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로네시아어족
Austronesian languages오스트로네시아어 | |
---|---|
민족성 | 오스트로네시아 민족 |
지리적 분배 | 말레이 반도, 해양 동남아시아, 마다가스카르, 동남아시아 본토 일부, 오세아니아, 이스터 섬, 대만 및 하이난(중국) |
언어분류 | 세계 주요 언어군 중 하나 |
조어 | 오스트로네시아조어 |
소분할 | |
ISO 639-2 / 5 | map |
글로톨로그 | aust1307 |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분포 |
오스트로네시아어족(/ˌəstrəniːn/)은 동남아시아, 마다가스카르, 태평양, 대만(대만 원주민)에서 널리 사용되는 언어족이다.아시아 [1]대륙에도 많은 화자들이 있다.그들은 약 3억8천6백만 명의 사람들에 의해 사용된다.이는 언어 사용자 수에서 5번째로 큰 어족이다.주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에는 말레이어(인도네시아어만 약 2억5000만~2억7000만 개), 자바어, 타갈로그어(필리피노어)가 있다.몇몇 추정에 따르면, 그 어족에는 1,257개의 언어가 있는데, 이것은 모든 어족 [2]중 두 번째로 많은 것이다.
1706년 네덜란드 학자 Adrian Reland는 말레이 군도에서 사용되는 언어와 태평양의 [3]섬에 있는 사람들 사이의 유사점을 처음으로 발견했습니다.19세기에, 연구원들은 비교 방법을 오스트로네시아 언어에 적용하기 시작했습니다.음성학의 역사에 대한 최초의 광범위한 연구는 독일 언어학자 오토 뎀프볼프에 [4]의해 이루어졌다.그것은 오스트로네시아조어 어휘의 재구성을 포함하고 있다.오스트로네시아라는 용어는 빌헬름 슈미트에 의해 만들어졌다.이 단어는 라틴어 "south"와 그리스어 "landοςςςς" (nēsos "섬")[5]에 바탕을 둔 독일어 "오스트로네시스"에서 유래했다.
대부분의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은 섬 주민들에 의해 사용된다.말레이어와 참어족과 같은 몇몇 언어만이 아시아 본토에 토착하고 있다.많은 오스트로네시아 언어들은 매우 적은 수의 화자를 가지고 있지만, 주요 오스트로네시아 언어들은 수천만 명의 사람들에 의해 사용된다.예를 들어, 인도네시아어는 1억9천9백만 명의 사람들이 사용합니다.이것은 세계에서 11번째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다.약 20개의 오스트로네시아 언어가 각 국가에서 공식 언어이다(주요 및 공식 오스트로네시아 언어 목록 참조).
포함된 언어의 수에 따르면, 오스트로네시아어와 니제르콩고는 세계에서 가장 큰 두 개의 어족입니다.그들은 각각 세계 언어의 약 5분의 1을 포함하고 있다.오스트로네시아의 지리적 범위는 식민지 시대에 인도-유럽어가 확산되기 전까지 모든 언어 중 가장 넓었다.그것은 아프리카 남동부 해안의 마다가스카르에서 동태평양의 이스터 섬까지 다양했습니다.하와이어, 라파누이어, 마오리어, 말라가시어(Madagascar에서 사용)는 지리적 이상어이다.
로버트 블러스트(1999년)에 따르면, 오스트로네시아어는 몇 개의 주요 분파로 나뉘는데, 한 가지를 제외하고 모두 대만에서만 발견된다.대만의 대만어족 언어들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1차 하위집단 9개로 분류된다.대만(해외 야미어 포함) 밖에서 사용되는 모든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일명 엑스트라포모산)에 속한다.
대부분의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에는 긴 서면 증명 역사가 없다.이것은 먼 오스트로네시아조어까지 초기 단계의 재구성을 더욱 돋보이게 합니다.참언어에서 가장 오래된 비문인 늦어도 서기 6세기 중반의 동옌쩌우 비문은 오스트로네시아어를 최초로 증명하는 것이다.
유형학적 특성
음운론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은 전체적으로 세계 평균보다 작은 음소 목록을 가지고 있다.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약 90%는 19~25개의 소리(자음 15~20개, 모음 4~5개)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20~37개의 세계적인 전형적인 소리 범위의 하단에 놓여 있다.그러나 43개의 자음을 가진 네미(뉴칼레도니아)나 7개의 [6]자음만을 가진 북서쪽 메케오(파푸아뉴기니) 등 극단적인 재고도 발견된다.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표준 어근 유형은 CV(C)CVC(C = 자음, V = 모음)의 형태를 가진 이음절이며, 여전히 많은 오스트로네시아 [7]언어에서 발견된다.대부분의 언어에서 자음 군집은 중간 위치에서만 허용되며,[8] 종종 군집의 첫 번째 요소에 제한이 있습니다.최종 위치에 나타날 수 있는 자음의 수를 줄이는 공통적인 추세가 있다. 예를 들어 부기어는 총 18개의 자음 중 ///와 /// 두 자음만을 최종 자음으로 허용한다.최종 자음의 완전한 부재는 예를 들어 니아스, 말라가시 및 많은 오세아니아 [9]언어에서 관찰된다.
동남아시아 본토의 언어와는 달리, 오스트로네시아 [10]언어에서는 톤 콘트라스트가 극히 드물다.음조 언어의 예외적인 경우는 모클렌과 참어족, 사우스할마헤라족, 웨스트뉴기니족,[11] 뉴칼레도니아어군의 일부 언어이다.
형태학
대부분의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은 상대적으로 접사 수가 많고 형태소 [12]경계가 명확한 응집형 언어이다.대부분의 접사는 접두사(말레이 및 인도네시아 베르잘란어 'walk' < jalan 'road')이며, 접미사(타갈로그어 'titis-ann 'ash' < tytis 'ash')와 인픽스(Roviana t <in> avee 'work [13](동사)')가 더 적다.
중복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에서 흔히 사용된다.여기에는 완전 복제(말레이 및 인도네시아 아낙 아낙 'child', Karo Batak Nipe-nipe 'caterpillar' <nipe 'snake') 또는 부분 복제(Agta takki 'leg', at-atu 'puppy' at 'dog')[14]가 포함된다.
구문
오스트로네시아어족처럼 다양한 어족을 구성하는 언어들을 일반화하기는 어렵다.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크게 세 가지 그룹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필리핀어, 인도네시아어 및 인도네시아어 이후의 언어:[15]
- 첫 번째 그룹에는 필리핀 언어 외에 대만, 사바, 북술라웨시, 마다가스카르의 오스트로네시아 언어들이 포함된다.주로 필리핀형 음성 교환의 원래 시스템을 유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여기서 보통 서너 개의 동사 음성은 "주어"/"주제"가 나타내는 의미적 역할을 결정합니다(배우, 환자, 위치 및 수혜자 또는 기타 다양한 상황적 역할(예: instrumen)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t 및 부수).그 현상은 종종 초점이라고 언급되어 왔다(언어학에서 그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혼동하지 말 것).게다가 목소리의 선택은 참가자의 확실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어순은 동사 이니셜의 경향이 강하다.
- 대조적으로, 말레이시아와 서인도네시아에서 특히 대표되는 보다 혁신적인 인도네시아어 유형의 언어는 음성 시스템을 두 개의 음성(배우 음성 및 "언더거" 음성) 사이의 대조로 감소시켰지만, 이것들은 적용 가능한 형태학 장치(원래 두 개: 더 직접적인 *-i 및 더 많은 obliq)에 의해 보완된다.ue *-an/-[a]k),n. 이는 "communicer"의 의미적 역할을 수정하는 역할을 한다.그들은 또한 미리 배치된 클리틱 대명사의 존재로 특징지어진다.필리핀어와 달리 이들 언어는 대부분 동사-초 어순을 지향한다.바탁어, 고대 자바어, 발리어, 사삭어, 술라웨시어 등 여러 언어가 이 두 언어 [16][17]사이의 중간 단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 마지막으로, 로스가 "인도네시아어 이후"라고 부르는 일부 언어에서는 원래의 음성 시스템이 완전히 고장나 음성 표시 접사가 더 이상 기능을 유지하지 못합니다.
렉시콘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은 동족어 집합, 소리와 의미가 유사한 단어 집합, 규칙적인 규칙에 따라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동일한 조상어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보여지는 언어 비교법에 의해 확립되었다.어떤 동종 세트는 매우 안정적이다.많은 오스트로네시아 언어에서 눈이라는 단어는 마타어입니다(가장 북쪽의 오스트로네시아 언어, 부눈어, 아미어 같은 대만 언어에서 남쪽의 [18]마오리어까지).
다른 단어들은 재구성하기가 더 어렵다.2를 의미하는 단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전체 범위에 걸쳐 나타나기 때문에 안정적이지만, 형태(예: Bunun dusa, Amis tusa, Maori rua)는 인식하기 위해 약간의 언어적 전문지식이 필요하다.오스트로네시아 기본 어휘 데이터베이스는 약 1000개의 오스트로네시아 [18]언어에 대한 단어 목록(동일성을 위해 코드화됨)을 제공합니다.
