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S 알덴
USS Alden![]() USS 알덴(DD-211), 중국 셰프우에서 | |
역사 | |
---|---|
![]() | |
이름 | USS 알덴 |
네임스케이크 | 제임스 앨든 주니어 |
빌더 | 필라델피아 윌리엄 쥐 & 선스 |
야드 번호 | 477 |
눕다 | 1918년 10월 24일 |
시작됨 | 1919년 5월 14일 |
커미셔닝됨 | 1919년 11월 24일 |
해체됨 | 1923년 1월 24일 |
다시 실행됨 | 1930년 5월 8일 |
해체됨 | 1945년 7월 15일 |
스트리킨 | 1945년 8월 13일 |
운명 | 1945년 11월 30일 폐기 처분 |
일반적 특성 | |
클래스 및 유형 | 클렘슨급 구축함 |
변위 | 1215톤 |
길이 | 314피트 5인치(95.83m) |
빔 | 31피트 8인치(9.65m) |
초안 | 9피트 10인치(3.00m) |
추진 |
|
속도 | 35노트(65km/h) |
범위 | 시속 28km로 15노트로 4,900해리(9,100km) |
보완 | 106명의 장교와 사병 |
무장을 |
|
USS 알덴(DD-211)은 미국 해군(USN)의 클렘슨급 구축함이었다.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복무한 알덴은 미 해군의 유일한 함정으로 제임스 알덴 주니어(1810–1877) 해군 제독의 이름을 올렸다.
건설
알덴은 1918년 10월 24일에 함락되었고, 1919년 5월 14일에 윌리엄 쥐스 앤 선스에 의해 발사되었으며, 고 알덴 후방 제독의 조카인 미스 사라 알덴 도르시가 후원하고, 1919년 11월 24일에 지휘관 윌리엄 안크럼을 임명하였다.
서비스 이력
국제 전쟁 기간
1920–23
알덴은 1920년 7월 17일 영숫자 선체 번호의 플리 와이드 배정을 하는 동안 "Destroyer No 211"에서 DD-211로 분류가 변경되었고, 1919년 12월 5일 유럽 해역에서 임무를 위해 항해하여 콘스탄티노폴리스로 향했고, 이후 터키의 삼순으로 이동했다.
알덴은 1920년 봄 에 아드리아 항구를 방문하여 스플릿, 그라보사, 풀라 등 미국의 국익을 보호하기 위해 정치적 상황을 조사하고 깃발을 보여주었다.아드리아 해안을 따라 여행하는 동안 그녀는 우편물과 승객들을 실어 나르며 한동안 베네치아에서 역무선 역할을 했다.러시아 내전 난민 구호 활동에 참여하기 위해 콘스탄티노폴리스로 향하던 그녀는 곧 아드리아 작전을 재개하여 코토르와 스플릿을 방문한 뒤 1920년 12월 12~13일 베니스로 돌아왔다.그리고 그녀는 12월 15일에 도착한 그리스의 살로니카로 가기 전에 스플릿과 그라보사를 차례로 방문했다.
얼마 후 아드리아 해역에서 미 해군 분대와의 임무에서 풀려난 알덴은 수에즈 운하를 거쳐 아시아 역까지 항해했다.그녀는 결국 1921년 2월 2일 필리핀 제도의 마닐라에 도착했다.Cavite에 있는 아시아 함대 기지에서 유지한 후, 이 구축함은 중국 해역을 향해 항해했고 6월 22일 Chefoo에 도착했다.그녀는 9월 15일까지 아시아 함대 구축함의 여름 기지를 운항했고, 그 때 상하이로 항해했다.특별 임무를 부여받은 알덴은 9월 27일 열흘간의 항만 체류를 마치고 10월 1일에 도착한 한코우 양쯔강 항구를 위해 상하이를 통과했다.7일까지 남아 있던 그녀는 9일 도착, 연료와 식량을 챙길 수 있을 정도로만 머물다 같은 날 필리핀으로 항해를 떠났다.
알덴은 10월 12일 카비테에 도착했고, 이틀 후 3일간의 자유 및 휴양항 방문을 위해 마닐라로 항해했다.그 후, 그 배는 12월 17일에 마닐라로 돌아오는 두 달 동안 올롱가포에서 목표 연습을 위해 운항했다.그리고 나서 그녀는 마리베레스로 항해하기 전에 카비테에 있는 상점에 연료를 주입했고 그곳에서 아시아 함대 잠수함들과 함께 작전을 수행했다.알덴은 그 후 1922년 1월까지 마닐라에서 장거리 전투 연습 진화를 실시했다.그 후, 그녀는 3월에 버팔로와 함께 입찰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올롱가포를 떠났다.그 후, 1922년 4월 13일부터 5월 25일까지 링가이엔만 해역에서 표적과 어뢰 연습을 한 후, 이 구축함은 6월 3일 중국 상하이로 항해하기 전 마닐라에서 5일간의 휴식을 즐겼고, 그 항구에서 건조작업을 했다.그 후 알덴은 요코하마 항을 방문하면서 일본 해역으로 항해했다.
