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의 암살과 테러

Assassination and terrorism in Iran

현대 이란 역사의 과정에서 남성, 여성, 어린이, 정부 관리, 활동가, 세속적지식인, 성직자 등 수많은 민간인들이 암살, 테러 또는 비전투자에 대한 폭력의 희생자가 되었습니다.[1] 20세기 이란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테러 행위 중 하나는 1978년 시네마 렉스 화재와 1990년대 이란 연쇄 살인 사건입니다.

20세기 동안 몇몇 이란 총리, 대통령, 장관들이 무장단체에 의해 암살당했습니다. 일부 주목할 만한 희생자는 모하마드 자바드 바호나르, 샤푸르 바흐티아르, 아미르-압바스 호베이다, 압돌호세인 하지르, 하지 알리 라즈마라, 모하마드 알리 라자이 대통령, 모하마드 베헤시티 사법부 수반, 알리 사야드 시라지 육군 최고사령관, 다리우스 포루하르 노동부 장관 등입니다.

집단들은 일부 공격에 대해 책임을 지고 있으며, 어떤 집단이나 정권은 피해자들의 공격에 대해 의심을 받거나 비난을 받았고, 또 다른 집단에서는 가해자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이란에서 발생한 살인의 가해자로 추정되거나 인정된 사람들은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재흥주의자들을 포함한 광범위한 범위에 걸쳐 있습니다 (파다얀-에 이슬람, 준달라, 시네마 렉스 화재, 1998년 아프가니스탄 주재 이란 외교관 살해사건의 탈레반). 이스라엘 또는 이슬람 공화국의 핵 프로그램의 다른 외국 적들(이란과학자 암살), 정체불명의 반시아 극단주의자들(2010 차바하르 자살 폭탄 테러, 1994 이맘 레자 신사 폭탄 폭발), 이슬람 공화국의 이슬람 적들(하프트-에 티르 폭탄 테러), 이슬람 공화국의 강경파 지지자들 (이란 연쇄 살인)

이란인에 대한 공격

카자르 시대의 암살 사건

모하마드 카자르는 약 16년간의 집권 끝에 1797년 카라바흐 칸국의 수도 수사(슈시)에서 암살당했습니다. 모하마드 칸 카자르의 암살은 고대의 궁전 음모 관행의 일부라고 할 수도 있지만, 1896년 5월 1일 샤 나세르 알 딘 샤 카자르[2] 살해한 것은 정치 운동의 도구로서 현대 테러 현상과 더 밀접하게 일치합니다. 나세르 알딘은 현대 범이슬람주의의 초기 발기인 자말 알딘 알아프가니의 추종자인 미르자 레자 케르마니의 총에 맞아 사망했습니다. 알아프가니는 암살에 대해 "피에 굶주린 이 폭군을 죽인 것은 분명 선행이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파다얀에이슬람

파다얀에 이슬람의 나밥 사파비.

Fadayan-e Islam은 1946년 이란에서 나밥 사파비(Navab Safavi)라는 "카리스마가 있는 신학 학생"에 의해 설립된 이슬람 근본주의 비밀 사회입니다. 사파비는 이란에서 특정 주요 지식인과 정치인을 신중하게 계획된 암살을 통해 "부패한 개인"을 제거함으로써 "이슬람을 정화"하려고 했습니다.[4] 1940년대 말과 1950년대 초, 세속주의 작가 아흐마드 카스라비, 전 총리 압둘 후세인 하자르, 교육문화부 장관 아흐마드 잔게네, 총리 하지알리 라즈마라 등이 목표로 삼았습니다. 집단의 영향력과 성공은 강력한 성직자 지지자들을 이용하여 암살자들을 처벌로부터 해방시킬 수 있었습니다. 1950년대 중반, 샤의 권력이 공고해진 후, 그 그룹은 진압되었고 사파비는 처형당했습니다. 이 단체는 아야톨라 호메이니와 이란 이슬람 혁명의 지지자로서 살아남았습니다.