분류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내부 구조는 복잡하다.어족은 많은 수의 방언 연속어와 함께 유사하고 밀접한 관련이 있는 많은 언어들로 구성되어 있어 어족 간의 경계를 구별하기가 어렵다.상위 하위 그룹화를 향한 첫 번째 주요 단계는 뎀프볼프가 대양 하위 그룹(Dempwolff에 [4]의해 멜라니쉬로 불림)을 인식한 것이다.대만 언어의 특별한 위치는 Andre-George Haudricourt(1965년)[19]에 의해 처음으로 인정되었으며, 그는 오스트로네시아어군을 세 개의 하위 그룹으로 나누었다.북부 오스트로네시아어(= Formosan), 동부 오스트로네시아어(= 오세아니아어), 서부 오스트로네시아어(모두 남아 있는 언어).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의 첫 번째 어휘통계학적 분류를 나타내는 연구에서, 이시도르 다이엔(1965)은 근본적으로 다른 하위분류 [20]체계를 제시했다.그는 멜라네시아 지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다양성을 가진 40개의 1차 부분군을 배치했습니다.오세아니아 언어는 인정되지 않지만 그가 제안한 1차 하위 그룹 중 30개 이상에 분포되어 있다.Dyen의 분류는 널리 비판되었고 대부분 [21]거부되었지만, 그의 하위 하위 하위 하위 그룹들 중 일부는 여전히 받아들여지고 있다(예: Cordilleran 언어, Bilic 언어 또는 Muratic 언어).
그 후, 오스트로네시아 언어 중 가장 오래된 그룹으로서의 포모사 언어들의 위치는 오토 크리스티안 달([22]1973년)에 의해 인정되었고, 다른 학자들로부터 포모사 언어가 실제로 오스트로네시아의 1차 하위 그룹 이상을 구성한다는 제안이 이어졌다.로버트 블러스트(1977)는 대만에 1차 하위 그룹이 하나 이상 있고 대만 밖에서 사용되는 모든 오스트로네시아 언어를 포함하는 1차 하위 그룹화 모델을 처음으로 제시했다.[23]말레이폴리네시아어대만어와 말레이폴리네시아어의 관계와 내부 구조는 계속 논의되고 있다.
대만 주요 어군(대만어군)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 외에 13개의 대만족 집단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대만의 분류, 나아가 오스트로네시아의 최상위 구조에서 중요한 기사는 Blust(1999년)이다.저명한 대만학자(대만어를 전문으로 하는 언어학자)들은 일부 세부사항을 문제 삼지만, 현재의 언어 분석에서는 여전히 참고가 되고 있다.토론의 중심은 주로 이들 가족 간의 관계에 있다.여기에 제시된 분류 중 Blust(1999년)는 2개 과를 서부 평원 그룹으로, 2개 과를 북서부 대만 그룹으로, 3개 과를 동부 대만 그룹으로, Li(2008년)도 5개 과를 북부 대만 그룹으로 연결한다.Harvey(1982년), Chang(2006년), Ross(2012년)는 Tsouic을 갈라놓았고 Blust(2013년)는 그룹이 아마도 유효하지 않을 것이라고 동의한다.
다른 연구들은 파이와니아어족, 푸유마어족, 부눈어족, 아미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의 축소에 대한 음운론적 증거를 제시했지만, 이것은 어휘에 반영되지 않았다.동대만의 바사이족, 카발란족, 아미족은 원래 시나사이족 또는 사나사이족(Li 2004)에서 유래한 모티브를 가지고 있다.특히 아미족은 그들이 동쪽에서 왔고, 그들이 정착한 푸유마족에게 종속적인 [24]집단으로 취급받았다고 주장한다.
블러스트(1999년)
- Saisiyat 언어:타이 방언과 둥호 방언
- 파제어와 쿨룬어
- 루카이의 만타우란, 토나, 마가 방언은 서로 다르다
(대만사 외부)
Li (2008년)
이 분류는 블러스트의 동대모산을 유지하며 다른 북부 언어들을 통합한다.Li(2008)는 스타로스타(1995)[25]의 모델을 따라 F0조상을 제안하고 그것을 오스트로네시아조어(PAN)와 동일시한다.루카이족과 추이족은 매우 다른 것으로 보이지만 루카이족에 대한 입장은 [26]매우 논란이 많다.
Blust (2013)는 Li의 북방대모산을 반박한다.Li가 내세운 5가지 공통된 혁신 중 어느 것도 그 언어를 정의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
사가트(2004, 2021년)
Sagart(2004)는 북서쪽 언어(본토에서 오스트로네시아 이주 추정 상륙 부근)에서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과 반시계 방향으로 숫자 1-4만 공유하는 언어에서 동양어(지도에서 보라색)까지 일련의 혁신이 중첩된 것을 반영한다고 제안한다.모든 숫자 1~10.Sagart(2021)는 동일한 패턴을 따르는 다른 공유된 혁신을 발견합니다.PMP *lima '5'는 ('손'에서) 어휘를 대체한 것이고, pMP *pitu '7', *walu '8' 및 *Siwa '9'는 pAN *RaCep '5'의 축약어이며, *a 또는 *i 'and'와 *DuSA 'two', *tel, 3tel, 3'를 제안합니다.크라다이어족이 ppmp의 숫자 체계(및 다른 어휘 혁신)를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은 그들이 [27][28]오스트로네시아어족 자매가 아니라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과의 좌표 분파임을 시사한다.
Sagart의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29]
오스트로네시아어(pAN ca. 5200 BP)
- 피투이시
(pAN *RaCepituSa '5와 2'는 *pitu '7'로 잘리고 *sa---acu '9' [점등]1개 빼앗겼다])- 리마어
(pAN *RaCep '5'는 *lima 'hand'로 대체되고 *Ca~를 반복하여 인간을 세는 일련의 숫자를 형성함)- 에네미시
('5+1' 또는 '2/3'을 중복 *Nem-Nem> *emnem[*Nem '3'은 Basay, Siraya 및 Makatao에 반영됨; pAN *kawS 'year, sky'는 *CawiN으로 대체됨)- 왈루시웨이시
(*walu '8' 및 *Siwa '9'는 *RaCepat(e)lu '5&3' 및 *RaCepiSepat '5&4'에서)- 중앙 WS
(판 *isa 등)인간계수열에서 '1'은 *Ca~CiNi('나홀로'의 중복), pAN *iCit '10'은 *ma-sa-N '1회'로 대체됨) - East WS(pEWS ca.4500 BP)
(혁신 *baCaq-an 'ten', *nanum 'water'와 pAN *daNum)
말레이폴리네시아어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 언어들은 특히 오스트로네시아조어(PAN) *t/*C에서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PMP) *t로, PAN *n/*N에서 PMP *n으로, PAN *n에서 PMP [30]*n으로의 이동 등 특정한 음의 변화가 특징이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의 두 번의 대이동이 빠르게 일어난 것으로 보이며, 그 결과 대규모 구조가 거의 없는 여러 지역 집단이 생겨났다.첫 번째는 필리핀, 인도네시아, 멜라네시아에 분포하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였다.두 번째 이동은 폴리네시아와 [31]미크로네시아로의 오세아니아 언어 이동이다.
주요 언어
이력
역사적 언어학의 관점에서 볼 때, 오스트로네시아어(프로토오스트로네시아어)의 기원지(언어학 용어로 우르헤마트)는 대만의 본섬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이 섬에서는 오스트로네시아어의 가장 깊은 구분이 작은 지리적 거리를 따라 t족들 사이에서 발견된다.그는 타이완어를 모국어로 한다.
로버트 블러스트에 따르면, 포모산 언어는 오스트로네시아 언어군의 10개 주요 어족 중 9개를 형성한다.Comrie(2001:28)는 다음과 같이 적었다.
...내부적인 다양성...대만어...다른 모든 오스트로네시아어족들을 합친 것보다 더 크다. 그래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내에서는 포모산과 다른 것들 사이에 큰 유전적 분열이 있다.사실, 대만의 유전적 다양성은 매우 커서 전체 오스트로네시아 과의 여러 주요 분파로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1949년에 쓴 사피르(1968년) 이래, 언어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주어진 어족 내에서 언어의 분산 연대가 가장 다양한 언어 영역에서 가장 작은 언어 영역까지 추적될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해 왔다.예를 들어, 북미의 영어는 많은 수의 화자를 가지고 있지만, 상대적으로 방언의 다양성은 낮은 반면, 영국의 영어는 훨씬 더 높은 다양성을 가지고 있다. 사피어의 논문에 의한 이러한 낮은 언어 다양성은 북미에서의 영어의 보다 최근의 기원을 암시한다.일부 학자들은 대만어족의 주요 어족 수가 Blust의 추정치인 9개(Li 2006 등)보다 다소 적을 수 있다고 의심하고 있지만, 이러한 분석과 그에 따른 이동의 기원과 방향에 대한 관점에 대해서는 언어학자들 사이에 거의 논쟁이 없다.최근의 반대 분석에 대해서는 (Peiros 2004)를 참조한다.
오스트로네시아 사람들의 원시적 구조는 시간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오스트로네시아 민족의 조상인 인구의 원래 고향에 대한 개념을 얻기 위해 (엄밀히 말하면 언어학적 주장과는 대조적으로) 고고학과 집단 유전학의 증거를 제시할 수 있다.유전학에서 나온 연구들은 상반된 결과를 낳았다.일부 연구자들은 아시아 본토에서 오스트로네시아조어 출신에 대한 증거를 찾는 반면(예: Melton 등 1998년), 다른 연구자들은 대만에 유리한 동아시아 출신을 거부하면서 언어 연구를 반영한다(예: Trejaut 등 2005년).고고학적 증거(예: Bellwood 1997)는 더 일관성이 있으며, 오스트로네시안족의 조상이 약 8,000년 전에 남중국 본토에서 대만으로 퍼져 나갔음을 시사한다.
