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타 스타렛
Toyota Starlet토요타 스타렛 | |
---|---|
![]() 1998년 토요타 스타렛 S(EP91, 영국) | |
개요 | |
제조사 | 토요타 |
생산 | 1973년 4월 – 1999년 7월 |
조립 | |
차체 및 섀시 | |
클래스 | 소형차 |
배치 | |
연대기 | |
전임자 | 토요타 퍼블리카 |
후계자 | 토요타 비츠/에코/야리스 |
도요타 스타렛(일본어: トヨタ·スターレッ,, 도요타 수타레토)은 1973년부터 1999년까지 도요타가 제조한 준중형차로, 퍼블릭카를 대체하면서도 퍼블릭카의 'P' 코드와 세대번호는 유지하고 있다. 1세대 스타렛은 일부 시장에서 Publica Starlet으로 팔렸다. 일본에서는 도요타 코롤라 스토어 대리점 독점이었다.
일본 완성차 업체 중 고성능 변종을 내놓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986–1989 Turbo S(EP71), 1990–1995 GT Turbo(EP82) 및 1996–1999 Glanza V(EP91)의 3세대에서 사용할 수 있었다. 또 다른 변종으로는 1990년대 초반에 만들어졌고 일본에서만 공식적으로 판매된 스포츠 콤팩트형 토요타 세라(Toyota Sera)가 있는데, 세라는 독특한 2도어 쿠페 차체와 나비 문을 가지고 있었지만 스타렛의 섀시와 기계장치를 공유했다.
스타렛은 1981년부터 1984년까지 북미로 잠시 수출되었다.
1999년, 스타렛은 국제 시장에서 에코나 야리스로 판매되는 비트(Vitz)와 bB 미니 MPV로 대체되었고, 이후 캐나다와 미국에서는 사이온 xB로, 유럽에서는 다이하츠 마테리아로 판매되었다. 하지만 도요타는 2005년 아이고가 출시될 때까지 사실상 유럽 도시형 자동차 시장을 비웠다.
'별자리' 명판은 남아공과 인도(후자는 '글란자' 명칭을 사용)에서 독점 판매되는, 재장착된 스즈키 발레노 해치백(후자는 '글란자' 명칭을 사용)을 위해 2020년 부활했다.
1세대(P40/P50; 1973년)
P40/50 시리즈 | |
---|---|
토요타 포블라 스타렛 1200 SR 쿠페(KP47, 일본) | |
개요 | |
부르기도 한다. | 다이하쓰 컨소네 |
생산 | 1973-1978년 4월 |
조립 | 일본. |
차체 및 섀시 | |
보디 스타일 | |
배치 | 전륜 엔진, 후륜 구동 |
관련 | 토요타 퍼블리카 |
파워트레인 | |
엔진 |
|
전송 |
|
치수 | |
휠베이스 | 2,265mm(89.2인치) |
길이 | 3,790mm(인치) |
폭 | 1,210mm(60인치) |
높이 | 1,195–1,325 mm(51.6–52.2인치) |
연석 중량 | 720–785 kg(1,587–1,731 lb) |
연대기 | |
전임자 | 토요타 퍼블리카(사전대면) |
1973년 4월에 Publica P30의 고급형 및 대형 모델로 처음 출시된 스타렛은 1,000 cc 엔진과 1,200 cc 엔진을 제공받았다.[1] 일반적으로 그 차는 짧아진 코롤라처럼 보였다. 바디 스타일은 원래 투 도어 쿠페로만 사용 가능했다. 4도어 세단은 1973년 10월에 도착했다. 제공되는 등급은 Standard, Deluxe, Hi-Deluxe, ST, SR이었다. 도요타의 라이벌 제조사 닛산이 생산한 비슷한 크기의 다트선 체리의 그 대륙(특히 영국에서)에서의 인기와 더불어 피아트 127이나 르노 5 같은 현대적인 신형 슈퍼미니들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유럽에서는 결코 팔리지 않았다.
