닛산 스카이라인 GT-R
Nissan Skyline GT-R닛산 스카이라인 GT-R | |
---|---|
![]() 2002 닛산 스카이라인 GT-R V·스펙 II (BNR34) | |
개요 | |
제조자 | 닛산 |
생산. |
|
어셈블 | |
차체 및 섀시 | |
학급 | 스포츠카 |
관련된 | |
파워트레인 | |
변속기 |
|
연표 | |
선대 | 프린스 스카이라인 스포츠 |
후계자 | 닛산 GT-R (R35) |
닛산 스카이라인 GT-R (일본어: 日産· スカイラインGT-R, 햅번: 닛산 수카이레인 GT-R(Nissan Sukairain GT-R)은 닛산 스카이라인을 기반으로 한 일본의 스포츠카입니다.1969년부터 1972년까지 KPGC10이라는 모델 코드로 생산된 최초의 자동차는 일본 투어링 카 레이싱 경기에서 성공적이었습니다.이 모델은 1973년에 모델 코드 KPGC110으로 2세대 자동차를 생산하기 시작했습니다.
GT-R이라는 이름은 1989년 BNR32 스카이라인 GT-R로 부활했습니다.일본 투어링카 챔피언십에서 4년 연속 우승을 차지하기 위해 R32 GT-R의 A그룹 사양 버전이 사용되었습니다.R32 GT-R은 호주 투어링카 챔피언십에서도 성공을 거두었는데, 1991년 짐 리처즈가 우승을 차지했고, 1992년 마크 스카이프가 우승을 차지했지만 1993년 GT-R은 규정 변경으로 제외되었습니다.R32 GT-R의 기술과 성능은 1989년 7월 호주 자동차 출판사 휠스(Wheels)에서 GT-R을 "Godzilla"로 명명했습니다.[1][2]그 후 휠즈는 스카이라인 GT-R의 모든 세대, 특히 R34 GT-R을 통해 이름을 알렸고, 그들은 "Godzilla Returns"라는 별명을 붙였으며 "우리가 운전한 자동차 중 최고의 핸들링 자동차"라고 묘사했습니다.자동차 출판물에서 실시한 테스트에서 R34 GT-R은 정지 시작 시간으로부터 12.2초 만에 0~100km/h(0~62mph)에서 4.4초 만에 가속했습니다.
Skyline GT-R은 ATTESA E-TS 4륜 구동 시스템과 Super-HICAS 4륜 조향 장치를 포함한 많은 첨단 기술을 선보이며 닛산 성능의 주력 모델이 되었습니다.오늘날 이 차는 수입 드래그 레이싱, 서킷 트랙, 타임 어택, 튜닝 매거진이 주최하는 이벤트 등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스카이라인 GT-R의 생산은 2002년 8월에 종료되었습니다.이 차는 스카이라인 V36 플랫폼의 개선된 버전을 기반으로 한 완전히 새로운 차량인 GT-R(R35)로 대체되었습니다.눈에 띄게 다르지만 두 차량은 비슷한 디자인 특징을 공유하며 동일한 공장에서 제작됩니다.
스카이라인 GT-R은 일본 이외의 지역에서 생산된 적이 없으며, 1991년 홍콩, 싱가포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가 유일한 수출 시장이었고,[3] 1997년에는 단일 차량 승인 제도로[4] 인해 일본 수입차로 영국이 유일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카이라인 GT-R은 서구권(주로 영국, 호주,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아일랜드, 캐나다, 미국)에서 회색 수입차로서 상징적인 스포츠카가 되었습니다.[5][6][7][8]그것은 The Fast and the furious, Initial D, Shakotan Boogie, Wangan Midnight, Need for Speed, Forza, Driving Emotion Type-S, Test Drive, 그리고 Gran Turismo와 같은 대중문화를 통해 주목을 받게 되었습니다.2019년, 니스모는 차체 패널과 엔진을 포함한 스카이라인 GT-R의 모든 세대를 위한 예비 부품 생산을 재개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9][10]
이 차는 BBC의 탑 기어가 슈퍼카 분야의 유일한 진정한 일본인 기여로, [11]제레미 클락슨이 세계 최고의 차 중 하나로 당시 이름을 올렸습니다.
브랜드이력

스카이라인의 이름은 닛산-닷선과 합병하기 전에 세단의 스카이라인 라인을 개발하고 판매한 프린스 자동차 회사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원래의 스카이라인은 1957년 4월 프린스 자동차 회사에 의해 출시되었으며 1.5리터 엔진으로 구동되었습니다.1964년에 출시된 프린스 스카이라인 GT는 고급형 프린스 글로리아 세단과 공유된 2.0리터 G7 인라인-6 엔진으로 구동되었습니다.두 개의 도로 주행 버전이 만들어졌습니다.78kW([12]106PS; 105hp) 등급의 단일 카뷰레터 엔진을 장착한 S54A와 92kW(125PS; 123hp) 등급의 삼중 카뷰레터 엔진을 장착한 S54B는 총 100대 생산되었습니다.
GT-R은 그란 투리스모-레이싱을, GT-B는 그란 투리스모-베를리네타를 상징합니다.[13]일본인들은 이 차의 이름을 지을 때 이탈리아식 명명법을 사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그 당시 일본에서 생산된 대부분의 차들은 판매를 더욱 증진시키기 위해 서양식 약어를 사용했기 때문입니다.GT-R의 최초의 이전 모델인 S54 2000 GT-B는 1964년 일본 GP에서 첫 번째 경주에서 목적에 맞게 제작된 포르쉐 904 GTS에 이어 2위를 차지했습니다.그러나 이전의 Prince Skyline Sport coupé/convertible은 GT-R이 Skyline 제품군의 첫 번째 스포츠 지향 모델임을 암시하여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습니다.[14]
GT-R의 다음 모델인 4도어 PGC10 2000 GT-R은 1년 반 동안 33승을 거두었고, 50연승을 시도할 무렵에는 마쓰다 사바나 RX-3으로 운행이 종료되었습니다.이 차는 1972년에 단종될 때까지 1,000번의 승리를 거두었습니다.기존 GT-R 모델 중 마지막 모델인 KPGC110 2000 GT-R은 2000년 이전 GT-R에서 변경되지 않은 S20 119 kW(160 hp) 인라인-6 엔진을 사용했으며 전 세계적인 에너지 위기로 인해 197대만 판매되었습니다.이 모델은 현재 Zama에 있는 Nissan의 역사적인 자동차 보관소에 있는 유일한 목적을 위해 제작된 경주용 자동차로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GT-R은 주요 경주에 한 번도 참가하지 않은 유일하게 GT-R은 Zama에 있는 역사적인 자동차 보관소에 있습니다.
스카이라인은 1990년대까지 인기를 끌었는데, 대부분의 다른 제조사들이 전륜구동 자동차에 초점을 맞춘 반면, 주로 후륜구동으로 남아 있었기 때문입니다.
닛산과 퍼포먼스 부문인 니스모(닛산 모터스포츠)는 성능 향상을 위한 추가적인 개조를 포함한 다양한 특별 에디션을 출시했습니다.
1세대(1969~1972)
1세대 (PGC10) | |
---|---|
![]() | |
개요 | |
생산. | 1969년 2월 ~ 1972년 1,945개 생산 |
디자이너 | 사쿠라이 신이치로 |
차체 및 섀시 | |
바디스타일 | |
배치도 | 전륜구동, 후륜구동 |
파워트레인 | |
엔진 | 2.0 LS20 I6 |
변속기 | 5단 수동 |
치수 | |
휠베이스 | 2,570mm (101.2인치) |
길이 | 4,400mm (173.2인치) |
폭 | 1,665mm (65.6인치)[15] |
높이 | 1,370mm (53.9인치)[15] |
연석중량 | 1,100kg (2,425.1lb)[15] |
최초의 스카이라인 GT-R은 1969년 2월 4일에 도입되었으며, 1966년에 일본의 닛산 대리점 네트워크인 Nissan Prince Store에 독점되었다.1968년 10월 도쿄 모터쇼에서 처음 공개된 후 4도어 세단으로 출시되었습니다.스카이라인의 레이싱 헤럴드를 선보이기 위해 닛산 R380 경주차와 함께 광고되었습니다.7,000rpm에서는 119kW(162PS; 160hp), 5,600rpm에서는 176N ⋅m(130lb ⋅ft)의 2.0L DOHCS S20 인라인 6 엔진이 장착되었습니다.동력은 5단 수동변속기를 통해 뒷바퀴로 전달되며, 차량에는 제한된 슬립 디퍼렌셜이 장착되었습니다.최초의 스카이라인 GT-R은 세미트레일링 암 스트럿 서스펜션에 탑승했습니다.브레이크 시스템은 전방의 디스크 브레이크와 후방의 드럼 브레이크로 구성되었습니다.1971년 3월에 쿠페 차체 스타일로 출시되었으며, 섀시 코드는 KPGC10입니다.