1978년 시네마 렉스 화재

이란 혁명이 한창이던 1978년 8월 19일, 이란 아바단의 시네마 렉스가 영화 '사슴들' 상영 도중 불이 나 420여 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당시 비극은 샤 무함마드 레자 팔라비 정권의 탓으로 돌렸고, 대중의 큰 분노를 불러일으켰고, 그의 타도에 기여했습니다.[5][6][7][8]

무자헤딘에칼크의 공격

미르-호세인 무사비가 설계한 하프테 티르 폭격 희생자 묘

1981년 6월 28일 이란의 인민무자헤딘이나 MEK(이슬람 무장단체이지만 반체제 단체)가 설치한 폭탄으로 당시 아야톨라 호메이니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지위에 있던 모하마드 베헤쉬티 대법원장을 비롯한 이슬람 공화국당 고위 관료 70명이 사망했습니다. 이란 이슬람혁명 2년 후, MeK는 지금은 해체된 이슬람공화당의 본부에 폭탄을 터뜨렸습니다. 두 달 후, MeK는 대통령 집무실에서 또 다른 폭탄을 터뜨려 라자이 대통령, 모하마드 자바드 바호나르 총리, 그리고 경찰청장 바히드 다스트자르디 대령을 살해했습니다.

1998년 연쇄 살인사건

이란 반체제 인사들은 이슬람 공화국 건국 이후 어떤 식으로든 이슬람 공화국 체제에 비판적이었던 지식인과 정치 활동가들의 미해결 살인과 실종을 호소해 왔습니다. 1998년, 정치 지도자 다리우스 포루하르와 그의 부인, 세 명의 반체제 작가들이 두 달 동안 살해되면서 이러한 불만은 정점에 이르렀고, 이 사건은 1998년 이란 연쇄 살인 사건 또는 이란 연쇄 살인 사건으로 알려졌습니다.[9][10][11] 많은 사람들이 고위급 관리들이 살해에 책임이 있다고 믿고 있지만, 정보부의 보안 담당 부관인 사이드 에마미는 살해 혐의로 체포되었고 나중에 자살했습니다. Iranterror.com 에 따르면, "[에마미]가 정보 보안부 작전에 대한 민감한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살해된 것으로 널리 추정되었고, 이는 이슬람 공화국의 지도부 전체에 손상을 입혔을 것입니다."

탈레반과 수니파 극단주의자들의 공격

1994년 마슈하드 폭격

1994년 6월 20일, 마슈[13] 있는 이맘 레자 신사의 기도원에서 폭탄이 폭발하여 최소 25명이 사망했습니다.[14] 이란 정부는 시아파수니파 사이의 종파 분쟁을 피하기 위해 무자헤딘-에-칼크 사건을 공식적으로 비난했습니다.[15] 그러나 파키스탄 일간지 더 뉴스 인터내셔널은 1995년 3월 27일 "파키스탄 수사관들이 카라치의 랴리에 거주하는 24세의 종교광 압둘 샤쿠어를 람지 유세프의 중요한 파키스탄 동료로 확인했습니다. 압둘 샤쿠어는 람지 아흐메드 유세프와 친밀한 접촉을 가졌으며 1994년 6월 20일 마슈하드의 이맘 알리 레자 신사에서 발생한 대규모 폭탄 폭발 사건의 책임이 있습니다."[16] 제임스타운 재단 테러감시단은 "1994년 10월 이란 정보부가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범인들은 시파-에-사하바의 자매 조직인 파키스탄 라슈카르-에-장비의 공작원으로 확인됐다"[17]고 밝혔습니다.

1998년 마자르이샤리프 사건

1998년 8월 8일, 탈레반은 알카에다의 도움을 받아 아프가니스탄의 도시 마자르이샤리프를 공격하여 이란 외교관과 언론인 11명과 아프간 민간인 수천 명을 살해했으며, 이는 시아파에 대한 탁피르의 동기에 의한 공격으로 여겨졌습니다.[18]

이란이 더 분노한 것은 파키스탄 ISI가 자국의 안전을 보장했다는 사실이었습니다.