2세대(P60; 1978)
60 시리즈 | |
---|---|
![]() 프리페이스리프트 토요타 스타렛 3도어 해치백(KP60, 뉴질랜드) | |
개요 | |
생산 | 1978년[2] 2월 1984년 10월 |
차체 및 섀시 | |
보디 스타일 | |
배치 | 전륜 엔진, 후륜 구동 |
관련 | 토요타 테르셀 |
파워트레인 | |
엔진 | |
전송 | |
치수 | |
휠베이스 | 2,300mm(90.6인치)(배경량) 2,325mm(91.5인치) (왜건)[3] |
길이 | |
폭 | 1,525–1,535mm(60.0–60.4인치)[4] |
높이 | 1,1955mm(53.9–54.9인치)[4] |
연석 중량 | 695–750kg(1,532–1,653lb)[4] |
1978년 2월에 소개된 60 시리즈는 일본 밖에서 널리 판매된 최초의 스타렛이기 때문에 이전 시리즈보다 더 잘 알려져 있다. 특히 당시 슈퍼미니스(superminis)의 인기가 치솟고 있던 영국을 비롯한 유럽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993(KP60 2K), 1,166(KP62, 3K) 또는 1,290cc(KP61, 4K) 엔진이 제공되었다. 긴 5도어 왜건 변종(일본 시장에서는 "반"이라고도 함)이 일본과 일부 아시아 및 유럽 시장에서 판매되었지만 수출 시장에서는 3도어 해치백과 5도어 해치백이 제공되었다. 밴은 1978년 10월, 1.2리터 KP62가 대부분의 수출 시장에서 사용 가능하게 된 것과 동시에 도착했다.[6] KP62는 1978년 7월 스웨덴에서 처음 목격되었는데, 스웨덴의 특정 배출가스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탈흡연 3K-C 엔진을 장착하였다.[7] 일본에서는 밴을 제외한 모든 스타렛이 더 큰 1.3리터 엔진으로만 이용 가능했고, 밴 모델은 더 작은 1.2리터 3K-HJ 타입을 유지했다.
60시리즈 스타렛은 도요타 승용차 최초로 랙 앤 피니언 스티어링을 활용했다.[8] 60 시리즈 Starlet의 서스펜션은 해치백 모델용 코일 스프링과 밴 모델용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이 있는 4개의 링크 리어 서스펜션과 함께 MacPherson 프론트 스트럿 형태로 되어 있다.
트림 수준은 Standard, De Luxe(일부 시장에서는 DX라고도 함), GL, XL, S, Si, Sprint, SE 및 Lisse였다. SI 모델에는 연료 주입 4K-E 엔진이 있다. 스프린트 모델에는 업그레이드된 도요타 스포츠 핸들링 서스펜션, 타코미터, 5단(K50) 변속기, 1290cc(4K) 엔진, 다른 모델에 비해 스포티한 인테리어가 포함됐다. Sprint 모델의 외부 트리밍도 다른 모델과 마찬가지로 고정되지 않고 제자리에 고정된다. 스프린트 모델에는 초기 AE86 코롤라에서 특징지어지는 것과 동일한 알로이 휠도 포함된다. 일본 시장 모델들은 일반적으로 스스로 물러나는 뒷좌석 안전벨트를 가지고 있지 않았다. 일본과 뉴질랜드 시장 모델에는 203mm의 프론트 브레이크 로터가 있으며, 다른 많은 시장에서는 228mm의 프론트 브레이크 로터가 스타렛에 공급되고 있다.