자동차의 내부는 매우 기본적이었고 경주용 버킷 시트와 나무 삽입 장치와 함께 3개의 스포크가 있는 스티어링 휠이 특징이었습니다.페달은 알루미늄 재질로 마감되었습니다.[12]
PGC와 KPGC10 스카이라인 GT-R은 하코스카(Hakosuka)였는데, 하코(Hako) 또는 ハコ(Hako)를 뜻하는 일본어 단어와 스카이라인(Suka)의 발음된 약칭인 スカイライン(Suka)를 합친 것이었습니다.
총 1,945대의 PGC와 KPGC10 스카이라인 GT-R이 생산되었습니다.
2세대 (1972-1973)
2세대 (KPGC110) | |
---|---|
![]() | |
개요 | |
생산. | 1972-1973 197개 생산품 |
디자이너 | 사쿠라이 신이치로 |
차체 및 섀시 | |
바디스타일 | 2도어 쿠페 |
배치도 | 전륜구동, 후륜구동 |
파워트레인 | |
엔진 | 2.0 LS20 I6 |
변속기 | 5단 수동 |
치수 | |
휠베이스 | 2,610mm (102.8인치) |
길이 | 4,460mm(175.6인치)[16] |
폭 | 1,695mm (66.7인치)[16] |
높이 | 1,380mm (54.3인치)[16] |
연석중량 | 1,145kg (2,524.3lb)[16] |

KPGC10의 후속 모델인 KPGC110은 1972년 도쿄 모터쇼에서 소개된 후 1973년에 선보였습니다.1,989cc S20 인라인-6 엔진으로 구동되는 GT-R 2세대는 5단 수동 기어박스를 통해 뒷바퀴에 동력을 전달했습니다.이 차는 앞, 뒤 디스크 브레이크도 함께 달았습니다.서스펜션은 반트레일링 링 암 셋업이었고 공기역학적 부품이 약간 추가되었습니다.
GT-R의 이 모델은 홋카이도 시골을 즐기는 젊은 커플(켄과 메리)의 모습을 담은 인기 광고로 인해 켄메리 스카이라인으로도 알려졌습니다.그 광고는 나중에 버즈의 히트곡을 낳았고, 광고에 등장한 나무는 나중에 작은 스타가 되었습니다.[citation needed]
2세대 GT-R은 1970년대 초반 휘발유 위기가 닥치면서 고성능 스포츠카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면서 성공을 거두지 못했습니다.[17]짧은 생산 기간이 끝날 때까지 총 197대의 자동차가 만들어졌습니다.1989년에 R32를 생산하기 전까지 10년간은 GT-R이 마지막이었습니다.
3세대 (1989-1994)
3세대 (R32) | |
---|---|
![]() | |
개요 | |
생산. | 1989년 8월~1994년 11월 43,937개 생산 |
디자이너 | 이토 나가노리 |
차체 및 섀시 | |
바디스타일 | 2도어 쿠페 |
배치도 | 프론트 엔진, 4륜 구동 |
파워트레인 | |
엔진 | 2.6L 트윈터보 충전 RB26DETT I6 |
변속기 | 5단 수동 |
치수 | |
휠베이스 | 2,615mm (103.0인치)[18] |
길이 | 4,545mm (178.9인치) |
폭 | 1,755mm (69.1인치)[18] |
높이 | 1,341mm (52.8인치)[18] |
연석중량 | 1,430kg (3,153파운드) |
개념.
1973년 스카이라인 GT-R을 단종한 뒤 1989년에 다시 GT-R 명판을 부활시켰습니다.당시 닛산은 스카이라인 GTS-R과 함께 A 그룹 레이싱에 참가하고 있었습니다. 닛산은 보다 경쟁력 있는 차량을 위해 GTS-R을 은퇴시키기를 원했습니다.GT-R의 새로운 세대인 E-BNR32 섀시(일반적으로 R32로 단축)는 A 그룹 경주를 지배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닛산 코키(닛산의 파워트레인 엔지니어링 및 제조 시설)는 원래 RB20 엔진의 2.4L(2,350cc) 용량의 트윈 터보 차저를 시험했습니다.이 설정을 통해 233kW(317PS; 312hp)의 출력을 얻었으며, 후륜 구동 드라이브 트레인을 사용했습니다.A 그룹 규정에 따라 터보차지 엔진은 엔진 배기량에 1.7을 곱해야 하며, 신형 스카이라인은 4,000cc급에 속하며 10인치 너비의 타이어를 사용해야 합니다.닛산은 10인치 폭의 타이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이 차를 올 휠 드라이브로 만들기로 결정했습니다.닛산은 이를 위해 ATTESA E-TS라는 모터스포츠 지향 AWD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트랙션은 도움이 되었지만, 이로 인해 100kg(220lb)의 무게가 더 커졌습니다. 추가된 무게로 인해 GT-R은 4,000cc급의 다른 차들에 비해 불리해졌습니다.그 후 닛산은 배기량을 2,600cc로 늘리고 차의 무게를 경쟁차와 거의 맞먹는 4,500cc급에 넣기로 결정했습니다.4,500cc급은 11인치 너비의 타이어도 장착할 수 있었습니다.그 후 늘어난 배기량에 더 잘 맞추기 위해 새로운 엔진 블록과 헤드가 개발되었습니다.그 결과 441kW(600PS; 592hp)의 출력을 가진 자동차가 나왔습니다.[19]나중에 레이니크(Racing & Rally Engineering Division Incorporated Nissan Kohi)는 트랙 조건에 따라 373–[20]485 kW (507–659 PS; 500–650 hp) 사이의 A 그룹 경주용 엔진을 생산했습니다.
생산.
이 새로운 2,568cc(2.6L) RB26DETT 구동 4륜구동 컨셉은 R32 Nissan Skyline GT-R로 생산되었습니다.R32는 6,800rpm에서 206kW(280PS; 276hp), 4,400rpm에서 260lb ⋅ft(353N ⋅m)의 토크를 개발했으며, 연석 중량은 1,430kg(3,150lb)이었습니다.1989년 8월 21일에 공식적으로 생산을 시작했으며 1990년에 그룹 A 캠페인을 시작했습니다.[23]
스카이라인 GT-R 니스모는 1990년 2월 22일에 모델 코드 접미사 "RA"로 식별되었으며, 표준 차량보다 ¥ 235,500의 프리미엄을 끌어모았습니다.그것은 A 그룹 경주의 성능, 공기 역학, 무게 절감 및 신뢰성과 관련된 많은 변화를 동류화하기 위해 존재했습니다.이 규정들은 "에볼루션" 특별 규정에 따라 500대를 생산해야 했지만, 닛산이 경주차로 개조하기 위해 추가로 60대를 생산, 보유하게 되면서 총 생산대수가 560대로 늘었습니다.[24]공기역학적 변화에는 프론트 범퍼에 있는 두 개의 덕트와 인터쿨러로 가는 공기 흐름을 개선하기 위한 보호 허니콤 메쉬의 제거, 더 많은 공기를 엔진 베이로 유도하기 위한 보닛 립 스포일러, 더 깊은 리어 스패트 및 다운포스를 제공하기 위한 부트 립 스포일러가 포함됩니다.Nismo 사양은 무게를 줄이기 위해 A 그룹에서 합법적이지 않은 ABS와 리어 와이퍼를 삭제합니다.보닛과 전면 패널은 GT-R 모델이 아닌 모든 GT-R 모델에서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어 무게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전체적으로 GT-R Nismo의 무게는 1,400kg(3,086lb)으로 표준 GT-R의 1,430kg(3,153lb)과 비교됩니다.타이어는 16인치 알로이 휠에 장착된 225/55R16의 브리지스톤 RE71입니다.기계적으로 GT-R Nismo는 '표준' GT-R의 RB26 엔진을 사용하지만, 표준 Garrett T03 터보 차저를 더 큰 T04B 모델로 대체하여 강철 휠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세라믹 터보 휠의 스풀업 속도가 빨라집니다.GT-R 니스모는 컬러 코드 KH2 "건 그레이 메탈릭"에서만 구입할 수 있었습니다.그 밖에 작지만 눈에 띄는 변화로는 부트 립 오른쪽 후면에 원형의 "Nismo" 로고, 대시보드 콘솔의 라디오 튜닝 컨트롤 부족(라디오는 옵션이었기 때문에), 크로스 드릴 브레이크 로터 등이 있습니다.260km/h(162mph) 속도계, 3인치 캣백 배기 시스템, 프론트 서스펜션 타워 브레이스, 스포츠 쇼크 업소버, 17인치 알로이 휠, 3번째 브레이크 라이트가 내장된 리어 스포일러 등을 사용할 수 있는 Nismo 브랜드 옵션이 제공되었습니다.


스카이라인 GT-R 'N1' 모델(모델 코드 접미사 "ZN"으로 식별됨)은 1991년 7월 19일에 출시되었으며, 총 245대의 N1 경주용으로 설계되었습니다(이 중 118대는 'N1', 64대는 'V·Spec N1', 63대는 'V·Spec II N1').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R32-N1 사양으로 업그레이드된 엔진이었습니다.'니스모' 차량의 사양에 따라 ABS와 리어 와이퍼를 분리해 경량화하기도 했지만, 'N1'의 경우 에어컨, 사운드 시스템, 부츠 카펫 등도 삭제하고 특유의 경량 헤드라이트를 장착했습니다.'N1' 차량에는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와 차량 하부에 추가적인 브레이크 냉각 덕트를 위한 보강 장치도 설치되어 있었습니다.모든 'N1' 차량에는 컬러 코드 326 '크리스탈 화이트' 페인트가 얇은 층으로 제공되었습니다.