역사 언어학에서 나온 증거에 따르면, 선원 부족이 아마도 천 년마다 다른 파도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둘러싸인 지역 전체로 이주한 것이 이 섬으로부터라고 한다(다이아몬드 2000).이 이행은 약 6000년 전에 시작된 것으로 생각됩니다(Blust 1999).그러나 역사언어학의 증거는 이 두 시기 사이의 차이를 메울 수 없다.예를 들어 Sagart(2002)가 제안한 것처럼 언어학적 증거가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중국-티베트어를 연결한다는 견해는 소수이다.Fox(2004:8)의 설명에 따르면:
함축된 내용...[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의 하위 분류에 대한 논의는 오스트로네시아인의 고향이 대만에 있다는 광범위한 공감대이다.이 고국 지역은 대만과 중국 사이에 있는 팽후 섬과 중국 본토 해안의 유적지를 포함했을 수도 있다. 특히 초기 오스트로네시안들을 흩어져 있는 해안 정착지에 살았던 관련 방언 공동체 집단으로 본다면 더욱 그러하다.
오스트로네시아조어에 대한 언어 분석은 대만 서부 해안에서 멈춘다. 관련된 본토 언어는 아직 남아있지 않다.유일한 예외인 참어족은 보다 최근의 본토로의 이주에서 비롯되었다(Thurgood 1999:225).
귀무 가설 관계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다양한 가족 사이에 족보적 연계가 제안되어 왔다.
오스트로타이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동남아시아 대륙의 크라다이어족을 연결하는 오스트로타이어족 제안은 폴 K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 베네딕토와 Wera Ostapirat, Roger Blench, Laurent Sagart가 전통적인 비교 방법에 기반하여 지지합니다.Ostapirat(2005)는 두 가족을 잇는 일련의 정기 서신 교환을 제안하고, 1차 결별을 상정하고 있으며, 모국에는 Kra-Dai 화자가 남아 있다.Blench(2004)는 연결이 유효하다면 그 관계가 두 자매 가족 중 하나가 될 가능성이 낮다고 시사했다.오히려, 그는 크라다이조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하이난섬으로 이주했다가 필리핀 북부에서 본토로 돌아온 오스트로네시안들이며, 그들의 특징은 흐몽-미엔과 시나이트와의 접촉에 따른 급진적인 구조 조정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오스트리아-타이의 확장판은 베네딕토 교황에 의해 가설화되었고,[32] 베네딕토 교황은 제안서에 일본어를 추가하였다.
오스트릭
'오스트리아' 문에서 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의 연계는 대부분 유형학적 증거에 기초한다.그러나,[citation needed] 보수적인 니코바레어와 필리핀의 오스트로네시아 언어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형태학적 증거도 있다.로버트 블러스트는 윈난과 버마 국경 [33]지역에 위치한 동아시아 쌀 재배의 중심지이자 추정적인 호주 고향이라고 가정하고 양쯔강 하류의 신석기시대 오스트리아-타이 실체와 쌀을 재배하는 오스트리아-아시아 문화를 연결시키는 가설을 지지한다.이러한 견해 아래 동아시아 남부에서는 쌀에 기초한 인구 확대에 따른 동서 유전자 조화가 있었다.오스트로아시아어-크라-다이-오스트로네시아어로, 관련이 없는 중국-티베타어가 보다 북쪽 [33]층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오스트로네시아어
프랑스의 언어학자이자 중국학자인 로랑 사가트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이 중국-티베타어족과 관련이 있다고 간주하고, 또한 크라-다이어족 언어들을 말레이-폴리네시아어와 [34]더 가까운 언어들로 분류한다.Sagart는 기본 어휘와 형태학적 [33]유사성의 소리 대응에 기초해 중국과 오스트로네시아 사이의 남북 유전학적 관계를 주장한다.Laurent Sagart(2017)는 대만 오스트로네시아어(이전에는 세타리아어뿐 아니라)에서 두 종류의 밀렛을[a] 소유함으로써 오스트로네시아 이전의 사람들은 중국-티베타어 [33]고향과 인접한 중국 북동부에 위치했다고 결론지었다.Ko et al.의 유전자 연구(2014)는 로랑 사가트의 언어학적 제안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이며, 오스트로네시아 MTDNA E-하플로그룹과 대부분 중국-티베타 M9a 하플로그룹은 쌍둥이 자매이며,[35][36] 적어도 모계 유전자 풀에서 초기 오스트로네시아와 시노-티베타 사이의 밀접한 관계를 나타낸다.또한 Wei et al.(2017)의 결과도 Sagart의 제안과 일치한다. 분석 결과, 주로 오스트로네시아 Y-DNA 하플로그룹 O3a2b*-P164(xM134)는 아시아 동부 해안 지역을 따라 널리 분포된 새롭게 정의된 하플로그룹 O3a2b2-N6에 속한다는 것이 밝혀졌다.사가트는 또한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을 재귀적인 방식으로 분류하여 Kra-Dai를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의 자매 분파로 삼는다.그의 방법론은 그의 [38][39]동료들에 의해 가짜로 밝혀졌다.
일본인입니다
몇몇 언어학자들은 일본어가 오스트로네시아 어족과 유전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베네딕트(1990), 마츠모토(1975), 밀러(1967).
다른 언어학자들은 일본어가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유전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기질이나 아드라툼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 더 그럴듯하다고 생각한다.
이 시나리오를 제안하는 사람들은 오스트로네시아 족이 한때 남쪽뿐만 아니라 북쪽의 섬들도 포함시켰다고 주장한다.Martine Robbeets(2017)[40]는 일본어가 유전적으로 "트란수라시아어"(= 매크로-알타이어)에 속하지만, 오스트로네시아조어의 자매 언어인 것으로 추정되는 "파라-오스트로네시아어"의 어휘적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한다.
언어학자 Ann Kumar(2009)는 일부 호주인들이 자바 출신의 엘리트 집단인 일본으로 이주하여 일본 계층 사회를 형성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그녀는 또한 오스트로네시아어와 일본어의 동족어 82개를 밝혀냈지만,[41] 그녀의 이론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많다.
옹간
Blevins (2007)는 오스트로네시아와 온간 원어가 오스트로네시아-온간 [42]원어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그러나 이 견해는 주류 언어학자들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여전히 매우 논란이 되고 있다.로버트 블러스트는 Blevins의 제안이 터무니없고 단지 우연의 유사성과 방법론적으로 결함이 있는 [43]비교에 근거해 거부한다.
필기 시스템
오늘날 대부분의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들은 라틴어에 기반을 둔 문자 체계를 가지고 있다.일부 라틴어 기반 이외의 문자 체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브라흐미 문자
- 카위 문자
- 발리 알파벳 – 발리어와 사삭을 표기하는 데 사용됩니다.
- Batak 알파벳 – 여러 Batak 언어를 쓰는 데 사용됩니다.
- Baybayin – 타갈로그어와 여러 필리핀어를 쓰는 데 사용됩니다.
- 비마 문자 – 한때 비마 언어를 쓰던 문자입니다.
- Buhid 알파벳 – Buhid 언어를 쓰는 데 사용됩니다.
- Hanuno'o 알파벳 - Hanuno'o 언어를 쓰는 데 사용됩니다.
- 자바어 스크립트– 자바어 및 마두레스어 등의 인접 언어를 작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 Kerinci 알파벳(Kaganga): Kerinci 언어를 쓰는 데 사용됩니다.
- Kulitan 알파벳 – 카팜판간어를 쓰는 데 사용됩니다.
- Lampung 알파벳 – Lampung과 Komering을 표기하는 데 사용됩니다.
- Lontara 알파벳 – 부기어, 마카사르어 및 술라웨시의 여러 언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됩니다.
- 순다어 문자 –순다어를 쓰는 데 사용되는 고대 순다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준화된 문자입니다.
- Rejang 알파벳 – Rejang 언어를 쓰는 데 사용됩니다.
- Rencong 알파벳 – 한때 말레이어를 쓰던 문자입니다.
- Tagbanwa 알파벳 – 한 때 다양한 팔라완어를 쓰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 로타 알파벳 – 엔데리오 언어를 쓰는 데 사용됩니다.
- Cham 알파벳 – Cham 언어를 쓰는 데 사용됩니다.
- 카위 문자
- 아랍어 문자
- 한글 – 한때 Cia-Cia 언어를 사용했지만 이 프로젝트는 더 이상 진행되지 않습니다.
- 둥잉 – 이반어를 쓰곤 했지만 널리 쓰이지 않았습니다.
- Avoiuli – Raga 언어를 쓰는 데 사용됩니다.
- Eskayan – 보홀라노에 기반을 둔 비밀 언어인 Eskayan 언어를 쓰곤 했습니다.
- Woleai 문자(Caroline Island 문자)– Carolinian 언어(Refaluwasch)를 쓰는 데 사용됩니다.
- Rongorongo – Rapa Nui 언어를 쓰는 데 사용되었을 수 있습니다.
- 점자 – 필리핀어, 말레이시아어, 인도네시아어, 톨라이어, 모투어, 마오리어, 사모아어, 말라가시어 및 기타 많은 오스트로네시아어에서 사용됩니다.
비교표
아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 1-10개 및 13개 단어 목록을 비교하는 두 개의 차트입니다; 대만, 필리핀, 마리아나 제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참파(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동티모르, 파푸아, 뉴질랜드, 하와이, 마다가스카르, 보르네오, 키리브, 캐롤라인, 튜아티.