이란 정부는 ISI 요원들이 탈레반과 함께 마자에 진입한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영사관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파키스탄 정부와 접촉했습니다. 이란인들은 도스트 모하메드의 부대가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해 파견되었다고 생각했고 처음에는 그들을 환영했습니다. 탈레반은 처음에는 외교관들의 소재를 인정하지 않았으나, 이후 국제사회의 항의와 이란의 분노가 거세지자, 공식적인 명령이 아닌 탈레반을 거부하여 외교관들이 살해되었음을 인정했습니다. 그러나 믿을만한 소식통들은 도스트 모하메드가 무라 오마르에게 무선으로 외교관들을 죽여야 하는지 물었고 오마르가 허락을 했다고 말했습니다."[19]

이란은 또 서방 국가들, 특히 미국의 지원이 부족해 이란을 적으로 여겼던 데 대해 분노했습니다.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는 이번 테러를 언급하며 "현재 가장 위험한 테러조직의 일원으로 알카에다 요원들을 쫓고 있는 미국인들도, 유럽인들도 전혀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20]고 주장했습니다.

탈레반은 또한 반체제 이란 단체들을 "은밀하게" 지원한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이 단체들은 탈레반으로부터 무기와 지원을 받았으며 "이란인들은 파키스탄인들도 자신들을 후원하고 있다고 확신했습니다." 이 단체는 이란이 압도적으로 시아파임에도 불구하고 시아파 이란 정부를 전복시키려 했습니다.[21]

이란은 긴장이 완화되겠지만 군사력에 비상을 걸고 아프간 국경으로 병력을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살해에 대응했습니다.

준달라 (2003년 이후)

발로치스탄에 근거지를 둔 이슬람 수니파 발로치 반군 조직인 준달라는 이란에서 수니파의 권리를 위해 싸우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22] 1,000명의 전투기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400명의 이란 군인들을 죽였다고 주장합니다.[23] 이 단체는[24] 이란과 파키스탄에 의해 테러 조직으로 확인되었으며 많은 사람들은 이 단체가 알카에다와 연관되어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25] 또한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여겨집니다.[26]

2007년 자헤단 폭격

2007년 2월 14일 오전 6시 30분 시스탄발루체스탄주 자헤단의 아흐마바드구에서 폭발물을 가득 실은 승용차가 혁명수비대를 가득 실은 버스 앞에 멈춰 섰습니다. 도로 한가운데 주차된 승용차가 버스를 강제로 멈춰 세웠습니다. 그리고 나서 그 차의 운전자와 승객들은 버스를 향해 총을 쏘는 동안 오토바이를 타고 현장을 떠났습니다. 몇 초 후에 폭탄이 터져서 18명의 경비병이 사망했습니다. 카셈 레자에이 경비대 사령관은 "이 맹목적인 테러 작전은 자헤단 시민 18명의 순교로 이어졌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레자에이는 공격의 원인을 "불안정함과 반란"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마지드 라자비 내무부 관리는 이란 경찰이 폭탄 테러 발생 1시간 만에 용의자를 체포했다고 말했습니다.[27]

알카에다와 연계된 것으로 알려진 조직 준달라는 [28]지난 2월 15일 공격이 자신들의 소행이라고 주장하며, 이는 아흐바즈 폭탄 테러를 자행한 혐의로 기소된 이들의 처형에 대한 보복이라고 말했습니다.[citation needed] 이란 정부는 용의자 5명을 체포했는데, 이들 중 2명은 체포 당시 캠코더와 수류탄을 소지하고 있었고, 경찰은 이번 공격의 주범인 '대리인'을 살해했습니다.[29]

자헤단의 의회 대표인 호세인 알리 샤흐리아리는 수사적으로 "왜 우리의 외교 장치는 산적과 정권의 적을 비호한 파키스탄 정부에 심각하게 맞서지 않는가? 보안, 군, 경찰 관계자들은 왜 더 심각한 조치를 취하지 않습니까?"[29]