그해 여름 아시아 함대에 배치됐던 앨든은 미국으로 항해했고 결국 10월 2일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 도착했다.그녀는 1923년 1월 24일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에서 해직되었다.
1930–1937
앨든은 1920년대의 나머지 기간 동안 활동하지 않았으나 1930년 5월 8일 샌디에이고에서 중령 로이드 R이 재위임되었다.그레이가 지휘하며, 배틀 플리트(후위, 구축함, 전투 부대)에 배속된다.디스트로이드 디비전 46(DesDiv 46), 이후 데스디브 10의 부대로서 앨든은 마레아일랜드 네이비 야드에 홈마당을 두고 샌디에이고에서 귀향했다.그녀는 앞으로 6년 동안 항구에서 정기적으로 유지되는 정기적인 훈련 진화를 수행했다.
매년 실시하는 훈련은 매년 실시되는 대규모 훈련, 즉 함대 문제로 절정에 달했다.그 후 몇 년 동안 앨든은 이 중 6개에 참여했다.그러나 1936년 봄, 그녀는 데스디브 10이 마레아일랜드 해군 야드에서 두 달간의 정비를 받고 있기 때문에 플리트 문제 XVII에 참가하지 않았다.알덴이 마레아일랜드에 누워 있는 동안 스미스 톰슨은 4월 14일 위플과 충돌해 큰 피해를 입었으며, 추가 근무에 부적합한 알덴은 5월 19일에 공격을 받았으며, 스미스 톰슨의 후임으로 선발된 알덴은 7월 15일 아시아 역에 출항했다.진주만에서 잠시 멈춰 선 배는 웨이크 아일랜드와 괌에서 잠시 멈췄고, 결국 8월 20일 셰푸에 도착했다.
그 후 6년 동안, 처음에 데스디브 13에 배정되었고, 봄에 중국으로 북상하여 여름을 치푸에서 운영하며 보냈으며, 가을에는 필리핀으로 돌아와 겨울 동안 카바이트에서 더 많은 운동과 유지보수를 했다.그녀는 고조되는 중일 긴장을 배경으로 이 같은 일과를 수행했다.이 두 아시아 강대국 사이의 적개심은 1930년대에 불붙고 약화되었으며, 1937년 7월에 공개전이 발발했다.
중국과 일본의 적대관계는 애초에 북중국에만 국한된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아시아 함대 사령관인 해리 야넬 제독은 소련 블라디보스토크까지 계획된 친선 순항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 거의 망설이지 않았다.알덴은 폴 존스, 휘플, 바커와 함께 츄프 기지에서 바다로 나갔고, 7월 25일 오후의 시계 끝에 아우구스타와 랑데뷰했다.야넬호의 배들은 28일 오전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 1933년 소련과 수교 이후 처음으로 러시아 항구를 방문한 8월 1일 오후까지 그곳에 머물렀다.후일 구축함들은 셰푸를 향해, 오거스타를 향해 칭타오를 향해 항해했다.
8월 중순 상하이에서 교전이 발발한 후, 아시아 함대의 배들은 주로 피해를 입을 수 있는 미국인들을 돕기 위해 대기하면서 남은 여름과 가을 동안 단축된 훈련 일정을 수행했다.알덴은 결국 유지와 훈련을 위해 필리핀으로 돌아왔다.
후버 SS 프레지던트
1937년 12월 11일 이른 아침, 달러스팀쉽 라인스의 대양 정기선 SS 사장 후버는 포모사 동쪽 카쇼토에서 태풍으로 좌초되었다.[1]알덴과 바커는 각각 마닐라와 올롱가포 해군기지에서 즉시 지원 명령을 받았다.[1]상황이 급박해 알덴은 함장 스탠리 M 중령 없이 항해했다.하이트, 그리고 몇몇 장교들과 남자들.아시아 함대의 유틸리티 부대에서 온 그룸만 J2F 덕 수륙양용 항공기가 하이트를 알덴으로 데리고 나와 배와 랑데부하고 근처에 착륙했다.그러나 바다 상황은 여객기의 주요 부유물을 손상시킬 것을 우려해 보트가 비행기와 나란히 오는 것을 막았다.하이트 사령관은 이 작전을 지휘하기 위해 그의 배에 실려오는 26피트(7.9m) 길이의 모터 고래 보트로 헤엄쳐 갔다.