1993년 2월 3일, 닛산은 GT-R의 성공을 기념하기 위해 스카이라인 GT-R V·Spec(승리 사양) 패키지를 출시했습니다.V·Spec에는 브렘보 브레이크와 튜닝된 ATTESA E-TS 시스템이 추가되었습니다.[25]V·Spec은 '평면' 및 'N1' 모델로 모두 출시되었으며, 모든 V·Spec 차량에는 경량 알루미늄 보닛과 'Nismo'의 프론트 범퍼가 사용되었습니다.이 차들은 또한 표준 16인치 휠을 225/45R17 타이어를 장착한 17인치 BBS 휠로 대체했습니다.
1994년 2월 14일, 스카이라인 GT-R V·스펙 II가 출시되었으며, 245/45R17 타이어가 추가되었습니다.'평판' V·스펙과 V·스펙 II는 연석 중량이 1,480kg(3,263lb)으로 표준 GT-R보다 50kg(110lb) 더 무거웠습니다.[26]V·Spec과 V·Spec II의 총 생산량은 각각 1,396대와 1,306대였습니다.[27]
R32 스카이라인 GT-R은 1994년 11월 43,937대 생산을 끝으로 생산이 중단되었습니다.
가장 인기 있는 색상은 KH2 '건 그레이 메탈릭'(45%), '크리스탈 화이트'(18%), '블랙 펄 메탈릭'(13%), KL0 '스파크 실버 메탈릭'(12%) 순입니다.가장 희귀한 색상은 BL0 "Greyish Blue Pearl"로 141개만 있습니다.[28]
1989년 일본 최고의 자동차 프로그램은 Nürburgring Nordschleife에서 Nissan Skyline GT-R32 생산 버전으로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Kurosawa Motoharu가 운전하는 이 자동차는 반습윤 상태의 서킷을 8분 22.38분 동안 랩 타임을 완료하여 트랙에서 가장 빠른 생산 차량이 되었습니다.[29]
2014년 8월, 최초의 R32 스카이라인 GT-R은 25년 이상 된 차량을 수입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NHTSA "25년" 규정에 따라 미국 수입 자격이 부여되었습니다.이 차량들은 연식 때문에 연방 배기가스나 연방 자동차 안전 기준을 준수할 필요가 없습니다.[30]
R32 Zero-R은 441kW(591hp; 600PS)로 HKS에서 개발한 특수 튜너 에디션입니다. 10개가 만들어졌지만 4개만 남아 있습니다.하나는 브루나이의 술탄이 샀습니다.그 중 하나는 2019 도쿄 오토 살롱에서 $212,000에 구입하여 호주로 발송되었습니다.[31][32]
생산수치
- GT-R (시리즈 1) = 17,316
- GT-R 니스모 = 560
- GT-R (호주) = 100
- GT-R (시리즈 2) = 11,
- GT-R (시리즈 3) = 11,827
- V·스펙 = 1396
- V·스펙 II = 1306
- N1 = 245 (GT-R N1 = 118, V·스펙 N1 = 64, V·스펙 II N1 = 63).
- 총 = 43,937
4세대 (1994-1999)
4세대 (R33) | |
---|---|
![]() | |
개요 | |
생산. |
|
디자이너 | 와타나베 고조 |
차체 및 섀시 | |
바디스타일 | |
배치도 | 프론트 엔진, 4륜 구동 |
파워트레인 | |
엔진 | |
변속기 | 5단 수동 |
치수 | |
휠베이스 | 2,720mm (107.1인치)[38] |
길이 | 4,675mm (184.1인치) |
폭 | 1,780mm (70.1인치)[38] |
높이 | 1,360mm (53.5인치)[38] |
연석중량 | 1,530kg (3,373.1lb)[38] |


E-BCNR33(R33)은 GT-R33이 아닌 모델이 1993년 8월에 출시된 이후에도 개발되었다(1993년 도쿄 모터쇼에서 시제품이 공개되었다).R33의 엔진은 R32와 거의 동일했습니다.동일한 터보차저와 동일한 사양을 수동 기어박스에 사용했지만 싱크로가 더 강했습니다.엔진은 더 넓은 칼라(R33 릴리즈 이전 사양 2 R32'에서도 고정)를 사용하여 고전력 애플리케이션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 R32의 약한 오일 펌프 구동 칼라를 보정했습니다.R33 GT-R의 기본 모델은 1,540 kg (3,395 lb)입니다.[39]
R33 GT-R은 1995년 1월 6일에 기본 모델인 GT-R과 V·Spec 모델과 함께 판매되기 시작했습니다.V·Spec 모델은 무게가 10kg(22lb) 더 무겁고 서스펜션이 더 스포티해 지면 간격이 더 낮았습니다.V·Spec에는 액티브 리미티드 슬립 디퍼렌셜이 포함된 최신 ATTESA E-TS Pro 4륜 구동 시스템도 탑재되었습니다.
닛산은 R33 GT-R과 GT-R V·Spec을 출시함과 동시에 R33 GT-R V·Spec N1 모델을 선보였습니다.R33 N1의 변경 사항은 R32 N1의 변경 사항과 유사합니다.이 차는 ABS, 에어컨, 사운드 시스템, 리어 와이퍼, 부트 카펫 등을 제거해 경량화했습니다.R33 GT-R V·스펙 N1은 약간 수정된 R33 N1 엔진을 받았습니다.
R33은 1998년 11월 9일에 생산을 종료했습니다.마지막으로 생산된 R33 GT-R은 블랙 펄 색상으로 마감된 V-Spec in GV1이었습니다.[40][41]
닛산은 Nürburgring Nordschleife에서 R33 GT-R의 랩타임을 기록하였으며, 7분 59초 887의 랩타임을 기록한 더크 쇼이즈먼(Dirk Schoysman)은 8분 이하의 기록을 세운 최초의 생산 차량이 되었습니다.[42]또한 트랙 주변에서 가장 빠른 생산 차량입니다.1999년 스카이라인 GT-RR34에 의해 기록이 깨졌습니다.[43]
1995년, 베스트 모터링은 뉘르부르크링 노르트슐라이페에서 GT-RR33의 테스트를 실시했습니다.구로사와 모토하루 씨가 운전하는 이 차는 트랙을 8분 1초 72초 동안 돌았습니다.[44]
Autech Version 40주년


1997년, 아우텍은 스카이라인 명판의 4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한정판 GT-R 4도어 세단을 만들었습니다.[45]Autech 40주년 중 400개가 계획되어 있었지만, 결국 416개의 예가 만들어졌습니다.[46]
1995 GT-RLM
닛산은 R32 GT-R이 A그룹에서 퇴출된 이후 주로 C그룹 경주에 출전했지만 C그룹의 규칙 변경으로 인해 닛산은 C그룹 경주를 포기하게 되었습니다.그 후 닛산은 BPR 레이싱 시리즈의 GT1 클래스 레이싱에 참가하기 위해 기존 자동차 중 하나를 개발하기 시작했습니다.그 회사는 새로운 GT1 차를 R33 LM 경주용 차에 기본으로 하기로 결정했습니다.자동차의 무게는 1,150 kg (2,535 lb)으로 줄었고 4륜 구동 시스템이 제거되었습니다.또한 다운포스를 증가시키기 위해 새로운 바디킷으로 차를 상당히 넓혔다 내렸다 했습니다.이 차에는 298kW(405PS; 400hp)의 출력을 내는 N1 사양 엔진이 장착되어 있었습니다.엔진은 Xtrac에서 제조한 6단 순차 수동변속기와 결합되었습니다.
4륜 구동 시스템이 제거되어 기존의 GT-RR33과 상당한 차이가 있었습니다.닛산은 레이싱 버전의 후륜구동 시스템에 대응하기 위해 동형화 로드카를 제작해야 했습니다.1995년 GT1 규정에는 GT1 경주차가 도로 버전과 전체적으로 유사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지만, 얼마나 많은 도로 차량을 생산해야 하는지는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이에 따라 닛산 주마 공장에서 단일 도로용 LM 자동차를 개발하여 보관하게 되었습니다.로드 버전은 224kW(305PS; 300hp)로 조정되었으며, 레이싱 버전과 동일한 50mm(2인치) 더 넓은 차체 키트가 장착되었습니다.내부는 알칸타라 림 스티어링 휠과 레이싱 버킷 시트를 장착했지만 표준 R33 GT-R과 동일했습니다.