2005년 아흐바즈 폭탄 테러

아흐바즈 폭탄 테러는 주로 아흐바즈에서 일어난 일련의 폭탄 테러였습니다. 이번 폭탄테러는 지난 2005년 발생한 아랍의 아흐바즈 소요사태 진압과 관련이 있습니다. 첫 번째 폭격은 6월 12일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일어났습니다. 내무부 관리 모하마드 후세인 모타하르는 당시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30]

주택도시개발부 청사 내 화장실과 건설토목사업소에 폭탄 2발이 숨겨져 있었습니다. 세 번째 폭탄이 쿠제스탄 주지사의 집 앞에서 터졌습니다. 이 세 번의 폭발은 모두 아흐바즈의 도심에서 일어났습니다. 또 다른 폭탄이 아흐바즈에 있는 라디오와 텔레비전 관계자의 집 문간에 숨겨져 있었습니다. 문이 열리자 폭탄이 터졌습니다.

2008년 시라즈 폭격

2008년 4월 시라즈의 이슬람 사원에서 발생한 테러로 남성 10명, 여성 2명, 어린이 2명 등 14명이 사망했습니다. 200명 이상의 부상자도 발생했습니다. 공격에 대한 책임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2008년 호송 폭탄 테러

서방의 보도에 따르면, 2008년 7월 테헤란에서 발생한 폭발 사고로 최소 15명이 사망하고 수십 명이 다쳤습니다. 당초 이란에서 발생한 폭발사고에 대한 뉴스 정전이 있었고, 혁명수비대는 폭발 원인과 파괴 행위가 관련됐을 가능성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최근 몇 달 동안 설명할 수 없는 많은 폭발이 있었습니다." 호송차는 폭발 당시 헤즈볼라를 위해 무기를 소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31]

2010년 차바하르 자폭 사건

2010년 12월 14일 이란 동남부 해안도시인 이맘 후사인 모스크 외곽의 시아파 무슬림 애도 행렬에서 자폭한 두 명의 자살폭탄 테러범이 자폭했습니다.[32] 폭탄 테러는 무함마드의 손자인 후사인 이븐 알리의 순교를 기념하기 위해 시아파 무슬림들이 모인 타수아의 날에 일어났습니다.[33] 이 폭격으로 적어도 38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34]

2010~2012년 과학자 암살 사건

2010년에서 2012년 사이에 이란 핵 과학자 4명이 암살당했고, 5분의 1이 암살 기도 실패로 다쳤습니다. 이란 정부는 이스라엘이 이번 공격을 자행했다고 비난했습니다. 이스라엘은 이를 부인했습니다.

2017년 테헤란 테러

2017년 6월 7일, 이라크∙레반트 이슬람국가(ISIL) 소속 테러리스트 5명이 동시다발 테러를 감행했습니다. 이란 테헤란에 있는 이란 국회의사당루홀라 호메이니 묘소가 타격을 입어 민간인 17명이 숨지고 43명이 다쳤습니다.[35][36]

2018년 아흐바즈 공격

2018년 9월 22일 이란 남서부 도시 아흐바즈에서 열병식이 공격을 받았습니다.[37][38]

2018년 차바하르 자폭 사건

2018년 12월 6일, 자살 폭탄 테러범이 경찰서 근처에서 자신의 차를 폭발시켜 경찰 2명이 숨지고 수십 명이 다쳤습니다.[39]

2022년 이맘 레자 신사에서 칼부림

2022년 4월 5일, 이란 마슈하드이맘 레자 신사에서 칼부림 공격이 발생하여 시아파 성직자 2명이 사망하고 3분의 1이 다쳤습니다. 외국인 압둘라티프 모라디로 알려진 이 가해자는 자신을 도운 혐의로 기소된 다른 6명과 함께 즉시 체포되었습니다. 희생자들은 비영리 건설 및 문화 공동체의 활동적인 구성원들이었습니다.[40]