2K 엔진이 장착된 차량은 4K 엔진 장착 차량(U 코드, 6인치, 152mm)보다 작은 디퍼렌셜(X 코드, 5.6인치, 142mm)을 받았다. 차등비는 각 차종의 트림 모델과 시장에 따라 달라지는데, 2K 엔진을 장착한 차량의 경우 3.909:1, 유럽 밴 모델의 경우 4.3:1, 일본 밴 모델의 경우 3.727, 자동 변속기 장착 차량의 경우 3.417:1, 일반 4K 엔진을 장착한 차량의 경우 3.583:1이다. 다른 비율들은 다양한 일본 시장 모델에서도 존재했다.
1980년, 스타렛은 사각 헤드라이트를 포함하기 위해 얼굴을 찡그렸다. 1983년에 이어 두 번째 페이스리프트가 시작되었고, 기울어진 코 앞쪽 끝과 새로운 하단 해치 개구부가 통합되었다.
깨끗한 60시리즈 스타렛은 주로 나이와 녹슬기 쉽기 때문에 획득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많은 별자리들도 그들의 RWD 배치 때문에 트랙과 랠리 카로 개조되었다. 그들의 희소성으로 인해 그들은 비교적 값진 수집가의 차가 되었다.
3도어 KP61은 미국에서 판매된 유일한 스타렛으로 1981년부터 1984년 모델년까지 판매되었다. 1981–1982년 모델에는 표준 5단 수동 변속기와 회전 속도계가 함께 제공되었다. 다른 시장의 S모델과 맞먹는 수준이다. 1983–1984년 모델은 4K 엔진을 탑재한 전자식 연료 분사(EFI)를 특징으로 했지만, 다른 시장의 XLi 모델과 유사한 4단 수동 변속기 및 장비를 탑재했다.
60 시리즈 Starlet의 공통 녹 위치는 리어 해치 씰 아래, 프론트 윈도우 와이퍼 마운트 주변, 프론트 펜더 뒤 및 도어 하단이다.
3세대(P70; 1984)
70 시리즈 | |
---|---|
![]() 프리페이스리프트 토요타 스타렛 1.3 SE 5도어(EP71, 인도네시아) | |
개요 | |
생산 | 1984년 10월 – 1989년 12월 |
조립 | |
차체 및 섀시 | |
보디 스타일 | |
배치 | 프론트 엔진, 프론트 휠 구동 |
관련 | |
파워트레인 | |
엔진 | |
전송 | |
치수 | |
휠베이스 | 2,300mm(90.6인치)[9] |
길이 | 3,700 mm (1967인치)[9] |
폭 | 1,590mm(62.6인치)[9] |
높이 | 1,380mm(54.3인치)[9] |
연석 중량 | 700–750 kg(1,543–1,653 lb)[9] |
1984년 10월의 P70 시리즈는 스타렛이 전륜 구동으로 전환되는 것을 보았는데, 지금은 이 정도 크기의 자동차의 정상적인 형식이 되었다. 3도어 해치백과 5도어 해치백이 제공되었고, 상업용 3도어 밴도 많은 시장에서 구할 수 있었다. 12개의 밸브 1E와 2E 엔진은 기존의 K 시리즈 엔진을 대체했다. 광범위한 일본 라인업은 표준, CD-L, DX, DX, DX-A, 솔레일, 솔레일, XL, XL, XL-리세, SE, 시, 시 리미티드,[10] 리, 터보 R, 터보 S로 구성되었다. 터보 모델에 장착된 엔진은 2E-TELU로 도요타의 액티브 서스펜션 기술인 TEMS와 함께 장착됐으며, 리와 터보 R은 모터스포츠용으로 설계된 경량형 모델이다.
수출 시장에서 스타렛 70 시리즈는 1.0 표준, 1.0 DX, 1.0 XL, 1.0 XL 리세, 1.3 DX, 1.3 XL, 1.3 S, 1.3 SE로 제공되었다. 수출판 Si Limited는 기본적으로 전면과 후면 스포일러, 스포티한 빨간색과 검은색 인테리어, 멀티포인트 연료 분사 및 특수 외관색 2톤 블랙 실버 또는 화이트가 적용된 XL 또는 1.3 S였다.