오스트로네시아 수 목록 1~10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
오스트로네시아조어 | * sa사 *ISA | *duSa | *토루 | * 쓰다듬다 | *외부 | *무엇보다 | *피투 | *와루 | *시와 | *(sa-) 큐 | |||||||||||
타이완어족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아타야루 | 큐턱스 | 동작하고 있다 | 사이쿠갈 | 지불하다 | 마그마 | 쯔쯔 | mpitu/pitu | mspat/스팟 | mqeru/qeru | mopu/mpuu | |||||||||||
세디크 | 킹알 | 다하 | 테루 | 스테이크 | 리모트 | mmteru | mpitu | mmsepac | mngari | 최대값 | |||||||||||
트루쿠 | 킹알 | 다하 | 참 | 스패트 | 리모트 | 마타루 | empitu | 마스팟 | mngari | 최대값 | |||||||||||
타오 | 타하 | 투샤 | 투루 | 패트 | 타리마 | 카투루 | 피투 | 카슈팟 | 타나투 | 얇다 | |||||||||||
파포라 | 타누 | 야 | 툴 | 쓰다듬다 | 리마 | 작은 것 | 피투 | 메하루 | 메시 | 메치 | |||||||||||
바부자 | 나타 | 나로아 | 내추럴 | naspat | 나호프 | 나이투 | 나이토 | 맵 | 마이투 | 챠챠 | |||||||||||
타오카스 | 타타누 | 루아 | 툴 | 라팟 | 핫샵 | 타하프 | 할 수 있다 | 마할팟 | 타나소 | 타이스id | |||||||||||
빠제 | 아당 | 두사 | 투우 | 설치하다 | xasep | 자세부자 | 자세비두사 | 세비투 | 자세비스팟 | 있다 | |||||||||||
사이시야트 | '애해' | 로사' | 수신처: lo' | 소팟 | 하드 | SayboSi: | 세이보시: '애해' | 마이카스팟 | 해' | 램프페즈/랭페즈 | |||||||||||
쯔우 | 콘 | 유소 | 투유 | 스탭토 | 아이모 | 명명하다 | 피투 | 보이 | 시오 | 마스크 마스크 | |||||||||||
분운 | 태스카 | 두사 | 타우 | 패트 | 히마 | 진공 | 피투 | 보우 | 시바 | 마산 | |||||||||||
루카이 | 이타 | 드러사 | 툴 | 누그러뜨다 | 리마 | 에네메 | 피투 | 발루 | 뱅게이트 | 풀루쿠 | |||||||||||
파이완 | 이타 | 드러사 | 쯔루 | sepatj | 리마 | emem | 피트주 | 알루 | 시바 | 탭 | |||||||||||
푸유마 | sa | 드루와 | 전화 | 쓰다듬다 | 리마 | 하지 않다 | 피투 | 월루 | 나는 그랬다 | 풀 | |||||||||||
카발란 | 사용법 | uzusa | 우툴루 | uspat | 울리마 | 하지 않다 | 업피투 | 우와루 | usiwa | 랩틴 | |||||||||||
바세이 | tsa | 루사 | 쯔 | 패트 | 츠지마 | ə an | 피투 | 와수 | 시와 | 래바탄 | |||||||||||
아미스 | 점등하다 | 토사 | 토루 | 스패트 | 리마 | emem | 피토 | 팔로 | 시와 | 풀 | |||||||||||
사키자야 | 카카 | 토사 | 토루 | 밧테루 | 리마 | emem | 피토 | 월로 | 시와 | 바탄불을 켜다. | |||||||||||
시라야 | 사삿토 | 두하 | 투루 | 탭 | 투리마 | 투넘 | 피투 | 피파 | 쿠다 | 케틴 | |||||||||||
타이보안 | 차하' | 루하 | 토호 | 파하' | 히마 | lom | 키토 | 키파 | 마츠하 | 카이피엔 | |||||||||||
마카타오 | 나사드 | 라루하 | 라루마 | 인식하다 | 인식하다 | 라후룸 | 라피토 | 라하루 | 라스와 | ra-kaitian의 | |||||||||||
야미 | 로서 | adoa | atlo | 동작하지 않다 | 알리마 | anem | 아피토 | 아와오 | asiam | asa ngernan | |||||||||||
쿠카우토 | ca | 루사 | 쿠우 | 패트 | 섬 | ə an | 피투 | 와쿠 | 시와 | 래바탄 | |||||||||||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 | * sa사 *ISA | *두하 | *토루 | * 패트 | *외부 | *무엇보다 | *피투 | *와루 | *와 | *카운트 | |||||||||||
아체어 | 사이파 흐느끼다 | sa | 듀와 | 이 | 동작하다 | 리모트 | 남 | 투조 | 라판 | 시쿠렝 | 빨다 | ||||||||||
발리어a | 누르다 | 베식 키 | 듀아 | 전화 | 종이 | 라임 | 네임 | 피투 | 쿠투스 | 시아 | 다사 | ||||||||||
반자르 | 로서 | 듀아 | 탈루 | 암페어 | 리마 | anam | 피투 | 월루 | 산가 | 사푸루 | |||||||||||
바탁 주, 바탁 | 사다 | 듀아 | 톨루 | 오퍼트 | 리마 | 할 수 있다 | 피투 | 우랄루 | 시아 | 삼푸루 | |||||||||||
부기어 | 세디 | 듀아 | 텔루 | 엠파 | 리마 | 켜다 | 피투 | 아루아 | 아세라 | 세뿌로 | |||||||||||
시아 | 병들 이세 | 루아 후아 | 톨루 | 빠아 | 리마 | 안 돼 | 피쿠 | 월루 oalu | 시우아 | 옴풀루 | |||||||||||
참 | sa | 듀아 | 카루 | 패킹 | 리마 | 남 | 투하 | 달라판 | 살라판 | 부루후 | |||||||||||
자바어(Kawi)b[44] | 선야 | 이카 | dwi | 트라이 | 카투르 | 판카 | 슬퍼 | 수프 | 아스타 | 없다 | 다사 | ||||||||||
고대 자바어[45] | 다스 | sa (sa' / sak) | rwa | 티루 | 패트 | 리마 | 하지 않다 | 피투 | 월루 | 산가 | 사푸루 | ||||||||||
자바어(Krama) | 놀리다 | 세팅갈 | 칼리 | 티가 | 시카완 | 갱살 | emem | 피투 | 월루 | 산가 | 세다사 | ||||||||||
자바어(응고코어)[46] | 놀리다 | 사히지의 시지 | 카와산 로로 | 전화 | 종이 | 리마 | emem | 피투 | 월루 | 산가 | 세푸루 | ||||||||||
켈란탄파타니 | 코송 | 그렇게 | 듀우 | 티고 | 패킹 | 리무진 | 하지 않다 | 투조 | 라벨 | 스마일 | 스푸로 | ||||||||||
마두레스 | 놀리다 | 셋팅 | 후와' | 텔로 | empa' | 리마 | enem | 페토 | 밧테루 | 산가' | 사폴로 | ||||||||||
마카사레스 | 로비 하지 않다 | 세레 | 루아 | 탈루 | appa' | 리마 | 안냥 | 튜주 | 산간투주 | 살라팡 | 샘풀로 | ||||||||||
표준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 및 말레이시아어) | 코송 사이파[47] 놀리다[48] | sa/se 새투 스아투 | 듀아 | 티가 | empat | 리마 | 에남 | 투하 | 데라판 라판[49] | 섬빌란 | 세푸루 | ||||||||||
미낭카바우 | 인식하다 | 듀오 | 티고 | 암페크 | 리무진 | anam | 투하 | 살라판 | 삼빌란 | 사푸라 | |||||||||||
모켄 | cha:? | thuwa:? | 전화 (일단) | 페이지:t | 리마:? | 남 | 루우크 | 왈로지 (와이와이) | 츄 (cʰwayy/swawayy) | cepoh | |||||||||||
리장 | 하다 | 듀아이 | 일람 | 쓰다듬다 | 동작 | 숫자 | 투주악 | 데라펜 | 셈빌란 | 세뿌루악 | |||||||||||
사삭 | 삐걱거리다 | 때문에 | 전화 | empat | 라임 | 에남 | 피트크 | 밧쿠 | 시와크 | 세풀루 | |||||||||||
순다어 | 놀리다 | 히지 | 듀아 | 틸루 | 오퍼트 | 리마 | 삐걱거리다 | 투하 | 달라판 | 살라판 | 사푸루 | ||||||||||
트렝가누 말레이어 | 코송 | 인식하다 | 듀우 | 티게 | 패킹 | 라임 | 낭 | 투조 | 라팡 | 미소짓다 | 스푸로 | ||||||||||
테툰 | 놀리다 | 이다. | 루아 | 톨루 | 모자 | 리마 | 네인 | 히투 | 우랄루 | 시아 | 사누루 | ||||||||||
챠트(후이후이)c | 동작하다 * 태업 ** | 토우아 | kii | 동작하다 | 동작하다 | 하지 않다 | 서포트하다 | 팬 | ʰ˩ːːː | piu4 | |||||||||||
| |||||||||||||||||||||
일로카노 | 입봉 아완 | 마사 | 듀아 | 탈로 | 상층 | 리마 | 내장 | 피토 | 월로 | 시암 | 상아풀로 | ||||||||||
이바나그 | 아완 | 태드데이 | 듀와 | 탈루 | appa' | 리마 | 안남 | 피투 | 월루 | 시얌 | 마후루 | ||||||||||
팡가시난 | 키보드 | 듀와 | 탈로 | 동작하지 않다 | 리마 | anem | 피토 | 월로 | 시얌 | 삼플로우 | |||||||||||