아프가니스탄에서 우즈베키스탄계 불법 이민자인 압둘라티프 모라디(21)[41]는 "샤이아 무슬림을 이단으로 보고 그들의 피가 새어나야 한다고 믿는 탁피리"로 불렸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모라디와 그의 형은 "아불라티프 알 살라피", "하산 모라디", "아불라치브 알 모와히드"라는 이름으로 소셜 네트워크에서 활동하며 시아파 무슬림을 비판하고 탁피리 사상을 홍보했습니다. ("아불라티프 알 살라피" 가명은 살라피 동조를 나타냅니다.)[42] 그는 2022년 6월 교수형으로 처형되었습니다.[43]

2022~2023년 샤 체라흐 사원 습격 사건

2022년 10월 26일, 시라즈의 샤 체라그 신사에서 한 괴한이 여성과 어린이를 포함한 순례자 15명을 총으로 쏴 죽이고 수십 명을 다치게 했습니다. 그 남자는 보안군의 총에 맞았고 나중에 그의 상처로 사망했습니다.[44] 대쉬(또는 ISIS)는 "공격에 대한 책임을 졌다"고 말했지만, 이란 국영 언론에 따르면, 그들은 "서방과 이스라엘에 의해 주도되고 있다"고 합니다.[45]

2023년 8월 13일, 후에 Rahmatola Nowruzo로 알려진 또 다른 괴한이 같은 신사에서 총을 쏴 2명을 죽이고 7명을 다치게 했습니다. 그는 2023년 9월 22일 혁명 법정에서 모하레베(moharebeh)와 다른 범죄로 두 차례 유죄 판결을 받고 사형을 선고받았습니다.[44]

이란 국영 언론이 보도한 이란 정보부의 성명에 따르면, 이란 정보부 군대는 8월 13일 신사 공격에서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 "대쉬 연계" 충성파를 붙잡았고, 196명의 탁피리 테러리스트들이 2022년 오코터 공격과 2023년 8월 성지 공격 사이에 잡히거나 사망했다고 합니다. 그들은 모두 비이란인이었습니다. 그들은 아제르바이잔, 타지키스탄, 아프가니스탄 출신이었습니다.[44]

마하사 아미니 시위

국영 언론에 따르면 '2022년 9월 발생한 폭동' 1주년, 즉 마하사 아미니히잡을 못 쓴 것으로 알려진 혐의로 체포된 뒤 보안군의 손에 의해 사망한 날에 '30건의 동시다발 테러'가 발생할 예정이었습니다.[46] "이란 정보부, 계획된 공격 무력화 선언, 테러범 28명 체포"[46]

2024년 케르만 폭탄 테러

2024년 케르만 폭탄 테러
The site of the bombings.
사헤브 알 자만 모스크의 돔이 배경으로 보이는 순교자 묘지로 향하는 길에서 발생한 폭탄 테러 현장
위치케르만
날짜.2024년 1월 3일(2024년 1월 3일)
15:50 – 16:00IRDT (UTC+03:30)
대상이란 민간인
공격유형
폭격
죽음89[47]
다친.171+[47]
가해자이슬람 국가 (책임 주장)

2024년 1월 3일 15시 50분에서 16시 사이(이란 시간), 케르만에서 카셈 솔레이마니 암살 기념식 도중 폭탄 2발이 폭발했습니다.

쌍둥이 폭발은 솔레이마니사망 4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사헤브자만 모스크 주변 [48]골자르 쇼하다 묘지에 있는 솔레이마니의 무덤을 향해 가는 행렬을 강타했습니다.[49] 첫 번째 폭발은 주차장 근처 솔레이마니 무덤에서 700m 떨어진 곳에서 일어났고, 두 번째 폭발은 많은 사람들이 도망친 쇼하다 거리에서 1km 떨어진 곳에서 일어났습니다.[50][51]

1차 폭발 현장에 출동했다가 2차 폭발에 휘말린 구급대원 3명을 [52]포함해 최소 211명이 숨지고 최소 171명이 다쳤습니다.[53]

사망자 대부분은 2차 폭발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됐습니다.[50] 부상자들 중 몇몇은 폭발 후에 일어난 공포에 짓밟혔습니다.[54]

이란 정부는 이 폭탄 테러를 테러 공격으로 [49]선언해 1979년 이후 이란에서 발생한 그러한 사건 중 가장 치명적인 사건이 되었습니다.[50]

이란 이슬람 공화국의 공격 혐의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이란에서 자행된 공격 외에도 다른 나라에서 자행된 치명적인 공격이 있었지만 이란 이슬람 공화국에 의해 어느 정도 가능해졌습니다.