일본 밖에서 처음 조립된 스타렛은 1985년 인도네시아에 지어진 1.0 XL이었다. 1년 후, 1.3리터 모델은 그곳의 생산 라인에 합류했다.[11] 인도네시아에서 제작된 이 스타렛은 카뷰레터가 장착된 5도어, 4단 수동 변속기로만 사용 가능하며 XL, SE, 리세, Si Limited로 제공되었다. 1987년 새로운 코, 테일 램프, 더 큰 범퍼, 수정된 인테리어로 일본 모델들의 작은 변화가 주어졌다. 인도네시아에서 만들어진 스타렛은 1988년에 이런 작은 변화를 받았지만 유럽과 일반 시장 모델은 오래된 외모를 유지하고 있다.
4세대(P80; 1989년)
80 시리즈 | |
---|---|
![]() 프리페이스리프트 토요타 스타렛 1.3 XL 3도어(EP81, 뉴질랜드) | |
개요 | |
생산 |
|
조립 | |
차체 및 섀시 | |
보디 스타일 | 3/5도어 해치백 |
배치 | 프론트 엔진, 프론트 휠 구동 / 4륜 구동 |
관련 | |
파워트레인 | |
엔진 | |
전송 | |
치수 | |
휠베이스 | 2,300mm(90.6인치) |
길이 |
|
폭 |
|
높이 | 1,380–1,380 mm(54.3–56.3인치) |
연석 중량 | 710–940 kg(1,565.3–2,072.3 lb) |
연대기 | |
후계자 | 토요타 솔루나 (인도네시아) |
스타렛 80 시리즈는 1989년 12월에 일본 시장에 소개되었다. 좀 더 원만한 몸매 스타일과 인테리어가 돋보였다. 일본 모델들은 4E-F, 4E-FE, 터보차지 4E-FTE의 새로운 트윈 캠 엔진을 받았다. 수출 모델은 1E 및 2E 엔진과 특수 버전 4E-FE(영국 및 홍콩 페이스리프트 모델만 해당)를 유지했다. 1N 1.5리터 디젤 엔진도 이용할 수 있었다. 일본과 인도네시아를 위한 스타렛은 후면 중앙 고명을 가지고 있어 번호판이 범퍼에 장착되어 있다. 다른 목적지로 수출되는 80 시리즈 별자리에는 해치 센터 패널에 번호판이 장착되어 있다.
일본에서 80 시리즈 스타렛은 다시 다양한 변형으로 제공되었다. 솔레일은 솔레일 L, S, X, X Limited, Si, 캔버스 탑, 스포츠 모델 Gi, GT Turbo. 스포츠 모델은 일반 모델과 다른 범퍼, 헤드라이트, 테일 램프를 가지고 있다. Gi와 GT에는 스포츠 버킷 프론트 시트와 리어 스포일러도 표준 장착된다. GT는 2모드(낮음과 높음) 터보를 가지고 있다. Soleil L, S, X Limited 등급에서는 일본 정규 4WD 모델(EP85)만 제공되었다.
뉴질랜드는 처음에 수동변속기와 함께 3도어 1.0 XL, 1.3 XL, 1.3 S를 받았다. 1993년 3월 자동문 1.3 XL만 라인업으로 추가되었다. 2E가 결합한 버전은 카뷰레터 방식으로 53kW(72 PS)를 생산한다.[12]
현지에서 조립한 인도네시아용 스타렛은 1.0 XL, 1.3 SE, 1.3 SE Limited로 제공되었으며 5단 수동 변속기만 장착되었다. 싱가포르에서는 1.0 XL만 팔렸다.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공식적으로 판매된 스타렛은 모두 5도어 모델이었다.
