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차 경제부문
일반적으로 서비스업으로 알려진 경제의 3차 부문은 3차 부문 이론의 3차 경제 부문 중 세 번째 부문(경제 사이클이라고도 한다)이다. 그 외는 2차 부문(대략 제조업과 동일), 1차 부문(원재료)이다.
서비스 부문은 최종 제품 대신 서비스 생산으로 구성된다. 서비스("무형재"라고도 함)에는 주의, 조언, 접근, 경험 및 감정노동이 포함된다. 정보의 생산은 오랫동안 서비스로 간주되어 왔지만, 일부 경제학자들은 이제 그것을 4차 분야인 4차 분야, 즉 2차 분야로 보고 있다.
산업의 3차 부문은 최종 소비자들뿐만 아니라 다른 사업체에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서비스에는 건전한 소매업, 병해충 방제 또는 오락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것처럼 생산자에서 소비자로의 상품의 운송, 유통 및 판매가 포함될 수 있다. 그 상품들은 외식 산업에서 일어나는 것처럼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물리적인 상품을 변형시키기보다는 사람들과 교류하고 고객을 섬김으로써 사람들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정의의 어려움
주어진 기업이 2차 또는 3차 부문의 일부인지 구획인지 정의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 그리고 몇몇 계획에서 그 분야의 일부로 분류된 회사들만이 아니다; 경찰이나 군과 같은 정부나 그 서비스, 자선단체나 연구회 같은 비영리 단체도 그 분야의 일부로 볼 수 있다.[1]
사업을 서비스로 분류하기 위해서는 유엔의 국제표준산업분류표준(International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SIC) 코드 체계와 새로운 대체품목인 북미산업분류체계(NAICS), 통계분류체계(Statistical Classifi) 등의 분류체계를 이용할 수 있다.EU 및 기타 유사한 시스템의 유럽공동체 경제활동 설명. 이러한 정부분류체계는 경제적 재화의 유무형의 여부를 반영하는 1단계 서열체계를 갖추고 있다.
금융과 시장조사를 목적으로 글로벌산업분류기준, 산업분류 벤치마크 등 시장기반 분류체계를 활용해 서비스 분야에 참여하는 사업을 분류한다. 정부분류체계와 달리 1단계 시장기반분류체계는 경제를 기능적으로 관련되는 시장이나 산업으로 나눈다. 이 계층의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단계는 재화나 용역이 생산되는지 여부를 반영한다.
진행 이론
지난 100년 동안 1차, 2차 부문에서 선진국의 3차 부문으로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변화를 tertiarization이라고 부른다.[2] 3차 부문은 현재 서구 세계에서 경제 규모가 가장 큰 부문이며, 또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부문이기도 하다. 글로벌리스트 오마에 겐이치(小澤一)는 90년대 초 서비스업 성장을 점검하면서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미국은 70%의 노동력이 서비스 분야에서 일하고 있고, 일본은 60%, 대만에서는 50%의 노동력이 일하고 있다. 이들은 반드시 버스보이와 동거하는 가정부가 아니다. 그들 중 상당수는 전문직에 종사하고 있다. 그들은 제조업 노동자만큼, 그리고 종종 더 많은 돈을 벌고 있다.[3]
경제는 농업과 광업에 대한 과도한 의존에서, 제조업(예: 자동차, 섬유, 조선, 철강)의 발전으로, 그리고 마지막으로 보다 서비스 기반 구조로 나아가는 발전적 추세를 따르는 경향이 있다. 현대 세계에서 이 길을 따라간 첫 번째 경제는 영국이었다. 다른 나라들이 서비스 기반(또는 "포스트 산업") 경제로 전환하는 속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했다.
역사적으로 제조업은 서비스보다 국제 무역과 경쟁에 더 개방적인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급격한 비용 절감과 사람들의 운송과 정보의 통신에 있어서의 속도와 신뢰성의 향상으로, 서비스 부문은 현재 보호주의의 잔존에도 불구하고, 가장 치열한 국제 경쟁의 일부를 포함하고 있다.
서비스 제공업체 문제

서비스 제공업체들은 상품 판매업자들이 거의 직면하지 않는 서비스를 판매하는 장애물에 직면한다. 서비스는 무형의 것이기 때문에, 잠재적 고객들은 그들이 무엇을 받을지 그리고 그들을 위해 어떤 가치를 가질지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다. 실제로, 컨설턴트나 투자 서비스 제공자와 같은 일부는 지급된 가격에 대한 가치를 보증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서비스의 질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의 질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인건비"는 대개 서비스 비용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제조자는 판매되는 상품의 원가를 낮추기 위해 기술, 단순화 및 기타 기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서비스 제공자는 종종 비용 증가라는 끊임없는 패턴에 직면한다.
제품 차별화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투자자문가를 다른 투자자문위원보다 어떻게 선택하는가? 서비스에 대한 프리미엄을 부과하는 것은 대개 브랜드 인지도에 기초하여 추가 요금을 부과하는 가장 확립된 회사들만을 위한 선택이다.[4][self-published source?]
3차 업종 사례
3차 산업의 예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통신
- 접대 산업/관광
- 매스미디어
- 의료/병원
- 공중위생
- 약국
- 정보 기술
- 폐기물 처리
- 자문
- 도박
- 소매판매
- 빠르게 움직이는 소비재(FMCG)
- 프랜차이징
- 부동산
- 교육
- 금융서비스
- 프로페셔널 서비스
- 교통
- 티칭
3차 출력별 국가 목록
아래는 2016년 시장 환율로 서비스 생산량에 따른 국가 목록이다.
이코노미 | 2016년 3차 생산량 기준 국가(달러화 기준) | ||||||||
---|---|---|---|---|---|---|---|---|---|
(01) 미국 | 14,762 | ||||||||
(02) 중국 | 5,688 | ||||||||
(03) 일본 | 3,511 | ||||||||
(04) 독일 | 2,395 | ||||||||
(05) 영국 | 2,109 | ||||||||
(06) 프랑스 | 1,941 | ||||||||
(07) 이탈리아 | 1,366 | ||||||||
(08) 브라질 | 1,295 | ||||||||
(09) 캐나다 | 1,081 | ||||||||
(10) 인도 | 1,024 | ||||||||
(11) 스페인 | 926 | ||||||||
(12) 오스트레일리아 | 859 | ||||||||
(13) 대한민국 | 850 | ||||||||
(14) 러시아 | 797 | ||||||||
(15) 멕시코 | 661 | ||||||||
(16) 터키 | 551 | ||||||||
(17) 네덜란드 | 543 | ||||||||
(18) 스위스 | 484 | ||||||||
(19)인도네시아 | 429 | ||||||||
(20) 벨기에 | 362 | ||||||||
국제통화기금(IMF)과 CIA 세계 팩트북에 따르면 2016년 3차 생산량 기준으로 가장 큰 20개국이다. |
참고 항목
참조
- ^ R.P. Mohanty & R.R. Lakhe (1 January 2001). TQM in the Service Sector. Jaico Publishing House. pp. 32–33. ISBN 978-81-7224-953-3. Retrieved 1 May 2013.
- ^ 2014년 7월 20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유럽 생활 및 근로 조건 개선을 위한 재단의 정의
- ^ 국경 없는 세계: 상호 연계된 경제의 힘과 전략.
- ^ De Soto, Glenn (2006). Fragmented: the Demise of Unionized Construction. Lulu.com. p. 64. ISBN 9781847285775.[자체 분석 소스]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즈 경제 3차 분야 관련 매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