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타 프리우스(XW20)

Toyota Prius (XW20)
토요타 프리우스(XW20)
2nd Toyota Prius.jpg
개요
제조사토요타
생산
  • 2003-2009년 (일본)
  • 2004-2012 (중국)
연식2004-2009(북미)
조립
디자이너오카모토 히로시(2001)[1]
차체 및 섀시
클래스준중형차
보디 스타일5도어 리프트백
배치프론트 엔진, 프론트 휠 구동
플랫폼토요타 MC 플랫폼
파워트레인
엔진
전송1단 유성 기어
하이브리드 드라이브트레인파워 스플릿 하이브리드
치수
휠베이스2,700 mm (1968.3인치)
길이4,450mm(제곱.2인치)
1725mm(67.9인치)
높이1,490mm(58.7인치)
연석 중량1,317kg(2,903lb)
연대기
전임자토요타 프리우스(XW10)
후계자토요타 프리우스(XW30)

도요타 프리우스도요타자동차가 개발하고 제조한 풀 시리즈 병렬형 하이브리드 전기 소형차다. 2세대 프리우스는 콤팩트한 패스트백으로 완전히 재설계되어 있었다. XW20 시리즈는 도요타 프리우스 2세대를 대표해 전작 XW10을 대체했다. 미국 환경보호국(EPA)과 캘리포니아 공자원위원회(CARB)는 프리우스를 2008년 스모그 형성과 유독가스 배출량을 기준으로 미국에서 판매된 차량 중 가장 깨끗한 차량으로 평가했다.[3] 도요타는 전 세계적으로 2세대 프리우스 약 119만2000대를 판매했다.[4]

개발

1999년, 도요타는 수석 엔지니어 호리 시게유키 밑에서 2세대 프리우스에 대한 개발을 시작했다. 2001년에는 오카모토 히로시의 외관 디자인이 승인되어 생산을 위해 동결되었다.[1] 2003년에 프리우스는 콤팩트 리프트백으로 완전히 재설계되었고, 기계와 내부 공간이 재배포되어 뒷좌석 레그룸과 짐칸이 크게 늘어났다. 2004년형 프리우스는 1997-2003년형(EPA에 따르면)보다 훨씬 환경 친화적이며 이전 버전보다 6인치(150mm) 길다.[5] 공기역학적으로 캠백 차체의 길이와 내풍성 균형을 유지하여 드래그 계수(Cd) 0.26이 된다.[5] 호리 시게유키 수석 엔지니어의 개발 노력은 530개의 특허를 출원하게 되었다.[6]

2006년 파리 도요타 전시장에서 열린 프리우스 컷오프

프리우스는 업계 최초로 냉각을 위해 전전기 A/C 컴프레서를 사용하며,[7] 엔진 벨트 구동 엔진 부속품을 더욱 최소화하기 위해 전동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을 추가했다. 더 작고 가벼운 NiMH 배터리와 결합된 XW20은 XW11보다 더 강력하고 효율적이다.[8][9] 미국에서는 2004년형 프리우스의 배터리 팩이 10만 마일(16만 km) 또는 8년 동안 보증된다.[10] 캘리포니아와 북동부 7개 주에서 강화된 캘리포니아 배출가스 규제 기준을 채택한 하이브리드 부품에 대한 보증은 150,000마일(24만 km) 또는 10년이다.

배터리

2021년 원래의 2005 Prius 하이브리드 배터리 재설치(화면상의 빨간색 "삼각형"을 유발한 여러 모듈을 교체한 후 28개의 모듈을 명확히 표시함)