스타렛은 1990년 제네바 오토 쇼에서 유럽에 데뷔했다. 1.3 XLi는 대부분의 유럽 국가에서 판매되는 버전이었다. 스포티한 1.3 Si는 스위스에서 제공되었다. 그것은 표준 스포츠 프론트 시트, 3스포크 스티어링 휠, 선루프, 리어 스포일러와 함께 제공되었다.
영국 모델은 1.0 GL로 3도어 해치백으로만 제공되었으며 1993년부터 1.3 GLi 3도어로 대체되었다. 1994년 영국 모델은 1.3 XLi 3도어, 1.3 GLi 5도어였다. 모든 GLI 모델에는 선루프가 있다.
영국과 독일의 1.3 청바지, 스위스의 1.3 Dance, 벨기에의 1.3 Westwood 등 유럽에서 판매되는 80시리즈의 스페셜 에디션으로, 모두 1.3 XLi에 기반을 두고 있다. 세금 구조가 그러한 모델에 적합한 특정 시장에 대한 밴 모델도 있었다. 뒷좌석 없이 종종 뒤쪽에 빈 창문이 있다. 이전 스타렛의 밴 버전은 항상 일본에서 사용 가능했지만, 세금 제도의 변화는 4세대 스타렛이 국내 시장에서 승용차로만 팔렸다는 것을 의미했다.
1992년 1월 사소한 페이스리프트가 발생하여 모든 일본 모델들이 연료주입과 X 변종 단종 사태가 발생했다. 새로운 전면 범퍼와 수정된 인테리어가 설치되었으며, 도어 내부에 안전빔을 추가하여 모든 모델에 적용하였다. S, X Limited, Gi, GT도 새로운 후면 중앙 고명을 얻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새로운 SE-G가 SE Limited를 대체했다. SE-G는 일본 X Limited와 유사한 업마켓 인테리어를 갖추고 있으며, 새롭게 디자인된 테일 램프와 트렁크 고명을 Gi와 GT와 공유한다. 홍콩 시장의 경우, 일본 모델인 솔레일 L 5 도어 해치백이 구형 1.3 XL을 대체했다. 접이식 캔버스 지붕이 있는 스타렛 캔버스 탑 Si 1992은 홍콩과 일부 유럽 국가에서 제공되었다.
스타렛 EP81은 그리스에서 열린 WRC 아크로폴리스 랠리에 참가, A5 클래스를 우승했다. 스타렛은 일본 스타렛 원메이크 레이스, 인도네시아 투어링카 챔피언십, 카리브해 지역 집회에도 출전했다.
두 번째 사소한 업데이트는 1994년 5월에 새로운 전면과 꼬리 조명으로 이루어졌다. 전면적인 후면 고명을 벗었다. 그 해치 트렁크에는 이제 매끄러운 판넬과 작은 고명이 달려 있다. Gi와 GT는 "쿼드" 헤드라이트라고도 알려진 트윈 라운드 헤드라이트와 메쉬 그릴을 특징으로 했다. 이러한 사소한 변화들은 일본, 홍콩, 인도네시아, 뉴질랜드까지 확대되었다. 홍콩은 일본 시장인 솔레일 L을 받았다. 인도네시아에서는 1.3 SE와 1.3 SE-G가 계속되었으나 1.0 XL은 중단되었다. 뉴질랜드에서는 스포티한 1.3 S가 새로운 1.3 GS로 대체되었다.
일본에서의 생산은 1995년 12월에 끝났지만 인도네시아에서는 1998년 3월까지 계속되었다.[13] 인도네시아의 마지막 80시리즈는 "판타스틱 스타렛"으로 판매되었고 일본 기의 스포티한 범퍼, 그릴, 후드 등이 있는 "터보룩"이라는 별명이 붙여졌다. 초기에는 SE급 중급과 SE-G급 최상급에 스타렛이 제공되었으나, 이후 저렴한 모델이 단종되었다.