22번과 23번을 가진 두 개의 경주용 자동차가 만들어졌습니다.그들은 르망의 1995년 시즌에 참가했지만 페라리 F40 LM과 맥라렌 F1 GTR과 같은 더 강력한 경주차들과의 치열한 경쟁에 직면했습니다.H가 운전하는 22번 차.후쿠야마와 S. 카스야는 34번째 시즌에 출전해 전체 10위로 클래스 5위를 차지했고, 등번호 23번은 기어박스 파손으로 157바퀴를 돌다 은퇴했습니다.포르쉐 911 GT1 등 규정의 허점을 이용해 제작한 특수 제작 경주차가 진입하자 닛산은 1996시즌 철수를 결정했습니다.[47][48]
1996년 LM유한공사

생산된 BCNR33의 몇 가지 제한된 버전이 있었습니다.최초의 르망 혹은 "LM" 버전은 1996년 5월 닛산이 르망 24시간 영업에 참여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R33 LM에 사용할 수 있는 유일한 바디 컬러는 챔피언 블루였습니다.이 차는 공기를 상부 전방 개구로 유도하기 위한 전방 스플리터 립과 Gurney flap이 있는 카본 파이버 리어 윙을 가지고 있었습니다.뒷날개 핀에는 탄소섬유 삽입물이 있었고, 삽입물에는 GT-R 배지가 붙어 있었습니다.체크무늬 깃발 아래 'GT-R 스카이라인' 로고가 C필러에 새겨졌습니다.
닛산은 GT-RLM 리미티드 86대, V-Spec LM 리미티드 102대 등 188대만[49] 생산했습니다.
한정판 공장 장착 엑스트라:
- 챔피언 블루 (코드 BT2)
- 카본 파이버 리어 윙 블레이드.
- N1 프론트 브레이크 냉각 덕트.
- N1 보닛 립.
- C필러에 GT-R 기념 데칼.
1996년 니스모 400R
1995년에 Nismo 400R로 명명된 [50]R33의 특별판이 출시되었으며,[51] 400과 R은 각각 엔진의 마력과 경주용을 의미합니다.전반적인 개발 및 계획은 니스모(닛산 모터스포츠 인터내셔널)가 담당했습니다.RBX-GT2는 RINIK(이후 REMIK – "REINIK to the MAX"로 개명)에 의해 설계 및 생산되었다.엔진에는 77.7mm 스트로크 크랭크축(73.7mm 스톡), 단조 87mm 피스톤(86mm 캐스트 스톡), 업그레이드된 로드, 연마된 포트, 하이 리프트 캠축, 업그레이드된 오일 시스템, 더 큰 배기 매니폴드 및 더 높은 출력 터보차저가 장착되었습니다.NISMO는 업그레이드된 배기 장치, 트윈 플레이트 클러치, 인터쿨러 시스템을 생산했습니다.니모 브레이크 패드가 차에 장착되어 있었습니다.400R 전용 공기역학 업데이트도 추가되었는데, 범퍼, 사이드 스커트, 리어 범퍼, 에어스쿱이 더 커진 프론트 범퍼, 카본 파이버로 새롭게 디자인된 보닛과 리어 스포일러 등이 여기에 포함되었습니다.또한 400R에는 18x10 Nismo LM-GT1이 장착되었습니다.이 엔진은 298kW(405PS; 400hp) 및 347lb ⋅ft(470N ⋅m)를 개발하여 최고 속도가 300km/h(186mph) 이상이 되도록 하였으며, 0-97km/h(0-60mph)에서 4.0초 만에 가속할 수 있었습니다.NISMO는 원래 400R 100대를 생산할 계획이었으나 1998년 R33 생산이 종료되기 전까지 44대만 생산되었습니다.[52][53]
액셀러레이션
해수면 아래의 Hot Rod Magazine에 의한 테스트:[54]
- 0~48km/h(0~30mph): 1.4초
- 0~97km/h(0~60mph): 3.8초
- 0~129km/h(0~80mph): 7.0초
- 0–161 km/h(0–100mph): 10.0초
- 0–193 km/h(0–120 mph): 12.1초
- 402m(⁄4mi): 193.6km/h(120.3mph)에서 12.2초
- 48–193 km/h(30–120mph): 10.7초
생산수치
- GT-R (시리즈1) = 5050
- V·스펙(시리즈1) = 4095
- 알 수 없음 (시리즈 1) = 14 (GT-R, V·스펙, V·스펙 N1을 포함한 사전 생산 또는 초기 차).
- GT-R (시리즈2) = 2291
- V·스펙(시리즈2) = 1203
- LM 리미티드 = 188 (86GT-RLM 리미티드, 102V·스펙 LM 리미티드)
- GT-R (시리즈 3) = 1958
- V·스펙 (시리즈 3) = 1269
- Autech Version 40주년 = 416
- N1 = 87 (시리즈 1 = 55 공지, 시리즈 2 = 21, 시리즈 3 = 11)
- UK V·Spec = 97(94x17자리 VIN 모델 + 프로토타입 3개 포함)
- 총생산 = 16,668
5세대 (1999년 ~ 2002년)
5세대 (R34) | |
---|---|
![]() 닛산 스카이라인 GT-RM·스펙 뉘르(BNR34) | |
개요 | |
생산. | 1999년1월~2002년8월 11,578개 생산 |
디자이너 | 와타나베 고조 |
차체 및 섀시 | |
바디스타일 | 2도어 쿠페 |
배치도 | 프론트 엔진, 4륜 구동 |
파워트레인 | |
엔진 |
|
변속기 | 6단 Getrag 233 매뉴얼 |
치수 | |
휠베이스 | 2,665mm (104.9인치)[58] |
길이 | 4,600mm (181.1인치) |
폭 | 1,785mm (70.3인치)[58] |
높이 | 1,360mm (53.5인치)[58] |
연석중량 | 1,560 kg (3,439.2 lb)[59] |


GF-BNR34(R34) 스카이라인 GT-R, GT-R V·Spec, GT-R V·Spec N1 모델은 1999년 1월에 출시되었습니다.R34 GT-R은 이전 모델에 비해 (앞에서 뒤로) 더 짧아졌고, 전면 오버행은 줄어들었습니다.밸브 커버는 이전 모델의 검은색과 [citation needed]달리 광택이 있는 빨간색(컬러 코드 체리 레드 이펙트 Z24 또는 X1020)으로 도색되었습니다.
R34 GT-R의 새로운 기능은 대시보드 중앙에 있는 5.8인치 LCD 다기능 디스플레이로, 터보차저 압력(최대 1.2bar), 오일 및 수온 등과 같은 엔진 및 차량 통계의 7가지 실시간 판독값을 보여줍니다.GT-R V·Spec 모델은 흡기 및 배기 가스 온도라는 두 가지 추가 기능을 디스플레이에 추가했습니다.[59]Nismo 다기능 디스플레이(MFD)는 추가 비용으로 구입할 수 있으며 랩 타이머, G-Force 미터, 부스트 압력 측정치가 2bar로 증가했습니다.R34 GT-R은 R33이 너무 부피가 크다고 생각하는 고객들의 우려에 따라 더 짧게 제작되었습니다.[60]
R33과 마찬가지로, 새로운 R34 GT-R V·Spec(Victory Specification) 모델은 ATTESA E-TS Pro 시스템과 액티브 LSD가 장착되어 있으며, 표준 GT-R 모델은 Non-Pro 시스템과 기존의 기계식 디퍼렌셜이 장착되어 있습니다.또한 V·Spec 모델은 프론트 및 사이드 스플리터와 리어 카본 파이버 에어 디퓨저를 통해 서스펜션이 더욱 단단해지고 접지 간격이 낮아졌으며, 공기 흐름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R34의 출시 당시 닛산은 R32, R33과 마찬가지로 R34 V·스펙 N1[61] 모델을 출시했습니다.R34 V·Spec N1은 R32 및 R33 N1 모델과 유사하게 장착되었습니다.에어컨, 오디오 장비, 리어 와이퍼, 부츠 라이닝 없이 팔렸지만 ABS는 남아 있었습니다.신형 R34 N1에도 신형 R34 N1 엔진이 장착되었습니다.R34 V·Spec N1 모델은[62] 공장에서 38대만 생산되었으며, 그 중 12대는 니스모가 슈퍼 타이큐 경주에 사용했습니다.나머지는 주로 레이싱 팀과 튜닝 차고 등 다양한 고객들에게 팔렸습니다.[citation needed]
V·Spec 버전은 이 80대의 자동차에 대해 여러 가지 수정 작업을 수행하여 영국에도 수입되었습니다.[62][14]여기에는 오일 쿨러 3개, ECU 맵 수정, 풀 코놀리 가죽 인테리어, 언더바디 디퓨저, 서스펜션 강화, 액티브 리어 리미티드 슬립 디퍼렌셜, 차량 내 디스플레이의 추가 디스플레이 기능이 포함되었습니다.영국 외에 10개는 홍콩과[62] 싱가포르에, 5개는[62] 뉴질랜드에 각각 다른 시장 변화가 있었습니다.