카팜판간 | 알라 | 동작/ISA | 애드와 | atlu | 팟 | 리마 | 남 | 삐투 | 월루 | 시엠 | 풀 | ||||||||||
타갈로그어 | 왈라 | 이사 | 달라와 | 밧테루 | 동작하지 않다 | 리마 | 애니메이션 | 피토 | 월로 | siyam | 샘프 | ||||||||||
비콜 | 전쟁 | 사라 | 와 | 툴로 | 동작 | 리마 | 하지 않다 | 피토 | 월로 | siyam | 샘풀 | ||||||||||
아클라논 | 와 | 이세아 삼빌로그 | 데이와 | 타블로 | ap-at | 리마 | an-om | 피토 | 와에오 | 시얌 | 나프오 | ||||||||||
카레이아 | 와라 | (i) 표시 | 다르와 | 타블로 | 동작하지 않다 | 리마 | ə an | 피토 | 월로 | 시얌 | 나풀로 | ||||||||||
온한 | 아이시야 | 다르와 | 타블로 | 업타트 | 리마 | an-om | 피토 | 월로 | 시얌 | 샘풀로 | |||||||||||
롬블로몬 | 이사 | 두하 | 투요 | 업타트 | 리마 | 오넘 | 피토 | 웨이오 | 시얌 | 나프요 | |||||||||||
마스바텐요 | 난 슬프다. 사용하다 | 듀와 두하 | 툴로 | 업타트 | 리마 | 언옴 | 피토 | 월로 | 시얌 | 나풀로 | |||||||||||
힐리가이논 | 왈라 | 이사 | 두하 | 타블로 | 동작하지 않다 | 리마 | 변칙 | 피토 | 월로 | 시얌 | 나풀로 | ||||||||||
세부아노 | 왈라 | 미국 | 두하 | 툴로 | 업타트 | 리마 | 언옴 | 피토 | 월로 | 시얌 | 나풀로 풀로 | ||||||||||
와레이 | 경고하다 | 미국 | 두하 | 툴로 | 업타트 | 리마 | 언옴 | 피토 | 월로 | 시얌 | 나풀 | ||||||||||
타우수그 | 사이파 | 이사 | 듀와 | 츄 | 업타트 | 리마 | 언음 | 피투 | 월루 | 시얌 | 행푸' | ||||||||||
마라나오 | 이사 | 다와 | 트롤로 | 쓰다듬다 | 리마 | 하지 않다 | 피토 | 월로 | 시요 | 사폴로 | |||||||||||
베누아크(다야크 베누아크) | 에러 | 듀크 | 톨루 | 오퍼 | 리마 | 쟈 | 투루 | 월로 | 시 | 세푸루 | |||||||||||
룬바왕 / 룬다예 | 나룩디 | 이체 | 할 수 | 텔루 | epat | 라임 | emem | 튜듀 | waluh | 리와' | 풀 | ||||||||||
두순 | aiso | ISO | 듀오 | 톨루 | 동작하지 않다 | 리무진 | 할 수 있다 | 투루 | 월루 | 시암 | 호포드 | ||||||||||
말라가시 | 아오트라 | 이사 일레이 | 로아 | 전화 | 에파트라 | 어둡다 | enina | 피토 | 동작하지 않다 | 시비 | 폴로 | ||||||||||
상기레스(상기르미나하산) | 섬바우 | 다루아 | 타테루 | EPA | 리마 | 유효하게 하다 | 피투 | 월루 | 시오 | 마푸로 | |||||||||||
해양어족d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추크어 | 이트 | 에루 | én | fahn | 니임 | 운 | 푸스 | 흔들리다 | 하지 않다 | 엔진 | |||||||||||
피지안 | 사이바 | 듀아 | 루아 | 톨루 | vaa | 리마 | 오노 | 바이투 | 월루 | ciwa | 티니 | ||||||||||
길버트어 | 악어 | 테아나 | uoua | 테누아 | 오오 | 니마우아 | 오누아 | 이투아 | 와누아 | 루이와 | 테비나 | ||||||||||
하와이안 | '올레' | 'e-kahi' | 'e-lua' | 'e-matu' | 'e-haha | 전자 메일 | e-ono | 'e-hiku | 'e-walu' | e-iwa | '우미' | ||||||||||
마오리 | 코레 | 타히 | 루아 | 토루 | 와 | 리모트 | 오노 | 희다 | 와루 | 나는 그랬다 | 테카우 ngahuru | ||||||||||
마셜어[50] | 오오 | 주온 | 루우 | 질루 | 에만 | 알람 | 질지노 | 짐쥬온 | 랄리토크 | 라틴쥬온 | 쟈노 | ||||||||||
모투e[51] | 타 | 루아 | 토이 | 하니. | ima | 타우라토이 | 히투 | 타우라하니 | 타우라하니타 | 와우타 | |||||||||||
니우에안 | 나카이 | 타하 | ua | 톨루 | 파 | 리마 | 오노 | 피트 | 가치 | 히바 | 호고풀루 | ||||||||||
라파누이 | 타히 | 루아 | 토루 | 하 | 리모트 | 오노 | 히투 | 바우 | iva | 앙가후루 | |||||||||||
라로통간 마오리 | 카레 | 타이 | 루아 | 토루 | ' ' | 리모트 | 오노 | '이투' | 바루 | iva | nga'uru | ||||||||||
로투만 | 타 | 루아 | 폴 | 하케 | 리마 | 오노 | 히후 | 비디오 | 시바 | 사구루 | |||||||||||
사모안 | o | 태시 | 루아 | 톨루 | fa | 리마 | 오노 | 피트 | 가치 | iva | 세후루 | ||||||||||
사모안 (K타입) | o | kasi | 루아 | 콜 | fa | 리마 | 오고 | 피쿠 | 가치 | iva | 세후루 | ||||||||||
타히티어 | 호크 타히 | 피티 | 토루 | 마하 | 빠에 | 하지 않다 | 히투 | 바우 | iva | 아후루 | |||||||||||
통간 | 노아 | 타하 | ua | 톨루 | fa | 니마 | 오노 | 피트 | 가치 | 히바 | 혼고후루 타하노아 | ||||||||||
투발루안 | 타히 태시 | 루아 | 톨루 | fa | 리마 | 오노 | 피트 | 가치 | iva | 세후루 | |||||||||||
야프어 | 데루이 데라이크 | 타레브 | 러그루 | 달립 | 인식하다 | 일람 | neel’ | 메드립 | 미루쿠 | 미립 | 라가아그 |
영어 | 하나. | 두명 | 세개 | 네개 | 사람인 | 하우스. | 개 | 도로 | 날 | 신규 | 우리가 | 뭐 | 불 |
---|---|---|---|---|---|---|---|---|---|---|---|---|---|
오스트로네시아조어 | *사, *isa | *duSa | *토루 | * 패트 | *카우 | *발레이, *루마크 | *asu | *잘란 | *칼jaw, *와리 | *baqruRu | *카미, *카미 | *anu, *apa | * SAPUY |
테툼 | 이다. | 루아 | 톨루 | 모자 | 에마 | 우마 | asu | 달란 | 로론 | 발견하다 | 이타 | 사이타 | 아히 |
아미스 | 점등하다 | 토사 | 토루 | 밧테루 | 탐도 | 루마 | 와쿠 | lanan | 시달 | 파로 | 기타 | uman | 나마루 |
푸유마 | sa | 듀아 | 전화 | 쓰다듬다 | 타우 | 럼마 | 소안 | 달란 | 와리 | 비디오 | 미 | 아마나이 | apue, 아시아 |
타갈로그어 | 이사 | 달라와 | 타블로 | 동작하지 않다 | 타오 | 바하이 | 아소. | 단 | araw | 밧고 | 타요카미 | ano | 아포이 |
비콜 | 사라 | 와 | 툴로 | 동작 | 타우 | 하롱 | 아얌 | 달란 | 알리다 | 밧고 | 기타/카미 | 하지 않다 | 칼라요 |
린코나다 비콜 | 슬프다 | 다르와 | 토로 | 쓰다듬다 | 타와 | 밧테리 | 아얌 | 라란 | 알드웨어 | 밧고 | 키타 | 오노 | 칼라요 |
와레이 | 미국 | 두하 | 툴로 | 업타트 | 타우 | 밧테루 | 아얌 그렇습니다. | 달란 | 애드로 | 백오 | 기타 | anu | 칼라요 |
세부아노 | 미국, 이사 | 두하 | 툴로 | 업타트 | 타우 | 밧테루 | 아이로 | 달란 | 애드로 | 백오 | 기타 | 언사 | 칼라요 |
힐리가이논 | 이사 | 두하 | 타블로 | 동작하지 않다 | 타우 | 밧테루 | 그렇습니다. | 달란 | 애드로 | 백오 | 기타 | ano | 칼라요 |
아클라논 | 이세아 삼빌로그 | 데이와 | 타블로 | ap-at | 타우 | 밧테루 | 아얌 | 대안 | 애드로 | 백오 | 기타 | ano | 카에요 |
키나라이아 | (i) 표시 | 다르와 | 타블로 | 동작하지 않다 | 타우 | 밧테루 | 아얌 | 달란 | 애드로 | 백오 | 기타 | ano | 칼라요 |
타우수그 | 햄부크 | 듀와 | 쯔 | 업타트 | 타우 | 만 | 하고 있다 | 댄. | 애드로 | 바구 | 기타니유 | 언유 | 카유 |
마라나오 | 이사 | 다와 | 트롤로 | 쓰다듬다 | 타우 | 월레이 | 아소. | lanan | 가위 | 밧고 | 키타 / 키타카미 | 안토나 | 아포이 |
카팜판간 | 동작하지 않다 | 애드와 | atlu | 팟 | 타우 | 베일 | 아수 | 달란 | 알도 | 바유 | 이카타무 | 나누 | ap |
팡가시난 | 키보드 | dua, 두아라 | 탈로 탈로라 | apat, 아파티라 | 너무 | abong | 아소. | 달란 | 에이지오 | 밧테루 | 시카타요 | 앙투아 | 수영장 |
일로카노 | 마사 | 듀아 | 탈로 | 상층 | 리마 | 내장 | 피토 | 월로 | 시암 | 상아풀로 | |||
