닛산 클리퍼

Nissan Clipper

닛산 클리퍼닛산일본케이 트럭의 두 가지 상용차 범위에 사용해온 자동차 명판이다. 원래 이것은 프린스의 "Clipper" 경/중급 상용 차량 제품군을 다시 본떠 만든 것에 불과했다.

2003년에, 이 명판은 OEM 거래에서 제공되는 kei 트럭/마이크로밴인 미쓰비시 미니캡의 재장착 버전을 위해 부활되었다. 클리퍼 트럭/밴은 2012년 페이스리프트를 받아 NT100 클리퍼(트럭)와 NV100 클리퍼(van)로 이름을 바꿨다.

2013년 말, 미츠비시자동차가 2014년 자체 가솔린 엔진 케이 트럭과 마이크로밴의 생산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함에 따라, 재장착된 미니캡 모델은 스즈키 캐리어의 재장착 버전으로 대체되었다.

프린스 클리퍼

이것은 1954년 5월 AKTG 프린스 카보버 트럭에서 시작되었고, 클리퍼 라벨은 1.5리터 AQ에 처음 소개되었다.1958년 10월 [1]TI 시리즈 클리퍼는 냉각을 위해 6개의 타원형 개구부를 가진 뚜렷한 정면 처리를 특징으로 했다. 1961년 2월, 1.9리터 엔진의 대형 BQTI 「슈퍼 클리퍼」가 라인업에 추가되었다. 1963년 1월 4중 전조등이 특징인 수정된 T630/T631 Clipper/Super Clipper가 도입되었다. 엔진은 T630의 경우 73PS(54kW) 1,484cc 4대, T631 슈퍼 클리퍼의 경우 96PS(71kW)의 1,862cc 유닛 등 다소 더 많은 전력을 사용했지만 이전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2]

1966년 4월 닛산과 프린스의 합병에 따라 트럭 이름을 닛산 프린스 클리퍼(T65)로 바꾸었는데, 이 트럭은 닛산 프린스 스토어 로 불리는 일본 닛산 대리점의 독점 판매처였다. 이번에도 앞쪽 처리는 특이했다. 앞쪽에는 크롬 링이 달린 큰 난자 4개가 있었는데, 그 중 2개는 냉각용이었고 2개는 조명을 고정시켰다. T65는 또한 1,982cc 닛산 H20 4기통 가솔린 엔진을 받았다.[2] 1973년 1월 신형 T40 시리즈가 T631을 대체했지만, 수명이 짧았다. 디젤 모델에는 YT40으로 시작하는 섀시 코드가 있다. 다음세대(그리고 마지막) 클리퍼는 1976년 5월 C340이었지만, 이것은 재입고된 닛산 카발일 뿐이었다. 이 노선은 1981년 12월 닛산의 상용 트럭 사거리가 합리화되면서 막을 내렸다. H40 닛산 아틀라스는 클리퍼와 카발을 모두 대체했다.[1]

갤러리

프린스 클리퍼

재입고된 미쓰비시 모델

재장착된 스즈키 모델

참조

  1. ^ a b "Nissan Fact File 2004-2005" (PDF). Nissan. 2005. pp. 26–27.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2-01-08. Retrieved 2011-06-10.
  2. ^ a b Bent, Alan. "Prince Trucks and commercial vehicles from the Prince Motor Company". Earlydatsun.com. Retrieved 2011-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