구체적으로 이슬람 공화국 정부는 여러 나라로부터 비국가 무장 세력의 훈련, 자금 조달, 무장, 안전한 피난처 제공 등의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레바논의 헤즈볼라, 팔레스타인의 하마스, 그리고 다른 팔레스타인 그룹(이슬람 성전(PIJ)과 팔레스타인 총사령부 해방을 위한 대중전선(PFLP-GC)이 그 예입니다. 이 단체들은 많은 국가들과 국제 기구들에 의해 테러 단체로 지정되어 있지만, 이란은 그러한 단체들을 이스라엘의 군사 점령에 직면하여 자위권을 가진 "민족 해방 운동"으로 간주합니다.[55]

A number of countries (Argentina, Thailand, Albania,[56] Denmark,[57] France,[58] India,[59] Kenya,[60] United States)[61][62][63][64][65] have also accused Iran's government itself (usually in the form of the Islamic Revolutionary Guards Corps) of plotting assassinations or bombings against perceived enemies of the Iranian government in their countries.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Iran, victim of terrorism and discrimin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29, 2014. Retrieved November 22, 2014.
  2. ^ Clay, Catrine (2006), King, Kaiser, Tsar. 런던: 존 머레이
  3. ^ 니키 R. 케디, 세이이드 자말 애드딘 "알 아프간": 정치 전기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1972), p.412
  4. ^ 타헤리, 알라의 영, (1985), p.98
  5. ^ 아프카미, R. Gholam (2009) 캘리포니아 대학 출판부의 생애와 시대, 465 & 459페이지, ISBN 0-520-25328-0
  6. ^ 안사리, M. 알리 (2007) 현대 이란: 팔라비스와 피어슨 교육 이후, 259페이지, ISBN 1-4058-4084-6
  7. ^ 연방연구부(2004) 이란 A Country Study Kessinger 출판사, 78페이지, ISBN 1-4191-2670-9
  8. ^ Bahl, Taru, Syed, M.H (2003) Muslim World Anmol Publications PVT. Ltd., 2003, 105페이지, ISBN 81-261-1419-3
  9. ^ "반군 작가 3명 살해는 이란에서 희망을 두려움으로 바꾸다", 더글러스 젤, 뉴욕 타임즈, 1998년 12월 14일 A6쪽
  10. ^ "RFE/RL Iran Repor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7, 2008. Retrieved January 5, 2008.
  11. ^ 녹색 왼쪽 – 정규 특징: Write On: Wayback Machine에서 Green Left Weekly Archived에 보내는 편지 2009년 6월 22일
  12. ^ 2012년 9월 11일 Wayback Machine보관된 Saeed Emani라는 사람
  13. ^ "ABC Evening News for Monday, Jun 20, 199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20, 2011. Retrieved May 30, 2009.
  14. ^ 폭발 원: 이란. (마슈하드 폭격)
  15. ^ "Special Analysis: The Ashura Massacr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4, 2008. Retrieved November 22, 2014.
  16. ^ SIPAH-E-SAHABA 파키스탄, LASHKAR-E-JHANGVI, BIN LADEN & RAMZI YOUSEF, 2007년 1월 28일 Wayback Machine에서 보관
  17. ^ "The Iranian Intelligence Services and the War On Terror By Mahan Abedi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1, 2007. Retrieved November 22, 2014.
  18. ^ 인권감시보고서, '아프가니스탄, 마자르이샤리프 대학살', 1998년 11월
  19. ^ 라시드, 아흐메드, 탈레반 : 호전적 이슬람, 석유 및 중앙아시아 근본주의, 예일대 출판부, 2000 p.74-5
  20. ^ 이라크 테러 배후에 무슬림이 있다는 것을 믿을 수 없습니다: 2007년 9월 27일 웨이백 기계보관지도자
  21. ^ 라시드, 아흐메드, 탈레반 : 전투적 이슬람, 석유와 중앙아시아 근본주의, 예일대 출판부, 2000쪽 203
  22. ^ "Preparing the Battlefield". The New Yorker. July 7,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7, 2014. Retrieved November 22, 2014.
  23. ^ Massoud, Ansari (January 16, 2006). "Sunni group vows to behead Iranians". The Washington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3, 2007. Retrieved April 5, 2007.
  24. ^ 3일 만에 두 번째 폭발 이란 도시 강타, 2007년 2월 16일 웨이백 머신 알카에다 뉴페이스에서 2008년 2월 24일 보관, 2004년 8월 7월 5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
