부분은 깊은 물이 흐르는 다양한 수로로 습지가 된다.

감벨라 저지대에 사는 아누아크족은 루오족이다.그들은 현 에티오피아 정부의 침해를 고발했다.정부의 탄압은 아누아크족의 교육, 의료 및 기타 기본 서비스에 대한 접근과 이 지역 개발의 기회를 제한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아콜리족은 또한 남수단의 또 다른 루오족인 아콜리족이 현재 동부 적도 국가의 마그위 카운티라고 불리는 지역을 점령하고 있다.그들은 북우간다의 우간다 아콜리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남수단 아콜리는 2008년 인구조사에서 약 10,000명이었다.

우간다

우간다의 아콜릴란드
남수단의 아콜리 남성

1500년대에 라봉고 추장이 이끄는 비이토루오(Biito-Luo)로 알려진 뤄족의 소그룹(이싱고마 라봉고 루키디, 음푸가 루키디라고도 함)은 분요로 지역에 사는 반투어를 하는 민족과 마주쳤다.이들 뤄는 반투족에 정착하여 기타라 제국의 바흐베지 왕조를 대신하여 바비토 왕조를 세웠다.분요로 전설에 따르면, 분요로키타라의 바비토 왕가의 첫 번째 왕인 라봉고는 부간다의 초대 왕인 가토 기메라의 쌍둥이 형제였다.이들 뤄는 반투족 사회에 동화돼 언어와 문화를 잃었다.

18세기 후반에 루오어를 사용하는 다른 사람들이 현재의 남수단, 북우간다, 북동콩고를 포함하는 지역으로 이주하여 알루르, 조남, 아콜리를 형성하였다.

16세기 중엽에서 17세기 초 사이에 몇몇 루오족들은 동쪽으로 나아갔다.아드홀라라는 족장이 이끄는 파드홀라라고 불리는 한 집단은 우간다 동부의 부다마에 정착했다.그들은 이미 그곳에 정착한 반투족 이웃들의 공격에 대한 방어책으로 숲이 우거진 지역에 정착했다.이 스스로 강요된 고립은 반투와 아테커 공동체에서 그들의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한 분야를 더 나아간 사람들은 조카족과 조코위니였다.아작 뤄족은 카비론도 만으로 더 깊숙이 이주했다.그들의 후손은 오늘날의 조키스모와 조 카라츄요이다.조코위니는 Siaya 지역의 Alego의 Got Ramogi 또는 Ramogi 언덕 근처를 점령했다.오위니의 유적은 오늘날까지도 칸야볼리 호수 근처의 분구 오위니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주목할 만한 루오족은 Siaya 지역의 우게냐와 Gem 지역에 살았던 오몰로 루오족이다.마지막 이민자는 오몰로 루오족과 관련된 조 카거족이었다.오치엔 월작거(月 their their)는 1750년경 현재의 우겐야에 살고 있던 오미야(五ya)와 반투족(半,族)을 몰아내기 위해 뛰어난 군사력을 발휘하였다AD.

케냐와 탄자니아

케냐 엘도레트의 루오 무용수

약 1500년에서 1800년 사이에 다른 루오족들현재의 케냐로 건너갔고 결국 현재의 탄자니아로 건너갔다.그들은 빅토리아 호숫가에 살고 있었다.졸루오에 따르면, 약 500년 전, 라모기 아장이 그들을 현재의 케냐로 이끌었다.

우간다와 마찬가지로 케냐의 일부 비루아인들은 루아어를 채택했다.케냐반투수바족의 대다수는 제1언어로 도루오를 사용하며 대부분 동화되어 있다.

자신들을 졸루오라고 부르는 케냐의 루오족은 키쿠유족, 루하족, 칼렌진에 이어 케냐에서 네 번째로 큰 공동체이다.2017년에 그들의 인구는 610만 명으로 추정되었다.탄자니아에서는 (2010년) 약 1,980,000 [1]을 기록했다.케냐와 탄자니아의 루오족은 그들의 언어를 Dholuo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우간다, 남수단의 알루르, 아콜리, 쿠맘, 그리고 콩고의 조남 또는 알루르의 언어들과 상호 이해할 수 있다.

Luo(또는 Joluo)족은 전통적인 어민으로 어업 활동을 주로 한다.다른 문화 활동에는 13세에서 18세 사이의 어린 소년들을 위한 레슬링 (이 또는 다오) 콰스가 포함되었다.18세기 그들의 주요 라이벌은 랑고족, 하이랜드 닐로테족으로, 이들은 전통적으로 치열한 혈전을 벌였는데, 대부분은 가축을 훔치는 것에서 비롯되었다.

케냐의 루오족은 나일족이며 나일족과 관련이 있다.케냐의 루오족은 케냐에서 키쿠유족에 이어 네 번째로 큰 공동체이며 탄자니아의 형제들과 함께 동아프리카에서 두 번째로 큰 단일 민족 집단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는 Luo 조상을 공유하거나 Luo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이 포함됩니다.

주목받는 뤄족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Historic Mombasa - Kisumu". www.friendsofmombasa.com. Retrieved 2020-05-24.
  2. ^ "History Atlas". www.historyatlas.com. Retrieved 2020-05-24.
  3. ^ John Desmond Clark, 사냥꾼에서 농부까지: 아프리카 식품 생산의 원인과 결과, 캘리포니아 대학 출판부, 1984, 31페이지
  4. ^ 베스웰 오곶, 남부 루오의 역사: 제1권 이주와 정착.
  5. ^ 콘라딘 페르너, '하늘에 사는 지구', 제2권(1994년), 135쪽.
  6. ^ Simon Simonse, 재난의 왕: 수단 남동부의 이원주의, 중앙집권주의, 희생양브릴(1992년), 53페이지.
  7. ^ "세계에서 가장 원하는 젊은 선수"가디언 2004년 1월 28일2013년 8월 9일 취득.

추가 정보

  • Ogot, Bethwell A., Southern Luo의 역사: Volume I, Migration and Settlement, 1500-1900, (시리즈:동아프리카 사람들), 동아프리카 출판사, 나이로비, 1967년
  • 존슨 D., 남수단의 누어 사이의 역사와 예언, 박사논문, UCLA, 1980
  • Deng F.M. 두 세계의 아프리카인; 하르툼 아프로 아랍 수단의 딩카, 1978년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