알덴은 불과 12노트(22km/시)의 거센 파도를 헤치며 항해를 재개했다.[1]그녀는 카쇼토를 목격했고 즉시 일본 해군 중 순양함 아시가라호의 선장에게 일본 영해 진입 허가를 요청했다월 12일 1245년에 결국.바커는 그 후 곧 도착했고, 그 후 아시가라 출신의 한 장교가 알덴에 탑승하여 두 척의 구축함이 후버 대통령을 보좌할 수 있도록 그의 정부의 허가를 내주었다.이때까지 후버의 330명의 승무원들은 503명의 승객과 자신들을 안전하게 상륙시키는 데 거의 모든 길을 걸었다.[1]그러나 후버의 승무원 중 몇 명은 여객선의 주류 판매점을 약탈하고 술에 취했으며, 한 때 뭍에서 여성 승객 몇 명을 뒤쫓기 시작했다.[1]하이트 사령관과 존 H. 파커 사령관과 15명의 남자들이 귀중품을 보호하기 위해 후버에 탑승했다.한편 알덴과 바커 양쪽에서 온 상륙당사자들은 질서 회복을 위해 해안으로 향했다.[1]
앨든은 12일 일본 항공기에 의해 양쯔강 파나이호가 침몰한 이후 긴장으로 인해 12월 14일 오전 당직실에서 47발의 4인치(100mm)짜리 서비스 탄약을 적재했다.그러나 아시가라와 그녀의 호위무사는 프로답게 계속 대기하며 보조했다.[1]후버의 생존자들은 12월 14일 미국 메일 라인의 SS 사장 맥킨리와 12월 15일 달러 라인 SS 사장 피어스에 의해 구조되었다.[1]아시가라는 해안에서 생존자들을 데리고 나온 평평한 바닥의 보트를 배치해 맥킨리의 보트와 모터 발사를 맞췄다.[1]
카쇼토 서쪽에 정박해 있던 알덴은 1937년 12월 23일까지 후버 대통령의 난파선을 감시하기 위해 남아 있었는데, 이때 일본 당국이 그녀를 구해주었다.[1]
1938–41
이듬해 여름 알덴은 자매선박과 블랙호크와 함께 1938년 6월 21~28일 프랑스 인도차이나 하이퐁을 방문한 뒤 셰프까지 계속 이어졌다.1939년 9월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되면서, 일본인들이 자국의 영향권을 확대하기 위해 영국과 프랑스에 유럽 문제를 선점하는 것을 이용하는 것에 대한 우려는 극동에 있는 미국인들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미국의 경계심을 증가시켰다.이를 위해 남중국순찰대 등 부대와 함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아세아함대 구축함 일부 함정을 순환 배치했다.알덴은 필리핀으로 돌아가기 전인 1939년 9월부터 11월 사이에 이 명령을 가지고 수술을 했다.
국제적 기후로 인해 아시아 함대가 중국 해역에 배치되는 것을 막는 것은 위험하다, 토마스 C 제독. 하트(1939년 7월 야르넬 제독을 CNCAF로 해임한 자)는 1940년 말 양쯔강과 남중국순찰대에 있는 강포선을 제외하고 필리핀으로 철수시켰다.거기서 저 군도의 바다에서 함대는 전쟁을 준비했다.알덴은 이 훈련에 참가하여 1941년의 긴박한 가을을 카바이트에서 유지기간과 함께 보냈다.
당시 극동의 '감각하고 예측할 수 없는' 상황이 계속됨에 따라 하트 제독은 '공습으로부터 추가적인 보안을 확보'하고, 전쟁이 발발할 경우 일본군이 영국·네덜란드 기지에서 '자신의 지상군의 확실성'을 차단할 가능성을 줄이고자 했다.이를 위해 1941년 11월 24일 CNCAF는 마블헤드 주변에 구축함 2개 사단(57·58·알덴 포함)과 블랙호크 등 2개 구축함 5개 사단을 발릭파판과 보르네오 타라칸섬 항구로 파견할 것을 명령했다.하트는 분견대 지휘관들에게 연료를 공급받기 위해 이들 항구로 향하되, "필요하다면 장기간" 그 항구에 머물러 있으라는 생각으로 항구로 향하도록 지시했다.