2000년 10월, 닛산은 V·스펙을 대체하는 V·스펙 II를 출시했습니다.V·Spec II는 서스펜션의 강성이 향상되었으며(기존 V·Spec보다 강성이 강화됨), 리어 브레이크 로터의 크기도 커졌습니다.또한 NACA 덕트가 장착된 탄소 섬유 보닛이 장착되어 있어 다른 모든 GT-R 보닛의 알루미늄 재질보다 가볍습니다.또한 V·Spec II에서는 이리듐 센터 콘솔과 알루미늄 페달이 다릅니다.좌석은 이전 R34 GT-R 모델에서 사용된 회색 천이 아닌 검은색 천으로 덮였으며, 호박색 턴 렌즈는 흰색 버전으로 대체되었습니다.
탄소 섬유 보닛을 제외한 표준 트림 레벨 GT-R도 이러한 업데이트를 받았습니다.총 18대의[62] V·Spec II N1이 제작되었습니다.총 1855[62] V·Spec II는 일본용으로 제작되었으며, 뉴질랜드 시장용으로 추가로 2대가[62] 판매되고 있습니다.V·Spec N1은 V·Spec II N1으로 교체되었습니다.V·Spec N1에 적용된 것과 동일한 변경 사항이 V·Spec II N1에도 적용되었으며, V·Spec II 카본 보닛은 도장되지 않았습니다.
2001년 5월, M·Spec이[63] 출시되었습니다.V-Spec II를 기반으로 했지만 특별한 "리플 컨트롤" 댐퍼, 수정된 서스펜션 설정, 강화된 리어 스웨이 바, 열선내장 프론트 시트가 장착된 가죽 인테리어가 적용되었습니다.M·Spec의 'M'은 닛산의 수석 엔지니어인 미즈노를 의미했습니다.유일한 다른 변화는 탄소 섬유 보닛을 제거하고 표준 알루미늄 보닛으로 교체한 것입니다.
2002년 2월, 닛산은 스카이라인 GT-R V·Spec II Nür[64], 스카이라인 GT-R M·Spec Nür이라는 최종 생산 모델을 출시했습니다.뉘르는 스카이라인이 개발된 유명한 독일 뉘르부르크링 경마장의 이름을 따 지어졌습니다.
R34 GT-R 뉘르는 총 1,003대가[65] 생산되었습니다.718명은[65] V·스펙 II 뉘르스, 285명은[65] M·스펙 뉘르스였습니다.Nür 모델은 N1 레이싱 엔진을 기반으로 개선된 RB26DETT를 특징으로 합니다.표준 터보차저는 약간의 부스트 증가와 함께 더 큰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되었고 세라믹 블레이드는 스틸 버전으로 대체되었습니다.이것은 지연을 증가시켰지만, 터보의 내구성은 향상되었고 더 큰 부스트 증가를 처리할 수 있었습니다.V·Spec II Nür는 일반 V·Spec II 모델을, M·Spec Nür은 일반 M·Spec 모델을 기반으로 합니다.
뉘르 엔진을 추가한 것 외에, 뉘르 모델에는 내부 트림에 다른 색상의 스티칭이 포함되었으며, 최대 시속 300km(186mph)의 속도계, 빨간색 대신 금색 밸브 커버, 은색 대신 금색 VIN 플레이트가 포함되었습니다.당시 일본 자동차 업계의 규범에 따라 206kW(280PS; 276hp)의 성능을 가진 것으로 광고되었지만 공장을 떠날 때 실제로는 246kW(334PS; 330hp) 이상의 성능을 보였습니다.
1999년 뉘르부르크링 노르셰 라이프에서 닛산의 테스트 기간 동안.이 차는 닛산의 시미즈 가즈오 시운전사가 운전하는 비공식 랩 타임을 7분 52초로 설정했습니다.이 차는 트랙 주변에서 가장 빠른 생산 차량이었던 스카이라인 GT-RR33의 기록을 깼습니다.[66][67]
생산수치
- GT-R (시리즈 1) = 2,709
- V·규격 = 4,
- V·스펙 N1 = 38
- V·스펙 영국 = 81
- V·스펙 홍콩 = 10
- V·스펙 뉴질랜드 = 5
- V·스펙 싱가포르 = 10
- 미상 (시리즈 1) = 20 (GT-R (시리즈 1), V·스펙, V·스펙 N1을 포함한 생산 전 차).
- GT-R (시리즈 2) = 1,268
- V·스펙 II = 1,855
- V·스펙 II 뉘르 = 718
- V·스펙 II N1 = 18
- V·스펙 II 뉴질랜드 = 2
- M·스펙 = 366
- M·스펙 뉘르 = 285
- Nismo Z-Tune = 19 참고:Z-tune은 중고차를 기반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아래의 전체 수치에 그 숫자를 더할 수 없습니다.[73]
- 총 = 11,578
지튠

니스모는 원래 2002년 닛산이 R34 스카이라인 생산에 종지부를 찍을 때 Z-tune의 개념을 디자인했습니다.최초의 Z-tune은 2002년에 사용된 스카이라인 GT-R V·Spec II를 사용하여 2003년에 제작되었습니다.콘셉트 RB26DETT 'Z1' 엔진으로 제작됐습니다.이 엔진은 닛산의 르망 GT2와 GT500 레이싱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습니다.경주용 차량과 마찬가지로 강화된 엔진 블록과 스트로크 방식의 크랭크축이 사용되었습니다.엔진도 지루했습니다.새로운 배기량 2.8L와 업그레이드된 터보차저를 장착한 Z1 엔진은 6800rpm에서 368kW(500PS; 493hp), 5200rpm에서 540N ⋅m(398lbf ⋅ft)의 토크로 평가되었습니다.Z-Tune의 가속 시간은 0-100km/h(62mph)로 3.8초였으며 최고 속도는 327km/h(203mph) 이상이었습니다.[citation needed]
Nismo는 Nissan으로부터 Nismo 기념일을 위한 Z-tune 모델 제작 승인을 받았습니다.그런 다음 Nismo는 중고 R34 GT-R V·Spec 18대를[73] 구입하여 주행 기록계의 길이가 각각 29,000km(18,000마일) 미만인 차량을 구입한 다음 완전히 벗겨져 Z-tune 전용 특수 색상인 "Z-tune Silver"로 재분사했습니다.[76]한 대의 차는 미드나잇 퍼플 III의 원래 색상으로 남겨졌습니다.[73]18개 생산 모델별로 2.8L 엔진이 8,000rpm의 속도를 낼 수 있도록 수정되었습니다.[73]터보차저는 일본의 IHI사에서 공급하였습니다.이 엔진은 보증 이유로 368kW(500PS; 493hp)의 출력을 낼 수 있다고 광고되고 있습니다.[clarification needed]이 Z-tune 엔진의 두 번째 버전은 'Z2'라고 불립니다.차체 구조는 보닛과 범퍼의 엔진 베이 통풍구와 넓은 휠을 위한 더 넓은 아치 등 Nismo의 GT500 레이싱카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기능성 부품으로 설계되었습니다.Z-tune은 Sachs의 공격적인 서스펜션 셋업과 특수 설계된 브렘보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개선되었습니다.
자동차 전체는 기본적으로 수작업으로 제작되며, 자동차는 완전히 벗겨지고 처음부터 다시 제작됩니다.엔지니어들은 도어 이음매와 도어 프레임과 같은 주요 부분에서 섀시 이음매 용접을 강화하고 보강했으며 스트럿 타워와 변속기 터널, 엔진 베이에 탄소 섬유를 추가하여 서스펜션, 드라이브트레인, 엔진을 완전히 재설계했습니다.기어박스 및 기타 부품은 도로 주행 차량에 대해 기대되는 대로 최대의 효율성과 신뢰성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니스모는 20대의 자동차를 만들 계획이었지만 19대(시제품 2대 포함)만 생산을 중단했습니다.[77]
교체

2002년에 생산이 종료된 후, 닛산은 GT-R 모델을 스카이라인 이름에서 분리하여 스카이라인과 동일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지만 완전히 새로운 차량을 만들겠다고 발표했습니다.현재 간단히 Nissan GT-R로 알려진 이 새 차는 2007년 도쿄에서 첫 선을 보였습니다.2008년 소비자들에게 소개된 GT-R은 북미 시장에 처음으로 진출하면서 전 세계에서 처음으로 출시되었습니다.
GT-R은 프리미엄 미드십(PM) 플랫폼을 사용하는데, 이는 스카이라인의 V35 세대가 최초로 사용한 FM 플랫폼의 진화입니다.R34 헤리티지는 섀시 코드: CBA-R35(2007–2011), DBA-R35(2012-2016), 4BA-R35(2017-현재) 또는 간단히 R35에 반영됩니다.