GT 터보
스타렛 GT 터보는 1990년 70시리즈 스타렛 1.3 터보 R의 후속작으로 처음 선보인 4세대 스타렛의 고성능 모델이다. EP82 GT 터보차저는 토요타의 E엔진, CT9 터보차저가 장착된 4E-FTE의 터보차저 버전으로 구동됐다. 이 엔진은 6400rpm에서 135PS(99kW)를 생산했다. 이 차의 중량은 890kg (1,962lb)으로, 1톤 당 100킬로와트 이상의 중량 비율을 제공한다. 도요타의 적극적인 서스펜션 기술은 핸들링 능력에 더해 TEMS라고 불리는 이전 세대부터 계속됐다.
다른 일본 시장 스타렛과 마찬가지로, GT 터보도 1992년 1월에 새로운 범퍼와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를 포함한 작은 변화를 받았다. 두 번째 사소한 변화는 1994년 5월에 주어졌는데, 이번에는 네 개의 둥근 쿼드 헤드라이트가 메쉬 그릴과 결합되었다. 꼬리 조명은 그대로였지만, 전체 길이의 중앙 고명은 양쪽에 있는 작은 고명으로 교체되었다.
1995년 12월 생산이 종료됐지만 여전히 중고 수입차 등 운전자 집단에서 인기가 유지되고 있다. 스타렛 GT 터보와 정상 흡인된 1.3 Gi는 각각 스타렛 글란자 시리즈, 글란자 V, 글란자 S로 대체되었다.
GT 터보의 두 가지 한정판 버전이 생산되었다. GT 리미티드 버전과 GT 어드밴스 버전 모두 다른 스티어링 휠과 기어 시프터 노브, 리어 스트럿 바, ABS(라이터 버전만 해당)와 같은 작은 변화를 특징으로 하며, 2톤 페인트 방식으로 구별할 수 있었다. 이 모델들은 또한 C153 트랜스액슬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옵션 LSD를 특징으로 했다.
5세대(P90; 1996)
90 시리즈 | |
---|---|
![]() 토요타 스타렛 1.3 XLi 5도어(EP91, 유럽) | |
개요 | |
생산 | 1996년 1월 ~ 1999년 7월 |
차체 및 섀시 | |
보디 스타일 | 3/5도어 해치백 |
배치 | 프론트 엔진, 프론트 휠 구동 / 4륜 구동 |
관련 | |
파워트레인 | |
엔진 | |
전송 | |
치수 | |
휠베이스 | 2,300mm(90.6인치) |
길이 | 3,750–3,790 mm (1998.6–197.2인치) |
폭 | 1,625mm(64.0인치) |
높이 | 1,400–1,415mm(55.1–55.7인치) |
1996년에 도입된 스타렛 90 시리즈는 3문 또는 5문 해치백과 같은 생각을 유지했다. 독특한 디자인은 현관문에 경사 벨트 라인이 있다. 일본판은 리플렛(정상), 글란자(스포츠), 캐럿(더 고급스러움)의 3가지 모델로 나뉘었다. Reflet(베이스, f, x), Carat, Glanza S는 4E-FE 엔진에 의해 구동되었다. 베이스 모델은 또한 1N 디젤 엔진과 함께 제공되었다. 5도어 리플릿을 기반으로 한 스타렛 리믹스는 투박한 SUV 스타일을 선보였다. 펜더, 차체 외피, 루프 레일 및 스페어 타이어가 후면에 장착되어 있다.
90 시리즈 스타렛은 서스펜션, 엔진 및 기타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한 파소와 플랫폼을 공유했다. RHD 스타렛은 중앙 AC 콘센트가 약간 더 높은 자체 대시보드 디자인을 가지고 있으며, LHD는 테셀, 파서 등과 대시보드를 공유한다.