  25. ^ Neck Mohammed by Syed Salem Shahzad의 유산 2012년 5월 3일 스탠포드 웹 아카이브에 보관
  26. ^ "Seymour Hersh: US Training Jundullah and MEK for Bombing Prepar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29, 2014. Retrieved November 22, 2014.
  27. ^ 2017년 7월 2일 웨이백 머신 워싱턴포스트에 보관이란의 18명의 혁명수비대원들이 폭탄으로 사망했습니다.
  28. ^ 알카에다, 팔레스타인 발판 확보 2007년 2월 9일 웨이백 머신 스코츠맨에 보관
  29. ^ a b 이란 폭탄 공격으로 사망한 경비원 11명, 2007년 9월 27일 웨이백 머신 걸프 타임즈에 보관
  30. ^ "Iran: Bombings May be Connected with Minorities, Elec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5, 2007. Retrieved July 26, 2007.
  31. ^ Coughlin, Con (July 24, 2008). "Iranian military convoy rocked by mystery explosion". Telegraph.co.uk. Retrieved November 22, 2014.
  32. ^ "Explosion in Chabahar". IRNA. December 15, 2010. Retrieved December 15, 2010.[영구적 데드링크]
  33. ^ "Suicide bombers kill at least 38 in southeast Iran". Times of India. December 15,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8, 2010. Retrieved December 15, 2010.
  34. ^ "Deadly bomb attack in Iran city of Chabahar". BBC News. December 15,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16, 2010. Retrieved December 15, 2010.
  35. ^ Erdbrink, Thomas (June 7, 2017). "Islamic State Claims Deadly Iran Attacks on Parliament and Khomeini Tomb".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June 8, 2017.
    "Iran shootings: Parliament and shrine attacked". BBC. June 7, 2017.
  36. ^ "Shootings reported at Iranian parliament and Khomeini shrine". The Guardian. France-Presse Agence. Retrieved June 8, 2017.
  37. ^ "Several Killed as Gunmen Attack Military Parade in Iran: State TV". The New York Times. Reute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2, 2018. Retrieved September 22, 2018.
  38. ^ "Several killed, at least 20 injured in attack on military parade in Iran". The Washington Po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2, 2018. Retrieved September 22, 2018.
  39. ^ "Suicide bomber kills at least two in attack on southeast Iran..." Reuters. December 6, 20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6, 2018. Retrieved December 6, 2018.
  40. ^ "حضور معنادار مردم در مراسم تشییع پیکر شهید اصلانی/ پیکر شهید رمضان در کنار شهدای انفجار حرم رضوی آرام گرفت + فیلم و تصاویر". خبرگزاری تسنیم Tasnim (in Persian). Retrieved April 9, 2022.
  41. ^ "Taliban Condemn Stabbing Attack at Shiite Site in Iran – Politics news". Tasnim News Agency. Retrieved April 9, 2022.
  42. ^ "اختصاصی تسنیم/ جزییاتی از هویت ضارب سه روحانی در حرم رضوی(ع)- اخبار استانها تسنیم". خبرگزاری تسنیم Tasnim (in Persian). Retrieved April 9, 2022.
  43. ^ "Iran hangs extremist accused of murdering Shia clerics". Al Arabiya. June 20, 2022.
  44. ^ a b c "Main culprit in terror attack on Shah Cheragh shrine sentenced to death". Tehran Times. September 22, 2023. Retrieved October 18, 2023.
  45. ^ Emami, Sara (August 14, 2023). "Shah Cheragh terrorist attack: sequel to a failed plot". Tehran Times. Retrieved October 18, 2023.
  46. ^ a b "30 simultaneous terrorist attacks neutralized in Tehran". Tehran Times. September 24, 2023. Retrieved October 18, 2023.