알덴은 1941년 11월 25일 블랙호크를 동반한 보르네오행으로 진척되어 30일 오전 발릭파판 공항에 도착했다.Balikpapan)에 도착했다.그녀가 그 항구에 누워있는 동안, 동부 함대 사령관으로 새로 지명된 토마스 스펜서 본 필립스 영국 제독은 12월 5~6일 하르트 제독과 회담을 위해 마닐라로 날아갔다.필립스는 자신의 수도선박을 선별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아시아 함대 소속 구축함들의 차관을 요청했으나, 하트는 영국이 이미 이 부서에 충분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의를 제기했다.그러나 시암만에서 일본 호위함의 움직임을 공개하는 첩보 정보는 하트의 마음을 바꿨고 필립스 제독이 싱가포르로 귀환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CNCAF는 구축함 1개 사단을 이양하기로 결정했다.
결과적으로, 블랙 호크뿐만 아니라 알덴과 3척의 자매선들은 곧 "물자와 자유를 위해" 자바의 바타비아로 진척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그러나 그들이 발릭파판을 떠난 직후, 구축함들은 새로운 항해 명령을 받았다.그들은 대신 싱가포르로 진격할 예정이었는데, 그곳에서 그들은 프린스 오브 웨일스와 레풀스를 중심으로 형성된 필립스의 군대에 합류할 예정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1941
앨든은 1941년 12월 8일 0300에 "전쟁은 일본에 의해 시작되었다"는 연락을 받았을 때 목적지로 가는 중이었다.싱가포르에서는 영국령 말라야를 향해 서 있는 일본군의 침략 호송대가 도착하기 전에 필립스 제독이 행동을 취해야 한다는 보고가 있었고, 그는 12월 8일 저녁 4척의 구축함에 의해 가려진 웨일스 왕자와 레풀스로 싱가포르를 점령했다.
12월 10일 오전 싱가포르에 도착한 알덴은 1113세에 정박했으며 1130년에는 해군 소위와 4명의 신호병으로 구성된 연락대에 올랐다.인도차이나 기지에서 날아온 일본군의 고공 폭격기와 어뢰 폭격기가 이날 오후 말라야 콴탄 앞바다에서 웨일스 왕자와 레풀스를 제압하고 두 척을 모두 침몰시키자 그녀와 자매선은 여전히 해상 준비를 하고 있었다.1509년, 알덴과 그녀의 자매선은 곧 싱가포르를 개항했고, 구축함 지원을 위해 전투 초기에 보낸 필립스 제독의 필사적인 신호에 대응하여 행동의 현장 쪽으로 섰다.그러나 영국과 호주의 구축함은 이미 두 개의 수도선으로부터 생존자들을 구출했으며 싱가포르 쪽으로 퇴각하고 있었다.
앨든과 그녀의 사단은 그 후 그날 일찍 전투가 벌어졌던 해역으로 들어가 생존자를 찾았지만 잔해 조각만 발견되어 결국 미드워치 기간 동안 수색작업을 마무리 지었다.싱가포르로 돌아가는 길에 알덴은 12월 11일 0630에서 "잠재할 수 있는 잠수함 공격"에 주목했고, 에드살은 "토르페도 웨이크"의 출처를 조사하기 위해 포메이션을 떠났지만 아무것도 발견하지 못했다.알덴과 그녀의 자매선들은 그날 아침 늦게 항구에 도착했고 알덴은 연료 벙커를 보충하기 위해 1041년에 RFA 프랑콜과 함께 계류했다.항구에 있는 동안, 그녀는 웨일스 왕자와 레풀스에서 잃은 남자들을 기리기 위해 그녀의 깃발을 반 마스트까지 내렸다.알덴은 14일 오전까지 싱가포르에 남아 있다가 영국 해군 연락대에 하차한 뒤 자바 수라바야로 가는 나머지 사단과 함께 진행 중이다.그녀는 12월 15일 오후 늦게 그 네덜란드 항구에 도착했다.
호주 해역을 위해 20일 진행 중인 알덴은 휴스턴 스크린에서 다윈항을 향해 항해를 떠났고, 항로에서 목격된 다양한 소형선박과 선박의 친근한 성격을 조사하고 확립하기 위해 탑승객을 파견하는 등 항해의 일상을 깼다.그녀는 성탄절을 이틀 앞두고 미국 선박들이 호주 해역인 페코스, 오투스, 골드스타로 이동하는 또 다른 대형 선박들과 함께 빠져 같은 날 페코스로부터 바다에서 연료를 주입했다.이 구축함은 12월 28일 13시 5분에 호주 북부의 항구인 다윈에 정박하면서 결국 다윈에 무사히 기항했다.