스타렛 EP91은 1996년 2/4분기에 유럽에 왔다. 기본적으로 모든 유럽 모델은 75PS(55kW) 버전의 4E-FE 엔진을 탑재한 1.3 XLi였지만, 유럽 전역에서 다른 이름으로 판매되었다. 처음에 영국 모델은 베이스 1.3 Sportif와 업마켓 1.3 CD(표준 CD 플레이어 및 선루프 포함)이었다. 1998년, 영국 라인업은 베이스 1.3 SR, 스포티 1.3 SR(서스펜션, 스포일러, 스포츠 배기구가 낮아짐)으로 수정되었고, 1.3 GLS를 장착했다. 프랑스 모델은 베이스, GL, GLS 등이었다. 스위스에서는 GLS와 유사한 업그레이드 모델을 1.3 크리스털이라고 하고, 노르웨이에서는 SLi라고 부른다. 모든 고급 모델에는 운전석 측 SRS 에어백, 타코미터, 프론트 파워 윈도우, 리어 헤드레스트 및 컬러 범퍼가 장착된다. ABS와 선루프가 옵션이다.
호주에서 새로 판매된 유일한 세대인 EP91 스타렛은 1996년 3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판매되었으며, 원래 기본 3도어 라이프, 스포티한 3도어 그룹 X, 럭셔리 5도어 스타일 등 세 가지 트림 레벨로 제공되었다. 1997년에 라이프 5도어 버전이 도입되었다. 1998년 당시 X조와 스타일 모델이 탈락했고, 라이프지는 표준 장비로 운전석 에어백을 확보했다. 스타렛은 호주에서 처음 판매됐을 때 범주의 가격 인하에 시달렸으나 도요타가 현대 엑셀, 포드 페스티바와 경쟁하며 소형차 가격 인하 전쟁에 돌입한 뒤 나중에 많이 팔렸다.[15][16]
1998년 일본 시장 모델에서는 새로운 앞 범퍼, 그릴, 테일 램프, 수정된 인테리어 원단 등의 사소한 변화가 새로웠다. 스타렛의 생산은 야리스호 발사 직후인 1999년 7월에 끝났다.
이 모델은 인도네시아 시장에 제공되지 않았다. 이전의 EP81 스타렛은 대신 2000년에 솔루나 세단에 의해 계승되었다. 당시 인도네시아에서 도요타의 해치백 부문은 2세대 야리스가 소개돼 스타렛의 정신적 후계자로 마케팅되던 2006년까지 공백기에 접어들었다.[citation needed]
글란자
스타렛 글랜자는 P90세대 스타렛의 스포츠 버전으로, 자연 흡기 스타렛 1.3Gi와 스타렛 GT 터보 80시리즈의 후속작이다. 글란자 S는 자연 흡기 1331cc 4E-FE에 의해, 글란자 V는 터보차지 1331cc 4E-FTE에 의해 구동되었다. 글란자 S에 사용된 4E-FE는 85PS(63 kW; 84 hp)를 생성했는데, 매우 가벼운 스타렛의 경우 차량을 시속 0–100 km로 11.9초 내에 추진하기에 충분했다. 글란자 V에 사용된 터보 4E-FTE는 6400 rpm에서 140PS(103 kW, 138 hp)를 생성했으며, 0–100 km/h 시간 8.2초(공장 브로셔 통계)를 생성했다.
1996년 12월, 글란자 S 유한회사가 출시되었다. 스퍼후드를 제외하고 글란자 V 터보와 동일한 표준 차체 키트를 장착했으며 엔진에는 터보 기능이 없었다. 경량 버전의 글란자 V도 에어컨과 전동 윈도우 없이 사용할 수 있어 차를 최대한 가볍게 유지할 수 있었다.
글란자 S와 글란자 V는 일부 중고 민간 수입품이 영국, 뉴질랜드 및 기타 많은 우측 핸들 차량 시장에 진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일본 시장에서만 공식적으로 구할 수 있었다.