2세대 도요타 프리우스는 28개 모듈로 구성된 201.6볼트 NiMH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으며, 각 모듈은 6개의 개별 1.2볼트 6.5아 프리즘 NiMH 셀로 구성된다. 7.2볼트 모듈에는 각각 충전 컨트롤러와 릴레이가 포함되어 있다. 28개 모듈을 직렬로 연결하여 총 에너지 저장용량은 1.310kWh(201.6V × 6.5Ah)이다. 배터리 제어 컴퓨터는 충전 상태(SoC)를 약 40% ~ 80%(허용 사이클링)로 유지하며, 평균 SoC는 약 60%를 맴돌며, 약 400Wh의 유용한 에너지 저장을 허용하여 회생 제동으로부터 에너지를 포착하고 모터 제너레이터 1과 모터 제너레이터를 통해 하이브리드 드라이브-트레인으로 다시 방출한다. 전원 분할 장치에 2개. 얕은 사이클링으로 하이브리드 배터리는 수만 사이클을 지속할 수 있으며, 이는 수십 년 동안 사용되며 많은 경우 200,000마일(320,000km) 이상의 작동으로 해석된다. 컴퓨터 제어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은 배터리 수명, 달력 수명 및 열 제어 성능을 향상시킨다. 수동형 배터리 냉각 및 가열은 배터리 어셈블리 팩의 금속 케이스를 통해 이루어지며, 블로워 모터 및 덕트 시스템을 갖춘 강제 공기 냉각 시스템은 HV 배터리의 능동 냉각을 가능하게 한다.

실내

SULEV(Super Ultra Low Excasures Vehicle)로 분류되며, 캘리포니아 공자원위원회로부터 "첨단기술 부분 제로 배출 차량"(AT-PSEV)으로 인증을 받았다.[5]

프리우스의 옵션으로는 도요타의 스마트시스템(사용자를 비활성화할 수 있는 기능), 다기능 디스플레이의 DVD 내비게이션, 차량 안정성 제어, 핸즈프리 통화용 블루투스 등이 있다. 새로운 지능형 주차 보조 시스템은 출시 이후 일본과 유럽에서 사용할 수 있었다.[11]

2005년부터 2009년까지 2세대 프리우스는 FAW-토요타가 창춘시에 중국 시장을 위해 건설했다.[12] 2006년에는 총 2152대, 2007년에는 414대의 프리우스가 판매된 것으로 알려졌다. 상대적으로 판매가 저조한 것은 수입 부품에 대한 높은 관세 부과로 인해 일본이나 미국 등가보다 약 1만 5천 달러 높은 높은 가격 탓이었다.[13] 도요타는 2008년 3월 초 CN25만9800달러(3만6500달러)로 프리우스 가격을 최대 8%(3000달러) 인하했다. 수용이 부족하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매출이 떨어진 것으로 판단됐다. 혼다 시빅 하이브리드는 2007년부터 중국에 수출됐다.[14]

도요타의 디자인과 개발 노력은 시트로엥 C4포드 포커스에 앞서 프리우스가 우승한 2005년 올해의 유럽 자동차 대회에서 성과를 거뒀다. 프리우스와 닛산 리프는 이 대회에서 우승한 유일한 자동차로 유럽 주요 제조업체의 주류 해치백과 세단/살롱이 우승했다.

연구용 플러그인

일본 요코하마시 2008 자동차 엔지니어링 박람회에 전시된 토요타 프리우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프로토타입

도요타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 미국, 일본, 유럽에서 NiMH 배터리를 리튬이온 배터리 팩으로 교체한 126개의 프리우스 모델을 시험했다.[15]

2007년 7월, 토요타는 일본과 미국 정부의 승인을 받아 공공 도로에서 수정된 NiMH 배터리를 사용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모델을 시험하기 시작했다.[16] 미국의 첫 플러그인 프리우스는 사우스캐롤라이나로 갔다.[17] 어바인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첨단 전력 에너지 프로그램과 버클리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교통 연구소의 연구원들은 두 개의 특별 제작된 프리우스를 테스트하고 운전자의 행동을 분석하고, 공기 질과 에너지 사용을 연구하기 시작했다.[18][19]

연식변경

토요타 프리우스(검은색 상부 테일 램프 부분 포함)
페이스리프트 토요타 프리우스(상단 테일 램프 부분이 선명함)

2005년 말(2006년 모델)에 도요타는 XW20에 약간 업데이트된 프런트 엔드, 수정된 계기, 그리고 재배치된 뒷좌석 등 약간의 외관 변화를 도입했다.[20] 다른 변화들은 고해상도 액정표시장치뿐만 아니라 백업 카메라, 고급 에어백, 보조 입력이 있는 업그레이드된 오디오 시스템과 같은 새로운 선택적 기능들을 포함했다.