1942
곧 데스디브 58로 재배치된 앨든은 말레이 장벽 방어를 위한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다음 몇 주 동안 군대를 호위하고 호송 차량을 보급하는 데 보냈다.그러한 진화의 과정 중, 그녀는 1942년 1월 20일 오전 오스트레일리아 다윈에서 서쪽으로 40해리 떨어진 비글만에서 유조선인을 호위하고 있었다.에드솔과 함께 있던 USS 트리니티(AO-13)는 일본 제국군 나비수브마린I-123이 다윈항을 향해 향하는 트리니티를 목격했다.[2]트라이니티를 수송기로 잘못 식별한 I-123은 트라이니티를 향해 89식 어뢰 4발을 발사했다. 12°05′30″S 130°05′36″E / 12.09167°S 130.09333°E/ 0630 직후 [2].I-123에 탑승한 소리꾼은 어뢰 1발이 트리니티를 명중시켰다고 보고했지만, 사실 트리니티가 3발을 목격하고 공격을 보고했음에도 불구하고 4개의 어뢰는 모두 놓쳤다.[2]앨든은 곧바로 앞이 보이지 않는 어둠 속에서 진로를 역전시켜 I-123을 탐색하고, 건전한 접촉을 한 뒤 06:41에 간단한 심층충전 공격을 감행한 뒤 I-123과 연락이 끊기고 수색을 포기했다.I-123은 무사히 탈출했다.[2]
앨든은 잠수함을 계속 찾아낸다면 "수송대를 무방비 상태로 남겨둘 생각"이라며 자신의 선별장으로 돌아와 더 이상의 사고 없이 포트 다윈에 도착했다.그러나 그날 오후 1620년, 그녀가 유조선 브리티시 세일러로부터 연료를 채우는 동안 앨든은 에드솔과 함께 위의 공격 현장에 동행하라는 명령을 받았다.1641년 블랙호크에 승선하기 위해 선원 3분의 1을 남겨둔 채 진행되고 있는 앨든은 딜로레인이 이미 깊이 있는 혐의를 받고 있는 것을 발견하고 현장으로 달려갔다.
알덴과 에드살은 잠수함 접촉에 근접해 한 지역을 순찰했고, 호주 선박 두 척은 다른 지역을 순찰했다.알덴은 다음 날 새벽(1월 21일) 좋은 연락처를 개발해 6건의 고소를 취하했지만 아무런 성과도 없었다.랭글리에서 출발한 비행기가 잠시 후 잠수함에 대한 공격을 감행했다고 보고했고, 알덴은 현장에 찐다.여전히 기름이 솟아오르는 것을 보고, 그녀는 나머지 깊이를 선로에 쏟아 부으며 공격했다.아래로부터 더 많은 혐의를 제기하며, 그 구축함은 곧이어 또 다른 공격을 감행했다.그리고 나서, 그녀의 마지막 혐의를 벗은 알덴은 포트 다윈으로 돌아왔다.
에드솔과 호주의 배들은 PBY 카탈리나를 동반한 채 현장으로 돌아왔지만, 알덴이 마지막으로 목격했던 그 미끈거리는 근처에서의 폭우 때문에 위치를 찾을 수 없었다.얼마 후 에드솔과 델로레인의 앞선 공격의 희생자는 I-124로 확인되었는데, 일본의 대형 기뢰를 탑재한 잠수함이 다윈 근처에 이미 연합군 상인 3명을 격침시킨 27개의 기뢰를 깔았다.
2월 3일 다윈을 치우고 알덴은 자바행 호송차를 타고 항해했다.도중에 트리니티에서 연료를 공급받은 이 구축함은 2월 10일 오후 늦게 자바 남쪽 해안의 짜일라트잡에 도착했다.다음날 늦게 진척된 알덴은 2월 12일 아침 폴 존스, 반홍 라이온그와 함께 영국인을 티모르 코팡 항으로 호송했다.호위함은 2월 16일에 도착했고, 구축함은 3일 후 페코스로부터 급유를 받은 후 틸라트잡으로 돌아왔다.다음날 구축함은 블랙호크의 출격부를 덮으며 항구 입구를 잠시 순찰했다.
일본군이 자바에 가까워지자 미국-영국-뒤치-호주(ABDA)군이 모여 쇼다운을 하기 시작했다.이 운동의 일환으로, 알덴은 2월 22일 아침 수라바야를 위해 Tjilatjap을 허가했고, 폴 존스와 함께 이 통로에서 휴스턴을 상영했다.세 척의 배는 24일 오후 목적지에 도착했다.
일본군의 인근 상륙 시도 가능성을 나타내는 정보정보, 네덜란드군과 미국군(휴스턴, 드루이터, 자바), 네덜란드군 2척과 미국 구축함 5척(알덴 포함)이 지난 2월 25일 해가 진 뒤 정렬해 마두라 섬 북부 해안을 소탕했다.아무런 연락도 하지 않고 연합군은 다음날 아침 일찍 수라바야로 돌아왔다.