'글란자' 명판은 2019년 6월 재장착한 인도 시장 스즈키 발레노 해치백에 부활했다.[17] 이 차량은 인도 자동차 제조업체인 마루티 스즈키와의 제휴를 통해 출시되었다. 글란자는 부활한 스타렛 명판 아래 2020년 9월부터 아프리카에서도 판매되고 있다.[18]
참조
- 토요타 스타렛 EP82/EP85/NP80 일본 브로셔 1989년 12월, 1992년 1월, 1994년 5월.
- 토요타 스타렛 EP81 인도네시아 브로셔 1994년과 1997년.
- 토요타 스타렛 EP91 유럽 브로셔 1997년 프랑스, 스위스, 영국, 벨기에.
- ^ "75 Years of TOYOTA Vehicle Lineage Publica Starlet". Toyota. Retrieved 16 August 2020.
- ^ Toyota Vehicle Identification Manual. Japan: Toyota Motor Corporation – Overseas Parts Department. 1984. Catalog No.97913-84.
- ^ "Autotest: Toyota Starlet". Autocar. Vol. 149 (nbr 4264). 29 July 1978. pp. 33–37.
- ^ a b c d 自動車ガイドブック [Japanese Motor Vehicles Guide Book 1979/1980] (in Japanese). 26. Japan: Japan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 1 November 1979. p. 130. 053-790026-3400.
- ^ 自動車ガイドブック [Japanese Motor Vehicles Guide Book 1979/1980] (in Japanese). 26. Japan: Japan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 1 November 1979. p. 188. 053-790026-3400.
- ^ "2nd Starlet Van". 75 years of Toyota: Vehicle Lineage. Toyota. Retrieved 29 January 2015.
- ^ Toyota Vehicle Identification Manual. Toyota Motor Sales Co., Ltd. p. 25. 97911-79.
- ^ "History of the Toyota Starlet – Toyota". toyota.co.uk. 1 August 2014. Retrieved 1 April 2018.
- ^ a b c d e "TOYOTA STARLET UNDERGOES FULL-MODEL CHANGE". Toyota (Press release). 1 October 1984. Retrieved 8 January 2021.
- ^ Büschi, Hans-Ulrich, ed. (March 1986). Automobil Revue 1986 (in German and French). 81. Berne, Switzerland: Hallwag AG. p. 533. ISBN 3-444-00450-8.
- ^ Alfan, Charis (3 May 2016). "Toyota Starlet Kotak EP70/71" [Toyota Starlet Box EP70 & EP71]. Mobilmotorlama (in Indonesian). Indonesia. Retrieved 8 January 2021.
- ^ Anderson, Donn, ed. (March 1993). "Newsline: Starlet goes 5-door...and auto!". New Zealand Car. Auckland, New Zealand: Accent Publishing Cnr. 7 (5): 13. ISSN 0113-0196.
- ^ Alfan, Charis (14 November 2014). "Toyota Starlet Kapsul EP80, EP81 & EP82" [Toyota Starlet Capsule EP80, EP81 & EP82]. Mobilmotorlama (in Indonesian). Indonesia. Retrieved 11 January 2021.
- ^ "Partial Engine Assembly for 1996 - 1999 Toyota STARLET EP90". Retrieved 13 November 2019 – via megazip.
- ^ Mellor, John. "Toyota Starlet EP91R Starlet 1996–1998". Go Auto. Retrieved 5 January 2014.
- ^ Mellor, John. "Toyota Starlet EP91R Starlet Series II 1998–1999". Go Auto. Retrieved 5 January 2014.
- ^ "Maruti Suzuki dispatches 364 made-in-Gujarat Glanzas to Toyota Kirloskar Motor". Autocar India. 2 May 2019. Retrieved 8 May 2019.
- ^ Bubear, Ryan (3 September 2020). "Confirmed! New Toyota Starlet (rebadged Suzuki) to launch in SA". car mag. South Africa. Retrieved 29 October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