파워트레인

1990년대의 GT-R에는 206kW(280PS; 276hp)의 2.6L 스트레이트 6기통 트윈터보 엔진이 장착되었습니다.표준 터보차저는 세라믹 배기 휠의 가벼운 특성 때문에 더 빨리 스풀링할 수 있도록 하이브리드 스틸/세라믹 디자인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이 드라이브 트레인은 ATTESA E-TS라고 불리는 전자 제어 4륜 구동 시스템 Nissan을 사용하여 네 바퀴 모두에 동력을 공급했습니다.이 시스템은 센터 콘솔 아래에 장착된 2개의 가속도계를 사용하여 측방향 및 종방향 입력을 ECU에 공급했습니다.그런 다음 ECU는 전자식 토크 분할 컨버터를 통해 앞바퀴로의 동력 전달을 제어했습니다.1995년, ATTESA E-TS Pro는 R33 GT-R 고객을 위한 옵션으로 출시되었으며, GT-R V•Spec 모델의 표준 장비로 출시되었습니다.이후 R34 스카이라인 GT-R의 모든 GT-R 모델에서 표준 장비로 사용되었습니다.ATTESA E-TS Pro는 액티브 리미티드 슬립 차동 장치를 추가하였으며, 이는 온보드 ATTESA 컴퓨터가 제어합니다.프론트 디퍼렌셜이 정상적인 Limited Slip Differential(리미티드 슬립 디퍼렌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리어 디퍼렌셜에만 해당되었습니다.ATTESA E-TS Pro는 전자 제어식 4채널 ABS 브레이크 시스템을 추가한 것으로 브로슈어에 광고되기도 했습니다.4륜 구동 시스템과는 관련이 없지만 동일한 센서와 동일한 컴퓨터를 많이 사용합니다.4WD 퓨즈를 제거하면 R32를 AWD에서 RWD로 전환할 수 있지만, R33 및 R34 모델은 프론트 테일샤프트를 제거해야 하거나, 사용 설명서에 명시된 '견인 모드'를 위해 센터 디프를 감압할 수 있습니다.
이 차에는 HICAS라고 하는 컴퓨터 제어식 모든 휠 스티어링 시스템도 장착되어 있었습니다.HICAS 시스템은 차량이 80km/h(50mph)를 초과할 때 작동되며 코너 진입 시 턴인을 향상시키기 위해 리어 휠의 스티어링을 전방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어합니다.이 기능은 종종 인종 응용 프로그램에서 도움이 되기보다는 장애물로 여겨집니다.[citation needed]이 시스템은 경험이 부족한 운전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고속 코너링 시 리어 서스펜션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닛산에서 발표한 수치는 위에서 인용한 것과 같았지만, 테스트 결과 플라이휠에서 거의 243kW(330PS; 326hp)의 공장 출력을 보였습니다.발표된 수치는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206kW(280PS; 276hp)의 출력을 초과하는 자동차를 대중에게 공개하지 않기로 한 신사적 합의를 준수할 필요가 있다는 닛산의 답변이었습니다.
N1 엔진
RB26DETT N1은 표준 RB26DETT 엔진의 업그레이드 버전입니다.닛산 코키(Nissan Kohki)의 REINIK 사업부에서 NISMO와 N1 경주차용으로 개발했습니다.표준 RB26DETT는 내구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N 그룹(N1 클래스) 경주 조건에 비해 유지보수가 너무 많이 필요한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citation needed]REINIK는 강화된 RB26DETT 블록으로 시작했습니다.N1 블록은 블록(05U 표준 블록)에 찍힌 24U 번호로 식별됩니다.실린더 벽은 더 두껍고 수냉 채널은 유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강화됩니다.또한 업그레이드된 오일 펌프와 워터 펌프를 장착하여 경기 상황에 맞게 냉각 및 윤활 기능을 향상시켰습니다.피스톤은 상단 링이 1.2mm(0.047인치)이며 조립 전에 균형을 잡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표준에 매우 근접했습니다.커넥팅 로드도 표준과 비슷하지만 약간 더 강한 재질로 만들어져 균형이 잡혀 있습니다.표준 크랭크축은 더 높은 레벨로 균형이 잡혀 있습니다.보다 높은 유량의 배기 매니폴드와 터보차저가 추가되어 토크는 증가하고 최고급 출력은 약간 높아졌습니다.N1 터보차저의 터빈 휠 또한 표준 터빈에서 볼 수 있는 더 가볍고 약한 세라믹이 아닌 내구성을 위해 강철로 만들어졌습니다.
N1 엔진은 R32 스카이라인 GT-R N1 로드카를 통해 일반에 판매됩니다.R32, 33, 34대의 N1 로드카들은 편의시설이 부족하고 가벼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33 N1 엔진과 터보차저는 약간 수정되었고, R34 N1 엔진은 더욱 개선되었습니다.캠축 타이밍이 토크 증가를 위해 약간 변경되었습니다.R33과 R34 N1 터보차저는 크기가 같지만 R34 N1은 볼 베어링 센터 섹션을 사용합니다.NISMO는 R34 N1의 볼 베어링이 R33 N1보다 400rpm 더 빠르게 스풀링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고 말합니다.
최종 N1 엔진은 R34 뉘르 엔진입니다.유일한 차이점은 캠 커버 색상이 빨간색에서 금색으로 변경되었다는 것과 R34 Nür 에디션이 완전히 장착된 노면전차라는 것입니다.R34 V.spec II Nür 및 R34 M-spec Nür 모델에 사용되는 1,000개의 Nür 엔진이 있었습니다.
모터스포츠

GT-R의 경주장 지배 역사는 1968년부터 1972년까지 일본 경주 서킷에서 49회 연속 우승을 포함한 50회 우승으로 시작되었습니다.닛산은 1973년 석유파동으로 KPGC110 도입 직후 경주에서 철수했습니다.
스카이라인 GT-R은 나중에 "괴물" 트랙 공연과 원산지에 대한 연극으로 "고질라"라는 별명을 얻었습니다.R32 GT-R은 일본 투어링카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했으며 1989년부터 1993년까지 매년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N1 슈퍼 타이큐에서는 1991년부터 1997년까지 50번의 출발 경기(후에 R33)에서 50번의 경주를 치렀습니다.GT-R의 성공은 A 그룹 투어링 카 레이싱의 종말을 울렸고, 공식은 곧 폐기되었습니다.JTCC도 마찬가지로 R32 GT-R에 의해 지배를 받았고 곧 분열되어 슈퍼투어링 부문으로, 또한 간접적으로 오늘날의 GT500 부문으로 전환되었습니다.
GT-R의 성공은 특히 1991년과 1992년에 GT-R(140kg(309파운드)의 무게 패널티와 터보 압력 완화 밸브를 추가로 받고 충돌했음에도 불구하고)이 우승한 호주 배서스트의 마운트 파노라마 서킷에서 열린 연간 1,000km(620마일) 경주에서 두드러졌습니다.1991년 스파 24 아워(Spa 24 Hours)에서 포르쉐 911과 BMW M3 에볼루션(BMW M3 Evolution)에 앞서 폴 포지션과 가장 빠른 랩 타임을 확보하며 종합 우승을 차지했습니다.[78]그것은 일본 GT 시리즈에서 수년간 지배적이었습니다.스카이라인 GT-R은 2004년에 JGTC 시리즈(이후 슈퍼 GT 시리즈로 변경됨)에서 은퇴했습니다.2008년 슈퍼 GT 시즌에는 닛산 GT-R이 우승을 차지하며 GT500의 뒤를 이었습니다(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조)

GT-R 경주에서의 승리는 논란을 면하지 못했습니다.[citation needed]1990년 마카오 그랑프리 기아 투어링카 레이스에서는 하세미 마사히로가 이끄는 공장 지원 R32가 처음부터 끝까지 레이스를 이끌었고, 이로 인해 유럽 참가자들의 항의가 빗발쳤습니다.[citation needed]다음 해, 관계자들은 그 차에 140kg의 무게를 실도록 강요했습니다.[citation needed]또한 같은 해 경쟁력을 갖춘 DTM BMW M3와 메르세데스-벤츠 190E 2.5–16 에볼루션 II에 맞섰습니다.불만을 품은 하세미가 4위를 차지했습니다.다음 해와 마지막 해에는 체급이 줄어들었고, 직장의 지원을 받는 하세미는 또 다른 사략선 R32와 함께 복귀했습니다.사병이 추락했고, 하세미는 엔진 고장으로 퇴역했습니다.
영국에서는 앤디 미들허스트가 닛산 스카이라인 GT-R(R32)을 내셔널 살룬카컵 2연패에 올려놓았습니다.다른 챔피언십 타이틀로는 1991년 호주 투어링카 챔피언십(Jim Richards), 1991년 호주 내구 챔피언십(Mark Gibbs & Rowan Onslow), 1991년 호주 제조업 챔피언십(Australian Manufacturers' Championship), 1992년 호주 투어링카 챔피언십(Mark Skaife), 1992년 스페인 투어링카 챔피언십이 있습니다.
얀스피드는 유럽에서 경주할 세 대의 차를 제공했습니다.전국 투어링 카 시리즈에서 영국의 앤디 미들허스트를 위해 달릴 한 대의 차.1990년에 그들은 24시간 SPA-Francochamp에 3대의 차를 탔습니다.그들은 수업시간에 1, 2, 3의 엄청난 마무리를 해냈습니다.1991년 SPA 클래스(N 그룹)에서 1, 2위를 차지한 SPA에는 24시간 동안 3대의 차량이 투입되어 운행되었습니다.GT-R 그룹 A 자동차도 전체 1위를 차지했습니다.1992년에 그들은 피트 화재로 A조 엔트리가 은퇴하면서 N조에서 2위를 차지했습니다.