2006년(2007년 미국 모델 연도)에 프리우스는 측면 커텐 에어백(모든 모델에서 표준)을 추가했다. 연장되고 더 큰 리어 스포일러와 함께 크고 뾰족한 7스포크 16인치 마그네슘 휠에 플라스틱 허브캡 커버를 씌워 연석에 주차할 때 긁히지 않도록 보호해 주는 투어링 에디션이 도입됐다.Touring Edition)이 도입됐다. 투어링 에디션에는 보다 딱딱한 유럽 스타일의 튜닝된 서스펜션, 표준 고강도 방전(HID) 헤드라이트, 통합형(비 HID) 안개등도 함께 제공된다.

2005년 도요타는 전 세계 16만 대 판매량 중 미국에서 68건의 스톨 민원이 발생한 데 이어 프리우스의 엔진이 전기 전용 작동으로 'limp' 모드로 전환되는 소프트웨어 결함도 고쳐야 했다.[21][22] 도요타는 2006년 6월에도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중간 샤프트와 슬라이딩 요크 결함으로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약 17만대의 프리우스 모델을 리콜했다.

안전

유로 NCAP 테스트 결과
토요타 프리우스(2004)[23]
테스트 점수 순위
성인 탑승자: 34
어린이 승객: 43
보행자: 13

2011년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기사는 2006년부터 2009년까지 급발진 및 전복에 대한 불만이 리콜로 이어졌다고 보도했다. 또 다른 문제에 대해 NHTSA 데이터베이스는 이러한 모델 연식에 대한 모든 고객 불만사항의 49%가 조명, 전조등 또는 가시성과 관련되었음을 보여준다. 고강도 방전(HID) 전조등 옵션인 프리우스 21만6000개 중 이 시스템의 보증 수리는 2만8000개에 달했다. 전조등은 때때로 경고 없이 꺼지곤 했고, 드문 경우 두 전조등이 모두 꺼지곤 했다. 부상자는 몇 명 있었지만 사망자는 없었다. 도요타는 보증기간이 3년에서 5년으로 연장된 집단소송 합의에 동의하고 이전 수리에 대해 차주에게 배상하기로 합의함으로써 전조등 리콜을 피했다. 그 실패가 전구 자체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전구를 제어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남아 있었다.[24]

미국 도로교통안전청(NHTSA)이 2004년 미국 모델 연도인 프리우스의 충돌 테스트에서 정면 충돌 테스트(별 5개 중)에서 5성 드라이버와 4성 승객 등급을 받았다. 측면 충돌 결과는 앞좌석과 뒷좌석 모두 별 5개 중 4개였다. 그 차는 전복 시험에서 별 다섯 개 중 네 개를 얻었다.[25]

미국 고속도로안전보험연구소가 정면충돌에서 프리우스 굿을, 측면 에어백이 장착된 모델에서 측면충격 충돌에서 굿을 전반적으로 평가했다.[26] 사이드 에어백이 없는 모델에게는 불량 점수가 주어졌다.[27] 사이드 커튼과 몸통 에어백은 2007년 미국 모델에서 표준이 되었다.

공식 정부 연료 소비량 데이터

2005년식 토요타 프리우스 다기능 디스플레이의 다기능 모니터로, 마지막 가솔린 충전 이후 59마일(95km) 동안 누적 연비가 표시된다.