  47. ^ a b Yee, Vivian; Fassihi, Farnaz (January 3, 2024). "Bombing in Iran Kills Over 100, Sowing Confusion and Speculation".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3, 2024. Retrieved January 3, 2024.
  48. ^ Wintour, Patrick; editor, Patrick Wintour Diplomatic (January 3, 2024). "Almost 100 dead in blasts at Iran memorial for assassinated commander". The Guardian. ISSN 0261-3077. Retrieved January 3, 2024. {{cite news}}: last2= 일반 이름(도움말)이 있습니다.
  49. ^ a b "Ninety-five killed in bomb blasts near Iran general Qasem Soleimani's tomb - state TV". January 3, 2024. Retrieved January 3, 2024.
  50. ^ a b c "Iran says at least 73 people killed, 40 wounded in blasts at ceremony honoring slain general". AP News. January 3, 2024. Retrieved January 3, 2024.
  51. ^ "Iran: Deadly blasts near grave of slain Qassem Soleimani – DW – 01/03/2024". dw.com. Retrieved January 3, 2024.
  52. ^ i24NEWS (January 3, 2024). "Iranian official declares explosion near Soleimani's tomb was a 'terrorist attack'". I24news. Retrieved January 3, 2024.{{cite web}}: CS1 main: 숫자 이름: 저자 목록 (링크)
  53. ^ "Iran blames Israel, US for blasts that killed 95 near grave of Guards general Soleimani". France 24. January 3, 2024. Retrieved January 3, 2024.
  54. ^ "Dozens killed in blasts near Iran general's tomb". Al Jazeera. Retrieved January 3, 2024.
  55. ^ Malakoutikhah, Zeynab (September 10, 2018). "Iran: Sponsoring or Combating Terrorism?". Studies in Conflict & Terrorism. 43 (10): 913–939. doi:10.1080/1057610X.2018.1506560. Alt URL
  56. ^ "Albania Expels Two Iranian Diplomats For Allegedly 'Harming' National Security". RFE/RL. December 20, 2018.
  57. ^ "Denmark calls for fresh EU sanctions on Iran after alleged assassination plot foiled – ABC News". ABC News. October 30, 2018.
  58. ^ Paris, Charles Bremner (October 3, 2018). "France freezes Iranian assets after rally bomb plot". The Times. ISSN 0140-0460. Retrieved October 3, 2018.
  59. ^ Chauhan, Neeraj (July 29, 2012). "Cops name Iran military arm for attack on Israeli diplomat". The Times of In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December 8, 2012. Retrieved July 29, 2012.
  60. ^ Kreider, Randy (July 2, 2012). "Iranians Planned to Attack US, Israeli Targets in Kenya: Officials". ABC News. Retrieved August 19, 2012.
  61. ^ "Hunted in Brooklyn: Activist targeted by Iran in assassination plot says Rushdie attack has made her more determined than ever". The Independent. September 2022.
  62. ^ "Iranian Dissident: Man With Rifle Arrested Outside Brooklyn Home Is Agent for Iran". NBC New York. August 9, 2022.
  63. ^ "Suspected Plot Against VOA Persian Host in NY Underscores Dangers of Transnational Reprisal". VOA. August 11, 2022.
  64. ^ "U.S. charges Iranian military operative in plot to assassinate former Trump advisor John Bolton". CNBC. August 10, 2022.
  65. ^ "Iranian operative plotting assassination of John Bolton also targeted Mike Pompeo: Report". Fox News. August 11,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