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3분의 2 면적 사라져"…추자도 주민, 해상풍력 중단 촉구
송고시간2022-08-25 15:01
"총 사업 규모 5분의 1만 어민에 알리고 선동, 주민 갈등 유발"
(제주=연합뉴스) 백나용 기자 = 제주시 추자도 주민들로 구성된 추자도 해상풍력사업 반대대책위원회(이하 추자해상풍력반대위)는 25일 "제주시 추자면 해역에 추진하려고 하는 대규모 해상풍력발전단지 사업을 전면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추자해상풍력반대위는 이날 오전 제주도의회 도민 카페에서 기자회견을 해 "추자면 주민 1천800여 명은 오랫동안 천혜의 해상 자연환경에 의지해 살아가고 있다"며 "하지만 갑자기 추자면 앞바다에 세계 최대 규모의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겠다고 하니 앞으로 겪게 될 인위적 재앙에 대한 위기감으로 잠도 이루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추자해상풍력반대위는 "사업 계획과 같이 추자면 해역에 높이 260m인 해상풍력 발전설비 360여 대가 설치된다면 앞으로 30년간 서울시 면적의 3분의 2 수준의 해상영토 4억㎡가 사라지게 된다"고 지적했다.
또 전남으로 연결되는 길이 614㎞의 2만2천V 해저케이블도 추자면 해역을 회복 불능으로 만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주민 간 갈등을 야기한 사업 추진 절차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추자해상풍력반대위에 따르면 사업자 측은 2021년 9월 추자면 어민으로만 구성된 '후풍해상풍력추진위원단'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같은 해 10월부터 이듬해 6월까지 추자면 해상에 풍황계측기 10대를 설치했다.
사업자 측은 이어 지난 2월 추자면 어민과 해녀만을 대상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한 뒤 후풍해상풍력추진위원단과 상생 협약을 체결하고, 지난 6월 추자면 어민과 해녀 200명에게 상생 지원금 명목으로 300만원에서 1천만원을 지급했다.
추자해상풍력반대위는 "추자면주민자치위원회를 비롯한 추자면 주민이 해당 사업에 주민을 배제하는 데 항의하자 지난달 4일에야 처음으로 사업자를 대신한 컨설팅 회사가 전체 주민 대상 사업설명회를 열었다"며 "이 자리에서 처음으로 사업 내용과 규모를 알 수 있었다"고 말했다.
추자해상풍력반대위는 "이 과정에서 사업계획서상 풍황계측기 위치가 실제 설치된 위치와 다르다는 점, 사업 규모가 단일 세계 최대 규모란 점, 또 설치하고자 하는 풍력 발전설비가 아직 개발도 되지 않은 대용량이라는 점도 알게 됐다"고 꼬집었다.
추자해상풍력반대위는 "무엇보다 기존 어민과 해녀가 알고 있던 내용이 전체 주민 사업설명회에서 밝혀진 사업 규모의 5분의 1 정도였던 것이 밝혀졌다"며 "정부와 제주도는 추자면 어민을 선동해 지역주민 갈등을 유발하는 해당 사업을 전면 중단하라"고 강조했다.
제주도에 따르면 노르웨이 국영 석유·천연가스회사의 한국법인 '에퀴노르사우스코리아후풍'과 특수목적법인 '추진'은 제주시 추자면 추자도 서쪽 10∼30㎞ 해역과 동쪽 10∼30㎞ 해역 등 2곳에 설비용량 총 3천㎿급 해상풍력 발전설비 건설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3천㎿급 발전설비는 30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생산 규모로, 현재 제주에서 가장 큰 생산 규모로 추진 중인 한림해상풍력발전(105㎿)보다도 30배나 크다.
이들 사업자는 해상풍력 발전설비로 생산된 전력을 전남으로 보내는 전력계통을 계획한 것으로 알려졌다.
발전단지 위치는 제주도 관할 공유수면도, 어업권으로 설정된 구역도 아니다.
이에 따라 이들 사업자는 제주도가 아닌 산업통상자원부를 통해 사업 인허가 절차를 진행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2/08/25 15:01 송고