미국

미국에서는 신차 유리창에 환경보호청(EPA) 시험결과를 반드시 게시해야 하며, 연료소비량 수치로는 유일하게 광고를 할 수 있다. 모든 차량에 대한 EPA 시험 절차는 일반 운전자가 달성하는 수준에 더 잘 부합하기 위해 2007년에 개정되었다.[28]

프리우스의 EPA 수치에서는 48mpg‑US(4.9L/100km, 58mpg‑imp)의 도시 주행, 45mpg‑US(5.2L/100km, 54mpg‑imp)의 고속도로 주행, 46mpg‑US(5.1L/100km, 55mpg‑imp)의 조합된 데이터를 추출한다.[29]

영국

교통부가 제공한 영국의 공식 연료 소비 데이터는 프리우스를 56.5mpg‑imp(5.00 L/100km; 47.0mpg‑US) 도시, 67.3mpg‑imp(4.20 L/100km; 56.0mpg‑US) 도시, 65.7mpg‑imp(4.30 L/100km; 54.7mpg‑US) 도시 지역으로 평가한다.[30]

대기 오염

미국에서 EPA는 점수를 부여하기 전에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입자 물질포름알데히드를 기반으로 차량의 공기 매개 오염을 측정한다.[31] 대부분의 주에서 XW20 Prius는 Tier II Bin 3. CARB 또한 자체 배출 점수를 매기고 XW20 Prius는 캘리포니아에서 AT-PSEV 인증을 충족하며, CARB 배출 규칙을 채택했다고 명시한다.[32][33]

2세대 프리우스는 104g/km에서 4번째로 CO 배출량이2 적은 차량으로 MINI 쿠퍼 D와 동률을 이뤘고, 98g/km의 포드 피에스타 에코니티틱과 99g/km의 폭스바겐 폴로 1.4TDI/SEAT 이비자 1.4TDI에 이어 동률을 기록했다. CO 배출이2 가장 적은 가솔린 자동차다(포드와 폴로/이비자는 디젤로 달린다).[34]

수상

2007-2009MY 토요타 프리우스 투어링(미국)