얀스피드는 스페인 투어링카 챔피언십(CET)에서도 GT-R을 달렸습니다.이 차는 루이스 페레스 살라가 운전하는 챔피언십에서 우승했습니다.[79]
가메야마 아키라는 GT-R을 Pikes Peak International Hill climb 레이스에 참가하여 각 오픈 클래스에서 세 번 우승했습니다. 한 번은 1993년 R32,[80] 다른 한 번은 R33[81], 그리고 또 한 번은 1998년에 우승했습니다.[82]Rhys Millen은 이듬해 고성능 쇼룸 스톡 부문에서 R33 Skyline GT-R을 수상했습니다.
GT-R은 1994년 롤렉스 24 아워 오브 데이토나로 미국에서 첫 선을 보였습니다.Nismo는 GTU 카테고리의 유일한 A 그룹 사양 R32에 진입했습니다.이 차는 첫 연습에서 내야 부분에서 너무 빨라서 대회가 담합하여 제한 장치를 장착했습니다.그 팀은 그들을 맞추기 전에는 다시 뛸 수 없었습니다.그들은 결국 20위를 했습니다.닛산은 GT-R 모델을 미국에 수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크게 화를 내지 않았을 것입니다.하지만, 그들은 300ZX를 팔았고 그것은 우승한 제품들 중 하나였습니다.

1995년에 니스모는 내구성 경주를 위한 스카이라인 GT-R을 개발했으며, JGTC 사양의 R33을 24시간 동안 사용했습니다.이들은 4륜 구동이 허용되지 않았습니다.동질화 규정을 충족하기 위해 닛산은 4륜 구동이 제거된 최소 1개의 길거리 법적 버전을 제작해야 했습니다.두 경주용 자동차는 르망에서 약간의 성공을 거두었는데, 한 대의 자동차가 전체 10위를 차지했고, GT1 클래스에서 5위를 차지했는데, 이는 더욱 발전된 McLaren F1 GTR과 GT2 클래스 챔피언인 No. 84 Honda NSX가 팀 쿠니미츠에 의해 진입한 전체 순위에서 이겼을 뿐입니다.1996년에는 스카이라인 GT-RLM이 다시 출시되었으며, 이번에는 2.8리터 용량의 RB26DETT가 장착되었습니다.GT1에 다시 출전한 그들은 종합 15위, 클래스 10위를 차지했습니다.그러나 1997년에 닛산은 생산 기반의 스카이라인 GT-RLM을 포기하고 대신에 목적에 맞게 제작된 R390 GT1을 선택했습니다.르망에서 스카이라인의 성공을 기념하여 닛산은 LM 리미티드(LM Limited)라는 한정판 R33을 출시했으며, 이는 "챔피언 블루"(색상 코드 BT2)에서만 구입할 수 있습니다.[83]
2006년에 Automotive Forums.com 은 스피드 월드 챌린지 GT 시리즈에 참가하면서 미국에서 R34 GT-R과 경쟁한 최초의 팀이 되었습니다.팀: 자동차 운전사 겸 사장 Igor Sushko, 승무원 책임자 Sean Morris, 팀 매니저 Victor Reyes, 정비사 Josh Mitchell, 그리고 엔지니어 Merritt Johnson.
2007년 뉴질랜드의 리스 맥그리거(Reice McGregor)가 운전한 히트 트리트먼트 드래그 R32 스카이라인 GT-R은 호주 윌로우뱅크 드래그웨이(Willowbank Dragway)에서 시속 305.98km(190.13mph)로 7.57초로 400m(1 ⁄4마일) 이상에서 가장 빠른 AWD 세계 기록을 깼는데, 이는 이전에 HKS R33 스카이라인 GT-R이 7.67초로 보유하고 있던 기록입니다.열처리 R32의 속도는 7.53@185mph입니다.[86]
같은 해 TOTB U.K 레이싱 시리즈에서 Keith Cowie와 RB Motorsport의 GT-R BNR32는 12.47초로 가장 빠른 사륜구동 시속 0–300km(0–186mph) 기록을 깼습니다.이전 기록 보유자는 90년대 초반 베일사이드 재팬의 BNR32인 또 다른 GT-R이었습니다.[87]
2015년 3월 뉴질랜드 튜닝샵 R.I.P.S.는 BNR32 "RIPS MGAWOT III"로 AWD 400m(1 ⁄4마일) 신기록을 세웠습니다.시속 308.91km (191.95mph)로 7.32초를 달렸습니다.[88]
2020년 7월, 호주의 튜닝 회사인 마투옥스 레이싱의 R32 GT-R은 AWD 쿼터 마일 기록을 깼습니다.자동차 자체는 시속 353.88km(219.94mph)로 6.47마일을 달렸습니다.또한 ET-S R35 GT-R을 제치고 쿼터 마일에서 가장 빠른 GT-R이 되었습니다.[89]
참고 항목
참고문헌
- ^ Lavrinc, Damon (7 December 2007). "GT-R may race in Australia". Autoblog. Retrieved 5 March 2012.
- ^ Perkins, Chris (27 December 2015). "How the Nissan Skyline GT-R Became 'Godzilla'". Road & Track. Retrieved 23 November 2016.
- ^ Chambers, Cliff. "What to know and look out for when buying the unstoppable Nissan Skyline GT-R (R32 - R34)". uniqueca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February 2012. Retrieved 5 March 2012.
- ^ English, Andrew (1 December 2007). "Nissan GT-R: Street racer". Telegrap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February 2009. Retrieved 5 March 2012.
- ^ "About". GTR.co.uk. 15 October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October 2007. Retrieved 30 November 2016.
- ^ "Portal". SAU. Australia. Retrieved 30 November 2016.
- ^ GTR 캐나다.스카이라인 소유주들이 캐나다에 기반을 두고 탑승합니다.
- ^ "American R32 Nissan Skyline Importers Say Prices Have Doubled". Road and Track. 3 August 2015.
- ^ Silvestro, Brian (29 March 2019). "The Nissan Skyline GT-R's RB26 Inline-Six Is Going Back Into Production". US: Road & Track. Retrieved 19 January 2020.
- ^ Weiner, Eric (28 March 2019). "Nissan is restarting production of the Skyline's RB26 straight-six". US: Hagerty. Retrieved 19 January 2020.
- ^ 탑기어 – 시즌 1, 04화
- ^ a b Bovingdon, Jethro (30 December 2017). "Nissan Skyline GT-R Hakosuka - origin of the species". Evo. Retrieved 26 April 2019.
- ^ "7 Amazing Cars Adorned With A GTR Badge". Car Throttle. Retrieved 7 March 2022.
- ^ a b c d "Nissan Skyline GT-R R32 - review, history, prices and specs". Evo. 28 April 2018. Retrieved 26 April 2019.
- ^ a b c d e f "PGC10 Nissan Skyline GTR". jbskyline.net. Retrieved 19 April 2014.
- ^ a b c d e "Heritage Collection Skyline H/T 2000GT-R". Niss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1 June 2013. Retrieved 25 August 2015.
- ^ "Energy Crisis (1970s) - Facts & Summary - HISTORY.com". HISTORY.com. Retrieved 29 March 2018.
- ^ a b c d "1990 Nissan Skyline GT-R technical specifications". Carfolio. Retrieved 25 October 2013.
- ^ – 닛산 헤리티지 컬렉션 'R32 스토리'..nissan-heritage-collection.com
- ^ – REINIK History "REINIK History".Wayback Machine.reimax.co.jp/pages/history/index.html 에서 2015년 5월 8일 보관
- ^ "1990 Nissan Skyline GT-R R32 Nismo". automobile-catalog.com. Retrieved 24 July 2018.
- ^ Green, Gavin (6 July 2016). "The world's most advanced road car: Nissan Skyline R32 GT-R driven (CAR+ archive, 1990)". carmagazine.co.uk. Retrieved 26 April 2019.
- ^ "Nissan Skyline GT-R R32 Production Dates". Nissan Skyline GT-R s in the USA Blog. 13 January 2013. Retrieved 10 May 2018.
- ^ "Nissan Skyline GT-R Nismo Show or Display Application". Nissan Skyline GT-R s in the USA Blog. 12 December 2011. Retrieved 10 May 2018.
- ^ "Nissan Skyline GT-R R34 V-Spec II Specifications and Features". Retrieved 16 March 2023.
- ^ JLIMPORTS.AU – 스카이라인 R32 GT-R "Godzilla.2008년 12월 4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jlimports.com
- ^ a b "Nissan Skyline R32 GT-R Production Details". GTR-Registry. Retrieved 27 April 2017.
- ^ "Nissan Skyline BNR32 VIN Table". GTR-Registry. Retrieved 10 May 2018.
- ^ BNR32 Skyline GT-R #3 ニュルブルクリンクアタック!! [BNR32 Skyline GT-R # 3 Nürburgring Attack !!]. Best Motoring. 198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August 2019 – via YouTube.