이바탄 | 로서 | 다도바 | 타도 | 동작하지 않다 | 타오 | 하지 않다 | 치토 | 라라한 | araw | 바요 | 야텐 | 앵고 | 아포이 |
이바나그 | 태드데이 | 듀아 | 탈루 | appa' | 깔다 | 밧테루 | 키투 | 달란 | 아고 | 바게 | 시트 | 안니 | 후미 |
요가드 | 타타 | 애드듀 | 탈루 | 설치하다 | 깔다 | 바이날레이 | atu | 다다만 | 아가우 | 바게 | 식탐 | 카니 | 후우 |
가당 | 안테트 | 추가 | 탈로 | 설치하다 | 깔다 | 밧테루 | atu | 달란 | 오. | 바우 | 익카네탐 | 사네네 | 후우 |
트볼리 | 소투 | 루우선 | 툴루 | 뚱뚱해요. | 타우 | 구누 | 오우 | lan | kdaw | 로미 | 테쿠 | 테두 | 의 |
룬바왕 / 룬다예 | 이체 | 할 수 | 텔루 | epat | 레무룬/런 | 루마 | 우쿠 | 달란 | 환경 | 베루 | 테우 | 에누 | 동작하지 않다 |
말레이어 | sa/se, 사투 스아투 | 듀아 | 티가 | empat | 오렌지색 | 루마 발라이 | 안징 | 줄눈 | 하리 | 바루 | 기타카미 | apa, anu | API |
고대 자바어 | esa, 이카 | rwa, dwi | 탈루 트라이 | 쓰다듬다, 카투르[52] | wwang | 우마 | asu | 달란 | 디나 | 하냐르[53] | 카미[54] | apa, 아파란 | 아푸이 agni |
자바어 | siji, 세팅갈 | loro, 칼리 | 탈루 티가[55] | papat, 시카완 | 우엉 티양 프라이얀툰[55] | 오마 그리야 달렘[55] | asu, 가원 | 달란 질리[55] | 디나 덴텐[55] | anyar, inggal[55] | 깨어난 데웨 쿠라판제넨간[55] | apa, 뿌나파[55] | ghcni, 라투, 브라마[55] |
순다어 | 히지 | 듀아 | 틸루 | 오퍼트 | 우랑 | 아이마 | 안징 | 줄눈 | 포우 | anyar, 엔진 | 아루랑 | 하지 않다 | 서네우 |
아체어 | sa | 듀와 | 레저 | 동작하고 있다 | 동작하고 있다 | 루머 베일 동작하고 있다 | asu | 뢰트 | urou | 바로 | (게우) 타요에 | 페우 | 동작하지 않다 |
미낭카바우 | 인식하다 | 듀오 | 티고 | 암페크 | 우랑 | 럼마 | 안장 | 라부아 줄눈 | 하리 | 바루 | 깨우다 | 아포 | API |
리장 | 하다 | 듀아이 | 일람 | 쓰다듬다 | 튜닝 | 우메 | 쿠이쿠 | 달렌 | 빌라이 | 부루 | 이테 | 야노 gen, 하지 않다 | 동작 |
람풍어 | 사이 | 쿠아 | 전화 | 패킹 | 젤레마 | 램프 | 카시 | 란야 | 카니 | 바루 | 카무 | API | 동작하지 않다 |
부기어 | 세디 | 듀아 | 텔루 | epa' | 타우 | 볼라 | asu | 동작하고 있다 | 에소 | 바루 | idi' | 아가 | API |
테무안 | 사투크 | 듀크 | 티각 | empat | 우왕 이앙 | 구마 우마 | 임의의 코요크 | 줄눈 | 아이크 하이크 | 바하크 | 키타크 | 동작하지 않다 | 아픽 |
토바바탁 | 사다 | 듀아 | 톨루 | 오퍼트 | 할락 | 자부 | 바이앙 | 달란 | 아리 | 바루 | 히타 | 아하. | API |
켈란탄파타니 | 그렇게 | 듀우 | 티고 | 패킹 | 오헤 | 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응 두모 | 안징 | 질질 끌다 | 아귀 | 백후 | 키토 | 갭 | API |
차모로 | 호차 모니터 | 후구아 | 툴루 | 지방 | 타오타오/타우 | 구마' | 갈로구[56] | 챠란 | 하니 | 누에부[57] | 히타 | 호파 | 구오피 |
모투 | ta, 타모나 | 루아 | 토이 | 하니. | 타우 | 루마 | 시시아 | 달라 | 디나 | 마타마타 | 이타 ai | 다하카 | 라히 |
마오리 | 타히 | 루아 | 토루 | 와 | 탕가타 | 와레 | 쿠로쿠 | 아라 | 라 | 후우 | 타우아, 타투/타우 마우아, 마투/마타우 | 아하. | 아히 |
길버트어 | 테우나 | uoua | 테누아 | 오오 | 아오마타 | 우마 밧타 auti (집에서) | 카메아 키리 | 카와이 | 봉 | 부우 | ti | 테라 -ra(표준) | ai |
투발루안 | 태시 | 루아 | 톨루 | fa | 토코 | 실패하다 | 쿨리 | 좋아, 투우 | 아소. | 파울 | 타우아 | a | 후미 |
하와이안 | 카히 | 루아 | 콜 | 하 | 카나카 | 헤일 | '오목판' | 일률적으로 | 아오 | 후우 | 카쿠 | 아하. | 아히 |
반자레스 | 로서 | 듀와 | 탈루 | 암페어 | 우랑 | 루마 | 하두판 | 헤코 | 호리 | 하냐르 | 카미 | apa | API |
말라가시 | 이사 | 로아 | 전화 | 에파트라 | olana | 트랙노 | 알리카 | 라라나 | 안드로 | 바오바오 | 아이시카 | 이노나 | 아포 |
두순 | ISO | 듀오 | 톨루 | 동작하지 않다 | 툴룬 | 와라이 라민 | 태수 | 요란하게 하다 | 타다우 | 와구 | 토코우 | 오누/누 | 타푸이 |
카다잔 | ISO | 듀보 | 토후 | 동작하지 않다 | 투훈 | 하민 | 태수 | 라한 | 타다우 | 흐릿하다 | 토코우 | 오누 누누 | 타푸이 |
룽구스 | ISO | 듀보 | 톨루 톨즈 | 동작하지 않다 | 툴룬 툴존 | 발라이 발자이 | 태수 | 달란 | 타다우 | 흐릿하다 | 토코우 | 누누 | tapui, 동작하지 않다 |
선가이/탐바누오 | 그렇습니다. | 듀오 | 톨루 | 오퍼트 | 로부 | waloi | asu | 요란하게 하다 | 달리다 | 와구 | 토코 | 온우 | 동작하지 않다 |
이반 | 사투, 사, 씨티, 씨기 | 듀아 | 티가 | empat | 오렌지색 우랑 | 럼마 | 우쿠이 우덕 | 할라이 | 하리 | 바루 | 키타이 | 나마 | API |
사라왁 말레이어 | 사투 인식하다 | 듀아 | 티가 | empat | 오렌지색 | 럼마 | asuk | 줄눈 | 아리 | 바루 | 기타 | apa | API |
테렝가누안 | 인식하다 | 듀우 | 티게 | 패킹 | 오행 | 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으응 두모 | 안징 | 잘랑 | 아귀 | 백후 | 연 | 멘드, 유인원 입을 쩍 벌리다 | API |
카나야텐 | sa | 듀아 | 탈루 | 암페어 | urakng | 럼마 | asu' | 동작하지 않다 | 아리 | 바루 | 카미', diri' | 아하 | API |
야프어 | 타레브 | 러그루 | 달립 | 인식하다 | 베크 | 하지 않다 | 쿠우스 | 카나아우쿠 | 외치다 | 인식하다 | 색칠을 하다 | 망가뜨리다 | 하지 않다 |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 ^ 세타리아 이탤리카와 파니쿰 밀리아시움.
레퍼런스
- ^ "Austronesian Languages". Encyclopædia Britannica. Retrieved 26 October 2016.
- ^ Robert Blust (2016). History of the Austronesian Languages.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 ^ Pereltsvaig (2018), 페이지 143.
- ^ a b Dempwolff, Otto (1934–37). Vergleichende Lautlehre des austronesischen Wortschatzes [Comparative phonology of the Austronesian vocabularies] (3 vols). Beihefte zur Zeitschrift für Eingeborenen-Sprachen (Supplements to the Journal of Native Languages) 15; 17; 19 (in German). Berlin: Dietrich Reimer.
- ^ John Simpson; Edmund Weiner, eds. (1989). Official Oxford English Dictionary (OED2)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 ^ Blust (2013), 페이지 169.
- ^ 블러스트 (2013), 페이지 212.
- ^ Blust (2013), 페이지 215–218.
- ^ 블러스트 (2013), 페이지 220–222.
- ^ 크롤리(2009), 페이지 100.
- ^ 블러스트(2013), 페이지 188–189, 200, 206.
- ^ 블러스트 (2013), 페이지 355.
- ^ Blust (2013), 370–399페이지.
- ^ Blust (2013), 페이지 406–431.
- ^ 로스(2002), 페이지 453.
- ^ Adelaar, K. Alexander; Himmelmann, Nikolaus (2005). The Austronesian Languages of Asia and Madagascar. Routledge. pp. 6–7. ISBN 978-0415681537.