이후 같은 날 2월 26일, 파업군 사령관인 네덜란드 후방 카렐 도만 제독은 그의 지휘관 회의를 소집하고, 일본인들을 만나겠다는 계획을 공포했다.1922년 2월 26일 퍼스와 엑세터, 그리고 영국 구축함 3척의 도착으로 강화된 타격 부대가 진행되어 수라바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도먼의 군대는 다시 마두라 북쪽 해안을 휩쓸었지만, 그 후 적의 출하가 없는 해역을 발견한 후, 2월 26일 2212에 진로를 역전시켰다.ABDA군은 이른 아침 수라바야를 지나 2월 27일 1300번 지뢰밭 입구 쪽으로 진로를 잡았다.그러나, 새로운 접촉 보도는 바완 섬 근처에서 남쪽으로 향하는 일본군의 존재를 나타냈다.1500년, 알덴이 지뢰밭을 통해 해협으로 들어가려 할 때, 그녀는 드루이터 역코스를 관찰하고 "나는 적 부대를 요격할 거야..."라는 신호를 보냈다. 나머지 병력은 뒤따라, 적군을 향해 섰다.
1617년 알덴은 일본 함정이 포문을 열자 총이 번쩍이는 것을 목격했고, 그 직후 휴스턴, 드 로이터, 엑서터가 대답했다.미국 구축함 알덴은 2열에서 기선을 제압하고, 연합군 순양함 기둥이 풀린 쪽에서 자바 우현 쿼터까지 진지를 점령했다.순양함을 따라잡기 위해 "모든 리벳을 매달아" 알덴과 그녀의 여동생 배들은 가능한 모든 속도를 냈다.1714년, 알덴은 코르테나르가 어뢰를 가져다가 두 동강이 났다고 말했다.얼마 지나지 않아 연합군 함대는 정확한 적의 총격과 그의 상급 어뢰에 의한 위협으로 혼란에 빠져 항로를 두 번 변경했다.포탄에 손상을 입은 엑세터는 연합군 전선에서 도망쳤다; 그녀의 은퇴를 취재하기 위해서, 알덴과 그녀의 여동생 배들은 연기를 내뿜었다.
어뢰로 반격하라는 명령을 한 차례 내린 뒤 이를 취소한 뒤 도먼 후방 제독은 다시 구축함들에게 반격을 명령했다.알덴의 다리 위에서 한 남자가 말했다: "나는 항상 이 늙은 네 명의 피퍼들이 들어가서 하루를 구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이 발언은 1822년 ABDA 라인에서 가장 오래된 함선인 미국 구축함이 일본 쪽으로 항로를 안내하고 우현관에서 어뢰를 발사하면서 긴장감을 고조시켰다.그리고 나서, 존 D의 움직임을 따라간다. Edwards 전방에, Alden은 항로를 바꾸었고 1827년에 그녀의 항구 "fish"를 느슨하게 했다.알덴의 함장인 L. E. 콜리 중령은 당시 미국 구축함의 공격으로 엑세터가 파괴로부터 구원받았다고 굳게 믿었다.
시야가 좋지 않고 사거리가 늘어나면서 전투의 그 단계가 끝나 버렸고 연합군은 퇴각했고, 일본 정찰기들은 연합군 배 위로 이따금 불꽃을 떨어뜨렸다.1958년 순양함 기둥이 서쪽으로 방향을 틀자 밤이 채 끝나기도 전에 드 로이터와 자바가 침몰하고, 휴스턴과 퍼스는 강제로 도망쳤다.알덴과 그녀의 자매들은 동쪽으로 방향을 돌려, 어뢰 보유량이 고갈된 수라바야 쪽으로 독립적으로 은퇴했다.2230에 지뢰밭에 진입한 미국 구축함은 2월 28일 0210에 배를 정박시켰다.
앨든은 낮 시간 내내 그곳에 남아 있었다.그녀는 네덜란드 부두에서 연료를 주입하고 항구에 정박해 그날 오후 적의 고공 폭격기 2대가 급습하는 것을 목격했다.콜리 사령관은 이날 오후 항공모함 형태의 항공기 오버헤드에 주목해 "적군의 항공활동"이 곧 증가세로 돌아설 것임을 시사했다.