참조

  1. ^ a b "岡本浩志" [Okamoto Hiroshi] (in Japanese). Chiba University. 2006. Retrieved 2016-06-21.
  2. ^ Kamiya, Munehiro. "Development of Traction Drive Motors for the Toyota Hybrid System" (PDF). Toyota Motor Corporation. Retrieved 2015-09-18.
  3. ^ "2008 Toyota Prius" (Press release). Hybridcar.com. 2007-10-21. Retrieved 2009-07-14.
  4. ^ Toyota Europe News (2013-07-03). "Worldwide Prius sales top 3-million mark; Prius family sales at 3.4 million". Green Car Congress. Retrieved 2013-07-03.
  5. ^ a b c d "Motor Trend 2004 Car of the Year Winner: Toyota Prius". Motor Trend. US. 2003-12-01. Retrieved 2007-12-21.
  6. ^ "Innovators: Shigeyuki Hori". Time. 2004-08-0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4-03-20. Retrieved 2010-01-10.
  7. ^ Bowden, Robert. "2004 Toyota Prius Review". About. U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4-07-01.
  8. ^ Olszewski, Mitch (March 2011). "Evaluation of the 2010 Toyota Prius Hybrid Synergy Drive System" (PDF). US: Department of Energy. Retrieved 2019-02-24.
  9. ^ "Test Drive Notes: 2004 Toyota Prius". Car Talk. US: Dewey, Cheetham and How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4-05-19., 카톡. 2007년 12월 21일 회수.
  10. ^ "Pressroom : Our Point of View / Toyota". Blog.toyota.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3-31. Retrieved 2009-07-14.
  11. ^ Toyota. "Intelligent Parking Assist – Toyota Europe Corporate Website". Toyota.eu.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2-25. Retrieved 2009-07-14.
  12. ^ "Toyota Delays Production of Third Generation Prius in China". ChinaAutoWeb.com.
  13. ^ Ian Rowley (2007-11-05). "Prius sales yet to catch fire in China". BusinessWeek Eye on Asia blog. Retrieved 2010-06-05.
  14. ^ "In China, Toyota cuts price of Prius by 8% due to slowing sales". AutoblogGreen. 2008-03-07. Retrieved 2010-04-28.
  15. ^ Ohnsman, Alan (2009-09-14). "Toyota Remains With Nickel After Lithium Prius Test". Bloomberg.com. Retrieved 2009-09-15.
  16. ^ Abuelsamid, Sam (2007-07-25). "Toyota gets Japanese approval for PHEV Prius road tests". Autobloggreen.com. Retrieved 2009-07-14.
  17. ^ Abuelsamid, Sam (2007-07-18). "South Carolina gets first plug-in hybrid". Autobloggreen.com. Retrieved 2009-07-14.
  18. ^ "Toyota plug-in hybrid hits the road". The Boston Globe. Associated Press. 2007-07-26. Retrieved 2009-12-22.
  19. ^ "Newsinfo.inquirer.net". Newsinfo.inquirer.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6-11. Retrieved 2010-10-03.
  20. ^ "Prius' minor makeover". GoAuto. John Mellor. 2005-12-16. Retrieved 2010-11-27.
  21. ^ NAFTC eNews 토요타 프리우스 리콜 발표 – 2005년 10월
  22. ^ Naftc.wvu.edu
  23. ^ "Euro NCAP results for Toyota Prius". euroncap.com. 2004.
  24. ^ Bensinger, Ken (2011-01-19). "Toyota to settle lawsuit over Prius headlights that shut off without warning". Los Angeles Times. Retrieved 2017-07-29.
  25. ^ "2004 Toyota Prius 4-D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5-24.
  26. ^ "IIHS-HLDI: Toyota Prius 2007–09 models". Iihs.org. 2008-09-25. Retrieved 2010-10-03.
  27. ^ "IIHS-HLDI: Toyota Prius 2004–06 models". Iihs.org. 2006-10-06. Retrieved 2010-10-03.
  28. ^ Gartner, John (2007-05-14). "Hybrid Cars' Fantasy Mileage Ratings Drive Into the Sunset". Wired. CondéNet. Retrieved 2008-06-03.
  29. ^ "2008 Toyota Prius". U.S. EPA. Retrieved 2007-12-25.
  30. ^ "Vehicle details for Prius 1.5 VVT-i Hybrid E-CVT". UK Department for Transport. Retrieved 2008-09-02.
  31. ^ "Gett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Vehicle Emissions Standards". Hybrid Cars. 2006-03-31. Retrieved 2009-07-14.
  32. ^ "the greenest vehicles of 2008". greenercars.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9-10. Retrieved 2009-07-14.
  33. ^ "Frequently Asked Questions on Toyota Prius Hybrid". Cleangreencar.co.nz.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2-25. Retrieved 2009-07-14.
  34. ^ "Best on CO2 rankings". UK Department for Transpor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3-12. Retrieved 2008-05-30.
  35. ^ "2003-04 North American Car of the Year". Toyota.
  36. ^ "Best Engineered Vehicle for 2004".
  37. ^ "Toyota Prius wins 2005 European Car of the Year". Europe: Toyot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5-12.
  38. ^ "2007 EnerGuide Award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9-04-17.
  39. ^ "2006 Toyota Prius".
  40. ^ "2007 Toyota Prius".
  41. ^ "Switzerland, renowned for its clean Alpine air and pristine ski slopes, has named Toyota's Prius the world's greenest car". Reuters. 2007-07-27. Retrieved 2010-11-30.
  42. ^ "Green engine of the year 2008". International engine of the year awards. UKIP Media & Events. 2008-06-3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1-05. Retrieved 2008-06-30.
  43. ^ "2008 Vehicle Dependability Study (VDS)". J. D. Power. Retrieved 2009-05-19.
  44. ^ "Dependability ratings by category". J. D. Power. Retrieved 2009-05-19.
  45. ^ "The Top 10 Innovations of the Decade – ABC News". Abcnews.go.com. 2000-05-02. Retrieved 2009-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