- ^ Croft, William (2012). Verbs: Aspect and Causal Structure. Oxford University Press. p. 261. ISBN 978-0199248599.
- ^ a b Greenhill, Blust & Gray 2003–2019.
- ^ 하우드리쿠르(1965), 페이지 315.
- ^ Dyen(1965).
- ^ 그레이스(1966년).
- ^ 달(1973년).
- ^ 블러스트(1977년).
- ^ Taylor, G. (1888). "A ramble through southern Formosa". The China Review. 16: 137–161.
The Tipuns... are certainly descended from emigrants, and I have not the least doubt but that the Amias are of similar origin; only of later date, and most probably from the Mejaco Simas [that is, Miyako-jima], a group of islands lying 110 miles to the North-east.... By all accounts the old Pilam savages, who merged into the Tipuns, were the first settlers on the plain; then came the Tipuns, and a long time afterwards the Amias. The Tipuns, for some time, acknowledged the Pilam Chief as supreme, but soon absorbed both the chieftainship and the people, in fact the only trace left of them now, is a few words peculiar to the Pilam village, one of which, makan (to eat), is pure Malay. The Amias submitted themselves to the jurisdiction of the Tipuns.
- ^ Starosta, S (1995). "A grammatical subgrouping of Formosan languages". In P. Li; Cheng-hwa Tsang; Ying-kuei Huang; Dah-an Ho & Chiu-yu Tseng (eds.). Austronesian Studies Relating to Taiwan. Taipei: Institute of History and Philology, Academia Sinica. pp. 683–726.
- ^ Li(2008), 페이지 216: "루카이의 입장은 가장 논란이 많다.츠치다...사전통계학적 증거에 근거해 조어족 언어들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취급하지만, 반면 호는...는 14개의 문법적 특징을 비교한 결과, 그것이 파이와이어족 언어 중 하나, 즉 내 남부 그룹의 일부라고 믿고 있다.사실 일본 인류학자들은 연구 초기에 류카이, 파이완, 푸유마를 구분하지 않았다.
- ^ 로랑 사가르트(2004) 오스트로네시아의 고등 계통 발생과 타이카다이 위치
- ^ Laurent Sagart(2021) 오스트로네시아 초기 계통 발생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제15회 오스트로네시아 언어학 국제회의 전체 강연.
- ^ 트리는 다음 링크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노드를 클릭하여 각 노드에 대해 제안된 기술 혁신을 확인하십시오.
Laurent Sagart (July 2021). "Shared innovations in early Austronesian phylogeny" (PDF). - ^ Blust (2013), 페이지 742.
- ^ Greenhill, Blust & Gray (2008)
- ^ Solnit, David B. (March 1992). "Japanese/Austro-Tai By Paul K. Benedict (review)". Language.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687 (1): 188–196. doi:10.1353/lan.1992.0061. S2CID 141811621.
- ^ a b c d 사가트 외, 2017, 188페이지
- ^ van Driem, George (2005). "Sino-Austronesian vs. Sino-Caucasian, Sino-Bodic vs. Sino-Tibetan, and Tibeto-Burman as default theory" (PDF). In Yogendra Prasada Yadava; Govinda Bhattarai; Ram Raj Lohani; Balaram Prasain; Krishna Parajuli (eds.). Contemporary Issues in Nepalese Linguistics. Kathmandu: Linguistic Society of Nepal. pp. 285–338 [304].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1-07-26. Retrieved 2010-10-29.
- ^ 사가트 외, 2017, 189페이지
- ^ Ko 2014, 페이지 426-436.
- ^ Wei et al. 2017, 페이지 1~12.
- ^ 겨울(2010년).
- ^ Blust (2013), 페이지 710–713, 745–747.
- ^ Robbeets, Martine (2017). "Austronesian influence and Transeurasian ancestry in Japanese: A case of farming/language dispersal". Language Dynamics and Change. 7 (2): 210–251. doi:10.1163/22105832-00702005.
- ^ Kumar, Ann (2009). Globalizing the Prehistory of Japan: Language, Genes and Civilization. Oxford: Routledge.
- ^ Blevins (2007)
- ^ 블러스트(2014).
- ^ 시몬 위드야트만타, 아디파르와제1권 제2단세타칸 케티가족자카르타: U.P. "봄", 1968.
- ^ P.J. 조트멀더, 카무스 자와 쿠노-인도네시아Vol.I-IITerjemahan Darusuprapto-Sumarti Sprayitno.자카르타: PT.Gramedia Pustaka Utama, 1995.
- ^ "Javanese alphabet (Carakan)". Omniglot.
- ^ 아랍어 ِفrrr ifr에서
- ^ 주로 인도네시아에서 라틴어 nullus에서 유래합니다.
- ^ lapan은 delapan의 수축으로 알려져 있으며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브루나이에서 주로 발견된다.
- ^ 요리사, 리처드(1992)평화봉사단 마셜 제도: 마셜 언어 훈련 매뉴얼(PDF), 22페이지.2007년 8월 27일에 액세스.
- ^ 퍼시 채터턴, (1975년.Say It In Motu : 파푸아 공용어에 대한 즉각적인 소개.태평양 출판물ISBN 978-0-85807-025-7
- ^ s.v. kawan, 오래된 자바 영어사전, P.J. Zoetmulder and Stuart Robson, 1982
- ^ s.v. hannar, 구 자바 영어사전, P.J. Zoetmulder and Stuart Robson, 1982
- ^ s.v. kami, 이것은 1인칭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오래된 자바 영어사전, P.J. Zoetmulder와 Stuart Robson, 1982
- ^ a b c d e f g h i 자바어 영어사전 Stuart Robson and Singgih Wibisono, 2002
- ^ 스페인어 galgo에서
- ^ 스페인어 nuevo에서
참고 문헌
- Bellwood, Peter (July 1991). "The Austronesian Dispersal and the Origin of Languages". Scientific American. 265 (1): 88–93. Bibcode:1991SciAm.265a..88B. doi:10.1038/scientificamerican0791-88.
- Bellwood, Peter (1997). Prehistory of the Indo-Malaysian archipelago.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 Bellwood, Peter (1998). "Taiwan and the Prehistory of the Austronesians-speaking Peoples". Review of Archaeology. 18: 39–48.
- Bellwood, Peter; Fox, James; Tryon, Darrell (1995). The Austronesians: Historic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s. Department of Anthropolog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ISBN 978-0-7315-2132-6.
- Bellwood, Peter; Sanchez-Mazas, Alicia (June 2005). "Human Migrations in Continental East Asia and Taiwan: Genetic, Linguistic, and Archaeological Evidence". Current Anthropology. 46 (3): 480–484. doi:10.1086/430018. S2CID 145495386.
- Blench, Roger (June 10–13, 2004). Stratification in the peopling of China: how far does the linguistic evidence match genetics and archaeology? (PDF). Human migrations in continental East Asia and Taiwan: genetic, linguistic and archaeological evidence. Geneva.
- Blevins, Juliette (2007). "A Long Lost Sister of Proto-Austronesian? Proto-Ongan, Mother of Jarawa and Onge of the Andaman Islands" (PDF). Oceanic Linguistics. 46 (1): 154–198. doi:10.1353/ol.2007.0015. S2CID 143141296.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1-01-11.
- Blust, Robert (1977). "The Proto-Austronesian pronouns and Austronesian subgrouping: a preliminary report". Working Papers in Linguistics. Honolulu: Department of Linguistics, University of Hawaii. 9 (2): 1–15.
- Blust, Robert (1985). "The Austronesian Homeland: A Linguistic Perspective". Asian Perspectives. 26: 46–67.
- Blust, Robert (1999). "Subgrouping, circularity and extinction: some issues in Austronesian comparative linguistics". In Zeitoun, E.; Li, P.J.K (eds.). Selected papers from the Eigh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stronesian Linguistics. Taipei: Academia Sinica. pp. 31–94.
- Blust, Robert (2013). The Austronesian Languages (revised ed.).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hdl:1885/10191. ISBN 978-1-922185-07-5.
- Blust, Robert (2014). "Some Recent Proposals Concern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Austronesian Languages". Oceanic Linguistics. 53 (2): 300–391. doi:10.1353/ol.2014.0025. S2CID 144931249.
- Comrie, Bernard (2001). "Languages of the world". In Aronoff, Mark; Rees-Miller, Janie (eds.). The Handbook of Linguistics. Languages of the world. Oxford: Blackwell. pp. 19–42. ISBN 1-4051-0252-7.
- Crowley, Terry (2009). "Austronesian languages". In Brown, Keith; Ogilvie, Sarah (eds.). Concise Encyclopa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Oxford: Elsevier. pp. 96–105.
- Dahl, Otto Christian (1973). Proto-Austronesian. Lund: Skandinavian Institute of Asian Studies.
- Diamond, Jared M (2000). "Taiwan's gift to the world". Nature. 403 (6771): 709–10. Bibcode:2000Natur.403..709D. doi:10.1038/35001685. PMID 10693781.
- Dyen, Isidore (1965). "A Lexico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the Austronesian languages".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Memoir 19).
- Fox, James J. (19–20 August 2004). Current Developments in Comparative Austronesian Studies (PDF). Symposium Austronesia Pascasarjana Linguististik dan Kajian Budaya. Universitas Udayana, Bali.
- Fuller, Peter (2002). "Reading the Full Picture". Asia Pacific Research. Canberra, Australia: Research School of Pacific and Asian Studies. Retrieved July 28, 2005.
- Grace, George W. (1966). "Austronesian Lexicostatistical Classification:a review article (Review of Dyen 1965)". Oceanic Linguistics. 5 (1): 13–58. doi:10.2307/3622788. JSTOR 3622788.