- ^ "Importation and Certification FAQ's Directory--All Vehicles - 7. Importing a vehicle that is at least 25 years old". US: 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 Retrieved 10 May 2018.
- ^ Thompson, Chris (8 July 2020). "The history of the HKS Zero-R R32 Skyline". Which Car. Australia. Retrieved 11 July 2021.
- ^ Oliva, Jacob (30 December 2018). "Nissan Skyline R32 HKS Zero-R Is Rarer Than Most Exotic Cars". Motor1. Retrieved 11 July 2021.
- ^ "Nissan Skyline R32 GT-R Nismo". GTR-Registry.com. Retrieved 29 April 2017.
- ^ "Nissan Skyline R32 GT-R Australia". GTR-Registry.com. Retrieved 29 April 2017.
- ^ "Nissan Skyline R32 GT-R V-Spec". GTR-Registry.com. Retrieved 29 April 2017.
- ^ "Nissan Skyline R32 GT-R V-Spec II". GTR-Registry.com. Retrieved 29 April 2017.
- ^ "Nissan Skyline R32 GT-R N1 + V-Spec N1 + V-Spec II N1". GTR-Registry.com. Retrieved 29 April 2017.
- ^ a b c d e "1995 Nissan Skyline GT-R technical specifications". carfolio.com. Retrieved 10 October 2013.
- ^ "Nissan Skyline GT-R V.specifications". Motortraders.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July 2011. Retrieved 7 October 2010.
- ^ Itoh, Aki. "BCNR33 Colors - How Many in What Color?". One Man's Lonely Adventures In His R33 Skyline GT-R. Retrieved 25 February 2018.
GV1 Black Pearl - 19 (the very last V-spec built was this color)
- ^ "EN-BCNR33 VIN Table". GTR-Registry.com. p. 1668 (final page in table). Retrieved 25 February 2018.
- ^ "Nissan GT-R history: here's every generation of 'Godzilla'". Top Gear. 16 April 2019. Retrieved 20 February 2022.
- ^ "Nissan Heritage Collection Skyline GT-R Nürburgring Time Attack". www.nissan-global.com. Retrieved 30 September 2021.
- ^ Skyline R33 GT R Nurburgring Time Attac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November 2021, retrieved 1 October 2021
- ^ Dalle Carbonare, Dino (21 April 2011). "Car Spotlight>> 4-door R34 Gt-r". Speedhunters. Electronic Arts In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November 2020.
- ^ a b "Nissan Skyline R33 GT-R Autech Version 40th Anniversary 4 Door Sedan". GTR-Registry.com. Retrieved 29 April 2017.
- ^ Horncastle, Rowan (9 April 2019). "Meeting a unicorn: Nissan GT-R Skyline R33 LM". Top Gear. Retrieved 26 April 2019.
- ^ Pètràny, Màtè (15 June 2018). "1995 Nissan Skyline GTR LM: What Gearbox Whine?". Road & Track. Retrieved 26 April 2019.
- ^ a b "Nissan Skyline R33 GT-R LM Limited + V-Spec LM Limited". GTR-Registry.com. Retrieved 29 April 2017.
- ^ "【あの限定車は凄かった①】N1マシンの心臓を移植したニスモ400R(99台限定/1995年2月1日受注開始/販売価格:1200万円・当時) - Webモーターマガジン". web.motormagazine.co.jp. Retrieved 24 February 2022.
- ^ "Nissan Skyline R33 GT-R 400R". GTR-Registry.com. Retrieved 29 April 2017.
- ^ "Nismo 400R". JB car pages. Retrieved 26 October 2008.
- ^ "REIMAX".
- ^ "Porsche GT1 vs. Ferrari F40 vs. Vector W8TT vs. NISMO 400R vs. Dodge Viper GTS vs. McLaren F1 vs. Lamborghini Diablo SE vs. Ferrari F50 vs. Bugatti EB110 S". Hot Rod Magazine. US. December 1997.
- ^ "Nissan Skyline R33 GT-R V-Spec N1". GTR-Registry.com. Retrieved 29 April 2017.
- ^ "Nissan Skyline R33 GT-R V-Spec Great Britain (Series 3)". GTR-Registry.com. Retrieved 29 April 2017.
- ^ "Nissan Skyline R33 Production Numbers". GTR-Registry.com. Retrieved 29 April 2017.
- ^ a b c d "Nissan Skyline Gt-r X (R34) 2.6 I 24V Turbo 4WD (1999) (petrol) - Technical data". thecaryoudrive.com. Retrieved 30 September 2013.
- ^ a b Barker, John (27 April 2018). "Nissan Skyline GT-R R34: review, history and specs of an icon". Evo. Retrieved 26 April 2019.
- ^ "Godzillas in the Mist: Nissan Skyline GT-R R32/R34 Driver [review]". Top Gear. 13 April 2017. Retrieved 26 April 2019.
- ^ a b c "Nissan Skyline R34 GT-R V-Spec N1 + V-Spec II N1". GTR-Registry.com. Retrieved 29 April 2017.
- ^ a b c d e f g h "Nissan Skyline R34 Production Numbers". GTR-Registry.com. Retrieved 27 April 2017.
- ^ a b "Nissan Skyline R34 GT-R M-Spec". GTR-Registry.com. Retrieved 29 April 2017.
- ^ Finger, Michael (14 September 2013). "Nissan Skyline R34 GT-R V.Spec II Nur". Pas Mag. Retrieved 17 February 2014.
- ^ a b c d e "Nissan Skyline R34 GTR V-Spec II Nür + M-Spec Nür". GTR-Registry.com. Retrieved 27 April 2017.
- ^ Gorodji, Alex. Nissan GT-R. MotorBooks International. ISBN 978-1-61673-005-5.
- ^ Thompson, Chris. "50 Years of Nissan Skyline GT-R: in pictures". Which Car. Australia. Retrieved 13 October 2020.
- ^ a b c d e f "Nissan Skyline R34 GT-R Production Dates". gtr-registry.com. Retrieved 29 May 2019.
- ^ "Nissan Skyline R34 GT-R V-Spec Great Britain". GTR-Registry.com. Retrieved 29 April 2017.
- ^ "Nissan Skyline R34 GT-R V-Spec Hong Kong". GTR-Registry.com. Retrieved 3 March 2019.
- ^ "Nissan Skyline R34 GT-R V-Spec New Zealand". GTR-Registry.com. Retrieved 3 March 2019.
- ^ "Nissan Skyline R34 GT-R V-Spec Singapore". GTR-Registry.com. Retrieved 3 March 2019.
- ^ a b c d "Nissan Skyline R34 GTR Nismo Z-Tune". GTR-Registry.com. Retrieved 27 April 2017.
- ^ "Z-tune". www.nismo.co.jp. Retrieved 14 May 2020.
- ^ "Nismo Skyline". Evo. Retrieved 14 May 2020.
- ^ Sports Compact Magazine – NISMOZ-Tune 2008년 12월 8일 Wayback 기계에서 보관NISMO는 주행거리계에서 각각 18K 마일 미만인 중고 GT-R V·스펙을 구입하여 껍질을 벗겼습니다.
- ^ Z-Tune News: Z-Tune Discontinuednismo.co.jp .
- ^ "Spa 24 Hours 1991". Racing Sports Cars. Retrieved 12 July 2015.
- ^ "Luis Pérez Sala wins the Spanish touring championship with the Nissan Skyline R32 GT-R. - Repsol 50th Anniversary Competition". Box Repsol. Retrieved 9 February 2020.
- ^ Artemis Images – Akari Kameyama가 2008년 3월 28일 Wayback Machine에서 닛산 스카이라인을 운전하고 있습니다.
- ^ Artemis Images – Kameyama Akira 1996년 닛산 자동차 운전 그는 2008년 3월 28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했습니다.
- ^ "Off Road: Rod Millen Wins Pikes Peak Hill Climb". Theautochannel.com. Retrieved 7 October 2010.
- ^ "BCNR33 Colors - How Many in What Color?". www.r33gt-r.com. Retrieved 27 April 2017.
- ^ 리스 맥그리거 드라이버 Profile.sportscompactcar.com .2008년 8월 20일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 완료
- ^ "World Record Smashed In Australia". heat-treat.co.nz. Summer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August 2011. Retrieved 5 March 2012.
- ^ 미국 블로그에 게재된 닛산 스카이라인 GT-R:열처리 R32 닛산 GT-R: 7.53 @ 185 mph 비디오
- ^ "New 0-300 km/h 4wd Record". Skyline Owners Forum. 3 August 2007. Retrieved 10 November 2019.
- ^ New GTR World Record 7.327 @ 191.95mph RIPS MGAWOT II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November 2021 – via YouTube.
- ^ "Custom Nissan GT-R Sets 1/4-Mile Record Of 6.47 Seconds At 220 MPH". Motor1.com. Retrieved 25 September 2021.
추가열람
- Gorodji, Alex (2008). Nissan GT-R: Legendary performance, Engineering Marvel. Motorbooks. ISBN 978-0-7603-3036-4.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