콜리는 "동맹군 기지에 침투할 수 있는 최선의 기회는 적과 밤의 시야가 좁아지는 곳까지 신뢰하는 것"이라고 나중에 적었다.자바 주변의 올가미가 강화되자 이를 제거하고 호주 엑머스 걸프까지 진격할 수 있도록 허가를 받은 데스디브 58의 구축함 4척은 분류했다.2월 28일 자정 1시간 전에 지뢰밭을 개간한 그들의 선원들은 일반 숙소에서 밤을 지새웠다.알덴과 다른 사람들은 그들이 감히 해안을 껴안고 발리 해협으로 몸을 돌린 만큼 자바 해안에 바짝 붙어 있었다.그러나 그곳에서 그들은 곧 하쓰하루, 네노히, 와카바, 하쓰시모로 구성된 발리 공격부대와 마주쳤다.
0215년경 알덴은 거의 동쪽에 위치한 구축함 한 척을 발견했고, 그 후 두 척 이상의 구축함이 그 뒤를 따랐다.암초를 제거하기 위해 해안에서 나온 미국인들은 15분 만에 일본 선박에서 총성이 터졌기 때문에 곧 적의 시야에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알덴과 그녀의 자매선들이 불을 확인하고 연기를 피우기 전에, 5분 동안 이어진 두 구축함 사이에 총격전이 이어졌다.약 19km의 거리에서, 일본인들은 0250으로 다시 문을 열었다.그러나 미국인들은 적이 반격함으로써 자신들의 입장을 밝히도록 강요하려 한다는 추론을 내세우며 그들의 포화를 제지했다.
시속 52km로 28노트의 속도로 이어지며 4명의 '4인승'이 무사히 접전에서 벗어났다.그들이 목적지에 가까워지자, 사령관 토마스 빈포드, 사령관, 데스디브 58은 그의 배인 호주 차트(Alden과 Paul Jones)와 그렇지 않은 배(John D)를 페어링했다. 포드와 존 D. 에드워즈)와 구축함은 3월 4일 오후 프레망틀에 도착했다.
3월 28일 호주-뉴질랜드 지역 사령관에게 보고한 알덴은 진주만을 향해 항해할 때까지 남서태평양 해역에서 운항하여 6월 7일 미국 서부 해안으로 가는 도중 목적지에 도착했다.알덴은 마레아일랜드에서 정찰작업을 벌인 뒤 8월 11일 샌프란시스코와 하와이 해역 간 호송 임무를 시작했다.
1943
이후 8개월에 걸쳐 앨든은 1943년 4월 9일 마레아일랜드에서 카리브해로 떠날 때까지 친위대 임무를 수행했다.4월 16일 파나마 운하를 갈아타고 카리브해 국경의 사령관에게 보고한 그녀는 트리니다드를 거쳐 4월 25일에 그곳에 도착했다.
이 구축함은 이후 두 달 동안 트리니다드와 관타나모 만을 오가며 호위함을 폐쇄한 뒤 6월 28일 수리 및 수리를 위해 들어간 뉴욕 해군 야드로 북상했다.이 이용이 완료되자 알덴은 7월 11일 버지니아 노퍽으로 항해를 떠났고, 곧이어 모로코행 호송차에 합류해 7월 28일 카사블랑카에 도착했다.지브롤터를 통해 미국으로 돌아온 이 배는 8월 27일 드라이도킹을 위해 찰스턴 해군 야드에 입항했다.그녀는 9월 7일 트리니다드 스페인 항구를 향해 항해했고, 결국 브라질 해역으로 나아가 10월 8일 레시페에 도착했다.
11월 4일 카리브해에서 진행 중이던 앨든은 열흘 뒤 트리니다드에 도착했고, 11월 26일 조지 워싱턴 육군 수송기의 호위함으로 항해했다.12월 1일 목적지인 플로리다주 키웨스트까지 무사히 도착한 이 구축함은 유지보수를 위해 3일 그곳에 도착한 찰스턴으로 향했다.그녀는 그곳에서 메인 주의 카스코 만으로 쪄서 다시 노퍽으로 돌아가 1943년 마지막 날에 그 항구에 도착하기 전에 훈련을 받았다.
1944
알덴은 1944년 1월 5일 과달카날 주위에서 결성된 대잠수함 그룹을 타고 북아프리카 해역으로 항해했다.지난 1월 16일 과달카날 복합 13중대(VC-13)의 그룸만 TBF 어벤져스 한 쌍이 U-129에 레이더 탐지장비를 전송하기 전에 수면 위로 U보트 한 척을 잡아 아조레즈 근방에서 랑데부르를 만나 U-544를 격침시켜 공격했다.1월 26일 카사블랑카에 도착한 기동부대는 사흘 뒤 미국으로 항해했고, 2월 16일 노퍽에 도착했다.곧 수리 및 수리를 위해 보스턴 해군 야드로 자리를 옮긴 앨든은 3월 12일 노퍽으로 돌아왔다.