- Greenhill, S.J.; Blust, R.; Gray, R.D. (2008). "The Austronesian Basic Vocabulary Database: From Bioinformatics to Lexomics". Evolutionary Bioinformatics. Sage Publications. 4: 271–283. doi:10.4137/EBO.S893. PMC 2614200. PMID 19204825.
- Greenhill, S.J.; Blust, R.; Gray, R.D. (2003–2019). "Austronesian Basic Vocabulary Databas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8-12-19. Retrieved 2018-12-19.
- Haudricourt, André G. (1965). "Problems of Austronesian comparative philology". Lingua. 14: 315–329. doi:10.1016/0024-3841(65)90048-3.
- Ko, Albert Min-Shan; et al. (2014). "Early Austronesians: Into and Out Of Taiwan". The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94 (3): 426–36. doi:10.1016/j.ajhg.2014.02.003. PMC 3951936. PMID 24607387.
- Li, Paul Jen-kuei (2004). "Origins of the East Formosans:Basay, Kavalan, Amis, and Siraya" (PDF). Language and Linguistics. 5 (2): 363–376.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9-04-18. Retrieved 2019-04-18.
- Li, Paul Jen-kuei (2006). The Internal Relationships of Formosan Languages. Te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stronesian Linguistics (ICAL). Puerto Princesa City, Palawan, Philippines.
- Li, Paul Jen-kuei (2008). "Time perspective of Formosan Aborigines". In Sanchez-Mazas, Alicia; Blench, Roger; Ross, Malcolm D.; Peiros, Ilia; Lin, Marie (eds.). Past human migrations in East Asia: matching archaeology, linguistics and genetics. London: Routledge. pp. 211–218.
- McColl, Hugh; Racimo, Fernando; Vinner, Lasse; Demeter, Fabrice; Gakuhari, Takashi; et al. (2018-07-05). "The prehistoric peopling of Southeast Asia". Scienc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361 (6397): 88–92. Bibcode:2018Sci...361...88M. bioRxiv 10.1101/278374. doi:10.1126/science.aat3628. hdl:10072/383365. ISSN 0036-8075. PMID 29976827. S2CID 206667111.
- Lynch, John; Ross, Malcolm; Crowley, Terry (2002). The Oceanic languages. Richmond, Surrey: Curzon Press. ISBN 0-415-68155-3.
- Melton, T.; Clifford, S.; Martinson, J.; Batzer, M.; Stoneking, M. (1998). "Genetic evidence for the proto-Austronesian homeland in Asia: mtDNA and nuclear DNA variation in Taiwanese aboriginal tribes".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63 (6): 1807–23. doi:10.1086/302131. PMC 1377653. PMID 9837834.
- Ostapirat, Weera (2005). "Kra–Dai and Austronesian: Notes on phonological correspondences and vocabulary distribution". In Laurent, Sagart; Blench, Roger; Sanchez-Mazas, Alicia (eds.). The Peopling of East Asia: Putting Together Archaeology, Linguistics and Genetics. London: Routledge Curzon. pp. 107–131.
- Peiros, Ilia (2004). Austronesian: What linguists know and what they believe they know. The workshop on Human migrations in continental East Asia and Taiwan. Geneva.
- Pereltsvaig, Asya (2018). Languages of the World.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316-62196-7.
- Ross, Malcolm (2009). "Proto Austronesian verbal morphology: a reappraisal". In Adelaar, K. Alexander; Pawley, Andrew (eds.). Austronesian Historical Linguistics and Culture History: A Festschrift for Robert Blust. Canberra: Pacific Linguistics. pp. 295–326.
- Ross, Malcolm; Pawley, Andrew (1993). "Austronesian historical linguistics and culture history". Annual Review of Anthropology. 22: 425–459. doi:10.1146/annurev.an.22.100193.002233. OCLC 1783647.
- Ross, John (2002). "Final words: research themes in the history and typology of western Austronesian languages". In Wouk, Fay; Malcolm, Ross (eds.). The history and typology of Western Austronesian voice systems. Canberra: Pacific Linguistics. pp. 451–474.
- Sagart, Laurent; Hsu, Tze-Fu; Tsai, Yuan-Ching; Hsing, Yue-Ie C. (2017). "Austronesian and Chinese words for the millets". Language Dynamics and Change. 7 (2): 187–209. doi:10.1163/22105832-00702002. S2CID 165587524.
- Sagart, Laurent (8–11 January 2002). Sino-Tibeto-Austronesian: An updated and improved argument (PDF). Nin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stronesian Linguistics (ICAL9). Canberra, Australia.
- Sagart, Laurent (2004). "The higher phylogeny of Austronesian and the position of Tai–Kadai". Oceanic Linguistics. 43 (2): 411–440. doi:10.1353/ol.2005.0012. S2CID 49547647.
- Sagart, Laurent (2005). "Sino-Tibeto-Austronesian: An updated and improved argument". In Blench, Roger; Sanchez-Mazas, Alicia (eds.). The Peopling of East Asia: Putting Together Archaeology, Linguistics and Genetics. London: Routledge Curzon. pp. 161–176. ISBN 978-0-415-32242-3.
- Sapir, Edward (1968) [1949]. "Time perspective in aboriginal American culture: a study in method". In Mandelbaum, D.G. (ed.). Selected writings of Edward Sapir in language, culture and personalit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p. 389–467. ISBN 0-520-01115-5.
- Taylor, G. (1888). "A ramble through southern Formosa". The China Review. 16: 137–161.
- Thurgood, Graham (1999). From Ancient Cham to Modern Dialects. Two Thousand Years of Language Contact and Change. Oceanic Linguistics Special Publications No. 28.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0-8248-2131-9.
- Trejaut, J. A.; Kivisild, T.; Loo, J. H.; Lee, C. L.; He, C. L. (2005). "Traces of archaic mitochondrial lineages persist in Austronesian-speaking Formosan populations". PLOS Biol. 3 (8): e247. doi:10.1371/journal.pbio.0030247. PMC 1166350. PMID 15984912.
- Wei, Lan-Hai; Yan, Shi; Teo, Yik-Ying; Huang, Yun-Zhi; et al. (2017). "Phylogeography of Y-chromosome haplogroup O3a2b2-N6 reveals patrilineal traces of Austronesian populations on the eastern coastal regions of Asia". PLOS ONE. 12 (4): 1–12. Bibcode:2017PLoSO..1275080W. doi:10.1371/journal.pone.0175080. PMC 5381892. PMID 28380021.
- Winter, Bodo (2010). "A Note on the Higher Phylogeny of Austronesian". Oceanic Linguistics. 49 (1): 282–287. doi:10.1353/ol.0.0067. JSTOR 40783595. S2CID 143458895.
- Wouk, Fay; Ross, Malcolm, eds. (2002). The history and typology of western Austronesian voice systems. Pacific Linguistics. Canberra: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추가 정보
- 벵트슨, 존 D., "대오스트릭" 가설, 선사시대 언어 연구 협회.
- Blundell, David. "Austronesian Dispersal". Newsletter of Chinese Ethnology. 35: 1–26.
- 블러스트, R. A. (1983)어휘 재구성 및 의미 재구성: 오스트로네시아어 "집" 단어의 경우.하와이: R. Blust.
- 코헨, E.M.K.(1999년).오스트로네시아의 뿌리와 어원의 기초.캔버라: 태평양 언어학.ISBN 0-8583-436-7
- 마리옹, P., Liste Swadesh élargie de onze langues osternes, ed. Caré de sucre, 2009
- 폴리, A. & 로스, M. (1994)오스트로네시아어 용어: 연속성과 변화.캔버라(호주):호주국립대학교 태평양 아시아 연구대학 언어학 박사ISBN 0-8583-424-3
- 사가트, 로랑, 로저 블렌치, 앨리샤 산체스-나자스(에즈)(2004년).동아시아 주민: 고고학, 언어학, 유전학을 합친 것.런던: 루트리지 커즌.ISBN 0-415-32242-1.
- Terrell, John Edward (December 2004). "Introduction: 'Austronesia' and the great Austronesian migration". World Archaeology. 36 (4): 586–590. doi:10.1080/0043824042000303764. S2CID 162244203.
- Tryon, D.T., & Tsuchida, S.(1995년)오스트로네시아 비교 사전: 오스트로네시아 연구의 개요.언어학 동향, 10.베를린:무통 드 그루이터.ISBN 3110127296
- 비트만, 앙리(1972년)."Le Caractére génétiquement composite des changes phonétiques du malgache"국제음성과학회의 7.807-810의 진행.La Haye:무통.
- '오스트로네시아 비교사전'오스트로네시아학개론", 언어, 제73권, 제1호, 페이지 145-156, 1997년 3월, ISSN 0097-8507
외부 링크
- 블러스트의 오스트로네시아 비교사전
- 오스트로네시아어 기본 어휘 스와데시 목록(위키사전의 스와데시 목록 부록 참조)
- "Homepage of linguist Dr. Lawrence Reid". Retrieved July 28, 2005.
- 파푸아뉴기니의 언어(오스트로네시아어 및 파푸아어)를 보여주는 여름 언어 연구소 사이트.
- "Austronesian Language Resourc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22, 2004.
- 1600개 이상의 오스트로네시아 및 파푸아 번호 및 시스템 스프레드시트– 이들의 관계와 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영구 데드링크]
- 세계의 언어:오스트로네시아어족(말레이오폴리네시아어족)
- YouTube에서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문화(비디오) (말레이오폴리네시아어족
- 2014-06-30 Wayback Machine 아카이브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