이 구축함은 다음 날 UGS-36 호위함 16척, 상선 72척, 탱크 상륙함 18척 중 하나로 튀니지를 향해 출항했다.호위함들은 3월 31일 늦게 U-보트로 추정되는 것을 출발시켰고, 6시간 뒤인 4월 1일 새벽 독일 항공기 22대가 UGS-36을 공격했다.후방 경비대에 있던 알덴은 호위함들이 적기 2대를 격추하고 다른 2대가 피해를 입었을 때 호위함의 방어를 도왔다.결국 UGS-36은 4월 3일 목적지인 비제르테에 도착했다.9일 후, 알덴은 미국을 향해 항해했고, 5월 1일 햄튼 로드스에 도착했다.
보스턴 해군 야드에서 잠시 자리를 비운 후, 앨든은 5월 27일 뉴욕으로 출발하여 대서양 함대 사령관, 서비스 부대의 임무를 위해 곧 보고를 했다.그 후 그녀는 주로 지역 호위 임무로 6월에 노폭에서 활동했다.이 기간 동안, 그녀는 위스콘신에서 새로운 전함 쉐이크다운 훈련을 하는 동안 경기를 했다.
손상된 프로펠러에 대한 긴급 수리에 이어 이번에는 엘로코민과 함께 노폭에서 베이타운으로 가는 배를 호송하고 관타나모 만으로 갔다가 갤버스턴에서 버뮤다, 카스코 만, 노폭으로 가는 여행에서 오일러를 호송하기 전에 엘로코민과 함께 호송 작전을 재개했다.
1944년 8월 이 임무를 마치고 노퍽 해군 야드에서 일상적인 정비를 받은 알덴은 구축함이 아데어와 후드를 노퍽에서 운하 구역으로 호송하기 전에 노퍽에서 버뮤다로 치코페를 호송했다.존 D를 안심시키고 있다. 파나마해프런티어 사령관 주관으로 11월 파나마 해역에서 알덴이 잠수함을 실은 훈련선으로 파나마 해역에서 작전을 펼쳤으며, 그 후 구축함은 노퍽으로 귀환했다.
1945
1945년 1월 31일 헤이터와의 충돌로 피해를 본 후, 알덴은 노퍽 해군 야드에서 수리를 받았다.이들은 2월 28일에 끝났고, 알덴은 곧 마당에서 나타났고, 3월 1일 지중해로 향하는 호송차 UGF-21의 호위대에 합류했다.이어 호위함 GUF-21을 싣고 미국으로 돌아온 군함은 구축함이 노퍽으로 돌아오기 전 버뮤다와 관타나모 사이 마타포니, 관타나모와 버뮤다 사이 치와와를 호위했다.그 후 톰프킨스빌에서 입찰에 응한 앨든은 6월 2일 플로리다 메이포트로 항해했고, 도착하자마자 플로리다주 펜사콜라에 있는 해군 공군기지에서 신생 조종사 자격인 과달카날과 함께 비행기 경비 임무를 맡았다.6월 13일에 이 투어를 마친 후, 그녀는 델라웨어 캡스로 갔다.
해체와 운명
알덴은 1945년 6월 15일에 필라델피아 해군 조선소에 도착했고 7월 15일에 그곳에서 해체를 당했다.그녀의 이름은 8월 13일 해군 함정 등록부에서 발견되었고, 그 배는 1945년 11월 30일 메릴랜드 볼티모어의 보스턴 금속 구조 회사에 매각되어 고철로 부서졌다.
수상
앨든은 제2차 세계대전의 공로로 3명의 전투별을 받았다.[3]
참조
- ^ a b c d e f g h i j Tully, Anthony; Hackett, Bob; Kingsepp, Sander (2012). "Stranding of S.S. PRESIDENT HOOVER - December 1937". Rising Storm – The Imperial Japanese Navy and China 1931–1941. Imperial Japanese Navy Page. Retrieved 7 May 2013.
- ^ a b c d Hackett, Bob; Kingsepp, Sander (2015). "IJN Submarine I-123: Tabular Record of Movement". combinedfleet.com. Retrieved 6 August 2020.
- ^ "USS Alden". Dictionary of American Naval Fighting Ships. Navy Department, Naval History and Heritage Command.
- 이 글에는 공용 도메인에서 온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다.미국 해군 전투함 사전이 항목은 여기에서 찾을 수 있다.
외부 링크
- Willshaw, Fred. "USS Alden (DD-211)". Destroyer Photo Archive. Paul R. Yarnall & NavSource Naval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